인쇄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쇄소는 인쇄 기술을 사용하여 다양한 인쇄물을 제작하는 사업체이다. 15세기 중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 발명은 책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후 증기 기관과 윤전기의 발명으로 인쇄 기술은 더욱 발전했다. 한국은 고려 시대에 금속활자를 발명하여 서양보다 앞선 인쇄 기술을 보유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주자소를 설치하여 인쇄술을 발전시켰다. 인쇄 산업은 신문, 잡지, 도서, 광고, 포장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디지털 인쇄 및 친환경 인쇄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 일본의 다이닛폰 인쇄와 TOPPAN 홀딩스가 주요 기업이며, 한국에서도 디지털 인쇄와 특수 인쇄 기술을 가진 중소 인쇄소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쇄업체 - 동인지 인쇄소
동인지 인쇄소는 아마추어 창작자인 동인지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출판할 수 있도록 인쇄, 제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동인지 문화 성장과 함께 발전해왔으나 노동 환경, 저작권 문제, 규제, 세금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도 존재한다. - 인쇄업체 - 에스엠라이프디자인그룹
에스엠라이프디자인그룹은 SM엔터테인먼트가 FNC애드컬쳐를 인수하여 2018년 사명을 변경한 기업으로, 엔터테인먼트 외 광고, 디자인, MD 사업 등을 포괄하며 사업 구조를 재편했고 과거 드라마 제작 및 외식 사업을 영위했으며 자회사를 두고 있다. - 인쇄 - 구텐베르크 은하계
마셜 맥루한의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인쇄술이 시각 중심 문화와 근대 사회 형성에 미친 영향을 탐구하고 전자 매체의 등장으로 인한 구술 문화로의 회귀를 예측한 모자이크 형식의 책으로, 캐나다 총독상을 수상했다. - 인쇄 - 복사기
복사기는 문서나 이미지를 복제하는 기계로, 전기 사진술의 발전을 통해 현대적 형태를 갖추었으며, 디지털 기술과 결합하여 이미지 스캐너 및 레이저 프린터로 발전했고, 저작권 침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인쇄소 |
---|
2. 인쇄의 역사
서유럽에서 인쇄기의 역사는 15세기 중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활판 인쇄술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 발명은 서양 인쇄술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일본의 근대 활판 인쇄는 1849년 네덜란드에서 스탠호프 인쇄기와 영문 활자를 쇼군에게 기증하면서 시작되었고,[8] 1857년에는 네덜란드 인쇄 기술자 인데르마울이 데지마에 인쇄소를 개설했다(데지마판).[8]
근대 일본 인쇄의 아버지 모키 쇼조가 일으킨 인쇄 사업은 도쿄 쓰키지 활판 제조소로 이어졌으며, 이는 여명기 대표적인 인쇄 회사로 언급된다. 모키는 1869년 미국 선교사 윌리엄 갬블에게서 전태법 활자 주조 기술을 배우고 나가사키에 신마치 활판소를 열었고, 이는 후에 쓰키지 활판소가 되었다.[8]
일본에서 신문은 신문사가 취재, 편집, 조판, 인쇄, 배송(각 가정까지는 아니지만) 시스템을 갖춘 경우가 많지만, 그 외 분야에서는 전문 인쇄 회사가 담당한다. 일본 인쇄 회사는 중소기업 비율이 높지만, 다이닛폰 인쇄와 TOPPAN 홀딩스(구 凸版印刷)가 시장을 주도하며, 이들은 인쇄 관련 모든 상재를 취급한다.
1990년대 버블 붕괴 이후 일본 인쇄 산업은 1999년부터 축소되기 시작했다. 출판 불황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인터넷 보급과 젊은 층의 활자 이탈로 판매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2015년 출판물 판매액은 152.2억엔(전년 대비 5.3% 감소, 출판과학연구소 조사)로 11년 연속 감소했으며, 도산 건수도 줄지 않고 있다.[9]
다이닛폰 인쇄, TOPPAN 등 대기업(과 NISSHA)은 종이 인쇄 비중을 줄이고, 인쇄 기술을 활용한 포장재(패키지 제품), 액정 디스플레이 부품 재료, 컬러 필터, 반도체용 포토 마스크 등 전자 장치 상재 비중을 늘리며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10]
2. 1. 서양의 인쇄술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1450년대에 활판 인쇄술을 개발했다. 그의 인쇄기는 개별 금속 활자와 유성 잉크와 같은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을 통합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인 책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2]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는 잉크를 묻힌 활자와 종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나사 메커니즘이 있는 무거운 나무 틀로 구성되었다. 이는 책의 생산을 가속화하여 지식의 보급과 정보의 민주화를 이끌었다.[3][4]이후 인쇄기는 상당한 발전을 겪었다. 18세기에 증기 동력 인쇄기가 도입되어 더 많은 양을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 산업 혁명은 증기 또는 기계 시스템으로 구동되는 윤전기의 개발을 가져왔다. 이러한 인쇄기는 시간당 수천 페이지를 인쇄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생산 능력의 획기적인 도약을 의미했다.[5][6]
12세기에 유럽에는 제지술이 전해졌고, 1445년경 독일의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에 의해 금속 합금 활판 인쇄술과 프레스기가 발명되었다.[8] 중세까지 유럽에서는 서적이 양피지 등에 필사본으로 복제되어 매우 고가였다.[8] 그러나 구텐베르크의 발명으로부터 약 50년 만에 유럽 각지에 활판 인쇄 공방이 세워지면서 인쇄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보급되었다.[8]
2. 2. 한국의 인쇄술
주어진 소스는 일본의 인쇄술에 대한 내용만을 담고 있으므로, '한국의 인쇄술' 섹션의 내용을 작성하는데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3. 인쇄 기술의 발전
18세기에 증기 기관을 이용한 증기 동력 인쇄기가 도입되어 더 많은 양을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5] 이후 산업 혁명 시기에는 증기나 기계 시스템으로 구동되는 윤전기가 개발되어 시간당 수천 페이지를 인쇄할 수 있게 되는 등 생산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6]
3. 1. 활판 인쇄
독일의 세공인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1450년대에 활판 인쇄술을 개발했다. 그의 인쇄기는 개별 금속 활자와 유성 잉크와 같은 다양한 혁신적인 기술을 통합하여 더 빠르고 효율적인 책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2]구텐베르크의 인쇄기는 잉크를 묻힌 활자와 종이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나사 메커니즘이 있는 무거운 나무 틀로 구성되어, 이후 인쇄 기술 발전에 기반을 마련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기는 책의 생산을 가속화하여 지식의 보급과 정보의 민주화를 이끌었다.[3][4]
3. 2. 오프셋 인쇄
산업 혁명 시기인 19세기 말에 도입된 오프셋 인쇄는 인쇄 산업에 혁명을 가져왔다. 이 기술은 이미지가 새겨진 평평한 금속판을 사용하여 잉크를 고무 담요(블랭킷)로 옮기고, 고무 담요는 다시 종이에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식이다. 오프셋 인쇄는 더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인쇄를 제공하여 대규모의 고품질 복제 및 컬러 인쇄를 가능하게 했다.4. 인쇄 산업
인쇄 산업은 신문, 잡지, 도서 등 출판물뿐만 아니라 광고, 포장, 문구류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하위 섹션 '인쇄사의 종류'에서 인쇄소의 유형별 분류가 상세히 다루어지므로, 이 섹션에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유형별 분류에 관한 내용은 생략한다.)
4. 1. 인쇄사의 종류
인쇄소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신문사 인쇄소: 주로 신문을 발행하는 회사에서 직접 운영한다.
- 잡지 인쇄소: 대부분 잡지 발행 회사와는 별개로 운영된다.
- 도서 인쇄소: 일반적으로 도서 출판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이 운영된다.
- 엽서 인쇄소
- 문구류 인쇄소
- 포장 인쇄소
- 거래 인쇄소: 인쇄 업계에서 도매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형 인쇄기: 간판, 배너와 같이 큰 인쇄물을 전문적으로 다룬다.
- 판화가: 인쇄 기술을 활용하여 예술 작품을 창작한다.
주요 인쇄 기업; 대기업
- TOPPAN 홀딩스
- 다이닛폰 인쇄
; 준대기업
- 닛샤
- 교도 인쇄
- 도서 인쇄
- TOPPAN 엣지
- 교리츠 인쇄
- 다케다 인쇄
- 미츠무라 인쇄
; 국영
- 국립 인쇄국
; 기타
- ITP (기업)
- 아카츠키 인쇄 (우오누마시)
- 아카츠키 인쇄 (시부야구)
- 아사가미 프레스 센터
- 아사히 인쇄 (후쿠이현)
- 아사히 커뮤니케이션즈
- 아사히 프린텍
- 아드프렉스
- 아메미야 인쇄
- 이시카와 특수 특급 제본
- 이시다 제본
- 윌코 홀딩스
- 에이쇼도 인쇄
- 에트와르 (인쇄)
- 오사카 실링 인쇄
- 오시카 인쇄소
- 오무라 인쇄
- 오카다 지교
- 가사마 제본 인쇄
- 가시와무라 인쇄
- 가와세 컴퓨터 서플라이
- 교신 인쇄
- 교리츠 아이콤
- 쿄린샤
- 근대 미술 (기업)
- 긴요샤
- 그래픽 (기업)
- 쿠리에이샤
- 클레아르 (인쇄 통신 판매 회사)
- 켄큐샤 인쇄
- 코사이도 홀딩스
- 고속 오프셋
- 코와보
- 국책 교영
- 고시키 (기업)
- 코스모그래픽
- 코스모 프린츠
- 고바야시 크리에이트
- 고마츠 인쇄
- 사가와 인쇄
- 야마아이
- 산케이 종합 인쇄 (오사카)
- 산코 (홋카이도)
- 산슈샤
- 산세이도 인쇄
- 산니치 인쇄
- 산멧세
- SANYO-CYP
- 선라이즈 퍼블리케이션
- 씨·알·엠
- 제이알 도카이 웰
- 시그마 지교
- 시나노 (인쇄업)
- 쇼에이 인쇄
- 쇼세키
- 스킷 (기업)
- 세이코샤
- 소요샤
- 다이이치 인쇄
- 다이이치 인쇄 (나가사키현)
- 다이이치 시코
- 타이헤이
- 다이요 출판
- 호 인쇄
- 다케사사도
- 주니치 고속 오프셋 인쇄
- 주니치 미에 서비스 센터
- 지요다 그래비어
- 데일리 스포츠 프레스 센터
- 텐리 지호샤
- 토아 시코교
- 도쿄 스가키 인쇄
- 도쿄 리스매틱
- 토자와 인쇄 공예
- 동인지 인쇄소
- 토탈 패키지
- 도덴 해밍 워크
- 도니치 인쇄
- 토니치 오프셋
- 동판 인쇄
- 토요카세이
- 도서 인쇄 도모샤
- 토모노 인쇄
- 도야마 스가키
- 나이 가이 프로세스
- 니시카와 커뮤니케이션즈
- 닛칸 스포츠 PRESS
- 닛신 인쇄
- 뉴스 플래닝
- 네코노싯포 (나카하라구)
- 노자키 인쇄 지교
- 하라프렉스
- 히타치 문서 솔루션즈
- 후쿠시마 인쇄
- 후지코피안
- 브라더 인쇄
- 프린트넷
- 프린트 팩
- 프로넥서스
- 헤이와도 인쇄
- 벤리도
- 마이니치 신문 기타칸토 코어
- 마이니치 신문 수도권 센터
- 마이니치 신문 홋카이도 센터
- 마키 제본 인쇄
- 마츠모토 (후쿠오카현)
- 마루신 공업
- 마루야마 인쇄
- 마루요시 닛신도 인쇄
- 만 로랜드 고스 웹 시스템즈 재팬
- 와타다 인쇄
5. 한국의 주요 인쇄사
요약에 따르면, 대한민국에는 다이닛폰 인쇄와 TOPPAN 홀딩스 외에도 다양한 중소 인쇄사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디지털 인쇄, 특수 인쇄 등 전문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5. 1. 대기업
일본의 인쇄 회사는 중소기업의 비율이 크지만, 다이닛폰 인쇄와 TOPPAN 홀딩스(구 凸版印刷)가 2대 기업으로 존재감이 압도적이며, 양사는 인쇄와 관련된 모든 상재를 취급하고 있다.[10]다이닛폰 인쇄, TOPPAN 홀딩스와 닛샤(NISSHA)는 종이에 대한 인쇄 비중이 감소하고 있으며, 인쇄 기술을 활용한 포장재(패키지 제품) 등의 각종 장식 제품, 액정 디스플레이 부품 재료나 컬러 필터, 반도체용 포토 마스크와 같은 전자 장치 등의 비중을 늘리는 방식으로 산업 구조 변화에 맞춰 포지셔닝을 바꾸고 있다.[10]
기업명 | 비고 |
---|---|
TOPPAN 홀딩스 | 도쿄 증권 거래소 프라임 시장 상장 |
다이닛폰 인쇄 | 도쿄 증권 거래소 프라임 시장 상장 |
5. 2. 준대기업 및 중소기업
닛샤(NISSHA), 교도 인쇄(共同印刷)는 도쿄 증권 거래소 프라임 시장에 상장된 준대기업이다.[10] 도서 인쇄(図書印刷)와 TOPPAN 엣지(TOPPANエッジ)는 TOPPAN 홀딩스 그룹에 속한다.[10] 교리츠 인쇄(共立印刷)는 도쿄 증권 거래소 스탠다드 시장에, 다케다 인쇄(竹田印刷)는 도쿄 증권 거래소 스탠다드 및 나고야 증권 거래소 메인 시장에 상장되어 있다.[10] 미츠무라 인쇄(光村印刷)도 도쿄 증권 거래소 스탠다드 시장 상장 기업이다.[10]5. 3. 국영 기업
국립 인쇄국참조
[1]
사전
Printer
http://www.merriam-w[...]
2024-04-22
[2]
논문
The Printing Press as an Agent of Change. Communications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in Early-Modern Europe. By Elizabeth L. Eisenstein. 2 vols. Pp xxi, 79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40.
http://dx.doi.org/10[...]
1980-09-09
[3]
논문
The Coming of the Book: The Impact of Printing, 1450–1800
http://dx.doi.org/10[...]
1994
[4]
서적
The Gutenberg revolution: the story of a genius and an invention that changed the world
https://searchworks.[...]
Review
2002
[5]
논문
Printing Presses: History and Development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Modern Times
http://dx.doi.org/10[...]
1974-01-01
[6]
서적
The Printed Word and the Common Man: Popular Culture in Ulster, 1700-1900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Irish Studies, Queen's University of Belfast
1987
[7]
문서
The history of lithography
https://web.tech.uh.[...]
[8]
논문
わが国の印刷の過去,現在,未来 -活字からデジタルへの変革期を迎えて-
https://doi.org/10.4[...]
表面技術協会
2020-03-31
[9]
웹사이트
http://www.tsr-net.c[...]
[10]
웹사이트
https://toyokeiza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