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천옹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옹주는 조선의 제2대 왕 정종과 숙의 윤씨의 딸로, 전주 이씨 출신이다. 도호부사 이관식과 혼인하여 5남 3녀를 두었으며, 시가는 전의 이씨이다. 인천옹주는 김기, 박중검, 정석화에게 각각 딸들을 출가시켜 광산 김씨, 함양 박씨, 초계 정씨와 혼맥을 형성했다. 그녀의 가족 관계는 조선 왕실 및 유력 가문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종의 자녀 - 무림군
    무림군은 조선 세조의 아들 정종과 숙의 기씨 사이에서 태어난 왕자로, 정부인 홍씨와의 사이에서 자녀를 두었으며, 세조의 순행을 호종하고 문폐사로 활동하며 지방 실정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조선 정종의 자녀 - 도평군
    도평군은 조선 정종의 아들로, 기생 첩을 사랑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세종의 비호를 받았고, 예종 즉위년에 군호를 하사받았으며 1470년 이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조선의 공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공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인천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군주, 옹주
이름인천옹주
미상
가계
왕가조선 왕조
아버지정종
어머니미상
친척태조(조부), 태종(숙부), 세종(사촌) 등
배우자소윤 이관식(少尹 李寬植)
자녀5남 3녀
이인문(李仁文), 이의문(李義文),
이예문(李禮文), 이지문(李智文),
이신문(李信文),
김기(金耆)의 처, 박중검(朴仲儉)의 처,
정석화(鄭石和)의 처
생애
출생지조선
출생일미상
사망지조선
사망일미상
사망 원인미상
기타 정보
능묘미상
능묘 좌표미상
매장지미상
매장지 좌표미상
거주지미상
국적조선
종교미상
서명미상
별칭미상
시호미상

2. 가족 관계

인천옹주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인천옹주 가족 관계
구분관계이름비고
친정
전주 이씨
태조, 신의왕후
윤방언
정종
숙의 윤씨
시가
전의 이씨
이성간
민여익(閔汝翼)의 딸
이관식
슬하 5남 3녀 (상세 내용은 하위 항목 참조)
홍종서(洪從瑞)의 딸, 신평 송씨 송평(宋枰)의 딸


2. 1. 친정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조부: 태조 (1335~1408, 재위: 1392~1398)
  • 조모: 신의왕후 (1337~1391)
  • 외조부: 윤방언

2. 1. 1. 아버지

정종(1357~1419, 재위: 1398~1400)

2. 1. 2. 어머니

정종의 후궁 숙의 해평 윤씨(1368~1417)는 대사헌 윤방언의 딸로, 정종과의 사이에서 수도군 덕생, 임언군 녹생, 석보군 복생, 장천군 보생, 그리고 인천옹주를 낳았다.

2. 1. 3. 오빠


  • 오빠 : 수도군 이덕생(李德生, ? ~1449)[1]
  • 오빠 : 임언군 이녹생(李祿生, ? ~1450)[1]
  • 오빠 : 석보군 이복생(李福生, 생몰년 미상)[1]
  • 오빠 : 장천군 이보생(李普生, 생몰년 미상)[1]

2. 2. 시가 전의 이씨(全義 李氏)

시아버지소윤 이성간(少尹 李成幹)
시어머니민여익(閔汝翼)의 딸
부마도호부사 이관식(都護府使 李寬植)
장남이인문(李仁文)
손자이서림(李瑞林)
차남이의문(李義文)
삼남이예문(李禮文)
며느리홍종서(洪從瑞)의 딸
손자이계림(李季林), 이창림(李昌林), 이무림(李茂林)
사남이지문(李智文)
며느리신평 송씨 - 송평(宋枰)의 딸
손자이백령(李百齡), 이만령(李萬齡), 이억령(李億齡)
손녀김한걸(金漢傑), 권문손(權文孫)에게 출가
오남이신문(李信文)
손자이송령(李松齡), 이천령(李千齡), 이조령(李兆齡)
장녀광산 김씨 김기(金耆)에게 출가
외손녀효령대군의 증손자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에게 출가
차녀함양 박씨 박중검(朴仲儉)에게 출가
외손자박세영(朴世榮, 1480 ~ ?), 박세무(朴世茂, 1487 ~ ?), 박세옹(朴世蓊, 1493 ~ ?)
외손녀여산 송씨 송세정(宋洗精)에게 출가
삼녀초계 정씨 정석화(鄭石和)에게 출가
외손자정종신(鄭宗信)
외손녀이수현(李秀賢), 경주 이씨 이은신(李殷臣)에게 출가


2. 3. 자녀

인천옹주는 전의 이씨 도호부사 이관식과 혼인하여 아들 다섯과 딸 셋을 두었다.

2. 3. 1. 아들

이름배우자자녀
이인문(李仁文)이서림(李瑞林)
이의문(李義文)
이예문(李禮文)홍종서(洪從瑞)의 딸이계림(李季林), 이창림(李昌林), 이무림(李茂林)
이지문(李智文)신평 송씨 송평(宋枰)의 딸이백령(李百齡), 이만령(李萬齡), 이억령(李億齡), 김한걸(金漢傑)에게 출가한 딸, 권문손(權文孫)에게 출가한 딸
이신문(李信文)이송령(李松齡), 이천령(李千齡), 이조령(李兆齡)


2. 3. 2. 딸

인천옹주의 딸은 광산 김씨 김기(金耆), 함양 박씨 박중검(朴仲儉), 초계 정씨 정석화(鄭石和)에게 각각 출가하였다.[1]

  • 김기(金耆)에게 출가한 장녀는 효령대군의 증손자 여양군(呂陽君) 이자겸(李子謙)에게 출가한 외손녀를 두었다.[1]
  • 박중검(朴仲儉)에게 출가한 차녀는 박세영(朴世榮, 1480 ~ ?), 박세무(朴世茂, 1487 ~ ?), 박세옹(朴世蓊, 1493 ~ ?) 등의 외손자와 여산 송씨 송세정(宋洗精)에게 출가한 외손녀를 두었다.[1]
  • 정석화(鄭石和)에게 출가한 삼녀는 정종신(鄭宗信)이라는 외손자와 이수현(李秀賢), 경주 이씨 이은신(李殷臣)에게 각각 출가한 외손녀들을 두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