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박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양 박씨는 신라 경명왕의 아들 박언신을 시조로 하며, 고려 시대 예부 상서를 지낸 박선을 중시조로 한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68명을 배출했고, 주요 인물로는 의성군 현을 지킨 박지량, 학자 박대립, 독립운동가 박열 등이 있다. 본관인 함양은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조선 시대에는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2000년에는 123,688명, 2015년에는 163,610명으로 인구가 조사되었으며,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 박씨 - 박동균 (1919년)
박동균(1919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의무감,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간호장교 제도 창설에 기여했으나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함양 박씨 - 박열
박열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무정부주의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일본에서 가네코 후미코와 함께 천황 암살을 기도하다 체포되어 '박열 사건'으로 알려졌으며, 해방 후 재일 조선인 단체 활동과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북한에서 생을 마감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함양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함양 박씨 | |
성씨 | 함양 박씨 咸陽朴氏 |
나라 | 한국 |
관향 | 경상남도 함양군 |
시조 | 박언신(朴彦信) |
원시조 | 박혁거세(朴赫居世) |
중시조 | 박선(朴善) |
집성촌 | 전라남도 진도군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평복리 경상북도 의성군 |
년도 | 2015 |
인구 | 163,610명 |
비고 | 함양박씨 대종회 |
인물 |
2. 역사
신라 경명왕 박승영(新羅 景明王 朴昇英)의 셋째 아들 '''박언신'''(朴彦信)이 속함대군(速咸大君)에 봉해져 문호(門戶)가 열리게 되었고, 속함(速咸)이 함양(咸陽)으로 개칭됨에 따라 관향(貫鄕)을 함양으로 삼게 되었다.
함양(咸陽)은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신라의 속함군(速含郡)이었다. 경덕왕 때 천령군(天嶺郡)으로 고쳤고, 고려 현종 때 함양군(咸陽郡)이 되어 합주(陜州)에 속하였다가 함(含)을 함(咸)으로 고쳐 함양(咸陽)이 되었다. 1172년(고려 명종 2) 함양현(咸陽縣)으로 강등되었으며, 조선 태조 때 군(郡)이 되었다. 1914년 안의군의 7개 면을 병합하고, 1957년에는 석복면(席卜面)을 함양면에 이속시켜 함양읍으로 승격시켰다.
고려 시대 예부 상서를 역임한 '''박선'''(朴善)을 중시조로 한다. 박선의 현손(玄孫) 박신유는 고려 고종 때 김경손과 더불어 나주에서 초적(草賊) 이연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고, 슬하에 아들 6형제를 두었다.
하지만 선계를 고증할 수 없어 고려시대 예부 상서를 역임한 '''박선'''(朴善)을 중시조로 한다. 박선의 현손(玄孫) 신유가 고려 고종 때 김경손과 더불어 나주에서 초적(草賊) 이연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고, 슬하에 아들 6형제를 두었다. 6형제는 검교군기소감(檢交軍器少監) 지문(之文)을 파조(派祖)로 하는 소감공파(少監公派)와 문원공파(文元公派: 지빈), 함양군파(咸陽君派: 지량),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지수), 어사공파(御史公派: 지온),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지영) 등으로 갈라져서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함양 박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68명을 배출하였다.
3. 본관
4. 분파
파명 파조 소감공파(少監公派) 검교군기소감(檢交軍器少監) 박지문(之文) 문원공파(文元公派) 박지빈 함양군파(咸陽君派) 박지량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박지수 어사공파(御史公派) 박지온 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 박지영 오한공파(五恨公派) 박성건
5. 주요 인물
6. 집성촌
7. 항렬표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
口진(鎭) |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
口순(淳) | 상(相) |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
주(周) |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
口희(熙) | 용(用) | 口호(鎬) | 영(永) | 口래(來) | 환(煥) | 口규(珪) | 옥(鈺) |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해(海) |
8. 인구
연도 | 인구 |
---|---|
2000년 | 123,688명 |
2015년 | 163,610명 |
9.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인천옹주(정종의 서녀)의 사위는 박중검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