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산 송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산 송씨는 고려 시대 은청광록대부를 지낸 송유익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주요 분파로는 원윤공파, 밀직공파, 소윤공파, 지신공파, 정가공파, 충강공파 등이 있으며, 송희립은 수사공손이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의 송자연, 조선의 송문림, 송익필, 송희립 등이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전라남도 고흥군, 보성군, 충청남도 부여군 등에 집성촌이 있으며, 특히 고흥군에 여산 송씨의 비율이 높다. 1653년에 간행된 족보는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산 송씨 - 송지영
    송지영은 남경중앙대학 출신으로 조선일보 논설위원을 거쳐 한국번역가협회 회장,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고문 등을 역임하며 언론 및 문화계에서 활동했고,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국토통일원 고문,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제11대 국회의원, 한국방송공사 이사장 등을 지냈다.
  • 여산 송씨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여산 송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여산 송씨의 종문
여산 송씨의 종문
유형씨족
국가한국
민족한국 민족
지역익산시
창시자송유익
현재 수장알 수 없음
관련 인물송민기
송강
송혜교
송기원
송대관
송두율
송상현
송영길
송요찬
정순왕후
송유근
송은범
송익필
송주석
송태곤
송해
기타 가문알 수 없음
특징알 수 없음
전통알 수 없음
좌우명알 수 없음
가보알 수 없음
사유지알 수 없음
웹사이트http://www.songsee.com 여산송씨정가공파재궁종회
각주알 수 없음
역사
기원전라북도익산시 여산면
시조송유익(宋惟翊)
중시조송송례(宋松禮)
인구
2015년298,231명
주요 인물
인물송염
송분
송훈석
송하진
송기섭
송기석

2. 유래

여산 송씨의 시조 송유익은 고려시대 때 은청광록대부로 추밀원부사에 추증되었다.

3. 분파

여산 송씨는 시조 송유익을 시작으로 여러 분파로 나뉜다.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파명중시조
원윤공파(元尹公派)송운
밀직공파(密直公派)송방영
소윤공파(少尹公派)송원미
지신공파(知申公派)송린
정가공파(正嘉公派)송서
충강공파(忠剛公派)송간
수사공손(水使公孫)송희립


3. 1. 주요 분파

여산 송씨의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3. 2. 분파 (기타)

4. 주요 인물

여산 송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여러 인물을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의 송자연, 조선 시대의 송문림, 송익필, 송희립 등이 있다.

4. 1. 고려

송자연은 고려 중기 때 판서를 지냈다.[1]

4. 2. 조선

송문림은 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성종 즉위 때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으로 여산군에 봉해졌다. 1472년 이조참판으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공무(恭武)이다.[2]

송익필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서얼 출신이라 벼슬을 하지는 못했으나 조선팔대문장가로 문장에 뛰어났다. 이이, 성혼 등과 교류하며 성리학과 예학(禮學)을 탐구하여 조예가 깊었다.[3]

송희립은 조선 중기 무신이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큰형 송대립과 함께 이순신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웠다. 임난공신에 올랐으며 선조 34년에 수군절도사에 제수되었다.[4]

5. 집성촌

여산 송씨 집성촌은 대한민국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경상북도 칠곡군(518명, 총 인구의 0.47%), 전라남도 고흥군(3,278명, 총 인구의 5.79%. 전국에서 총 인구에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전라남도 보성군(809명, 총 인구의 2.18%), 충청남도 부여군(586명, 총 인구의 0.92%) 등지에 집성촌이 있다.[2]

5. 1. 주요 집성촌

지역비고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면 오평동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침교리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상남리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대강리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마륜리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풍류리
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옥마리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3]


6. 족보

1653년 간행된 여산송씨족보는 현존하는 족보 중 17세기 이전 족보가 별로 없어 희귀본으로서 귀중한 자료이기 때문에 1991년 4월 2일 시도유형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다.[4] 소재지는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이며, 관리는 여산송씨종친회에서 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1
[2]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3] 웹사이트 송씨(宋氏) 본관(本貫) 여산(礪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웹인용 여산송씨족보 http://www.cha.go.kr[...] 2008-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