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라이어스 버튼 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라이어스 버튼 홈스는 1870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나 1952년 은퇴한 여행 강연가이다. 1890년 유럽 여행을 시작으로, 손수 채색한 유리 슬라이드와 영화를 강연에 도입하여 인기를 얻었다. 1901년에는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이용하여 한국을 방문, 한국 최초의 영화를 촬영하기도 했다. 8,000회 이상의 강연을 진행했으며, '트래블로그'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여행 작가 - 헨리 데이비드 소로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미국의 작가이자 철학자, 자연주의자로서, 월든 연못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담은 『월든』과 시민 불복종 사상으로 미니멀리즘, 비폭력 저항 운동, 환경 보호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여행 작가 - 워싱턴 어빙
    워싱턴 어빙은 19세기 초 미국의 작가, 수필가, 전기 작가, 역사가이자 외교관으로, 《스케치북》에 수록된 《립 밴 윙클》과 《슬리피 할로우의 전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역사와 허구를 결합한 낭만주의 역사 장르를 개척하고 미국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사진가 - 제라드 말랑가
    제라드 말랑가는 미국의 사진작가, 영화감독, 시인이자 편집자로서, 앤디 워홀과의 협업을 통해 팝아트와 실험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영화 제작, 사진 작업, 편집 활동, 시집 발간 등 다방면으로 예술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사진가 - 에드워드 웨스턴
    에드워드 웨스턴은 20세기 미국의 사진작가로, 픽토리얼리즘을 버리고 스트레이트 사진을 통해 자연의 형태를 담아냈으며, F/64 그룹을 결성하고 구겐하임 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진 작업을 이어가다가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870년 출생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 1870년 출생 - 마르뜨 멜롯
    마르뜨 멜롯은 1925년부터 1947년까지 <마티아스 파스칼의 죽음>, <보바리 부인>, <레 미제라블> 등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192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활동한 배우이다.
일라이어스 버튼 홈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버튼 홈스, 1905년경
버튼 홈스, 1905년경
본명일라이어스 버튼 홈스
직업여행 강사
생애
출생1870년 1월 8일, 미국 시카고
사망1958년 7월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2. 생애

1870년 1월 8일 미국 시카고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은행에서 일하는 사람이었다.[8] 아홉살이 되던 해 할머니가 홈스를 데리고 당대 명성 있던 여행 강사 존 L. 스토더드의 강연을 들으러 갔는데, 이것이 홈스가 여행에 대해 눈을 뜨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8]

1890년 스무살이 된 홈스는 할머니와 함께 유럽으로 여행을 갔고, 돌아와서는 시카고 카메라 협회의 회원으로서 여행기 슬라이드를 강연하기 시작했다. 이 당시 강연에 대해 홈스는 자서전에서 "침묵을 없애고 강연을 진행하기 위해서 환등사가 슬라이드를 바꾸면 적어둔 여행기를 읽어내려갔다"고 설명한다.[8]

강연 자체는 협회 내에서만 350달러를 벌어들이며 성공을 거뒀지만, 홈스가 본격적으로 여행 강사로 활동하기로 결심하기까지는 수년이 더 흘러야 했다. 1893년 시카고의 각계 인사들을 초청해 일본에 다녀온 여행기를 주제로 강연을 두 차례 펼쳤는데 모두 매진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일라이어스 버튼 홈스는 1870년 1월 8일 미국 시카고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은행에서 일했다.[8] 9세 때 할머니가 홈스를 존 L. 스토더드의 강연에 데려갔는데, 이것이 홈스가 여행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8][3] 홈스는 이후 해외 여행에서 스토더드를 만나게 된다.[3]

1890년 홈스는 할머니와 함께 유럽 여행을 다녀왔고, 시카고 카메라 협회에서 여행 사진 슬라이드 강연을 시작했다. 홈스는 "침묵을 없애고 강연을 진행하기 위해서 환등사가 슬라이드를 바꾸면 적어둔 여행기를 읽어내려갔다"고 회고했다.[8][3] 1893년 시카고에서 일본 여행 강연을 두 차례 열어 매진시켰고, 이를 계기로 여행 강사로 활동하기 시작했다.[8]

2. 2. 여행 강연가로서의 활동

일라이어스 버튼 홈스는 1897년 존 L. 스토다드의 은퇴 이후, 여행강연계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손수 채색한 유리 슬라이드와 활동사진(영화)을 강연에 도입하여 인기를 얻었으며, 1940년부터는 영화만을 이용해 강연을 진행했다.[9]

홈스는 1892년부터 세계 각지를 여행하며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러시아, 인도, 동북아시아 등지를 방문했다. 강연 주제는 파나마 운하, '파리의 경박한 풍경', 리처드 핼리버튼의 모험 등 다양했다. 1896년 제1회 근대 올림픽을 참관하고, 1901년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타고 중국, 조선, 일본을 방문하여 촬영한 영상은 한국과 일본에서 제작된 최초의 영화로 여겨지기도 한다.[5] 그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50차례 넘게 횡단했으며, 앙드레 드 라 바르와 같은 조수와 사업 경영전문가를 고용하기도 했다. 할리우드 시대가 도래하면서 파라마운트 사,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사와 협력하여 여행 영화를 제작했다.

1952년 은퇴할 때까지 총 8,000회 이상의 강연을 진행했으며, 뉴욕, 보스턴, 필라델피아 등 대도시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홈스는 강연에서 쾌적하고 경치 좋은 부분을 강조하고, 정치, 빈곤, 사회 문제 등은 언급하지 않아 비판을 받기도 했다.[10][6]

2. 3. 조선 방문 (1901년)

1901년 극동 여행을 계획한 홈스는 조선을 처음으로 방문하기로 결정했다.[11] 시베리아 횡단 열차를 타고 베이징을 거쳐 제물포항으로 입국, 경인선을 이용해 용산역을 거쳐 서울에 도착했다.[12] 홈스는 한국에서 최초로 영화를 촬영하고 상영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11]

서대문 풍경, 전차 풍경, 조선인들의 상투모자, 활쏘기, 가래질 등의 풍습과 한성전기회사 기공식도 카메라에 담았다.[13] 이 과정에서 왕실 종친이었던 청안군 이재순을 만나 영화를 처음 보여줬고, 이후 이재순의 권유에 따라 궁궐에 초청되어 고종 황제와 영친왕에게 소형 영사기를 보여주었다고 한다.[14][15] 홈스의 작품은 현재 한국영상자료원에 기증되어 《한국 - KOREA》라는 이름으로 2006년 처음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홈스의 서울 여행기는 1901년 강연 당시 〈서울: 한국의 수도〉라는 이름으로 컬러사진과 60mm 필름과 함께 처음 공개되었고, 같은해 미국에서 출간한 《버튼 홈스 강연》 (Burton Holmes Lectures) 전집 제10권에 일본 여행기와 함께 수록되었다. 1913년 강연에서는〈한국과 일본〉 (Korea and Japan)이란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며 이에 앞서 조선을 한차례 더 방문한 것으로 추정된다.[16]

홈스가 촬영한 황궁우

3. 기행영화 (트래블로그)

일라이어스 버튼 홈스는 1897년 존 L. 스토더드가 은퇴하면서 여행강연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는 손수 채색한 유리 슬라이드와 당시 신기술이던 활동사진 (영화)을 강연에 도입하여 인기를 얻었다. 1940년부터는 영화만을 이용하여 강연을 진행했다.[9]

홈스는 1892년부터 세계 곳곳을 여행하기 시작했다.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러시아, 인도, 동북아시아, 에티오피아, 미얀마 등을 방문했으며, 파나마 운하, '파리의 경박한 풍경', 리처드 핼리버튼의 모험 등 다양한 주제로 강연했다. 제1회 근대 올림픽을 참관했고, 1901년에는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타고 중국, 조선, 일본을 방문하여 여행기를 담은 영화를 제작했는데, 이는 한국과 일본에서 제작된 최초의 영화로 간주되기도 한다.[5] 홈스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50차례 넘게 횡단했으며, 사업 경영전문가를 고용하고 파라마운트 사와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사에 여행 영화를 납품하기도 했다.

1952년 은퇴할 때까지 총 8,000회 이상의 강연을 했으며, 뉴욕, 보스턴, 필라델피아 등 대도시에서 그의 강연은 많은 청중을 끌어모았다. 홈스는 주로 안락의자 여행객을 위한 강연을 진행했으며, 방문지의 쾌적하고 경치 좋은 부분을 강조하고 정치, 빈곤, 사회적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10][6] 그는 '트래블로그(travelogue)'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강연과 영화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를 창조하여 문화 교류와 이해 증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4. 사생활

1914년 홈스는 여행 중에 만난 마거릿 올리버와 결혼하였고, 할리우드 힐스의 '톱사이드'라는 저택에서 거주했다.[17] 여기에 뉴욕시에 '너바나' (Nirvana)라는 이름의 복층건물도 소유하고 있었는데 동남아시아에서 수집한 보물들로 장식되었다고 한다.[17] 훗날 홈스는 이들 유물들을 로버트 리플리에게 팔아넘겼다.[17]

5. 유산

일라이어스 버튼 홈스는 생전 할리우드 업계 종사자로서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이름이 추서되었다.[17] 2004년에는 소실된 것으로 여겨졌던 홈스의 다큐멘터리 영상 200릴 분량이 버려진 창고에서 발견되었는데, 현재 미국의 조지 이스트먼 하우스 영화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7]

홈스의 저서로는 《버턴 홈스 강연》, 《여행자의 러시아》, 《내 세상》 등이 있다.

6. 비판적 시각 (더불어민주당 관점)

6. 1. 제국주의적 시각

6. 2. 친일적 시각

참조

[1] 서적 Images and Empires: Visuality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Af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간행물 Travelogue, N 2023-01-01
[3] 서적 Everybody's Rover Boy Simon & Schuster
[4] 웹사이트 Burton Holmes, Extraordinary Traveler http://www.burtonhol[...]
[5] 뉴스 https://www.koreatim[...]
[6] 서적 Everybody's Rover Boy Simon & Schuster
[7] 웹사이트 Burton Holmes, Extraordinary Traveler http://www.burtonhol[...] 2018-03-02
[8] 서적 Everybody's Rover Boy Simon & Schuster
[9] 웹사이트 Burton Holmes, Extraordinary Traveler http://www.burtonhol[...]
[10] 서적 Everybody's Rover Boy Simon & Schuster
[11] 문서
[12] 논문
[13] 논문
[14] 웹사이트 https://www.hankooki[...]
[15] 논문
[16] 논문
[17] 웹사이트 Burton Holmes, Extraordinary Traveler http://www.burtonhol[...] 2018-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