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잃어버린 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잃어버린 혜성은 궤도 변화, 휘발성 물질 고갈, 혜성 분해 등의 이유로 관측되지 않아 '잃어버린' 상태로 분류되는 혜성을 의미한다. 혜성은 목성 등 행성의 섭동, 제트의 영향으로 궤도가 변동되어 관측이 어려워지거나, 혜성 핵이 소행성과 유사한 사혜성으로 변하기도 하며, 궤도를 도는 동안 분해되기도 한다. 잃어버린 혜성은 혜성 명명법에 따라 식별자 "D"를 붙이며, 과거에 잃어버렸다가 재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잃어버린 혜성 - 비엘라 혜성
    비엘라 혜성은 6.6년 주기의 단주기 혜성으로, 두 개의 핵으로 분리 후 붕괴되었으며, 잔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로 관측되고 과거 광에테르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 잃어버린 혜성 - 브로르선 혜성
    브로르선 혜성은 1846년 테오도르 브로르센에 의해 발견된 5.5년의 궤도 주기를 가진 단주기 혜성이다.
  • 혜성 - 핼리 혜성
    핼리 혜성은 약 7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 혜성으로, 기원전 240년경 최초 관측 이후 뉴턴의 법칙으로 주기성이 예측되었고, 1910년과 1986년에 근접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핵이 태양 접근 시 코마와 꼬리를 형성한다.
  • 혜성 - 비엘라 혜성
    비엘라 혜성은 6.6년 주기의 단주기 혜성으로, 두 개의 핵으로 분리 후 붕괴되었으며, 잔해는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로 관측되고 과거 광에테르 이론 연구에 기여했다.
잃어버린 혜성
실종 혜성
유형혜성
비고다음 근일점 통과 시에 관측되지 않음
지정 시스템혜성 지정 시스템

2. 혜성이 "잃어버리는" 이유

1879년 이후 잃어버린 상태인 브로르선 혜성.


혜성이 "잃어버린" 상태로 간주되는 주된 이유는 목성 등 행성과의 섭동으로 궤도가 변하거나, 휘발성 물질이 고갈되어 어두워지거나, 궤도를 도는 도중 분해되기 때문이다.

2. 1. 궤도 변화

목성과 같은 행성과의 섭동으로 인해 혜성의 궤도가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 혜성은 제트 등 중력 이외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근일점 통과일이 크게 변화한다. 극단적인 경우 지구에서 너무 멀어져 보이지 않거나, 렉셀 혜성처럼 태양계 바깥으로 튕겨져 나가기도 한다. 일부 혜성에서 밝기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관측되는데, 매우 어두운 혜성이 밝기가 급증하며 관측이 잠시 동안 가능해졌다가 이후 잃어버린 상태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2. 2. 휘발성 물질 고갈

혜성에 있는 휘발성 물질이 모두 날아가면, 혜성의 핵은 사혜성이라고 부르는, 소행성과 유사한 작고 어두운 돌덩어리로 변할 수 있다.[9] 19세기 말 사라진 브로르선 혜성이 이러한 방식으로 잃어버린 것이라는 이론이 제기되어 있다.[10]

2. 3. 혜성 분해

허블 우주망원경이 2006년 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의 B 조각이 분해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


혜성은 궤도를 도는 도중 분해되기도 한다. 비엘라 혜성은 1852년 두 조각으로 나뉘는 모습이 관측된 후 사라진 대표적인 사례이다. 현대에는 슈바스만-바흐만 3 혜성이 분해되는 모습이 관측되었다.[9]

3. 잃어버린 혜성의 재발견

혜성은 제트 분출 등으로 인해 궤도가 변할 수 있어, 잃어버린 혜성을 재발견하는 것은 다른 천체보다 더 어렵다. 궤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를 이전에 기록된 위치와 비교하여 잃어버린 천체를 재발견할 수 있다. 177P/바너드 혜성은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가 1889년에 발견한 후 116년 만인 2006년에 재발견되었다.[11][4]


  • 보에틴 혜성(85P/Boethin): 1975년 필리핀의 천문학자 레오 보에틴이 발견했다. 1986년에는 8등급까지 도달했지만, 그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2008년 예정되었던 EPOXI 계획의 탐사는 중단되었다.
  • 버나드-보아티니 혜성(206P/Barnard-Boattini): 1892년 에드워드 에머슨 버나드가 발견했으며, 공전 주기는 약 6.5년으로 계산되었다. 2008년 안드레아 보아티니가 재발견했으나, 2009년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SOHO 혜성 (321P/SOHO): 2008년 SOHO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가 발견했다. C/2001 D1, C/2004 X7, C/1997 J6 혜성과 동일 천체로 확인되었다.

4. 장주기 혜성

수천 년 이상 태양계 안쪽으로 돌아오지 않거나, 아예 태양계 바깥으로 나가는 혜성은 잃어버렸다고 보지 않는다. 최근에는 장비 발전으로 혜성 관측 가능 기간이 늘어났다. 헤일-밥 혜성은 1997년 접근 후 18개월 동안 육안 관측이 가능했고,[12] 2022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으로 46.2 AU 거리에서 관측되었다.[13]

5. 혜성 명명법

혜성 명명법에서는 부서지거나 사라진 혜성에 식별자 "D"를 붙인다.[8] 혜성이 다음 출현 시기에 천문학자들에게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혜성 궤도는 목성과 같은 거대 행성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섭동될 수 있다. 이는 비중력적 힘과 함께 근일점 날짜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행성이 혜성과 상호 작용하여 궤도를 지구에서 너무 멀리 이동시켜 관측할 수 없게 되거나, 심지어 렉셀 혜성의 경우처럼 태양계 밖으로 쫓아낼 수도 있다. 일부 혜성은 주기적으로 밝기에서 "폭발" 또는 플레어를 겪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희미한 혜성이 폭발 중에 발견된 후 이후에 사라질 수 있다.

혜성은 휘발성 물질이 고갈될 수도 있다. 결국 혜성 핵에 포함된 대부분의 휘발성 물질이 증발해 버리고, 혜성은 작고 어두우며 비활성적인 암석 덩어리 또는 파편,[2] 즉, 소멸 혜성이 되어 소행성과 유사해질 수 있다 ''( 혜성 § 혜성의 운명 참조)''. 이는 마스덴이 19세기 후반에 "사라진 것"으로 추정했던 5D/브로르센의 경우에 발생했을 수 있다.[3]

혜성은 경우에 따라 근일점 통과 중이나 궤도상의 다른 지점에서 붕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예는 비엘라 혜성으로, 1852년 출현 이후 사라지기 전에 두 부분으로 갈라지는 것이 관측되었다. 현대에는 73P/슈바스만-바흐만이 붕괴되는 과정이 관측되었다.

6. 잃어버린 혜성 목록

잃어버린 혜성은 일반적으로 주기적으로 관측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발견되거나 조각으로 부서지기도 한다. 이러한 조각들은 때때로 추가 관측이 가능하지만, 혜성이 다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지는 않는다. 드문 경우지만, 1994년 슈메이커-레비 9 혜성처럼 다른 천체와 충돌해 사라지기도 한다.

이름최초 발견일공전 주기 (년)최종 관측일재관측일최후
D/1770 L1 (렉셀)17705.61779년 목성과 근접했을 때 섭동을 받아 태양계 바깥으로 튕겨나간 것으로 보며, 소행성 (529688) 2010 JL33이 렉셀 혜성의 잔해로 추정된다.
3D/비엘라17726.618521846년 두 조각으로 갈라졌으며, 이후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를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27P/크로멜린181827.9187319281930년 크로멜린 혜성을 세 명이 다시 발견하였다.
289P/블랑팡18195.220031819년 이후 밝기가 낮아 관측되지 않았다. 2003년 소행성으로 발견되었으며, 2013년 근일점 관측 결과 궤도를 35번 돈 혜성이었음이 밝혀졌다. 1956년부터 관측되어 온 봉황자리 유성우의 근원 천체라고 추정하고 있다.
273P/퐁스-강바르182718020121917년 계산했던 공전 주기 64±10년이 사실 잘못된 것이었으며, 185년 후인 2012년 궤도 한 바퀴를 돈 후 관측되었다. 과거 1110년 중국에서 관측한 기록도 남아 있다.
54P/데 비코-스위프트-NEAT18447.319652002목성의 섭동으로 인해 여러 번 잃어버렸다.
122P/데 비코184674.41995첫 근일점 통과일인 1921년에 보이지 않았지만, 최초 발견 149년 후이자 궤도 완주 2회차인 1995년 다시 관측되었다.
5D/브로르선18465.51879궤도 계산의 정밀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1879년 이후 관측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80P/페테르스-하틀리18468.11982잃어버린 지 136년, 궤도 완주 17회차인 1982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이후에는 계속 관측되고 있다.
20D/베스트팔185261.919131976년 근일점 통과 예상일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음 근일점 통과 예정일은 2038년이다.
109P/스위프트–터틀1862133.31992잃어버린 지 130년 후인 1971년 브라이언 마스덴이 재관측하였으며, 기원전 68년과 기원후 188년의 중국 관측 기록, 1737년의 유럽 관측 기록과 궤도가 일치한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근원 천체이다.
55P/템펠–터틀186533.21965잃어버린 지 99년, 궤도 완주 3회차인 1965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1366년과 1699년의 관측 계획도 있다. 사자자리 유성우의 근원 천체이다.
11P/템펠–스위프트–LINEAR18696.419082001잃어버린 지 93년, 궤도 완주 15회차인 2001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2008년에는 태양과의 으로 인해 관측하지 못했으나 2014년 예측대로 다시 돌아왔다.
72P/덴닝-후지카와18819.019782014잃어버린 지 97년, 궤도 완주 11회차인 1978년 재관측했으나, 다시 잃어버렸다가, 궤도를 4번 더 돈 후인 2014년 다시 발견되었다.
15P/핀레이18866.5192619531952년 이후로 계속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117P/바너드1889118.82006잃어버린 지 117년, 궤도 완주 1회차인 2006년 다시 관측되었다.[11]
206P/버나드-보아티니18925.82008잃어버린 지 116년, 궤도 완주 20회차인 2008년 다시 발견되었으나, 2014년부터 다시 관측되지 않았다.
17P/홈스18926.9190619641964년부터 지속적인 관측이 이루어지며, 2007년에는 대규모 물질 방출 사건이 있었다.
205P/자코비니 (D/1896 R2)18966.72008잃어버린 지 112년, 궤도 완주 17회차인 2008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2015년에 관측하였을 때에는 파편 세 개가 보였다.
18D/퍼라인-무르코스18966.75190919551909년 잃어버린 후 1955년 다시 발견되었으나, 1968년부터 다시 잃어버렸다.
113P/스피테일러18907.11993잃어버린 지 103년, 궤도 완주 15회차인 1993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1994년 근일점 통과 이후부터는 계속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97P/메트칼프-브루윙턴190610.51991잃어버린 지 84년, 궤도 완주 11회차인 1991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1993년 목성에 접근하며 공전 주기가 늘어났다.
69P/테일러19156.951976잃어버린 지 61년, 궤도 완주 6회차인 1976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1977년 근일점 통과 이후로 계속 관측된다.
25D/뇌이민19165.41927두 차례만 관측되었으며, 1927년 이후로 잃어버린 상태이다.
34D/게일192711.01938두 차례만 관측되었으며, 1938년 이후로 잃어버린 상태이다.
73P/슈바스만-바흐만19305.419791995년 4조각, 2006년에 수십 조각으로 갈라지며 허큘리스자리 타우 유성우를 형성하였다.
57P/뒤 투아-뇌이민-델포트19416.41970잃어버린 지 29년, 궤도 완주 5회차인 1970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1983년 이후로는 계속 관측된다.
107P/윌슨-해링턴19494.3199230년 간 잃어버린 상태였다. 1979년 화성 횡단 소행성으로 발견되었으며, 1992년에 발견 이전에 촬영된 사진이 있는지 조사하는 과정에서 잃어버린 혜성임이 확인되었다.
271P/반 후텐-레먼196618.520121960년 사진 건판 비교를 통해 발견하였으며, 궤도를 3번 돈 후인 2012년 재발견되었다.
85D/보틴197511.21986두 번밖에 관측되지 않았으며, 1997년과 2008년에 보이지 않은 후 2017년 공식적으로 잃어버린 혜성으로 강등되었다.[14]
75D/코후테크19756.61988세 번밖에 관측되지 않았으며, 1988년부터 잃어버린 상태이다.
157P/트라이톤19786.42003잃어버린 지 25년, 궤도 완주 4회차인 2003년 다시 관측되었으며, 이후에는 계속 관측되고 있다.
83D/러셀19796.11985두 번밖에 관측되지 않았으며, 1985년부터 잃어버린 상태로, 이는 1988년 목성과 접근하였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7. 과거에 잃어버렸다가 재발견된 혜성

이름최초 발견일공전 주기 (년)최종 관측일재관측일최후
11P/템펠-스위프트-LINEAR18696.41908200193년 만에 재관측됨. 2008년에는 태양과의 으로 관측 불가, 2014년 예측대로 귀환.
17P/홈스18926.9190619641964년부터 지속 관측, 2007년 대규모 물질 방출.
54P/데 비코-스위프트-NEAT18447.31894, 19652002목성의 섭동으로 여러 번 잃어버림.
80P/페테르스-하틀리18468.11982136년 만에 재관측, 이후 계속 관측.
15P/핀레이18866.5192619531952년 이후 계속 관측.
72P/덴닝-후지카와18819.01978201497년 만에 재관측, 이후 다시 잃어버렸다가 4번의 공전 주기 후 재발견.
97P/메트칼프-브루윙턴190610.5199184년 만에 재관측, 1993년 목성 접근으로 공전 주기 증가.
107P/윌슨-해링턴19494.3199230년간 잃어버림. 1979년 화성 횡단 소행성으로 발견, 1992년 이전 사진 조사 중 혜성으로 확인.
109P/스위프트–터틀1862133.31992130년 후 브라이언 마스덴이 재관측. 기원전 68년, 기원후 188년 중국, 1737년 유럽 관측 기록과 일치.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근원.
113P/스피테일러18907.11993103년 만에 재관측, 1994년 근일점 통과 이후 계속 관측.
117P/바너드1889118.82006117년 만에 재관측.[11]
122P/데 비코184674.419951921년 근일점 통과 때 미관측, 149년 후 재관측.
69P/테일러19156.95197661년 만에 재관측, 1977년 근일점 통과 이후 계속 관측.
55P/템펠–터틀186533.2196599년 만에 재관측, 1366년, 1699년 관측 기록 존재. 사자자리 유성우 근원.
57P/뒤 투아-뇌이민-델포트19416.4197029년 만에 재관측, 1983년 이후 계속 관측.
273P/퐁스-강바르182718020121917년 계산된 공전 주기(64±10년) 오류, 185년 후 재관측. 1110년 중국 관측 기록 존재.
271P/반 후텐-레먼196618.520121960년 사진 건판 비교로 발견, 3번의 공전 주기 후 재발견.
206P/버나드-보아티니18925.82008116년 만에 재발견, 2014년부터 다시 관측 불가.
205P/자코비니 (D/1896 R2)18966.72008112년 만에 재관측, 2015년 관측 시 파편 3개 확인.
157P/트라이톤19786.4200325년 만에 재관측, 이후 계속 관측.
289P/블랑팡18195.220031819년 이후 밝기 감소로 미관측. 2003년 소행성으로 발견, 2013년 근일점 관측 결과 35번 공전한 혜성으로 확인. 봉황자리 유성우 근원 추정.


8. 최근 관측되지 않는 혜성

일반적으로 혜성은 주기적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분해되거나 다른 천체와 충돌하여 사라지기도 한다. 다음은 최근 회귀에서 관측되지 않은 혜성 목록이다.

이름최초 발견일공전 주기 (년)최종 관측일비고
D/1770 L1 (렉셀)17705.61779년 목성과 근접했을 때 섭동을 받아 태양계 바깥으로 튕겨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소행성 (529688) 2010 JL33이 렉셀 혜성의 잔해로 추정된다.
3D/비엘라17726.618521846년 두 조각으로 갈라졌으며, 이후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를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5D/브로르선18465.51879궤도 계산의 정밀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1879년 이후 관측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20D/베스트팔185261.919131976년 근일점 통과 예상일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음 근일점 통과 예정일은 2038년이다.
25D/뇌이민19165.41927두 차례만 관측되었으며, 1927년 이후로 잃어버린 상태이다.
34D/게일192711.01938두 차례만 관측되었으며, 1938년 이후로 잃어버린 상태이다.
85D/보틴197511.21986두 번밖에 관측되지 않았으며, 1997년과 2008년에 보이지 않은 후 2017년 공식적으로 잃어버린 혜성으로 강등되었다.[14]
75D/코후테크19756.61988세 번밖에 관측되지 않았으며, 1988년부터 잃어버린 상태이다.
83D/러셀19796.11985두 번밖에 관측되지 않았으며, 1985년부터 잃어버린 상태로, 이는 1988년 목성과 접근하였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분열 후 1852년에 묘사된 두 개로 나뉜 비엘라 혜성. 이탈리아 천문학자 안젤로 세키에 의해 그려졌다.


1846년의 회귀에서 핵이 두 개로 분열되었고, 1852년의 회귀에서도 두 개의 핵이 모두 관측되었다. 그러나 1865년의 회귀에서는 관측에 유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관측되지 않았고, 이후 계속 관측되지 않고 있다.

  • '''브로르센 혜성(5D/Brorsen)'''


1846년에 발견된 공전 주기 약 5.5년의 혜성이다. 목성의 중력 섭동으로 궤도가 변화하여 주기가 감소, 1873년과 1879년에 관측되었다. 1879년에는 지구에 접근하여 4개월이나 관측할 수 있었지만,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페린-므르코스 혜성(18D/Perrine-Mrkos)'''


1896년에 발견되었으며, 1909년의 회귀에서 관측되었다. 1955년에 하세가와 이치로의 회귀 예측을 바탕으로 안토닌 므르코스가 우연히 재발견했다. 1962년과 1968년에는 확인되었지만, 1975년 이후 7번의 회귀에서 실종되었다.

  • '''베스트팔 혜성(20D/Westphal)'''


1852년에 발견된 공전 주기 약 61년의 핼리형 혜성이다. 1913년의 회귀에서는 관측되었지만, 1976년의 회귀에서는 실종되었다.

  • '''네우이민 제2 혜성(25D/Neujmin)'''


1916년에 발견되어 1927년에 유니온 천문대 등에서 관측되었으나, 이후 실종되었다. 1970년에 고지마 노부히사가 네우이민 제2 혜성으로 보이는 혜성을 발견했지만, 고지마 혜성으로 명명되었다.

  • '''게일 혜성(34D/Gale)'''


1927년에 발견되어 1938년에 회귀가 확인되었으나, 1949년 이후 7번의 회귀에서 실종되었다.

  • '''코호우텍 혜성(75D/Kohoutek)'''


1975년에 발견되어 1980년에 18등급으로 관측되었다. 1987년에는 지구에 최접근하여 13등급까지 밝아졌지만, 이후 5번의 회귀에서 관측되지 않았다.

  • '''러셀 제1 혜성(83D/Russell)'''


1979년에 발견되어 1985년에 한 번 회귀했지만,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2006년에는 비교적 관측 가능한 상태였음에도 관측되지 않았다.

  • '''헬펜츠리더 혜성(D/1766 G1, Helfenzrieder)'''


1766년에 발견된 겉보기 등급 4, 5등급의 육안으로 보이는 혜성이었다. 궤도는 처음에는 포물선 궤도로 생각되었지만, 1821년에 공전 주기 약 5년의 단주기 혜성으로 제창되었다.

  • '''렉셀 혜성(D/1770 L1, Lexell)'''


1770년에 발견되어 같은 해 7월 1일에 지구에 0.0146 au까지 접근, 겉보기 등급은 -2등급으로 시리우스보다 밝아졌다. 안데르스 렉셀에 의해 주기 5.6년으로 계산되었지만, 1776년의 회귀에서는 관측되지 않았다. 목성에 접근하여 중력 섭동을 받아 궤도가 크게 변했다.

  • '''바너드 제1 혜성(D/1884 O1, Barnard)'''


1884년에 발견되어 8월 중순에 8 ~ 8.5등급, 9월 중순에는 8등급을 넘었지만,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브룩스 제1 혜성(D/1886 K1, Brooks)'''


1886년에 발견된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데닝 혜성(D/1894 F1, Denning)'''


1894년에 발견된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스위프트 혜성(D/1895 Q1, Swift)'''


1895년에 발견된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1967년 마리너 4호가 유성군에 조우한 것은 스위프트 혜성의 파편 때문이라고 추정되지만, 정식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 '''쇼르 혜성(D/1918 W1, Schorr)'''


1918년에 발견된 어두운 혜성으로,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해링턴-윌슨 혜성(D/1952 B1, Harrington-Wilson)'''


1952년에 발견되었지만,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스키프-고사이 혜성(D/1977 C1, Skiff-Kosai)'''


1986년에 발견되었지만, 1977년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 '''하네다-캄포스 혜성(D/1978 R1, Haneda-Campos)'''


1978년에 발견되었지만, 이후 관측되지 않고 있다.

1993년에 발견되어 목성에 접근, 조석력에 의해 21개의 핵으로 분열되었다. 이들 핵은 1994년 7월 16일부터 22일 사이에 목성에 충돌하여 소멸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ometary Designation System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5-06-17
[2] 간행물 If comets melt, why do they seem to last for long periods of time? Scientific American 1998-11-16
[3] 웹사이트 5D/Brorsen http://cometography.[...]
[4] 웹사이트 Comet Barnard 2 on Aug 4, 2006 http://www.ne.jp/asa[...] Stellar Scenes 2006-09-01
[5] 논문 The Visual Light Curve Of C/1995 O1 (Hale–Bopp) From Discovery To Late 1997 2004
[6] 간행물 MPEC 2022-S20 : Observations and Orbits of Comets and A/ Objects https://minorplanetc[...] 2022-09-18
[7] 간행물 MPC 104935 https://www.minorpla[...]
[8] 웹인용 Cometary Designation System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5-06-17
[9] 간행물 If comets melt, why do they seem to last for long periods of time? Scientific American 1998-11-16
[10] 웹사이트 5D/Brorsen http://cometography.[...]
[11] 웹인용 Comet Barnard 2 on Aug 4, 2006 http://www.ne.jp/asa[...] Stellar Scenes 2006-09-01
[12] 저널 The Visual Light Curve Of C/1995 O1 (Hale–Bopp) From Discovery To Late 1997 2004
[13] 간행물 MPEC 2022-S20 : Observations and Orbits of Comets and A/ Objects https://minorplanetc[...] 2022-09-18
[14] 간행물 MPC 104935 https://www.minorp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