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임칙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칙서는 청나라 시대의 관료로, 아편 무역을 근절하려는 노력으로 유명하다. 1785년 푸젠성에서 태어난 그는 1811년 진사 시험에 합격하여 한림원에 들어갔으며, 여러 지방관을 역임하며 행정 능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호광총독 시절 아편 근절에 힘썼으며, 1838년 아편 금수를 위한 흠차대신에 임명되어 광저우에서 아편 몰수 및 폐기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행동은 아편전쟁의 발발 원인이 되었으나, 그는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서구에 대한 조사와 고찰을 통해 러시아의 위협을 간파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운귀총독 - 시린기오로 오르타이
    시린기오로 오르타이는 만주 양람기 출신 청나라 관리로서 옹정제의 측근이자 건륭제의 고명대신이었으며, 여러 지역의 총독을 역임하며 묘족 저항 진압과 개토귀류 정책 시행으로 지역 안정에 기여하고 병부 상서와 군기대신을 거쳐 황허 치수를 지휘, 건륭제 치세 보좌, 장정옥과의 권력 다툼 패배 후 몰락, 사후 시호 '문단'을 받았으나 파벌주의 조장으로 현량사 봉안이 철회되었다.
  • 청나라의 섬감총독 - 좌종당
    좌종당은 청나라 말 군인이자 정치가로, 태평천국의 난, 둥간 혁명, 신장 수복 등 주요 사건에서 활약하며 신장 지역의 야쿱 벡의 난을 진압하고 신장성 설치를 건의하여 국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 청나라의 섬감총독 - 보르지기트 키샨
    보르지기트 키샨은 청나라 시대의 관료로, 형부 원외랑, 양강 총독, 쓰촨 총독, 즈리 총독 등을 역임했으며, 린쩌쉬를 대신하여 영국과 평화 협상을 진행했으나 파면된 후 관직에 복귀하여 태평천국의 난을 진압하다 사망했다.
임칙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린쩌쉬의 1850년 그림
린쩌쉬의 1850년 그림
이름린쩌쉬
한자 표기林則徐
로마자 표기Lin Zexu
원푸 (元撫)
시호문충 (文忠)
출생1785년 8월 30일
출생지청나라 푸젠성 호우관현 (현재의 푸저우시 구러우구)
사망1850년 11월 22일
사망지청나라 광둥성 푸닝현
직업철학자, 정치인
학력진사 학위
참전제1차 아편 전쟁
가족 관계선바오전 (사위)
관직
양광총독시작: 1840년 1월 21일
종료: 1840년 10월 3일
전임: 덩팅전
후임: 기샨
섬감총독 대리시작: 1845년
전임: 부얀타이
후임: 양이증 대리
윈구이총독시작: 1847년 4월 30일
종료: 1849년 9월 10일
전임: 리싱위안
후임: 청위자이
호광총독시작: 1837년 2월
종료: 1838년 12월
전임: 눌이경액
후임: 저우톈쥐에
흠차대신 (태평천국 진압 담당)시작: 1850년
종료: 1850년 11월 22일
흠차대신 (아편 금수 담당)시작: 1838년
종료: 1840년
강소순무시작: 1832년
종료: 1837년
하도총독시작: 1831년
종료: 1832년

2. 가계

임칙서는 아버지가 임빈일(林賓日)이고, 딸은 임보청(林普晴), 사위는 심보정이다.

2. 1. 가족 구성원

관계이름
아버지임빈일(林賓日)
본인임칙서
임보청(林普晴)
사위심보정


3. 생애와 배경

1843년에 그려진 임칙서의 초상화


임칙서는 청나라 건륭제 재위 말년, 푸젠성 푸저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임빈일(林賓日)은 청나라 관리였으며, 임칙서는 둘째 아들이었다. 그는 어릴 적부터 총명하여[14] 학문에 매진, 1811년 진사(進士) 시험에 합격하여 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갔다.[15]

뛰어난 학문적 능력으로 널리 인정받은 임칙서는 여러 지방 관직을 거치며 빠르게 승진했다. 그는 중국 개방에는 반대했지만, 외국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을 느껴 세계 지리 자료를 수집했다. 서양 지식에 대한 관심은 서양의 지배에 저항하면서도 외국의 영향을 인정하는 그의 실용적인 견해를 반영했다. 그는 이 자료를 위원(魏源)에게 주었고, 위원은 1843년 『해국도지(海國圖志)』를 출판했다.

1837년 호남성(湖南省)과 후베이성(湖北省)의 총독이 된 임칙서는 아편 무역 탄압 운동을 시작했다.[15]

3. 1. 관리 생활

임칙서는 1811년 과거에 합격하여 진사가 된 후 베이징의 한림원(翰林院)에 들어갔다. 그는 한림원에서 많은 행정 자료를 읽으며 연구에 힘썼다. 이후 여러 지방관을 역임하면서 농촌 재건, 치수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부정한 관리들을 처벌하는 등 뛰어난 행정 능력을 발휘했다. 이러한 지방 행정관으로서의 경험은 훗날 그가 아편 근절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1837년 호광총독 (현재의 후베이성후난성을 합친 지역의 최고 책임자)이 되었을 때, 관내에서 아편 근절에 큰 실적을 올렸다.

3. 2. 아편 문제

1837년 호광총독(현재의 후베이성, 후난성을 합친 지방 장관)이 된 임칙서는 관내 아편 근절에 힘을 쏟아, 황작자의 「아편엄금론」에 동참하는 글을 올렸다.[15] 도광제는 그의 실적과 주장을 높이 평가하여 1838년 아편 수입을 막는 흠차대신으로 임명했다.

당시 청나라는 영국의 아편 밀수로 인해 이 유출되어 국가 재정이 악화되고 있었다. 임칙서는 흠차대신으로서 광저우에 파견되어 아편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임칙서는 1839년 빅토리아 여왕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아편 무역의 부도덕함을 비판하고 중단을 촉구했다.[2] 그는 중국이 차, 도자기, 비단 등 이로운 상품을 제공하는 반면, 영국은 "독약"인 아편을 보내 중국인을 해친다고 주장했다. 또한 영국이 자국에서는 아편을 금지하면서 중국에 아편을 판매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 편지는 전달되지 못했고, 후에 런던 타임스에 영국 대중에게 보내는 호소문으로 재인쇄되었다.

임칙서와 도광제는 광저우의 외국 상인들이 단순하고 순진하여 도덕 원칙에 따를 것이라고 믿었지만, 국제 무역의 변화와 영국 정부의 자국 상인 보호 의지를 간과했다.

3. 2. 1. 광저우 파견

1838년 도광제호광총독으로 있으면서 아편 근절에 대한 실적과 정책 제안을 높이 평가하여 임칙서를 아편 수입을 막는 흠차대신으로 임명했다.[15] 당시 중국은 영국의 아편 밀수로 인해 이 유출되어 국가 재정이 악화되고 있었다. 임칙서는 흠차대신으로 광저우에 파견되어 아편 밀수를 근절하고 국가 재정을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1839년 3월, 임칙서는 아편 무역을 근절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능력과 높은 도덕적 기준으로 유명한 강력한 관료였으며, 도광제로부터 영국인들의 불법 아편 수입을 중단하라는 황제의 명령을 받았다.[2] 그는 몇 달 만에 변화를 가져왔다.[2] 1,700명이 넘는 중국 아편상들을 체포하고 7만 개가 넘는 아편 파이프를 압수하였다. 그는 처음에 외국 회사들로 하여금 차와 교환하여 아편을 몰수하도록 하려고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하였다. 임칙서는 서양 상인들의 거류지에서 무력을 사용하였다. 한 달 반 후, 상인들은 거의 1200000kg의 아편을 포기하였다. 1839년 6월 3일부터 500명의 노동자들이 23일 동안 아편을 석회와 소금과 섞어 후먼(虎門) 진 바깥 바다에 버리는 작업을 하였다. 임칙서는 바다의 신들에게 그들의 영역을 오염시킨 것에 대해 사과하는 애가를 지었다.

아편 폐기를 감독하는 임칙서


임칙서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을 통해 아편 무역의 부도덕함을 비판하고 중단을 촉구했다.[2] 그는 중국이 차, 도자기, 비단 등 이로운 상품을 제공하는 반면, 영국은 "독약"인 아편을 보내 중국인을 해친다고 주장했다. 또한, 영국이 자국에서는 아편을 금지하면서 중국에 아편을 판매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임칙서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국과의 무역 갈등은 심화되었고, 결국 아편전쟁으로 이어졌다.

3. 2. 2. 아편 폐기

1839년 임칙서는 광저우에서 영국 상인들로부터 몰수한 아편을 대량으로 폐기하였다. 몰수한 아편에 석회를 묻혀 바다에 폐기했는데, 아편은 석회와 소금을 만나면 화학 반응을 일으켜 못쓰게 되기 때문이다. 虎門銷煙|호문소연중국어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은 아편 전쟁의 발발 원인이 되었다.

임칙서는 1839년 3월, 아편 무역 근절 조치의 일환으로 1,700명이 넘는 중국 아편상들을 체포하고 7만 개가 넘는 아편 파이프를 압수하였다. 서양 상인들의 거류지에 무력을 사용하여 한 달 반 만에, 상인들로부터 거의 1200000kg의 아편을 넘겨받았다. 1839년 6월 3일부터 23일 동안 500명의 노동자들이 아편을 석회 및 소금과 섞어 후먼(虎門) 진 바깥 바다에 버리는 작업을 하였다.[25] [26]

3. 2. 3. 영국과의 외교 분쟁

1839년 도광제(道光帝)의 칙령에 따라, 임칙서는 아편 무역을 근절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2] 그는 능력 있고 도덕적인 관료로 명성이 높았으며, 황제로부터 영국 상인들의 불법 아편 수입을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2] 임칙서는 1,700명이 넘는 중국 아편상을 체포하고 7만 개가 넘는 아편 파이프를 압수하는 등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외국 회사들이 아편을 차와 교환하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하자, 결국 서양 상인들의 거류지에 무력을 사용했다. 한 달 반 만에 상인들은 거의 1200000kg의 아편을 넘겨주었고, 임칙서는 1839년 6월 3일부터 23일 동안 500명의 노동자를 동원하여 후먼(虎門) 진 앞바다에 아편을 폐기했다.[2]

임칙서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아편 무역 중단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을 보냈지만, 답장을 받지 못했다.[2] 그는 중국이 차, 도자기, 비단 등 귀중한 상품을 영국에 제공하는 반면, 영국은 "독약"인 아편을 보낸다고 비난하며, 외국 상인들의 탐욕과 도덕성 결여를 질타했다.

임칙서와 도광제는 광저우의 외국 상인들이 단순하고 순진하여 도덕 원칙에 따를 것이라고 믿었지만, 국제 무역의 변화와 영국 정부의 자국 상인 보호 의지를 간과했다.

결국 임칙서의 강경 정책은 영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빚었고, 1839년 양국 간의 무역이 전면 금지되면서 아편전쟁이 발발했다. 청나라 군대는 동인도회사의 증기선 전함 ''네메시스''를 포함한 영국 해군 함대에 패배했다.

영국 동양함대는 광둥이 아닌 베이징에서 가까운 톈진에 출몰하였고, 청나라 지도부는 임칙서를 해임하고 영국에 저자세로 대처하였다. 임칙서의 후임 기선(琦善)은 영국에 굴욕적인 난징 조약을 맺게 된다.[15]

3. 2. 4. 러시아의 위협 확인

1840년 흠차대신에서 해임된 임칙서는 신장으로 좌천되었지만, 그곳에서 남하하는 러시아 제국의 위협을 실제로 살필 수 있었다.[15] 그는 진사 후학들에게 "장래 청나라의 최대 위협은 영국보다 러시아일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15] 이는 훗날 좌종당 등이 새방파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15]

임칙서는 신장에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 현지의 실정에 접하고, 이후 섬감총독(陝甘總督)에 취임하여 현지를 떠날 때까지 3년간 현지에서 러시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여 『아로스국기요(俄羅斯國紀要)』를 저술했다.[23] 임칙서는 영국과 러시아 양국에 접한 경험을 바탕으로, 영국보다 러시아가 청(清)의 국방상 더 큰 위협이 된다고 인식하고, 이러한 생각을 교류가 있는 요인들에게 전달했다.[23] 그의 사위인 심보정(沈葆楨)은 이러한 생각을 계승했으며, 1849년 임칙서가 운귀총독(雲貴總督)을 사임한 후, 복건성으로 귀향하는 도중 장사에서 좌종당의 방문을 받고 회담했을 때 러시아에 관한 수집 자료를 제공했다.[23] 그들을 비롯하여 국방상의 중점을 대러시아 정책에 두는 지도자들은 “새방파(塞防派)”라고 불리게 된다.[23] (실제로 이리는 1871년 7월 러시아에 점령되었다.)

4. 서구에 대한 조사 및 고찰

임칙서는 광저우에서 아편 문제에 대응하면서, 영어에 능통한 인물들을 참모로 두고, 광주의료전도회의 미국인 의사 피터 파커의 협력을 얻어 영자 신문과 서구의 지리, 국제법, 무기 등에 관한 문헌을 번역하고 수집하여 연구하였다.[16][17] 이를 통해 외국 상인 입항과 무역 자체를 금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인식에 이르렀고, 영국 측이 청나라의 서구 사정에 대한 무지를 이용하려 할 때도 틈을 주지 않았다.[18][19]

4. 1. 위원(魏源)과의 협력

임칙서는 광동에서 아편 척결 임무를 맡으면서 영어에 능통한 인물들을 참모로 두고, 미국인 의사 피터 파커의 협력을 얻어 서구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16][17] 흠차대신에서 해임된 후, 임칙서는 신강(新疆) 이리(伊犁)로 가는 도중 양주(揚州)에서 친구인 위원에게 자신이 수집한 서구 번역 문헌 등을 맡겼다.[20][21] 위원은 이 자료를 바탕으로 해국도지(海國圖志)를 저술하였다.[22][21] 해국도지(海國圖志)는 일본에도 전해져 막말 유식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22][21]

5. 러시아에 대한 고찰

1840년 아편 전쟁에서 패배한 후, 임칙서는 신장으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 현지 상황을 직접 경험하면서 러시아의 위협을 인식하게 되었다.[3] 임칙서는 신장 유배 기간 동안 러시아에 대한 고찰을 담은 『아로스국기요(俄羅斯國紀要)』를 저술했다.[23]

임칙서는 신장에 있는 동안, 중국 학자로서는 처음으로 그곳의 여러 이슬람 문화 양상을 기록했다. 1850년 한 시에서 일리의 이슬람교도들이 우상을 숭배하지 않고 소와 말의 꼬리가 달린 장대(pole)로 장식된 무덤에 절을 하고 기도한다고 적었다. 이는 널리 퍼진 샤머니즘적 관행인 투그(tugh)를 세우는 것이었지만, 이는 중국 문헌에 처음으로 등장한 기록이었다. 그는 또한 카자흐어(Kazakh language) 구전 이야기 여러 편을 기록했는데, 그중 하나는 호수의 푸른 염소 영혼에 관한 이야기로, 그 영혼의 출현은 우박이나 비의 전조였다.[4]

5. 1. 새방파(塞防派) 형성

1840년 흠차대신에서 해임된 임칙서는 신장으로 좌천되어 그곳에서 운귀 총독을 지냈다. 그러나 임칙서는 여기서 선정을 펴서 주민으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임칙서에게 있어서도 이곳에서 남하하는 러시아 제국의 위협을 실제로 살필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었으며, 진사 후학들에게 "장래 청나라의 최대 위협은 영국보다 러시아일 것이다"라는 말을 남겼다.[23]

임칙서는 영국과 러시아 양국에 접한 경험을 바탕으로, 영국보다 러시아가 청나라의 국방상 더 큰 위협이 된다고 인식하고, 이러한 생각을 교류가 있는 요인들에게 전달했다.[23] 그의 삼녀의 남편인 심보정은 이러한 생각을 계승했으며, 1849년 임칙서가 운귀총독을 사임한 후, 복건성으로 귀향하는 도중 장사에서 좌종당의 방문을 받고 회담했을 때 러시아에 관한 수집 자료를 제공했다.[23] 이들을 비롯하여 국방상의 중점을 대러시아 정책에 두는 지도자들은 "새방파"라고 불리게 된다.[23]

6. 평가

임칙서는 외세에 맞서 싸운 민족 영웅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청렴함과 애국심은 오늘날까지도 귀감이 되고 있다.

임칙서는 항상 청렴결백하여 사사로운 일을 돌보지 않고, 좌천되어도 항상 국가를 생각하는 모습으로 후세 사람들에게 깊이 존경받고 있다.[15] 그는 1811년 (가경 16년) 27세에 과거에 합격하여 진사가 된 후, 한림원에서 행정 자료를 연구하고 지방관을 역임하며 농촌 재건, 치수 문제 해결, 부정한 관리 파면 등 뛰어난 행정 능력을 보여주었다.[15] 1837년(도광 17년) 호광총독 시절 아편 근절에 실적을 올리고 황학자의 "아편 엄금론"에 동의하여 상소한 것이 도광제의 인정을 받아 1838년 아편 금수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었다.[15]

1839년 (도광 19년) 광둥에 도착한 임칙서는 영국 상인들의 아편을 몰수하였다.[15] 그러나 이 사건으로 인해 아편 전쟁이 발발했고, 청나라 상층부는 베이징 근처 톈진에 나타난 영국 함대에 굴복하여 임칙서를 해임했다.[15] 후임 기선(琦善)(Qishan)은 영국에 굽신거린 결과, 남경조약을 맺게 되었다.[15]

무장아(穆彰阿)(Muzhang'a)에 의해 해임된 임칙서는 신장 이리로 좌천되었으나,[15] 토지 개혁을 실시하고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에게 존경받았다. 그는 러시아 제국의 위협을 직접 목격하고 "미래 청나라의 최대 위협은 영국이 아니라 러시아"라고 예견하여, 훗날 좌종당 등의 쇄방파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1849년(도광 29년) 은퇴 후 태평천국 운동 토벌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었으나, 부임지로 가던 중 푸닝에서 병사했다.[15] 그의 사위는 양광총독 겸 남양대신 등을 역임한 심보정(沈葆楨)(Shen Baozhen)이다.

임칙서는 다음과 같은 대련(對聯)을 남겼다.

이 대련의 전반부는 중국어 위키백과(Chinese Wikipedia)의 모토로 채택되었다.

6. 1. 긍정적 평가

임칙서는 호문(虎門)의 아편 소각 사건을 주도하여 외세의 침략에 신음하던 중화민족의 기개를 드높인 정치가로 유명하다. 그는 외세에 항거하는 조직을 결성하여 아편 반대 운동을 펼쳤으며, 선진 문물과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였다. 낡은 중화사상에서 벗어나 "세계로 시야를 넓힐 것"을 외친 선구적인 지식인으로 평가받는다.[27]

2004년 복주(福州)의 임칙서(林則徐) 기념관


미국 뉴욕시 차이나타운(Chinatown, Manhattan) 채텀 스퀘어(Chatham Square)에 있는 임칙서 동상


아편전쟁의 원인 제공자로 비난받기도 했으나, 청나라 말기 아편 생산 및 무역 근절 노력이 재개되면서 명예가 회복되었다. 그는 아편과의 싸움의 상징이 되었고, 그의 초상화는 행렬에 등장했으며, 저술은 아편 반대 및 마약 반대 개혁가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당시 중국과 영국 사이의 적대감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중국학자 허버트 자일스(Herbert Giles)는 임칙서를 칭찬하며 존경했다. "그는 훌륭한 학자이자 정의롭고 자비로운 관리였으며, 진정한 애국자였다."

복주의 역사적인 삼방칠향(三坊七巷, Sanfang-Qixiang) 지역에 위치한 임칙서의 옛 집은 일반에 공개되어 있다. 내부에는 아편 무역을 포함한 그의 관료로서의 업무, 농업 방식 개선, 물 절약(복주의 서호(西湖)가 논으로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한 노력 포함), 부정부패 척결 운동 등이 기록되어 있다.

중국에서 임칙서는 일반적으로 민족 영웅으로 여겨진다. 임칙서가 아편 상자를 압수한 날인 6월 3일은 대만(Taiwan)에서 비공식적으로 아편 억압 운동 기념일(Opium Suppression Movement Day)로 기념되며, 6월 26일은 그의 업적을 기념하여 국제 마약 남용 및 불법 거래 반대의 날(International Day against Drug Abuse and Illicit Trafficking)로 지정되어 있다.

전 세계 중국인 사회에는 임칙서를 기리는 기념물이 세워져 있다.[6][7] 미국 뉴욕시 차이나타운(Chinatown, Manhattan) 채텀 스퀘어(Chatham Square)에는 그의 동상이 있다. 동상 받침대에는 영어와 중국어로 "마약과의 전쟁에서 선구자"라고 적혀 있다.[8][9]

6. 2. 비판적 평가

임칙서는 청나라 관료 사회의 부패와 뇌물 수수 관행을 근절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광동의 상인들로부터 뇌물을 받던 많은 관료들의 원망을 샀다. 임칙서가 흠차대신에 취임하자마자 직례(허베이성) 재개발 계획을 상소한 것도, 당시 출세 코스였던 직례총독 경험자들로부터 "자신들의 직례에서의 일 처리를 태만하다고 비방했다"는 원망을 사는 원인이 되었다.[27]

7.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임빈일(林賓日)
본인임칙서(林則徐)
장남임여주
임보청(林普晴)
사위심보정(沈葆楨)
삼녀임보청(林普晴)


  • 장남 임여주에 관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 더 자세히 나와있어 간략하게 작성하였다.
  • 삼녀 임보청은 사위 심보정과 중복되므로 표에서 한번만 언급한다.

7. 1. 자녀

장남 임여주(1814년 ~ 1861년)는 1838년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다. 동기에는 증국번이 있다.[15]

8. 임칙서의 인장

임칙서(林則徐)의 인장. 「林少穆珍蔵印」이라고 새겨져 있다.


1833년 조지침(趙之琛)이 제작한 임칙서(林則徐)의 인장(인보에 기재)이 2007년 일본에서 발견되었다.[24]

9. 임칙서를 연기한 배우


  • 시가와 사루노스케 (2대) - 아편전쟁(1943년 일본, 감독: 마키노 마사히로)
  • 조단 - 아편전쟁(1959년 중국, 감독: 정군리, 섬범)
  • 바오궈안 - 아편전쟁(1997년 중국, 감독: 셰진)

참조

[1] 웹사이트 China Provinces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http://www.worldstat[...]
[2] 서적 Lin Wen-chung kung cheng-shu
[3] 서적 Imperial Twilight Penguin Random House 2018-05-15
[4] 논문 The Chinese Literary Conquest of Xinjiang
[5] 문서 On the progress of war, and Lin Zexu's role
[6] 웹사이트 Lin Zexu Memorial http://www.chinacult[...]
[7] 웹사이트 Lin Zexu Memorial Museum | Ola Macau Travel Guide http://www.olamacaug[...]
[8] 뉴스 Chinatown's Fujianese Get a Statu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97-11-20
[9] 웹사이트 Kimlau Square Monuments - Lin Ze Xu : NYC Parks http://www.nycgovpar[...]
[10] 웹사이트 Long, strange trip: ''River of Smoke'' finds globalization's roots in the Opium Wars http://www.pastemaga[...]
[11] 웹사이트 The Opium War https://variety.com/[...] 2024-06-18
[12] 서적 The Sino-Japanese War of 1894-1895: Perception, Power, and Prim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13] 문서 Roughly 2.5 kilometres. A ren (仞) is equivalent to 8 chi (尺), and during the Qing dynasty, a chi was roughly 32 cm.
[14] 웹사이트 福州市林则徐出生地 http://www.fujian.go[...]
[15] 웹사이트 【09-009】阿片戦争と林則徐 http://www.spc.jst.g[...] 科学技術振興機構 2018-06-03
[16] 서적 実録アヘン戦争
[17] 서적 中国の歴史(七)
[18] 서적 実録アヘン戦争
[19] 서적 中国の歴史(七)
[20] 서적 実録アヘン戦争
[21] 서적 中国の歴史(七)
[22] 서적 実録アヘン戦争
[23] 서적 中国の歴史(七)
[24] 웹사이트 Five S Corporation,Inc http://www.sssss.jp/[...]
[25] 서적 인류의 운명을 바꾼 역사의 순간들(영웅편) 시그마북스 2010
[26] 서적 인류의 운명을 바꾼 역사의 순간들(영웅편) 시그마북스 2010
[27] 서적 중국역사 오류사전 이룸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