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린기오로 오르타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린기오로 오르타이는 만주 양람기 출신으로, 옹정제가 신임했던 측근이자 건륭제를 보좌한 인물이다. 그는 운귀총독을 역임하며 묘족 등 원주민의 저항을 진압하고 청나라의 통치를 강화했으며, '개토귀류' 정책을 추진하여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했다. 옹정제 사후에는 장정옥과 함께 고명대신으로 활동했으나, 건륭제 치세에 장정옥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추종자들이 숙청당하고 현량사에서 이름이 삭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운귀총독 - 임칙서
    임칙서는 청나라 후기의 관리이자 학자로, 아편전쟁 당시 아편 밀수 근절을 위해 노력했으며, 흠차대신으로 아편을 폐기하는 강경책을 펼쳤고, 서구 문물 연구에도 기여하여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 시린기오로 할라 - 시린 교로 하라
    시린 교로 하라는 청나라 황족, 고위 관료, 시인, 황제의 후궁, 친왕비 등을 포함하는 인물 집단이다.
시린기오로 오르타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만주어ortai
한자鄂爾泰
중국어 병음È'ěrtài
한자음西林覺羅 鄂尔泰
씨족명시린기오로
이안(毅庵)
시린(西林)
시호문단(文端)
관직
주요 관직대학사
군기대신
운귀총독
봉작삼등 향친백(三等鄉勤伯, Third Class Count Xiangqin)
생애
출생1680년 3월
사망1745년 4월
소속청나라
기적만주 양람기
출신시린기오로
부친오바이(鄂拜)
형제오르키(Orki)
자녀오용고(Oyonggo), 오닝(Oning), 오시(Oši)
조카오창(Ocang)
학력거인 (1699년)
경력
주요 활동운귀총독 (1726년 ~ 1727년)
운귀광서총독 (1728년 ~ 1731년)
보화전대학사 (1732년 ~ 1745년)
군기대신 (1733년 ~ 1745년)
참전묘족 반란 (1735–1736)
기타 정보
사후 업적태묘에 제향됨

2. 생애

만주 양람기(鑲藍旗) 시린 교로 할아 출신으로 운남, 귀주, 광서 3개 성의 총독(운귀총독)을 역임했으며, 전문경, 이위와 함께 옹정제가 가장 신뢰한 측근이었다.

옹정제 사후 장정옥과 함께 고명대신이 되었다. 장정옥과 함께 건륭제를 보좌하며 옹정제의 정책들을 폐기하는 데 앞장섰다.

2. 1. 가문 및 초기 생애

오르타이는 만주 양람기 시린 교로 할아(irgen gioro hala/ᡳᡵᡤᡝᠨ

ᡤᡳᠣᡵᠣ

ᡥᠠᠯᠠmnc) 출신으로, 명문가에서 태어났다.[5] 초기에는 구왈기야 씨족 출신의 여성과 결혼했으나 사별하고, 이후 예부 대신 마이주의 딸과 재혼했다.[5] 당시 귀족 남성들의 일부다처제 관습에도 불구하고 첩을 들이지 않았으며, 슬하에 두 딸과 여섯 아들을 두었다. 그의 아들들 중 오닝()은 운구(雲貴) 총독을 역임했다.[6] 오용안()은 1749년 향친(鄕親)의 칭호를 받고 백작이 되었으나, 1755년 준가르인과의 전투에서 전사하여 열렬사(烈士祠)에 추존되었다.[2] 막내 아들 오시(鄂實) 역시 1758년 야르칸드 인근 전투에서 사망한 후 열렬사에 추존되었다.[2]

2. 2. 관직 생활

오르타이는 젊은 시절부터 청렴하다는 평판을 얻어 빠르게 승진했다.[8] 1699년, 거인이 되었고, 1703년까지 가문의 기병대 대장으로 승진했다.[2] 같은 해, 정3품의 상서원 호위대장으로 승진했다.[2] 1716년에는 황실의 부국장으로 승진했다.[2]

옹정제가 1722년에 즉위한 후, 오르타이는 운남성 문관 시험의 시험관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강소성의 재정 위원으로 활동했다.[2] 1724년 장쑤성 부총독, 1725년 운남성과 구이저우성의 임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2. 3. 운귀총독 시기

오르타이는 운귀총독으로 재임하면서 묘족 등 원주민의 저항을 진압하고 청나라의 통치를 강화하는 데 주력했다.[2][10] 1726년 구이저우 광산, 1727년 창자이, 1728년 동촨 등에서 일어난 저항을 진압했다.[2] 1727년 쓰촨 총독을 도와 우먼과 정샹의 반란을 처리하고, 이 영토를 윈난에 흡수시켰다.[2] 1727년부터 1728년까지 윈난성 남서부 췌리 지역의 저항을 진압하고 푸얼 현으로 재편성했다.[2]

그는 '개토귀류(改土歸流)' 정책을 추진하여 토사를 제국 관료로 교체하고,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강화했다.[2][11] 초기에는 강경책을 폈으나, 이후 유화책과 강경책을 병행하며 지역 지도자들을 포섭하고 저항 세력을 진압했다.[2]

이러한 공로로 여러 훈장과 품계 승진을 받았다. 1727년 '치두위', '칭처두위' 1등, 1728년 광시 총독, 1729년 남작 3등, 주니어 가디언으로 승진했다.[2] 윈난의 소금 및 구리 채광 산업 개혁을 통해 제국의 세수를 증대시켰다.[2]

2. 4. 중앙 정부 복귀

운귀총독에서 물러난 후, 오르타이는 베이징의 중앙 정부에서 군기대신, 병부상서 등 여러 요직을 역임했다.[2] 1732년 9월부터 1733년까지 산시성과 간쑤성의 군사 업무와 준가르 원정을 위한 물자 수송을 감독했다.[2] 1733년, 옹정제에게 준가르와 평화를 맺을 것을 건의했다.[2]

1735년, 자작으로 승진했다.[2] 같은 해, 장정옥과 세 명의 왕자와 함께 구이저우성 타이궁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세습 작위에서 강등되기도 했다.[2][15]

건륭제 치하에서 남작 3등의 최고 지위에 올랐다.[2] 1738년부터 1745년 사망할 때까지 황허 치수(1739)를 지휘하고 여러 공식 간행물을 감독하는 등 중요한 직책을 수행했다.[2] 1745년, 임종 시 건륭제는 오르타이에게 "태부"라는 칭호를 추가로 하사했다.[2]

2. 5. 사망과 사후

시린기오로 오르타이는 1745년 병으로 사망했다. 건륭제는 그에게 '태부(太傅)'라는 칭호를 하사하고, 시호 '문단(文端)'을 내렸다.[2] 오르타이는 태묘(太廟)와 현량사(賢良祠)에 봉안되었으나, 현량사 봉안은 이후 파벌주의를 조장했다는 이유로 철회되었다.[2]

3. 옹정제와의 관계

오르타이는 옹정제의 최측근이자 조언자로, 옹정제 치세 동안 제국 내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만주족이었다.[8]

두 사람은 오르타이가 황실 호위병으로 근무하던 시절, 옹정제가 아직 황태자였을 때 만났을 것으로 추정된다.[4] 18세기 시인 원매에 따르면, 오르타이는 당시 황태자로부터 받은 명령을 거부하며, 자신은 황제를 섬길 뿐 그의 아들을 섬기는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이는 황태자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는 이후 인사에 오르타이를 염두에 두었다.[4]

옹정제는 오르타이의 강직함과 충성심을 높이 평가했으며, 개인적인 친분과 신뢰를 바탕으로 그에게 더 큰 권한을 부여했다.[16] 이러한 우정은 정기적인 선물과 심지어 결혼으로 굳건해졌다. 황제의 형제 이친왕이 오르타이의 사촌과 약혼했을 때, 황제는 총독에게 그들의 가문이 결합하게 되어 기쁘다는 내용의 편지를 썼다.[17]

옹정제는 임종 시 오르타이를 황실 종묘에 배향하라고 명했다.[2]

4. 장정옥과의 경쟁

장정옥은 오르타이와 마찬가지로 옹정제의 측근이자 고문이었으며, 비슷한 수준의 권력을 누렸다.[2] 두 사람은 옹정제의 가장 가까운 고문이었으며, 옹정제가 죽을 때도 함께 있었다.[3] 옹정제는 두 고문을 아들 건륭제 시대의 과도기 동안 고문으로 임명했고, 건륭제는 그들을 계속 등용했다.[18]

건륭제 통치 초기에 오르타이와 장정옥, 그리고 그들의 정치적 추종자들은 권력 투쟁에 휘말렸다.[2] 이 파벌은 민족적 요소가 있었다. 오르타이의 파벌은 만주족이었고, 장정옥의 파벌은 일반적으로 한족이었다. 건륭제는 "만주족은 모두 오르타이에게 의존하고, 한족은 모두 장정옥에게 의존한다"라고 불만을 표시하며 우려했다.[19]

1743년, 황제는 오르타이가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의 부정부패를 은폐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분노한 황제는 오르타이에게 경고했다. "과거에 너를 등용했고 지금 용서하지만, 이것이 미래에 너를 엄하게 처벌하지 않겠다는 보장은 아니다!"[19]

1755년, 오르타이가 죽은 지 10년 후, 건륭제는 오르타이의 추종자 호중조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2] 호중조는 반만주 시를 쓰고 황제를 존경하지 않았다는 혐의를 받았다.[2] 장정옥과 그의 파벌과의 싸움은 그의 저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2] 호중조는 처형되었고, 그의 친구이자 오르타이의 조카인 어창은 "만주족에게 불리한" 시를 썼다는 이유로 자살을 강요받았다.[2] 오르타이의 이름은 파벌주의를 조장한 벌로 현량사(賢良祠)에서 삭제되었다.[2]

5.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錫林覺羅)鄂爾泰" https://newarchive.i[...]
[2] 서적 Eminent Chinese of the Qing Period Berkshire Publishing Group
[3] 서적 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 Pearson Education
[4]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5] 웹사이트 "(喜塔臘)邁柱 " https://newarchive.i[...]
[6] 웹사이트 "(西林覺羅)鄂寧" https://newarchive.i[...]
[7] 웹사이트 "(西林覺羅)鄂容安" https://newarchive.i[...]
[8] 서적 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 Pearson Education
[9]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0]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1]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2]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3] 서적 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 Pearson Education
[14]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5] 서적 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 Pearson Education
[16]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7] 서적 Qing Governors and Their Provinces: The Evolution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in China, 1644-1796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8] 서적 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 Pearson Education
[19] 서적 Emperor Qianlong: Son of Heaven, Man of the World Pearson Educ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