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전자 레이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 전자 레이저는 전자를 가속하여 생성된 빛을 증폭하는 레이저의 일종이다. 가속기를 통해 자유 전자를 상대론적 속도로 가속하고, 언듈레이터라는 장치를 통과시키면서 싱크로트론 방사광을 발생시켜 레이저 발진을 유도한다. 진공 자외선 및 X선 영역에서는 자기 증폭 자연 방출(SASE) 방식을 사용하여 파장을 제어하며, X선 자유 전자 레이저(XFEL)가 대표적이다. 자유 전자 레이저는 생의학 연구, 군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파장 조절의 용이성으로 인해 폭넓은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속물리학 - 충돌기
충돌기는 입자 물리학에서 입자 빔을 가속하여 충돌시켜 고에너지 상태를 만들고 새로운 입자를 생성하거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장치로, CERN의 LHC가 현재 세계 최고 에너지 콜라이더이다. - 가속물리학 - 베타트론
베타트론은 전자기 유도 법칙을 이용하여 도넛 모양의 진공 파이프 내에서 전자를 가속하는 장치로, 초기 입자 물리학 실험과 암 치료 등에 활용되었으나 에너지 제한으로 현재는 차세대 가속기로 대체되고 있다. - 전자빔 - 전자빔 리소그래피
전자빔 리소그래피는 전자빔을 사용하여 기판에 미세 패턴을 만드는 반도체 제조 기술로, 고해상도 구현이 가능하지만 느린 속도, 샷 노이즈, 근접 효과, 대전 등의 문제로 대량 생산에는 부적합하며 주로 소량 생산이나 마스크 제작에 사용되고, 처리량 향상을 위한 다중 전자빔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 전자빔 - 저에너지 전자 회절
저에너지 전자 회절(LEED)은 저에너지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조사하여 발생하는 회절 패턴을 분석하여 표면의 원자 구조를 연구하는 표면 과학 기법으로, 표면에 민감하여 표면층의 원자 배열, 재구성, 흡착물의 구조 등을 밝히는 데 사용된다. - 의학 기기 - 혈압계
혈압계는 혈관 내 혈액 압력인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로, 수동식은 청진기로 코로트코프 음을 듣고 혈압을 측정하며 자동식은 진동측정법으로 자동 측정하고, 기술 발전으로 자동 혈압계가 널리 사용된다. - 의학 기기 - 공기 이온화 장치
공기 이온화 장치는 공기 중 미립자 제거 및 정전기 중화에 사용되는 장치로, 공기청정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오존 발생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CARB)의 규제를 받는다.
자유 전자 레이저 | |
---|---|
개요 | |
![]() | |
유형 | 레이저 |
작동 파장 | 자유롭게 조정 가능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파에서 X선 범위) |
이득 매질 | 진공 속 전자빔 |
작동 원리 | |
기본 원리 | 상대론적 전자빔이 자기장(일반적으로 언듈레이터 또는 위글러)을 통과할 때 방사되는 싱크로트론 광의 간섭을 이용한다. 전자빔의 에너지를 광자 에너지로 변환하여 빛을 증폭시킨다. |
구성 요소 | |
전자총 | 전자빔을 생성한다. |
선형 가속기 (Linac) | 전자를 상대론적 속도까지 가속시킨다. |
언듈레이터/위글러 | 주기적인 자기장을 형성하여 전자가 횡방향으로 진동하도록 만든다. |
광학 공진기 (일부 FEL) | 빛을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
특징 | |
파장 가변성 | 넓은 범위의 파장을 생성할 수 있다. |
높은 출력 | 높은 피크 전력과 평균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
짧은 펄스 지속 시간 | 펨토초 단위의 짧은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
높은 빔 품질 | 높은 밝기와 빔 방향성을 가진다. |
응용 분야 | |
과학 연구 | 물질 과학 생물학 화학 |
산업 | 재료 가공 의료 이미징 |
역사 | |
최초 제안 | 1950년대 한스 모츠에 의해 제안됨 |
최초 작동 | 1977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최초 작동 성공 |
X선 FEL 개발 | 2000년대 이후 X선 영역의 FEL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 |
참고 | |
관련 용어 | 싱크로트론 광 언듈레이터 위글러 선형 가속기 |
관련 연구 시설 | 자유 전자 레이저 시설 (FELIX) 유럽 X선 자유 전자 레이저 (European XFEL) LCLS (Linac Coherent Light Source) |
2. 원리
자유 전자 레이저(FEL)는 전자총을 사용하여 전자 빔을 생성한다. 이 빔은 광전류 주입기라는 장치에서 거의 광속에 가깝게 가속된 후, 입자 가속기에 의해 더 높은 에너지로 가속된다. 가속된 전자는 언듈레이터라는 주기적인 배열의 쌍극자 자석을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정현파 경로를 따라 움직이며 광자를 방출한다.
방출된 광자는 처음에는 단색이지만 비간섭적이다. 그러나 언듈레이터 양 끝의 거울로 구성된 광학 공진기나 외부 여기 레이저를 통해 방사선이 정상파를 형성하게 된다. 이 방사선과 전자 빔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전자는 '마이크로 번치'로 뭉쳐지고, 위상이 일치하는 방사선을 방출하여 간섭적으로 합쳐진다. 이 과정을 통해 방사선 강도가 증폭된다.
진공 자외선이나 X선 영역에서는 높은 반사율을 가진 거울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자기 증폭 자연 방출(SASE)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SASE는 방출된 빛이 전자 빔보다 약간 빠르게 진행하면서 전자 빔을 가감속시켜 밀도 분포를 만들고, 특정 빛 에너지만 증폭시키는 방식이다.[49]
방출되는 방사선의 파장은 전자 빔의 에너지를 조절하거나, 언듈레이터의 자기장 세기를 조정하여 쉽게 조절할 수 있다.
2. 1. 전자빔 생성 및 가속
전자총에서 생성된 전자 빔은 광음극에 짧은 레이저 펄스를 조사하여 생성되며, 광전류 주입기라는 장치에서 거의 광속에 가깝게 가속된다. 이후 빔은 일반적으로 선형 입자 가속기인 입자 가속기에 의해 설계된 에너지로 더 가속된다.[9]2. 2. 언듈레이터
가속된 전자 빔은 언듈레이터라는 특수한 장치를 통과한다. 언듈레이터는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쌍극자 자석 배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빔의 경로를 가로질러 좌우로 교차하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이 장치에서 전자는 횡방향으로 굽이치며 정현파 경로를 따라 움직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싱크로트론 방사광을 방출한다.[9]
2. 3. 광 증폭 및 간섭
언듈레이터에서 방출된 광자는 처음에는 단색이지만 비간섭적이다. 무작위로 분포된 전자에서 나오는 전자기파가 시간에 따라 건설적으로 또는 파괴적으로 간섭하기 때문이다.[9] 하지만, 언듈레이터 양 끝에 설치된 거울로 구성된 광학 공진기를 통하거나, 외부 여기 레이저를 통해 방사선이 정상파를 형성하게 된다.방사선이 충분히 강해지면, 횡방향 전기장과 정현파 위글링 운동으로 생성된 횡방향 전자 전류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일부 전자는 폰데로모티브 힘을 통해 광학장에 에너지를 얻고, 다른 전자는 에너지를 잃게 된다.
이러한 에너지 변조는 하나의 광학 파장의 주기를 갖는 전자 밀도(전류) 변조로 발전한다. 따라서 전자는 축을 따라 하나의 광학 파장만큼 떨어진 '마이크로 번치'로 뭉쳐진다. 언듈레이터만으로는 전자가 독립적으로(비간섭적으로) 방사하지만, 뭉쳐진 전자가 방출하는 방사선은 위상이 일치하며, 장은 간섭적으로 합쳐진다.[9]
방사선 강도가 증가하면서 전자의 마이크로번칭이 더욱 심화되고, 서로 위상이 일치하는 방사선을 계속 방출한다.[9] 이 과정은 전자가 완전히 마이크로번칭되고 방사선이 언듈레이터 방사선의 수십 배 더 높은 포화 전력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2. 4. 파장 조절
방출되는 방사선의 파장은 전자 빔의 에너지나 언듈레이터의 자기장 세기를 조정하여 쉽게 바꿀 수 있다.[9] 방사선의 파장()은 다음 식에 의해 결정된다.[10]:
여기서 는 언듈레이터 파장(자기장의 공간 주기), 는 상대론적 로렌츠 인자이며, 비례 상수는 언듈레이터 기하학에 따라 달라지며 1 정도이다.
이 공식은 로렌츠 수축과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라는 두 가지 상대론적 효과의 조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X선 FEL에서 1 cm의 일반적인 언듈레이터 파장은 ≈ 2000에 의해 1 nm의 X선 파장으로 변환된다. 즉, 전자는 0.9999998''c''의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위글러 강도 파라미터 K는 무차원수 매개변수로, 주기 길이와 굽힘 반경 사이의 관계로 언듈레이터의 세기를 정의한다.
:
여기서 는 굽힘 반경, 는 가해진 자기장, 는 전자 질량, 는 기본 전하이다.
실용적인 단위로 표현하면, 무차원 언듈레이터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
2. 5. 양자 효과
대부분의 경우, 자유 전자 레이저의 거동은 고전 전자기학 이론으로 충분히 설명된다.[11] 충분히 짧은 파장에서는 전자의 반동 및 샷 노이즈와 같은 양자 효과를 고려해야 할 수 있다.[12]3. 구성
자유 전자 레이저는 입자 가속기를 사용하여 전자를 가속시키고, 이 전자빔을 언듈레이터라는 장치에 통과시켜 빛을 발생시킨다. 이 과정에서 전자가 제대로 차폐되지 않으면 방사선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관련 차폐 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전자 빔은 진공 상태에서 유지되어야 하므로, 빔 경로를 따라 많은 진공 펌프가 사용된다.
자유 전자 레이저의 발진기는 전자를 가속하는 가속기와 언듈레이터, 그리고 광 공진기로 구성된다. 전자는 가속기를 통해 상대성이론적인 속도까지 가속된 후, 언듈레이터 내에서 주기적으로 배열된 자석에 의해 진로가 꺾이면서 싱크로트론 방사광을 발생시킨다. 이 빛은 광 공진기 내에서 전자 빔과 상호 작용하며 발진하여 레이저가 된다. 싱크로트론 방사광의 파장은 전자 빔과 자기 강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통해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장비는 부피가 크고 비싸지만, 매우 높은 피크 출력을 낼 수 있고 파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자유 전자 레이저는 화학, 생물학 분자의 구조 결정, 의료 진단, 비파괴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진공 자외선이나 X선 영역에서는 높은 반사율을 가진 거울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광 공진기 대신 자가 증폭 자발 방출(SASE)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3. 1. 적외선 및 테라헤르츠 FEL
2013년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프리츠 하버 연구소는 베를린에서 중적외선 및 테라헤르츠 자유 전자 레이저를 완성했다.[13][14]3. 2. X선 FEL (XFEL)
극자외선 및 X선 영역에서는 높은 반사율을 가진 거울을 제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광 공진기 없이 자가 증폭 자발 방출(SASE) 방식을 사용한다. SASE 방식은 방출된 빛이 전자 빔보다 약간 빠르게 진행하며 언듈레이터 내에서 상호 작용하여 전자 빔을 가감속시키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특정 빛 에너지만 증폭되어 자연 방출광보다 훨씬 강한 빛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XFEL은 매우 강렬한 X선 펄스를 생성하며, 이는 전례 없는 밝기를 제공하여 원자 및 분자 수준의 연구에 혁신적인 기여를 한다.[49]2014년 기준으로 SASE FEL 시설로는 미국의 SLAC의 LCLS, 일본의 SACLA가 가동 중이며, 유럽의 European XFEL[50], Swiss FEL[51] 등이 건설 중이었다.
3. 2. 1. 시딩 및 자체 시딩
SASE 자유 전자 레이저(FEL)는 시끄러운 시작 과정 때문에 시간적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FEL의 공진에 맞춰진 레이저로 "시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고차 조화파 생성(HHG)과 같이 광학 레이저 펄스를 사용하면 시간적으로 일관된 시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입력 신호의 일관된 증폭을 가져오며, 출력 레이저의 품질은 시드에 의해 결정된다. HHG 시드는 파장이 극자외선까지 가능하지만, 엑스선 레이저가 없기 때문에 X선 파장에서는 시딩이 불가능하다.2010년 말,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 싱크로트론 연구소에서는 시드된 FEL 광원인 FERMI@Elettra[18]의 시운전을 시작했다. FERMI@Elettra는 100nm (12eV)에서 10nm (124eV)까지의 파장 범위를 다루는 단일 통과 FEL 사용자 시설이다.
2001년, 브룩헤이븐 국립 연구소에서는 X선 파장까지 작동하는 "고이득 고조파 생성"이라는 시딩 기술을 개발했다.[19] 이 기술은 전자 묶음에 상대적인 방사선의 종방향 이동을 활용하여 빔 품질 저하를 피한다. 이러한 종방향 스테이징을 "프레시 번치"라고 한다.[20] 이 기술은 트리에스테 싱크로트론 연구소에서 X선 파장에서 시연되었다.[21][22]
파울 쉐러 연구소에서도 "프레시 슬라이스"라는 유사한 스테이징 방식을 X선 파장에서 시연했다. 프레시 슬라이스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짧은 X선 펄스가 묶음의 횡방향 기울기에 의해 전자 묶음의 새로운 부분으로 이동한다.[23]
2012년, LCLS의 과학자들은 다이아몬드 단색화 장치를 통해 필터링된 레이저를 자체 빔으로 사용하는 자체 시딩 방법을 통해 X선 파장의 시딩 제한에 대한 대안을 찾았다. 이 방법으로 생성된 빔은 강도와 단색성이 매우 뛰어나,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원자 조작 및 분자 이미징 실험을 가능하게 했다. 전 세계의 다른 연구실에서도 이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24][25]
4. 연구 및 활용
자유 전자 레이저(FEL)는 높은 출력과 파장 가변성을 지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활용되고 있다. 특히 생의학 분야와 군사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의학 분야에서는 X선 자유 전자 레이저가 싱크로트론 광원을 대체하여 단백질 결정학 및 세포 생물학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26] 또한, 특정 파장의 자유 전자 레이저를 이용하여 인접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연조직을 절제하는 수술 기술이 개발되었다.[34][35] 이는 뇌종양 절제 등 실제 수술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36] 더 나아가, 자유 전자 레이저는 피부 손상 없이 지방을 녹이는 기술에도 응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40]
군사 분야에서는 미 해군이 자유 전자 레이저 기술을 지향성 에너지 무기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42] 토마스 제퍼슨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는 이미 14kW 이상의 출력을 시연했으며,[42] 소형 멀티 메가와트급 FEL 무기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43]
4. 1. 생의학
자유 전자 레이저(FEL)는 높은 출력과 파장 가변성을 지녀 생의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및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4. 1. 1. 기초 연구
X선 자유 전자 레이저는 단백질 결정학 및 세포 생물학의 주요 도구였던 싱크로트론 광원을 대체하여 연구되고 있다.[26]극도로 밝고 빠른 X선은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이미지화할 수 있게 한다. 이 기술은 기존 기술로는 이미징할 수 없는 방식으로 쌓이지 않는 단백질, 즉 전체 단백질 수의 25%에 해당하는 단백질의 첫 번째 이미징을 가능하게 한다. 30 펨토초의 펄스 지속 시간으로 0.8nm의 해상도가 달성되었다. 선명한 이미지를 위해서는 0.1–0.3nm의 해상도가 필요하다. 짧은 펄스 지속 시간은 분자가 파괴되기 전에 X선 회절 패턴의 이미지를 기록할 수 있게 해준다.[27] 밝고 빠른 X선은 SLAC의 선형 가속기 코히어런트 광원(LCLS)에서 생성되었다. 2014년 기준으로 LCLS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X선 FEL이었다.[28]
유럽 XFEL과 같은 차세대 X선 FEL 소스의 반복률 증가로 인해 예상되는 회절 패턴 수도 상당한 양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9] 회절 패턴 수의 증가는 기존 분석 방법에 큰 부담을 줄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형적인 X선 FEL 실험에서 생성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정렬하는 여러 방법이 연구되었다.[30][31] 다양한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완전한 반복률로 단일 입자 X선 FEL 이미징을 위한 길을 열기 위해서는 다음 해상도 혁명을 달성하기 전에 여러 가지 과제를 극복해야 한다.[32][33]
4. 1. 2. 외과 수술
글렌 에드워즈와 밴더빌트 대학교의 자유 전자 레이저 센터 연구진은 1994년, 피부, 각막, 뇌 조직을 포함한 연조직이 6.45 마이크로미터 부근의 적외선 자유 전자 레이저 파장을 사용하여 인접 조직에 대한 부수적인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절개, 즉 절제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34][35] 이는 자유 전자 레이저를 사용한 최초의 인체 수술로 이어졌다. 1999년부터 코플랜드와 콘라드는 수막종 뇌종양을 절제하는 세 차례의 수술을 시행했다.[36] 2000년부터 조스와 몬은 시신경초 창문성형술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 시신경초에 창문을 내는 다섯 차례의 수술을 시행했다.[37] 이 8번의 수술은 표준 치료법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부수적인 손상이 최소화되는 추가적인 이점을 보였다. 의료용 자유 전자 레이저에 대한 검토는 튜너블 레이저 응용 분야의 제1판에 나와 있다.[38]4. 1. 3. 지방 제거
록스 앤더슨은 피부 손상 없이 지방을 녹이는 자유 전자 레이저의 의료 적용을 제안했다.[40] 적외선 파장에서 조직 내 물은 레이저에 의해 가열되지만, 915, 1210 및 1720 nm에 해당하는 파장에서는 표면 아래의 지질이 물보다 더 강하게 가열되었다. 이러한 선택적 광열 용해(빛을 사용하여 조직을 가열)의 가능한 응용 분야에는 여드름 치료를 위한 피지 지질의 선택적 파괴, 셀룰라이트 및 체지방과 관련된 기타 지질뿐만 아니라 동맥 경화증 및 심장병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동맥에 형성되는 지방 플라크를 표적으로 하는 것이 포함된다.[41]4. 2. 군사
자유 전자 레이저(FEL) 기술은 미 해군에서 대공전 및 대미사일 지향성 에너지 무기 후보로 평가받고 있다. 토마스 제퍼슨 국립 가속기 연구소의 FEL은 14kW 이상의 출력을 시연했다.[42] 소형 멀티 메가와트급 FEL 무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43] 2009년 6월 9일, 해군 연구소는 100kW 실험용 FEL 개발을 위해 레이시온(Raytheon)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44] 2010년 3월 18일, 보잉(Boeing) 지향성 에너지 시스템은 미 해군 사용을 위한 초기 설계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45] FEL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은 2018년까지 전체 출력 프로토타입 개발 예정으로 시연되었다.[46]5. FEL 상
자유 전자 레이저(FEL) 상은 자유 전자 레이저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국제 FEL 커뮤니티는 이 상을 통해 뛰어난 업적을 이룬 회원들을 인정하며, 수상자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FEL 컨퍼런스에서 발표된다.
5. 1. 수상자 목록
연도 | 수상자 |
---|---|
1988 | 존 메이디 |
1989 | 윌리엄 콜슨 |
1990 | 토드 스미스, 루이스 엘리아스 |
1991 | 필립 스프랭글, 니콜라이 비노쿠로프 |
1992 | 로버트 필립스 |
1993 | 로저 워렌 |
1994 | 알베르토 레니에리, 주세페 다톨리 |
1995 | 리처드 판텔, 조지 베케피 |
1996 | 찰스 브라우 |
1997 | 김광제 |
1998 | 존 왈시 |
1999 | 클라우디오 펠레그리니 |
2000 | 스티븐 V. 벤슨, 미네하라 에이스케, 조지 R. 닐 |
2001 | 미셸 빌라르동, 마리-엠마누엘 쿠프리, 장-미셸 오르테가 |
2002 | H. 앨런 슈웨트먼, 알렉산더 F.G. 반 데어 미어 |
2003 | 리-화 유 |
2004 | 블라디미르 리트비넨코, 하마 히로유키 |
2005 | 아브라함 (아비) 고버 |
2006 | 예브게니 살딘, 요르크 로스바흐 |
2007 | 일란 벤-즈비, 제임스 로젠스웨이그 |
2008 | 새뮤얼 크린스키 |
2009 | 데이비드 도웰, 폴 엠마 |
2010 | 스벤 라이체 |
2011 | 신타케 츠모루 |
2012 | 존 갤라이다 |
2013 | 루카 지안네시, 정영욱 |
2014 | 황즈롱, 윌리엄 파울리 |
2015 | 미하일 유르코프, 예브게니 슈네이드밀러 |
2017 | 브루스 칼스텐, 딘 응우옌, 리처드 셰필드 |
2019 | 엔리코 알라리아, 겐나디 스투파코프, 알렉스 럼킨 |
2022 | 브라이언 맥닐, 잉 우 |
2024 | 하라 토루, 타나카 히토시, 타나카 타카시 |
5. 2. 영 사이언티스트 FEL 상
영 사이언티스트 FEL 상(Young Scientist FEL Award)(또는 "영 인베스티게이터 FEL 프라이즈(Young Investigator FEL Prize)")은 FEL 컨퍼런스 시점 기준 만 37세 미만의 FEL 과학 및 기술 분야에 뛰어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이다.[47]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자 |
---|---|
2008년 | 미하엘 뢰르스(Michael Röhrs) |
2009년 | 파벨 에브투셴코(Pavel Evtushenko) |
2010년 | 기욤 람베르(Guillaume Lambert) |
2011년 | 마리 라바(Marie Labat) |
2012년 | 다니엘 F. 래트너(Daniel F. Ratner) |
2013년 | 다오 시앙(Dao Xiang) |
2014년 | 에릭 헴싱(Erik Hemsing) |
2015년 | 아고스티노 마리넬리(Agostino Marinelli), 하이샤오 덩(Haixiao Deng) |
2017년 | 에우제니오 페라리(Eugenio Ferrari), 엘레오노르 루셀(Eléonore Roussel) |
2019년 | 조 듀리스(Joe Duris), 차오 펑(Chao Feng) |
2022년 | 젠 장(Zhen Zhang), 지아웨이 얀(Jiawei Yan), 스비토자르 세르케즈(Svitozar Serkez) |
2024년 | 필립 디크스탈(Philipp Dijkstal) |
참조
[1]
논문
A simplified description of X-ray free-electron lasers
2011-03-01
[2]
논문
Review of x-ray free-electron laser theory
https://digital.libr[...]
[3]
서적
Tunable Lasers Handbook
Academic
[4]
웹사이트
New Era of Research Begins as World's First Hard X-ray Laser Achieves "First Light"
http://home.slac.sta[...]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2009-04-21
[5]
논문
The history of X-ray free-electron lasers
http://www.slac.stan[...]
2012
[6]
논문
Applications of the Radiation from Fast Electron Beams
[7]
논문
Experiments on Radiation by Fast Electron Beams
[8]
논문
First Operation of a Free-Electron Laser
Prl.aps.org
[9]
논문
X-ray free-electron lasers
https://digital.libr[...]
[10]
논문
Review of x-ray free-electron laser theory
[11]
논문
Classical stimulated emission
[12]
논문
AIP Conference Proceedings
[13]
논문
The new IR and THz FEL facility at the Fritz Haber Institute in Berlin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201
[14]
웹사이트
The FHI free-electron laser (FEL) facility
https://www.fhi.mpg.[...]
[15]
웹사이트
XFEL information webpages
http://xfelinfo.desy[...]
[16]
논문
High-speed protein crystallography
2018-11
[17]
웹사이트
World's most powerful X-ray laser now fires a million bursts per second
https://newatlas.com[...]
2022-05-11
[18]
웹사이트
FERMI HomePage
http://www.elettra.t[...]
Elettra.trieste.it
2013-10-24
[19]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High-Gain Harmonic-Generation Free-Electron Laser at Saturation
2001
[20]
논문
The "fresh-bunch" technique in FELS
https://digital.libr[...]
1992
[21]
간행물
Double Stage Seeded FEL with Fresh Bunch Injection Technique at FERMI@ELETTRA
Proceedings of IPAC2013
[22]
논문
Wavelength control in high-gain harmonic generation seeded free-electron lasers
2023
[23]
논문
Millijoule Femtosecond X-Ray Pulses from an Efficient Fresh-Slice Multistage Free-Electron Laser
https://www.dora.lib[...]
2024
[24]
논문
Demonstration of self-seeding in a hard-X-ray free-electron laser
[25]
웹사이트
"Self-seeding" promises to speed discoveries, add new scientific capabilities
https://news.slac.st[...]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2012-08-13
[26]
논문
Unique free electron laser laboratory opens in China
[27]
논문
Diffraction before destruction
2014-07-17
[28]
논문
Super-bright, fast X-ray free-electron lasers can now image single layer of proteins
http://www.kurzweila[...]
[29]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xfel.eu/[...]
[30]
논문
Sorting algorithms for single-particle imaging experiments at X-ray free-electron lasers
http://scripts.iucr.[...]
2015-11-01
[31]
논문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single-particle X-ray diffraction snapshots by spectral clustering
https://www.osapubli[...]
2011-08-15
[32]
논문
The Resolution Revolution
https://www.science.[...]
2014-03-28
[33]
논문
Megahertz single-particle imaging at the European XFEL
2020-05-29
[34]
논문
Tissue ablation by a free-electron laser tuned to the amide II band
[35]
웹사이트
Laser light from Free-Electron Laser used for first time in human surgery
http://www.vanderbil[...]
[36]
논문
Free-electron-laser-based biophysical and biomedical instrumentation
2003
[37]
서적
Ophthalmic Technologies XV
[38]
서적
Tunable Laser Applications, Second Edition
CRC Press
2010-12-12
[39]
논문
Efficiency and Plume Dynamics for Mid-IR Laser Ablation of Cornea
http://meetings.aps.[...]
2009-03-18
[40]
뉴스
BBC health
http://news.bbc.co.u[...]
2006-04-10
[41]
웹사이트
Dr Rox Anderson treatment
http://www.physorg.c[...]
[42]
웹사이트
Jefferson Lab FEL
http://www.jlab.org/[...]
[43]
논문
Airborne megawatt class free-electron laser for defense and security
https://www.osti.gov[...]
2005-03
[44]
웹사이트
Raytheon Awarded Contract for Office of Naval Research's Free Electron Laser Program
http://news.prnewswi[...]
[45]
웹사이트
Boeing Completes Preliminary Design of Free Electron Laser Weapon System
http://boeing.mediar[...]
[46]
뉴스
Breakthrough Laser Could Revolutionize Navy's Weaponry
http://www.foxnews.c[...]
Fox News
2011-01-20
[47]
웹사이트
2024 FEL prize nomination process
https://fel2024.org/[...]
2024-08-25
[48]
웹사이트
Free-Electron-Laser
https://www.onr.navy[...]
Office of Naval Research
[49]
웹사이트
自由電子レーザー装置 (08-01-03-15)
https://atomica.jaea[...]
ATOMICA
[50]
웹사이트
European XFEL
http://www.xfel.eu/
[51]
웹사이트
SwissFEL
http://www.psi.ch/sw[...]
[52]
논문
A simplified description of X-ray free-electron lasers
2011-03-01
[53]
논문
Review of x-ray free-electron laser theory
https://digital.libr[...]
[54]
서적
Tunable Lasers Handbook
Academic, New York
[55]
웹사이트
New Era of Research Begins as World's First Hard X-ray Laser Achieves "First Light"
http://home.slac.sta[...]
S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2009-04-21
[56]
논문
Applications of the Radiation from Fast Electron Beams
[57]
논문
Experiments on Radiation by Fast Electron Beams
[58]
논문
The history of X-ray free-electron lasers
http://www.slac.stan[...]
2012
[59]
논문
First Operation of a Free-Electron Laser
Prl.ap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