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눈귀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은눈귀상어는 귀상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머리가 망치 모양으로 넓게 확장된 것이 특징이다. 분류학적으로 오랜 혼란을 겪었으며, 황금색을 띠는 개체도 존재한다. 동부 대서양의 남아메리카 해역에 주로 서식하며, 얕은 연안의 진흙, 모래, 자갈 해저에 분포한다. 새우, 어류 등을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며, 인간에 의해 혼획되어 식용으로 판매된다. 개체 수 감소로 인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심각한 위기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상어과 - 홍살귀상어
홍살귀상어는 망치 모양 머리를 가진 귀상어과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무리를 지어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지만, 남획으로 인해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귀상어과 - 날개귀상어
날개귀상어는 머리 양쪽으로 날개처럼 넓게 뻗은 독특한 외형을 가진 귀상어과의 상어로, 시각과 후각 능력이 뛰어나 얕은 바다에서 다양한 해양 생물을 포식하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지만, 멸종 위기에 놓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 1822년 기재된 물고기 - 제브라피쉬
제브라피쉬는 남아시아 원산의 잉어과 민물고기로, 청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과학 연구의 모델 생물로 널리 사용될 뿐 아니라 관상어로서도 인기가 높다. - 1822년 기재된 물고기 - 뱀상어
뱀상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호랑이 무늬를 가진 흉상어목의 큰 상어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지만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다. - 흉상어목 - 별상어
별상어는 몸에 흰색 반점 무늬가 있는 상어로,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갑각류를 주로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식용으로 이용되면서 수은 축적 위험과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흉상어목 - 표범상어
표범상어는 몸에 표범과 유사한 반점 무늬가 있는 까치상어과의 어류로, 서북부 태평양 대륙붕 해저와 연안에 서식하며 멸치, 청어, 새우, 게, 오징어 등을 먹는 육식성 어류이고, 6월에서 8월 사이 산란기에 난태생으로 이듬해 봄에 새끼를 낳는다.
작은눈귀상어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Sphyrna tudes |
명명자 | 아킬레스 발렌시엔 (1822) |
일반명 | 스말아이 망치머리 |
다른 이름 | 황금 망치머리 |
분포 | 남아메리카 동부 연안 (베네수엘라에서 우루과이까지)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위기 |
CITES | 부록 II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연골어강 |
목 | 메지로자메목 |
과 | 귀상어과 |
속 | 귀상어속 |
크기 | |
전체 길이 | 1.2 ~ 1.3 미터 |
동의어 |
2. 분류 및 계통
작은눈귀상어는 독특한 외형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지만, 그 분류학적 위치와 학명은 오랜 혼란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남아 있다. 1822년 처음 학계에 보고된 이후, 표본 지정 문제와 해석의 차이로 인해 학명이 여러 차례 변경되는 과정을 겪었다. 또한 이 상어의 특징적인 황금색은 비교적 최근에야 과학적으로 기록되었으며, 유전학적 연구를 통해 귀상어과 내에서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가 밝혀지고 있다.
2. 1. 계통 발생
작은눈귀상어는 독특한 생김새로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상어지만, 그 분류 과정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이 상어의 학명은 1822년 프랑스 동물학자 아실 발랑시엔이 학술지 Memoires du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국립 자연사 박물관 회보프랑스어에 ''Zygaena tudes''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술하면서 시작되었다. 종소명 ''tudes''는 라틴어로 "망치"를 뜻한다. 발랑시엔은 프랑스 니스, 프랑스령 기아나의 카옌, 인도 코로만델 해안에서 얻은 세 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기술했다. 그러나 이후 약 100년 이상 동안 분류학자들은 발랑시엔이 기술한 ''Zygaena tudes''가 실제로는 귀상어(''Sphyrna mokarran'')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잘못 생각했다. 이 때문에 작은눈귀상어는 1944년 스튜어트 스프링거가 Journal of the Washington Academy of Sciences|워싱턴 과학 아카데미 저널영어에 새로 발표한 ''Sphyrna bigelowi''라는 다른 학명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950년, 이탈리아의 동물학자 엔리코 토르토네세는 발랑시엔이 언급했던 표본 중 남아있던 니스와 카옌 표본(코로만델 표본은 분실됨)을 다시 조사했다. 그는 이 표본들이 귀상어(''Sphyrna mokarran'')가 아니라 스프링거가 명명한 ''S. bigelowi''와 같은 종, 즉 작은눈귀상어라는 결론을 내렸다. 1967년 미국의 어류학자 카터 길버트 역시 귀상어 분류를 재검토하면서 토르토네세의 의견에 동의했다. 길버트는 분실된 코로만델 표본은 아마도 귀상어(''Sphyrna mokarran'')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발랑시엔의 원래 기술 내용은 작은눈귀상어에 더 부합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길버트는 가장 먼저 발표된 이름인 ''Sphyrna tudes''를 작은눈귀상어의 정식 학명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에 따라 ''S. bigelowi''는 동의어가 되었다. 귀상어(''Sphyrna mokarran'')는 그 다음으로 유효한 이름인 ''Sphyrna mokarran''이라는 학명을 갖게 되었다. 길버트는 학명의 혼란을 막기 위해 니스 표본을 선정 표본(lectotype)으로 지정했지만, 이는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일으켰다.
1981년, 프랑스 학자 장 카데나와 자크 블라슈는 길버트가 선정한 니스 표본을 다시 검토한 결과, 이것이 작은눈귀상어가 아니라 흰지느러미귀상어(''S. couardi'', 현재는 톱니귀상어 ''S. lewini''와 같은 종으로 여겨지기도 함)의 태아일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했다. 작은눈귀상어는 아메리카 대륙 연안에서만 발견되는데, 니스 표본의 산지가 유럽이라는 점도 이 주장을 뒷받침했다. 동물 명명 규약에 따르면, 만약 니스 표본이 기준이라면 ''Sphyrna tudes''는 흰지느러미귀상어의 학명이 되어야 하고, 작은눈귀상어는 다시 ''Sphyrna bigelowi''라는 이름을 써야 한다. 하지만 많은 분류학자들은 이미 널리 사용되던 학명을 다시 바꾸는 것을 꺼려하여 작은눈귀상어를 계속 ''S. tudes''라고 부르고 있다.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해결하려면 국제 동물 명명 위원회(ICZN)가 니스 표본의 선정 표본 지위를 무효로 하고, 대신 카옌 표본을 새로운 선정 표본으로 지정하는 결정을 내려야 하지만, 아직 관련 청원은 제출되지 않았다.[1]
작은눈귀상어의 독특한 황금색은 1985년부터 1986년까지 클렘슨 대학교의 호세 카스트로가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를 위해 수행한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과학계에 알려졌다. 이전까지 박물관 표본에서 보이는 노란색은 표본 제작 과정에서 색소가 보존액으로 빠져나가 생긴 인공적인 결과물로 여겨졌다. 하지만 카스트로의 연구로 살아있을 때의 황금색이 밝혀졌다. 트리니다드의 어부들은 이 상어를 "yellow hammerhead" 또는 "golden hammerhead"라고 불렀는데, 카스트로는 후자의 이름을 널리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 외에도 "curry shark"라는 이름도 있다.[1]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를 이용한 계통 발생 분석 결과, 작은눈귀상어는 귀상어과 내에서 비교적 최근에 분화된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눈귀상어와 가장 가까운 종은 국자머리귀상어(''Sphyrna media'')이며, 이 두 종은 톱니귀상어(''Sphyrna corona'')와 둥근머리귀상어(''Sphyrna tiburo'')가 이루는 자매 그룹과 함께 더 큰 분기군을 형성한다. 이는 머리 모양(두상돌기)이 덜 발달한 귀상어들이 계통적으로 더 나중에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3. 형태 및 특징
작은눈귀상어는 다른 귀상어과 어류들 중에서 눈이 가장 작은 것이 특징이다. 영어권에서는 Smalleye hammerhead Shark|스몰아이 해머헤드 샤크eng라고 불린다. 1980년대에 과학적으로 기록된 독특한 황금색 몸 때문에 황금귀상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귀상어과 어류 중 작은 편에 속하며, 최대 몸길이는 1.5m에 달하지만, 보통 1.2m에서 1.3m 정도이며, 몸무게는 약 9kg이다. 몸은 유선형으로 비교적 가늘다.
모든 귀상어처럼 머리는 옆으로 넓적하게 확장된 망치 모양 머리(cephalofoil)인데, 작은눈귀상어의 망치 모양 머리는 특히 넓고 길어서 몸길이의 28~32%를 차지한다. 머리 앞쪽 가장자리는 넓은 아치 형태를 이루며 가운데와 양옆에 움푹 들어간 홈이 있다. 갓 태어난 새끼의 머리는 성체보다 더 길고 아치형이며 홈이 덜 뚜렷하다.
머리 양 끝에 달린 눈은 다른 귀상어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눈을 보호하는 순막(nictitating membrane)을 가지고 있다. 콧구멍은 눈 바로 안쪽에 있으며, 각 콧구멍에서 머리 중앙을 향해 잘 발달된 홈이 뻗어 있다. 입은 강하게 휘어진 모양이다.
등지느러미는 두 개이다.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크고 약간 낫 모양이며, 가슴지느러미 바로 뒤에서 시작한다.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첫 번째보다 작지만 여전히 크고 뒤쪽 가장자리가 오목하다. 골반지느러미의 뒤쪽 가장자리는 거의 직선 형태이다. 뒷지느러미는 두 번째 등지느러미보다 높고 길다. 꼬리지느러미는 아래쪽 엽(lobe)이 잘 발달했고, 위쪽 엽 끝부분 근처에 움푹 들어간 패임(notch)이 있다.
피부는 타원형의 피부 소치(dermal denticle)로 덮여 있으며, 각 소치에는 5개의 수평 능선이 있다.
몸 색깔이 가장 독특한 특징으로, 전체적으로 밝은 황금색을 띤다. (자세한 내용은 #황금색 몸 참고)
양턱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있으며, 이를 이용해 주로 멸치, 청어, 정어리와 같은 작은 물고기나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어류이다. (자세한 내용은 #이빨 참고)
3. 1. 황금색 몸
작은눈귀상어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몸 색깔이다. 1980년대에 과학적으로 기록된 바에 따르면, 머리, 옆구리, 지느러미 등에 독특한 황금색을 띠고 있어 '황금귀상어'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등과 등지느러미는 회색에서 황갈색을 띠는 반면, 머리 가장자리, 옆구리, 아랫면, 가슴지느러미, 골반지느러미, 뒷지느러미는 금속성 또는 무지개 빛 광택이 나는 밝은 노란색에서 주황색을 띤다.
이 황금색은 성장 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갓 태어난 새끼는 등 쪽이 회색이고 첫 번째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위쪽 엽이 어두우며, 배 쪽은 흰색 또는 희끄무레하다. 몸길이가 약 45cm에 이르면 배 쪽에 밝은 노란색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50cm가 되면 주황색으로 변한다. 황금색은 몸길이 55cm에서 70cm 사이일 때 가장 선명하게 나타나며, 성적 성숙 단계에 이르면 색이 점차 옅어지는 경향이 있다.
3. 2. 이빨
입은 강하게 굽어 있는 형태이다. 양턱에는 총 30~32개의 이빨이 있으며, 한쪽 치열을 기준으로 위턱에는 15~16개, 아래턱에는 15~17개의 이빨이 있다. 각 이빨은 매끄럽거나 약하게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진 단일하고 좁은 첨두(cusp)를 가지고 있다. 위턱의 이빨은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는 반면, 아래턱의 이빨은 똑바로 서 있다.


4. 분포 및 서식지
작은눈귀상어는 주로 동부 대서양의 남아메리카 연안에 분포하며, 서식 범위는 베네수엘라에서 우루과이 또는 브라질 남부[1]까지 이른다. 그러나 트리니다드 남동쪽 오리노코 삼각주 서쪽으로는 드물게 나타난다. 파나마, 멕시코, 플로리다 서부 해역에서 발견되었다는 보고는 확인되지 않았으며,[1] 전 세계 다른 지역에서의 기록은 분류학적 혼란으로 인한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1]
이 상어는 분포 지역 내에서 가장 흔한 상어 중 하나로, 주로 대륙붕으로 이루어진 연안의 수심 5m에서 40m 사이 (일부 자료에서는 10m에서 100m까지[1])의 탁한 물에 서식한다. 서식지 바닥은 주로 진흙이나 모래, 자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1] 또한 기수에 대한 내성이 있어 염분 농도 20~34 ppt 범위의 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성별과 연령에 따라 서식지가 분리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4. 1. 서식지 분리
작은눈귀상어는 남아메리카 동부 해안을 따라 우루과이에서 베네수엘라까지 발견되지만, 트리니다드 남동쪽 오리노코 삼각주 서쪽으로는 드물게 나타난다. 이 종이 파나마, 멕시코, 플로리다 서부 해역에서 발견되었다는 보고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다른 지역에서의 기록은 분류학적 혼란으로 인한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1] 분포 지역 내에서는 가장 흔한 상어 중 하나로, 수심 5m에서 40m 사이의 탁한 연안 수역, 특히 진흙 바닥을 선호한다.이 종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서식지가 분리되는 특징을 보인다. 길이가 40cm 미만인 갓 태어난 개체나 어린 개체는 가장 얕은 수역에서 발견되지만, 몇 달이 지나면 더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성체 암컷은 주로 수심 9m에서 18m 사이에서 발견되는 반면, 성장한 어린 개체와 성체 수컷은 주로 수심 27m에서 36m 사이에서 발견된다. 작은눈귀상어는 기수에 대한 내성이 있어 염분 농도 20~34 ppt 범위의 물에서도 서식할 수 있다.
5. 생태
작은눈귀상어는 서식지 내에서 빗머리귀상어, 흑비단상어, 귀상어, 홍살귀상어와 같은 다른 4종의 귀상어와 공존한다. 하지만 주로 서식하는 환경과 먹이 선호도가 달라 종 간의 경쟁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작은눈귀상어는 특히 얕고 진흙이 많으며 탁도가 높은 지역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환경에서는 시력의 중요성이 낮아 눈이 상대적으로 작게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성체 수컷과 어린 개체들은 비슷한 크기끼리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무리가 번식이나 특정 이동과 관련이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반면, 성체 암컷은 주로 홀로 생활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들의 독특한 황금색은 위장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모든 귀상어와 마찬가지로 작은눈귀상어는 난태생이다. 어미 몸속에서 배아가 난황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받다가, 난황이 고갈되면 난황낭이 태반과 유사한 구조로 변형되어 어미로부터 직접 영양분을 받는다. 성숙한 암컷은 하나의 기능하는 난소와 두 개의 기능하는 자궁을 가진다. 배란과 임신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어 매년 번식이 가능하다.
번식과 관련된 세부적인 생활사는 서식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1] 예를 들어, 트리니다드 해역에서는 번식이 명확한 연간 주기를 따른다. 짝짓기는 주로 8월에서 9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약 10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이듬해 5월 말에서 6월 사이에 5마리에서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출산은 먹이가 풍부한 얕은 해안 만에서 이루어지며, 갓 태어난 새끼의 크기는 약 30cm이다. 성적으로 성숙하는 크기는 수컷이 약 80cm, 암컷이 약 98cm이다. 반면, 브라질 북부 Maranhão 지역의 작은눈귀상어는 트리니다드 개체군보다 더 크게 자라며 성숙 시기도 늦다. 수컷은 92cm 이상, 암컷은 101cm 이상에서 성숙한다. 어미의 크기가 클수록 한 번에 낳는 새끼의 수도 증가하여, 이 지역에서는 최대 19마리의 새끼를 밴 암컷이 발견되기도 했다. 번식 시기 또한 트리니다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임신한 암컷은 6월에서 10월 사이와 1월에서 4월 사이에 주로 발견되며, 수컷은 5월에서 11월 사이와 3월에 번식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1. 먹이
작은눈귀상어는 육식성 물고기로, 다양한 해양 생물을 먹이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 고등어와 같은 물고기들과 오징어와 같은 두족류, 갑각류를 주로 먹는다.성장 단계에 따라 먹이 종류에 차이를 보인다. 몸길이 67cm 미만의 어린 작은눈귀상어는 주로 새우의 일종인 ''Xiphopenaeus kroyeri''를 먹고 자란다. 몸집이 더 커진 성체는 주로 경골어류, 특히 바다 메기와 그 알을 먹는다. 새우와 바다 메기의 표면 점액층, 그리고 알에는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이 작은눈귀상어 특유의 황금색 체색을 만드는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 바다 메기의 색소가 새우 섭취를 통해 얻어지는 것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황색 까치상어(''Mustelus higmani'') 역시 이 새우를 먹으며, 작은눈귀상어만큼 뚜렷하지는 않지만 비슷한 노란색을 띤다. 이 외에도 작은눈귀상어는 게, 오징어, 그루터기류, 그리고 갓 태어난 홍살귀상어 유체를 포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은눈귀상어의 서식지에는 빗머리귀상어, 귀상어, 홍살귀상어, 망치상어 등 다른 종류의 귀상어도 함께 살아가지만, 주로 서식하는 환경(얕고 탁도가 높은 진흙 지역)과 선호하는 먹이가 달라 이들 사이의 직접적인 먹이 경쟁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높은 탁도는 시각의 중요성을 낮추기 때문에 작은눈귀상어의 눈이 다른 귀상어에 비해 작은 것으로 보인다.
작은눈귀상어는 먹이 사슬에서 상위 포식자에 속하지만, 자신보다 더 큰 동물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황소상어(''Carcharhinus leucas'')와 같은 대형 상어가 작은눈귀상어를 사냥할 수 있으며, 어린 개체는 큰 경골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작은눈귀상어의 독특한 황금색은 주변 환경에 몸을 숨기는 위장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5. 2. 천적
작은눈귀상어는 황소상어(''Carcharhinus leucas'')와 같은 더 큰 상어의 먹이가 될 수 있으며, 어린 개체는 큰 경골어류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 작은눈귀상어의 독특한 황금색 몸 색깔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숨기는 보호색 역할을 할 수 있다.5. 3. 기생충
작은눈귀상어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기생충으로는 단생흡충류에 속하는 ''Erpocotyle schmitti''가 있다. 또한, 다른 어류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외부기생충성 요각류인 ''Echthrogaleus coleoptratus'', ''Pandarus satyrus'', ''P. cranchii'' 등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6. 생식
작은눈귀상어는 난태생 방식으로 번식한다. 성숙한 암컷은 주로 혼자 생활하는 반면, 성체 수컷과 어린 개체들은 같은 크기끼리 무리를 이루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 무리가 번식이나 이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번식의 구체적인 시기, 임신 기간, 한 배에 낳는 새끼의 수, 성적 성숙에 이르는 크기 등은 서식하는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1]
6. 1. 번식 주기
모든 귀상어와 마찬가지로, 작은눈귀상어는 난태생이다. 배아가 난황을 다 소모하면, 고갈된 난황낭이 어미로부터 영양분을 받는 태반 연결 부위로 발달한다. 성숙한 암컷은 하나의 기능적인 난소와 두 개의 기능적인 자궁을 가진다. 배란은 임신과 동시에 일어나 암컷이 매년 새끼를 낳을 수 있다.작은눈귀상어의 생활사 세부 사항은 서식지에 따라 다르다. 트리니다드 해역에서는 번식이 연간 주기로 이루어진다. 짝짓기는 8월과 9월에 하고, 출산은 이듬해 5월 말과 6월에 한다. 암컷은 10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 5마리에서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이때 먹이가 풍부한 얕은 해안 만을 새끼들의 보육장으로 사용한다. 갓 태어난 새끼는 약 30cm이고, 수컷은 80cm, 암컷은 98cm 정도 자라면 성적 성숙을 이룬다. 반면, 브라질 북부 마라냥 주의 작은눈귀상어는 트리니다드 개체보다 더 크다. 수컷은 92cm 이상, 암컷은 101cm 이상에서 성숙한다. 암컷의 몸집이 클수록 새끼 수도 늘어나, 마라냥에서는 최대 19마리의 새끼를 낳은 기록이 있다. 번식의 계절성도 달라서, 임신한 암컷은 6월에서 10월 사이와 1월에서 4월 사이에 발견되며, 수컷은 5월에서 11월 사이와 3월에 번식 가능한 상태를 보인다.
7. 인간과의 관계
작은눈귀상어는 온순한 성격으로 사람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 그러나 서식지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연안 어업 활동 과정에서 혼획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식용으로 이용된다. 특히 트리니다드 토바고, 가이아나,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연안 지역에서는 중요한 어획 대상 중 하나로 여겨진다.[1]
독특한 머리 모양 때문에 자망 등에 쉽게 걸리며, 저인망이나 트롤 어업 등 다양한 방식의 어업 활동에 의해 의도치 않게 잡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속적인 어획 압력과 낮은 번식력으로 인해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하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심각한 위기(CR) 상태로 평가받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보호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1]
7. 1. 어업 및 혼획
작은눈귀상어는 온순하고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지만, 서식지 전역에서 연안의 다양한 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수공 혼합 어업에 의해 혼획된다. 특히 트리니다드 토바고, 가이아나, 브라질 연안 어업에서는 어획되는 상어 중 가장 중요하거나 두 번째로 중요한 종으로 취급된다.[1] 살은 회, 스쿠알렌, 고기 등으로 식용된다. 독특한 머리 모양 때문에 모든 연령대의 개체가 자망에 쉽게 걸리며, 소수는 낚싯줄 어구나 저층 트롤, 상업용 새우 트롤 어업, 해변 선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어획된다.[1]낮은 번식력에 더해, 관리 없이 이루어지는 심각한 수준의 남획과 혼획 압력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1] 일화적 증거에 따르면 트리니다드와 브라질 북부 연안에서 작은눈귀상어 어획량이 현저하게 감소했으며, 이는 서식지 전역의 개체수 감소 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
이러한 심각한 어업 압력과 개체수 회복의 어려움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2020년에 작은눈귀상어를 멸종위기종 중 위급(CR, Critically Endangered) 등급으로 지정했다.[1]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개체수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연간 어획량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브라질과 콜롬비아에서는 연방 정부 차원에서 보호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1]
7. 2. 보전 상태
온순하고 인간에게 해가 없는 상어이지만, 서식지 전역의 연안 어업, 특히 수공 혼합 어업에 의해 혼획되어 식용으로 판매된다. 트리니다드 토바고, 가이아나, 브라질 연안 어업에서는 어획되는 상어 중 가장 중요하거나 두 번째로 중요한 종으로 취급된다. 독특한 머리 모양 때문에 모든 연령대의 개체가 자망에 쉽게 걸리며, 소수는 낚싯줄 어구나 저인망, 저층 트롤에도 잡힌다.[1]이러한 지속적인 어획 압력과 낮은 번식력 때문에 개체수가 크게 줄어들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작은눈귀상어가 심각한 어업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종종 관리 없이 해변 선망에서 트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어획되어 개체수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점을 근거로 2020년에 멸종위기종 중 심각한 위기 (CR) 등급으로 평가했다.[1] 작은눈귀상어는 상업용 새우 트롤 어업에서도 혼획된다.[1]
실제로 트리니다드와 브라질 북부 연안에서는 작은눈귀상어 어획량이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는 서식지 전역의 개체수 감소 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1] 현재 브라질과 콜롬비아에서는 연방 정부 차원의 보호를 받고 있지만,[1] 전반적인 서식지에서 특별한 보호 활동이나 어업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국제적인 보호와 함께 연간 어획량을 엄격하게 제한하는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참조
[1]
간행물
"''Sphyrna tudes''"
2020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