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멧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작은멧박쥐는 유럽, 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나무 구멍이나 건물에서 휴식을 취하며, 도시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가로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곤충을 먹고, 늦여름에 짝짓기를 하며, 암컷은 봄에 수정될 때까지 정자를 저장한다. 암컷은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아 젖으로 키우며, 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이동 경로를 따라 흩어진다. 겨울에는 동면하며, 동굴이나 건물 틈새에서 최대 1,000마리까지 모여 지낸다. 반향정위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으며,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종이다. 한국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잠재적 서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연구 및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74년 기재된 포유류 - 관박쥐
관박쥐는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며 말굽 모양 코잎을 가진 말굽박쥐과의 박쥐로, 야행성이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동굴이나 민가에서 휴면 및 동면하며, 서식지 파괴와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고 한국에는 두 아종이 서식한다. - 1774년 기재된 포유류 - 북극곰
북극곰은 곰과에 속하는 대형 포유류로, 북극 지역에 서식하며, 흰색 털과 검은 코를 가지고, 물범을 주로 사냥하며, 기후 변화로 인한 해빙 감소로 생존이 위협받는 종이다. - 유럽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유럽의 포유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애기박쥐과 - 흰배박쥐
흰배박쥐는 애기박쥐과에 속하며, 곤충을 주로 먹고 반향정위와 큰 귀를 사용하여 먹이를 찾으며, 번식기는 10월부터 2월까지이다. - 애기박쥐과 - 원반발박쥐
원반발박쥐는 흡반박쥐과 흡반박쥐속에 속하며, 마다가스카르흡반박쥐와 타이완흡반박쥐 2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완흡반박쥐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작은멧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yctalus noctula |
명명자 | Schreber, 1774 |
보전 상태 | LC |
IUCN 3.1 | 참조 |
![]() |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아목 | 양박쥐아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애기박쥐아과 |
속 | 멧박쥐속 |
2. 분포 및 서식지
작은멧박쥐는 유럽 대부분 지역부터 아시아의 일부 지역까지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한다. 서식지는 낙엽 활엽수림부터 농경지, 심지어 도시 환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해발 2000m 높이까지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9] 낮에는 주로 나무 구멍[10]이나 건물 등에서 휴식을 취하고 밤에는 먹이를 찾아 활동한다.[7]
2. 1. 분포 지역
유럽 대부분 지역부터 우랄 산맥을 넘어 중앙 러시아, 코카서스 산맥, 터키, 근동, 시베리아 남서부, 히말라야 산맥, 중국, 말레이시아, 타이완, 일본 등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특히 불가리아에서는 널리 분포하며 낙엽 활엽수림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서식지로는 나무 구멍이나 건물, 특히 다락방과 같은 곳에서 흔히 발견된다.[7] 도시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가로등 불빛에 모여드는 곤충을 사냥하기도 한다. 서유럽에서는 독일, 폴란드, 영국 등 동부 지역까지 분포한다.[8]일반적으로 해발 2000m 높이까지 서식하며, 낙엽 활엽수림부터 농경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개체군이 확인된다.[9] 작은 규모에서 중간 규모의 숲을 선호하지만, 밤에는 숲에서 최대 20km 떨어진 곳까지 이동하여 먹이를 찾는다. 낮에는 주로 나무 구멍[10]이나 나무줄기에 설치된 박쥐 상자에서 휴식을 취한다. 보통 숲이 우거진 곳에 서식하지만, 함부르크, 빈, 브르노와 같은 일부 중앙 유럽 도시에서도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번성하는 개체군이 존재한다.
2. 2. 서식지
유럽 대부분 지역, 우랄 산맥을 넘어 중앙 러시아, 코카서스 산맥, 터키, 근동, 시베리아 남서부, 히말라야 산맥, 중국, 말레이시아, 타이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불가리아에서는 널리 분포하며 낙엽 활엽수림을 선호한다.[6] 보통 2000m 높이까지 서식하며, 낙엽 활엽수림에서 농경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식지에서 개체군이 기록된다.[9] 작은 규모에서 중간 규모의 숲을 선호하지만, 밤에는 숲에서 최대 20km 떨어진 곳에서도 먹이를 구한다.낮에는 주로 나무 구멍[10]이나 건물, 특히 다락방에서 흔히 휴식을 취하며,[7] 나무 줄기에 부착된 박쥐 상자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 종은 도시 환경에도 잘 적응하여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가로등을 활용한다. 서유럽에서 독일, 폴란드, 영국과 같은 국가를 포함한 동부 지역까지 분포한다.[8] 일반적인 멧박쥐는 숲이 우거진 서식지에서 살지만, 작은멧박쥐는 함부르크, 빈, 브르노 및 기타 일부 중앙 유럽 도시와 같은 마을에서도 일부 개체군이 번성한다.
3. 생태
작은멧박쥐는 계절에 따라 털 색깔이 변하며, 활동하지 않을 때는 체온이 크게 떨어진다.[2][3] 중간 크기의 박쥐로, 날개 길이는 37cm에서 40cm 정도이며, 뾰족한 주둥이와 반향 위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큰 귀가 특징이다.[2][5]
주요 번식지는 유럽 북부 지역이며, 암컷은 번식과 월동을 위해 이동하는 반면 수컷은 주로 한 지역에 머무른다.[2][11][12][17] 짝짓기는 늦여름에 이루어지지만 수정은 봄에 일어나며, 암컷은 자신이 태어난 출산 군집(colony)으로 돌아가 새끼를 낳고 젖을 먹여 키운다.[2][13][14] 수컷은 암컷의 이동 경로에 머물며 짝짓기 기회를 노리고, 번식기에는 특유의 소리로 암컷을 유인한다.[2][15]
겨울에는 추위를 피해 동면하며, 때로는 1,000마리 이상이 모여 큰 동면 집단을 형성하기도 한다.[19] 나무 구멍보다는 동굴이나 건물 틈새 등 더 안정적인 온도를 제공하는 장소를 선호하며, 특히 도시 지역에서도 흔히 발견된다.[20] 동면 시기에는 암수 모두 같은 장소에 모이는 경향이 있다.
3. 1. 형태

짧은 털은 털갈이 후 짙은 갈색을 띤다. 수컷은 6월, 암컷은 7~8월에 털갈이를 하며, 이후 겨울이 오기 전에는 털 색깔이 적갈색으로 변한다.[2] 깨어 있을 때 체온은 36.5°C이지만, 활동하지 않을 때는 현저하게 감소한다.[3] 성체의 체질량은 25g 에서 30g이며, 날개 길이는 37cm 에서 40cm이다.[2] 튼튼한 몸과 길고 넓은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주둥이는 독특하게 뾰족하고 귀는 크다. 큰 귀는 반향 위치 결정 능력에 필수적이다.[5]
3. 2. 번식
작은멧박쥐는 암컷이 주로 이동하는 특성을 보인다. 암컷은 번식과 월동을 위해 이동하지만, 수컷은 일반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2][11][12] 짝짓기는 늦여름에 겨울을 나는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암컷은 수컷에게서 받은 정자를 자궁에 저장한 채로 동면하며, 봄이 되어야 수정이 이루어진다.[2]임신은 4월 말에 시작되며, 임신한 암컷은 발트해 지역까지 북쪽으로 이동하여 자신이 태어난 출산 군집(colony)으로 돌아간다. 임신 기간은 약 6~8주이며, 이후 한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13] 태어날 때 새끼의 몸무게는 어미의 약 3분의 1 정도이다. 새끼는 3~4주 동안 어미의 젖을 먹고 자라며, 이 기간이 지나면 거의 다 자란 상태로 둥지를 떠난다. 이처럼 암컷은 전적으로 젖을 통해 새끼를 키운다.[14]
수컷 작은멧박쥐는 이동하지 않는 대신, 암컷의 이동 경로를 따라 흩어져 머물면서 겨울 지역으로 돌아오는 암컷들과 짝짓기할 기회를 높이려 한다. 수컷의 생식 주기는 계절과 먹이의 양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정자 형성 과정은 수컷의 신체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5] 이른 가을이 되면 수컷은 고환이 커지고, 특유의 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인한다.[2] 하렘(harem) 형태의 둥지에서 생활하는 수컷은 다른 수컷의 접근을 막기 위해 무기력 상태(torpor)에 잘 빠지지 않고 깨어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늦여름과 초가을에 무기력 상태를 피하는 또 다른 이유는, 휴식 시 대사율이 낮아지는 무기력 상태나 동면 중에는 정자 형성이 지연될 수 있기 때문이다.[16] 여름 동안 수컷 작은멧박쥐는 혼자 지내거나 작은 수컷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유럽에서는 주로 분포 지역의 북부, 대략 북위 48°–49°보다 북쪽 지역에서 새끼를 기른다.[17] 이 주요 번식 지역 외에도 슬로바키아, 헝가리, 불가리아, 슬로베니아, 이베리아 반도, 이탈리아 등지에서 작고 고립된 여러 번식 지역이 확인되었다.[18]
3. 3. 동면
작은멧박쥐는 겨울에 동면하며, 때로는 최대 1,000마리까지 모여 동면 집단을 이룬다. 이들이 동면하는 이유는 겨울철 0°C 이하로 떨어지는 추운 날씨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9] 동면은 보통 11월경 시작되지만, 주변 온도에 따라 시기는 달라질 수 있다.동면 시기에는 암수 모두 같은 장소에 모여 큰 무리를 이룬다. 나무 구멍은 겨울 추위를 막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동굴이나 인공 구조물을 동면 장소로 이용한다. 특히 동유럽에서는 교회 첨탑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동면하는 모습이 흔히 관찰되며, 도시 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동면 박쥐 종이기도 하다.[20]
늦여름에는 성체 암컷이 먼저 겨울 서식지가 있는 남쪽으로 이동하고, 새끼들이 그 뒤를 따른다. 때로는 여름 서식지와 동면 장소 사이의 거리가 수백 킬로미터에 달하기도 한다.
4. 반향정위
작은멧박쥐는 반향정위를 사용하여 어둠 속에서 주변 환경을 파악하고 먹이를 찾는다.[22] 이를 위해 고주파의 소리(호출)를 방출한다.[22] 작은멧박쥐는 주로 두 가지 종류의 반향정위 호출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24] 각 호출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주파수 범위 | 최대 에너지 주파수 | 평균 지속 시간 |
---|---|---|---|
호출 1 | 26–47 kHz | 27 kHz | 11.5 ms |
호출 2 | 22–33 kHz | 22 kHz | 13.8 ms |
5. 보존
작은멧박쥐는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종이다. 유럽 연합의 서식지 지침에 따라 보호받고 있으며, 베른 협약에도 등재되어 있다. 또한 유엔 환경 계획(UNEP)의 EUROBATS 협약에서도 특별한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다. 여러 국가에서도 법률을 통해 작은멧박쥐와 그 서식지를 보호하고 있다. 유럽 차원에서 이 종의 보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범유럽 비정부 기구(NGO)인 BatLife Europe은 2016년과 2017년에 작은멧박쥐를 "올해의 박쥐 종"으로 선정하기도 했다.[25]
5. 1. 한국에서의 보존 노력
(내용 없음)참조
[1]
간행물
"''Nyctalus noctula''"
2016
[2]
문서
2003
[3]
문서
1967
[4]
문서
2014
[5]
논문
Object classification by echolocation in nectar feeding bats: size-independent generalization of shape
http://dx.doi.org/10[...]
2004-04-21
[6]
웹사이트
Nyctalus noctula
http://batslife.eu/i[...]
[7]
서적
Bat Conserv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http://dx.doi.org/10[...]
Springer New York
2024-10-29
[8]
학위논문
Of bats and houses : bat mitigation measures in architectural conservation projects
http://dx.doi.org/10[...]
The University of Hong Kong Libraries
[9]
논문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Status of Fish Fauna in Lake Fateh Sagar Udaipur, Rajasthan (India)
http://dx.doi.org/10[...]
2023-10-10
[10]
논문
Bat roosts in trees: a guide to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for Tree-Care and Ecology Professionals: by Bat Tree Habitat Exeter, Key, Pelagic Publishing, 2018, 264 pp + vii, £40 Paperback ISBN: 9781784271619 eBook available.
https://www.tandfonl[...]
2019-10-02
[11]
문서
1999
[12]
문서
2009
[13]
문서
1982
[14]
문서
1987
[15]
문서
1986
[16]
문서
1988
[17]
문서
1997
[18]
문서
2009
[19]
문서
1982
[20]
문서
2005
[21]
웹사이트
Noctule Bat Factsheet
http://www.bats.org.[...]
2011-04-18
[22]
서적
Behaviour and Foraging Ecology of Echolocating Bats
http://dx.doi.org/10[...]
Springer US
2024-10-29
[23]
문서
2000
[24]
문서
2004
[25]
웹사이트
BatLife Europe Bat of Year
https://www.batlife-[...]
2018-07-26
[26]
간행물
Nyctalus noctu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