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금은 조선 중종 시대의 의녀로, 《조선왕조실록》에 여러 차례 기록되어 있다. 중종의 총애를 받아 '대장금'이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중종의 병을 치료하는 데 기여했다. 2003년 MBC 드라마 《대장금》을 통해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이후 여러 드라마, 애니메이션, 기타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의료인 - 의녀
    의녀는 조선 시대에 여성 환자를 위해 제생원에서 의술을 배우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세종 때 제도적으로 발전했지만 연산군 이후 기생과 같은 역할이 강조되다가 갑오개혁으로 명칭이 사라졌다.
  • 여자 의사 - 잔나 베레타 몰라
    이탈리아의 소아과 의사이자 가톨릭 성인인 잔나 베레타 몰라는 넷째 아이를 임신 중 자궁의 섬유종 제거 수술에서 자신의 생명보다 아이의 생명을 선택하여 숭고한 모성애를 보여주었다.
  • 여자 의사 - 파멜라 렌디바그너
    파멜라 렌디바그너는 오스트리아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감염 역학 및 백신 예방 분야에서 전문 의학자로 활동했으며, 오스트리아 보건여성부 장관과 사회민주당 대표를 역임했다.
  • 16세기 한국 사람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6세기 한국 사람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장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장금
원어 이름장금 (長今)
다른 이름대장금 (大長今)
로마자 표기Jang-geum
출생 및 사망
출생 연도1474년경
출생지조선
사망 연도1550년경
사망지조선
직업 및 활동
직업의녀
활동 기간1513년경 - 1550년경
주요 업적조선 중종의 첫 번째 여성 주치의
국적
국적조선

2. 조선왕조실록의 기록

조선왕조실록》에는 장금에 대한 기록이 10여 차례 등장한다. 대부분 중종의 건강 및 치료와 관련된 내용이며, 의녀로서 장금의 역할과 중종의 신임을 확인할 수 있다.


  • 1515년 : 장경왕후의 사망 이후, 의녀 장금은 왕후의 산후조리를 담당했던 의녀로서 처음 언급된다.[19] [4]
  • 1522년 : 정현왕후의 병세가 호전되자, 중종은 의녀 장금을 포함한 의료진에게 상을 내렸다.[21]
  • 1524년 : '대장금'이라는 명칭이 처음 등장하며, 중종은 장금의 의술을 칭찬하며 자신의 병을 돌보게 하였다.[22]
  • 1533년 : 중종은 병이 회복된 후 의료진에게 상을 내렸는데, 이때 장금은 다른 의녀들보다 후한 상을 받았다.[23]
  • 1544년 : 중종의 병세가 악화되자, 장금은 다른 의원들과 함께 중종의 치료를 담당했다. 특히, 중종은 "내 증세는 여의(女醫)가 안다"라고 말하며 장금을 주치의로 언급했다.[27] [15]


이처럼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장금은 단순한 의녀가 아니라, 왕, 왕비, 대비 등 왕실의 건강을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특히 중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의녀였음을 알 수 있다.

2. 1. 중종 10년 (1515년)

중종 10년(1515년) 3월 21일 중종실록에는 의녀 장금(長今)이 처음으로 등장한다.[19] 대간과 헌부는 장경왕후의 사망과 관련하여 장금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호조의 요청에 따라 선종과 교종의 위전을 국용에 충당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중종은 사람의 생사가 의약에 달린 것이 아니며, 장금이 장경왕후의 출산을 도운 공이 크므로 벌할 수 없다고 하였다.[1]

3월 22일 기록에는 대간이 장금의 죄가 하종해보다 크다고 다시 주장하며, 산후에 의대(衣襨)를 교체할 때 중지하도록 요청했어야 했다고 하였다. 그러나 중종은 이를 윤허하지 않았다.[20]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 장금은 왕실, 특히 왕비의 건강과 출산을 담당하는 의녀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왕비의 죽음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중종은 장금의 공을 인정하여 벌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장금이 왕실 의료에 깊이 관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2. 2. 중종 17년 (1522년)

정현왕후의 증세가 호전되자, 중종은 약방에 차등을 두어 상을 내렸다. 이때 의녀 장금은 신비와 함께 각각 쌀과 콩 10석을 하사받았다.[21] 이를 통해 장금이 왕실의 신뢰를 받는 의녀 중 한 명이었음을 알 수 있다.

2. 3. 중종 19년 (1524년)

1524년의 기록에는 '대장금'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한다.[22] 중종은 장금의 의술이 다른 의녀들보다 조금 뛰어나다고 평가하며, 대궐에 출입하며 자신의 병을 돌보게 하였다. 이로 인해 장금에게는 전체아(全遞兒)가 주어졌다.

2. 4. 중종 28년 (1533년)

중종 28년(1533년) 2월 11일, 중종은 여러 달 동안 앓았던 병이 거의 회복되자 약방 제조와 의원들에게 상을 내렸다.[23] 이때 의녀 대장금은 계금과 함께 쌀과 콩 각 15석, 관목면(官木綿)과 정포(正布) 각 10필을 하사받았다.[23] 이는 다른 의원들이 받은 상(쌀과 콩 6석, 아마(兒馬) 1필 등)에 비해 상당히 후한 것이었다.

2. 5. 중종 39년 (1544년)

1544년 1월 29일, 중종은 감기와 해수증(기침)으로 오랫동안 정사에 참여하지 못하다가 경연에 참석했으나, 추운 날씨로 인해 증세가 다시 악화되었다고 한다. 이에 의원 박세거, 홍침, 내의녀 은비 등과 함께 장금에게 약을 의논하라는 명이 내려졌다.[24]

2월 9일, 중종은 내의원 제조 윤은보정순붕 등에게 상을 내리고, 도승지 이해, 의원 박세거와 홍침에게 가자(加資)를 명했다. 이때 장금에게는 쌀과 콩 도합 5석을 하사하였다.[25]

10월 25일, 장금은 중종의 증세에 대해 "어제 저녁 삼경(三更)에 잠이 들었고, 오경에 또 잠깐 잠이 들었다. 소변은 잠시 통했으나 대변이 사흘 동안 불통이다"라고 설명했다. 박세거와 홍침이 진맥 후 오령산(五苓散)에 마황(麻黃)·방기(防己)·원지(遠地)·빈랑(檳榔)·회향(茴香)을 첨가한 약을 처방하였다.[26]

10월 26일, 중종은 자신의 증세가 대체로 뜸해졌지만 대변은 여전히 불통이라며, "내 증세는 여의(女醫)가 안다"고 말했다. 이때 장금은 "지난 밤에 오령산을 달여 두 번 복용하시고 삼경에 잠이 드셨다. 소변은 잠깐 통했으나 대변은 여전히 통하지 않아 오늘 아침 처음으로 밀정(蜜釘)을 썼다"라고 보고했다.[27] 여기서 '여의(女醫)'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는 장금이 단순한 의녀가 아니라 왕의 주치의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10월 29일, 장금은 중종의 하기가 통하여 매우 기분이 좋다고 전했다. 중종은 하기가 평소와 같아졌으나 기운이 약하다고 말하며, 내의원 제조 및 의원, 의녀들에게 왕래를 허락하면서도 의원은 입직하지 말고, 제조도 각자 돌아가라고 명했다.[28]

3. 기타 기록

《이조 의관일기》에는 장금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출신을 알 수 없는 의녀 장금은 중종 18년(1524~1525년)에 중종의 어명에 따라 '대(大)' 장금으로 불릴 자격을 얻었다. 당시 의녀가 국왕을 치료한 전례는 없었지만, 국왕은 장금의 음식으로 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신뢰했다. 장금은 이름에 '대' 자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그의 이름이 역사책에 기록될 것은 확실한, 실로 웅대한 여인이다."

의녀로서의 활동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며, 텔레비전 드라마로 각색되어 인기를 얻으면서 주목받게 되었지만, 드라마의 내용은 대부분 허구이다.

조선왕조실록』 중 『중종실록』에는 "대장금"이라는 명칭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중종의 주치의가 여성이라는 것에 대해 언급하는 사료는 중종 39년(1544년) 10월의 例證女醫知之|예의 증거는 여의가 안다는 것을 안다중국어라는 한 줄 뿐이다.

4. 대중문화에서의 장금

2003년부터 2004년까지 MBC TV 드라마 ''대장금''에서 이영애가 장금 역을 연기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3] 이 드라마의 성공으로 장금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으며, 요리를 잘하는 여성 아이돌에게는 '장금'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1] 2005년에는 소녀 시절의 장금을 그린 애니메이션 《장금이의 꿈》이 MBC에서 방영되었고, 일본에서도 방영되었다.[3]

장금은 2013년 KBS2 TV 드라마 ''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에서 김미경이 연기했고, 2016년 MBC TV 드라마 ''옥중화''에도 등장했으며, 2025년에는 드라마 ''의녀 대장금''에서 이영애가 다시 장금 역을 맡을 예정이다.

4. 1. 드라마

방송 채널프로그램배우방영 기간
MBC대장금이영애 (조정은 아역)2003년 ~ 2004년
KBS 2TV천명김미경2013년
MBC옥중화미상2016년
MBC의녀 대장금이영애2025년 (예정)


  • MBC 드라마 ''대장금''의 인기로 인해 요리를 잘하는 여성 아이돌에게 붙여지는 별명이 되었다.
  • 키쿠카와 레이 (무대판 《대장금》)[7]



  • 대장금의 성우
  • * 정미숙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장금이의 꿈》)[8]
  • * 伊藤美紀|이토 미키일본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장금이의 꿈》...일본어 더빙)[9]

4. 2. 애니메이션

2005년 10월 29일부터 2006년 4월 29일까지 MBC에서 애니메이션 《장금이의 꿈》 1기가 방영되었다. 이후 2007년 3월 14일부터 2007년 9월 19일까지 《장금이의 꿈》 2기가 방영되었다. 이 애니메이션은 일본에서도 방영되어 인기를 얻었다.[3]

역할성우
장금이정미숙
장금이 (일본어 더빙)이토 미키


4. 3. 기타

MBC TV 드라마 대장금의 인기로 인해 요리를 잘하는 여성 아이돌에게 '장금'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한다.[1] 일본에서는 무대판 《대장금》이 상연되기도 했다.[2]

다음은 장금이 등장하거나 언급된 작품들이다.

작품 종류작품 제목배우 이름 (또는 성우)비고
드라마대장금이영애
드라마대장금조정은소녀 시절
무대대장금키쿠카와 레이
애니메이션장금이의 꿈정미숙
애니메이션장금이의 꿈이토 미키일본어 더빙
드라마천명: 조선판 도망자 이야기김미경
드라마옥중화
드라마의녀 대장금이영애2025년 방영 예정


참조

[1] 웹사이트 Daejanggeum (Jewel in the Palace) http://www.visitkore[...]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2-02-21
[2] 뉴스 Daejanggeum spurs continuing interest in royal court cuisine http://www.hancinema[...] 2009-01-08
[3] 뉴스 Annals of Joseon History Brought To Life by the Digital Era http://koreana.kf.or[...] 2008
[4] 문서 조선왕조실록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중종실록 (Annals of King Jungjong) 21권 (volume 21), 1515년 음력 3월 21일 (3rd lunar month 21st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5]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21권 (volume 21), 1515년 음력 3월 2일 (3rd lunar month 2nd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6]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21권 (volume 21), 1515년 음력 3월 1일 (3rd lunar month 1st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7]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21권 (volume 21), 1515년 음력 2월 25일 (2nd lunar month 25th day) 6번째기사 (6th entry)" http://sillok.histor[...]
[8]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21권 (volume 21), 1515년 음력 3월 22일 (3rd lunar month 22nd day) 2번째기사 (2nd entry)" http://sillok.histor[...]
[9]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46권 (volume 46), 1522년 음력 9월 5일 (9th lunar month 5th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10]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52권 (volume 52), 1525년 음력 12월 15일 (12th lunar month 15th day) 2번째기사 (2nd entry)" http://sillok.histor[...]
[11]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73권 (volume 73), 1533년 음력 2월 11일 (2nd lunar month 11th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12]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101권 (volume 101), 1544년 음력 1월 29일 (1st lunar month 29th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13]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102권 (volume 102), 1544년 음력 2월 9일 (2nd lunar month 9th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14]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105권 (volume 105), 1544년 음력 10월 25일 (10th lunar month 25th day) 3번째기사 (3rd entry)" http://sillok.histor[...]
[15]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105권 (volume 105), 1544년 음력 10월 26일 (10th lunar month 26th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16]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105권 (volume 105), 1544년 음력 10월 29일 (10th lunar month 29th day) 1번째기사 (1st entry)" http://sillok.histor[...]
[17] 문서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105권 (volume 105), 1544년 음력 11월 15일 (11th lunar month 15h day) 12번째기사 (12th entry)" http://sillok.histor[...]
[18] 문서 大長今と長今は同一人物と読める。
[19]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종 10년 3월 21일 http://sillok.histor[...]
[20]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종 10년 3월 22일 두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1]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종 17년 9월 5일 첫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2]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종 19년 12월 15일 두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3]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종 28년 2월 11일 첫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4]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중 39년 1월 29일 첫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5]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중 39년 2월 9일 첫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6]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중 39년 10월 25일 세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7]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중 39년 10월 26일 첫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8] 문서 조선왕조실록 중중 39년 10월 29일 첫 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