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단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단군은 과거 경기도에 속했던 지역으로, 현재는 대한민국과 북한에 분할되어 있다. 1945년 분단 이후, 한국 전쟁과 정전 협정을 거치면서 군사 분계선 이남 지역은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으로 지정되어 기능이 상실되었고, 행정 구역이 여러 차례 개편되었다. 현재는 파주시와 연천군에 일부 지역이 편입되었으며, 북한 지역은 황해북도 장풍군과 판문군으로 재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미수복 시군 - 개성시 (대한민국)
    개성시는 황해북도에 위치한 도시로, 1950년 6월 기준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어 여러 법정동을 관할했다.
  • 경기도의 미수복 시군 - 개풍군 (대한민국)
    개풍군은 광복 당시 경기도에 속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북에 위치하며 대한민국 실효 지배에서 벗어난,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에 있는 14개 면으로 구성된 군이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군 - 양주군
    양주군은 1895년부터 2003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양주시, 동두천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일부 지역을 포함하며, 1963년 의정부읍의 시 승격, 1980년 남양주군 분리, 1981년 동두천읍의 시 승격 이후 2003년 양주시 승격으로 폐지되었다.
  • 1972년 폐지 - 대한민국 제3공화국
    대한민국 제3공화국은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박정희 정부로,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경공업 중심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1972년 유신으로 해체되었다.
  • 1972년 폐지 - 부령군
    부령군은 함경산맥을 비롯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고성산이 최고봉이며, 수성천이 청진시로 흘러들고, 희귀 동물이 서식하며, 고구려, 발해, 고려, 조선 시대에 걸쳐 분쟁 지역이었고, 세종 때 6진 중 하나인 영북진이 설치되었으며, 현재 1읍 3구 5리로 구성되어 철공업, 광공업, 전기 발전이 주요 산업이고, 함북선과 무산선이 지나는 지역이다.
장단군 (대한민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장단군
한자 표기長湍郡
약칭장단
로마자 표기Jangdan-gun
유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
10
지방 관청이북5도위원회
군수이규림
면적722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09:00
공용어한국어
지역어경기 방언

2. 역사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38선 이남의 경기도 장단군 장단면·군내면·진동면 전부와 장남면·진서면·장도면 일부는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 관할이 되었고, 38선 이북의 대남면·강상면·소남면·대강면 전부와 진서면·장도면·장남면 일부는 소비에트 민정청 관할이 되었다. 1945년 11월 4일, 장도면의 38선 이남 지역, 개풍군 영남면이 진서면에 편입되었다.[1]

1945년 9월, 38선 이북의 장단군 지역은 황해도 금천군 관할이었다가 11월에 황해도 장풍군으로 통합되었고,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군면리 대폐합에 따라 장단군 진서면과 개풍군 일부 면이 판문군으로 개편되었다.

2. 1. 분단 이전

본래 고구려의 장천성현(長淺城縣)이었으며, 통일신라 시대에는 장단(長湍)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1018년(현종 9)에 장단현이 개성부에, 임강현(현 강상면, 대강면)이 삭녕군(朔寧郡)에 속했다. 조선 시대에는 1398년(태조 7)에 장단현이 임강현을 병합하여 장단도호부(長湍都護府)로 승격했다. 1895년(고종 32)에 장단군이 되었고, 1906년에 대남면, 소남면이 장단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대위면과 강남면이 대강면으로, 강서면과 강북면이 강상면으로 통합되었다.[1]

2. 2. 분단과 한국 전쟁

1945년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38선을 기준으로 장단군은 남북으로 나뉘었다. 38선 이남 지역은 재조선 미국 육군사령부 군정청이, 38선 이북 지역은 소비에트 민정청이 관할하게 되었다.[1] 1945년 11월, 38선 이북의 장단군 지역은 황해도 장풍군으로 통합되었다가, 1952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일부 지역이 판문군으로 개편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면서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남의 장단군 지역은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되었다.[2] 판문점이 있는 진서면 대부분은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고, 대강면과 장도면 일부는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편입되었다.

2. 3.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남 지역이 된 장단군은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되면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했다.[2] 판문점이 위치한 진서면 대부분이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고, 극히 일부만이 수복지구가 된 대강면과 장도면 모두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 편입되었다. 1954년 11월 17일에는 장단군 강상면·대강면·장도면에 위치한 수복지구와 장남면 판부리가 연천군에 편입되었는데, 강상면에 속해 있던 수복지구는 연천군 왕징면에, 장단군 대강면·장도면에 속해 있던 수복지구, 장남면 판부리는 연천군 백학면에 각각 편입되었다.[2] 1963년 1월 1일에는 장단군 군내면파주군 임진면에, 장단군 장남면이 연천군 백학면에 각각 편입되었다.[3] 1972년 12월 28일에는 장단군 진동면 및 장단면·진서면의 수복지구가 파주군에 편입되면서 장단군 자체가 폐지되었고, 파주군 군내면이 임진면에서 분리되어 복구되었다.[4]

3. 행정 구역

1945년 광복 당시 장단군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현재 대한민국 관할 구역은 파주시(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 극히 일부)와 연천군(장남면, 백학면 일부)으로 분할되어 있다. 파주시 장단출장소에서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진서면의 극히 일부를, 연천군에서 장남면을, 연천군 백학면에서 대강면, 장도면의 극히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은 옛 개풍군 영북면 월고리 및 연천군 서남면 지역을 합쳐 장풍군이 설치되었으며, 황해북도 장풍군판문군으로 재편되었다.


  • 장단면: 현재 실질적인 장단군의 지역이 모두 북한으로 넘어갔기 때문에 파주시에서 장단출장소 형태로 지역을 유지하고 있다. 장단콩이 이 지역의 특산물이었다.[5]
  • 대강면·강상면: 대강면과 강상면은 옛 임강현 지역으로, 구한말까지 각각 장단군 대위면·강남면, 강서면·강북면이었던 것이 1914년에 각각 대강면, 강상면으로 통합되었다.[6]
  • 대남면·소남면: 대남면과 소남면은 본래 황해도 우봉현 지역으로 1651년 (효종 2년) 이래 금천군에 속하였다. 1796년 (정조 20년) 개성부에 편입되었고,[7] 1906년 장단군에 편입되었다.[8]

3. 1. 행정 구역 변천 (1945년 광복 당시 기준)

읍면리의 수리(里)비고
장단면(長湍面)10도라산(都羅山), 동장(東場), 노상(蘆上), 노하(蘆下), 서장(西場), 정동(井洞), 덕산(德山), 거곡(巨谷), 석곶(石串), 강정(江井)파주시에 편입, 군내면 백연리 장단면(행정면) 설치, 장단면 서장리 미수복
군내면(郡內面)7읍내(邑內), 점원(點元), 방목(芳木), 정자(亭子), 백연(白蓮), 송산(松山), 조산(造山)파주시에 편입
진동면(津東面)5하포(下浦), 동파(東波), 서곡(瑞谷), 초(哨), 용산(龍山)파주시에 편입
진서면(津西面)8눌목(訥木), 분지(芬芝), 금릉(金陵), 어용(魚龍), 경릉(景陵), 전제(田齊), 선적(仙跡), 대원(大院)금릉리, 어용리, 선적리 파주시에 편입
장남면(長南面)5고랑포(高浪浦), 원당(元堂), 반정(伴程), 판부(板浮), 자작(自作)연천군에 편입, 원당리에 면사무소 설치
장도면(長道面)10고읍(古邑), 사시(沙是), 석주원(石柱院), 중(中), 상(上), 하(下), 오음(梧陰), 항동(項洞), 매현(梅峴), 두매(杜梅)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항동리, 매현리 수복
대강면(大江面)5청정(靑廷), 나부(羅浮), 포춘(浦春), 우근(禹勤), 독정(篤正)포춘리 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강상면(江上面)7구화(九化), 마성(馬城), 덕적(德積), 갈운(葛雲), 임강(臨江), 자하(紫霞), 솔랑(率浪)전 지역 미수복
대남면(大南面)5위천(渭川), 성곡(聖谷), 석촌(石村), 장좌(長佐), 가곡(佳谷)전 지역 미수복
소남면(小南面)5유덕(有德), 지금(知琴), 홍화(弘化), 박연(朴淵), 두곡(斗谷)전 지역 미수복


4. 지리

서쪽은 경기도 개성시, 북쪽은 황해도 금천군에 접하고, 동쪽은 경기도 연천군과 경계를 이루었다. 남동쪽으로는 임진강을 경계로 경기도 파주시와 인접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지배하에 들어간 장단면·군내면·진동면·진서면 극히 일부는 파주시 장단출장소에서, 장남면은 연천군에서, 대강면·장도면의 극히 일부는 연천군 백학면에서 3곳으로 나누어 관할하고 있다.[5]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은 옛 개풍군 영북면 월고리 및 연천군 서남면 지역을 합쳐 장풍군이 설치되어 있다.

5. 특산물

장단콩은 장단 지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 품질이 우수하여 널리 알려져 있다.[5]

참조

[1] 법률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1945-11-03
[2] 법률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3] 법률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62-11-21
[4] 법률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 1972-12-28
[5] 웹인용 파주 장단콩마을> 여행지 :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s://korean.visit[...] 2024-06-11
[6] 법률 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경기도령 제3호
[7] 사료 정조실록 44권, 정조 20년 5월 29일 http://sillok.histor[...]
[8] 법률 광무 10년 칙령 제49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