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성베도라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베도라치는 등가시치하목에 속하는 장성베도라치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장성베도라치과는 바닥가시치과를 제외한 하위 분류군 중 하나로, Cebidichthyidae, 장갱이과, Opisthocentridae, 황줄베도라치과, 깃대장어과와 함께 하나의 분지군을 형성한다. 등가시치과는 신생대 마이오세에 처음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등가시치하목 - 깃대장어
    깃대장어는 깃털 같은 긴 지느러미와 가늘고 긴 몸을 가진 깃대장어과의 어류로, 북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며 주로 250m 이내 수심의 해저에 살지만 밤에는 먹이를 찾아 해수면으로 올라온다.
  • 1896년 기재된 물고기 - 꺽지
    꺽지는 한반도 고유종 민물고기로 하천 중상류에 서식하며 25cm까지 자라고 가로띠가 있는 회갈색 몸체, 육식성 식성, 관상어 및 식용으로서의 이용 가치, 그리고 일본에서의 침입종 문제 등이 특징이다.
  • 1896년 기재된 물고기 - 발광민대구
    발광민대구는 최대 30cm까지 자라는 물고기로, 은색 몸에 발광 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서대서양의 대륙붕 등 수심 400~500미터에서 서식하고 어업에서는 중요하지 않다.
장성베도라치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장성베도라치
장성베도라치
장성베도라치
장성베도라치
학명Zaprora silenus
명명자Jordan, 1896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상목극기상목
미분류에우페르카리아류
페르카목
아목둑중개아목
하목등가시치하목
장성베도라치과 (Zaproridae)
과 명명자T. N. Gill, 1861
장성베도라치속 (Zaprora)
속 명명자D. H. Storer
형태
최대 크기88 cm
최대 깊이675 m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5년 라드첸코(Radchenko)의 연구에 기초한 등가시치과의 계통 분류이다.[3]

{| class="wikitable"

|-

| 등가시치하목

|-

|

{| class="wikitable"

|-

| 바닥가시치과

|-

|

{| class="wikitable"

|-

| Cebidichthyidae

|-

|

{| class="wikitable"

|-

| 장갱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Opisthocentridae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Lumpenidae

|-

|



|}

|-

|

{| class="wikitable"

|-

| Eulophiidae

|-

|

{| class="wikitable"

|-

| Neozoarcidae

|-

|



|}

|}

|}

|}

|}

|}

|}

|}

|}

3. 분포

등가시치류는 대부분 북태평양 해역에 분포하며, 일부 종은 북대서양과 북극해에서도 발견된다. 한국에서는 동해, 서해, 남해 등 전 해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동해안에서 다양한 종을 관찰할 수 있다.

4. 지질 시대

등가시치과는 신생대 마이오세에 처음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석 기록을 통해 등가시치류의 진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시대기간(백만 년 전)등가시치과 화석
고신세-65.5 ~ -55.8
에오세-55.8 ~ -33.9
올리고세-33.9 ~ -23.03
마이오세-23.03 ~ -5.332Araeosteus
플리오세-5.332 ~ -2.588
플라이스토세-2.588 ~ -0.0117
홀로세-0.0117 ~ 0


참조

[1] 논문 Fossil prowfish, Zaprora koreana , sp. nov. (Pisces, Zaproridae), from the Neogene of South Korea 2018-09-03
[2] 간행물
[3] 논문 The system of the suborder Zoarcoidei (Pisces, Perciformes) as inferred from molecular genetic data 201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