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철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철부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한국 전쟁 참전 군인으로, 본명은 김병원이었다. 오산중학 졸업 후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에 입학했으나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일본군으로 복무했다. 이후 탈영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들어가 한국광복군에서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했으며, 장철부로 개명했다. 광복 후에는 황포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조선경비사관학교를 거쳐 육군 독립기갑연대 기병대대장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공주-대평리 전투에서 미군을 지원하는 활약을 펼쳤으나, 1950년 청송, 경주 전투에서 자결했다. 사후 중령으로 특진되었으며,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 김씨 - 김내성
김내성은 한국 최초의 추리소설 작가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대중소설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추리소설과 대중소설 작품 활동 외에도 정치 활동을 하였고, 사후에는 김내성추리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평양 김씨 - 김성진 (철학자)
김성진은 소비에트 소련 군정 시대에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고대 그리스 철학, 중세 기독교 철학, 환경 생태 철학을 연구했으며, 철학 상담 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철학자이다. - 룡천군 출신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룡천군 출신 - 장경근
장경근은 일제강점기 판사와 광복 후 이승만 정부의 요직을 역임한 법조인 겸 정치인으로, 반민특위 해체 관여, 3·15 부정선거 개입, 친일인명사전 수록 등으로 비판받았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황푸 군관학교 동문 - 김광협
김광협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에 참여한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 되었으나, 김일성 주체사상 비판으로 숙청된 인물이다.
장철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장철부 |
한자 표기 | 張哲夫 |
로마자 표기 | Jang Cheol-bu |
다른 이름 | 김병원 |
호 | 기부(騎夫) |
출생일 | 1921년 3월 10일 |
사망일 | 1950년 8월 4일 (향년 29세)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용천군 |
사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송군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평양 김씨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묘역 972호 |
군 경력 | |
소속 | 대일본제국 육군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일본제국 육군 (1944년 ~ 1944년) 한국광복군 (1944년 ~ 1946년) 대한민국 육군 (1947년 ~ 1950년)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육군 중령 |
일본 육군 최종 계급 | 소위 |
지휘 |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 유격대 대한민국 육군 독립기갑연대 제2기병대대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
가족 | |
부모 | 아버지 김여주(金麗柱), 어머니 장익주(張益柱) |
훈장 | |
서훈 내역 | 건국훈장 애족장 태극무공훈장 |
2. 생애
장철부는 1921년 3월 10일 평안북도 용천군 동하면 법흥동에서 아버지 김여주(金麗柱)와 어머니 장익주(張益柱) 사이에서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김병원이었다.[6] 1941년 오산중학을 졸업하고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에 입학하였다.[6][2] 1944년 1월,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일본군으로 중국 전선에 투입되었다.[6] 제65사단 보병 제71여단 예하 독립보병 제57대대에 배속되었으나, 탈영을 반복하다가 1944년 7월 14일 허난성 신양에서 두 번째 탈영에 성공[1],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들어가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 유격대장으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고, 이때 장철부로 개명하였다.[6][3]
1945년 3월 임정 주석 김구의 추천으로 중국 황포군관학교 20기 기병과에 입학,[6][2] 1946년 12월 25일 졸업후, 1947년 귀국하였다.[2] 1948년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에 입교하여 5기로 임관하였다.[6] 1949년 육군본부 직할 독립기갑연대가 창설되자 기갑연대 예하 부대인 제2기병대대장(소령)으로 임명되었다.[6]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기병대대장으로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전공을 올렸다. 특히 공주-대평리 전투(금강 방어선 전투) 당시 7월 14일 미군 제63포병대대가 북한군에게 포위되어 전멸당할 위기에 놓이자, 기병중대가 적의 배후를 타격하여 미군의 탈출을 도왔다.[6] 이 전공은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가 1979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와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가 1961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 T. R. 페렌바크가 저술한 미국의 유명한 한국전쟁 역사책인 'This kind of War'에도 기술되어 있다.[6]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가 1979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 - [https://new.mnd.go.kr/user/imhc/upload/pblictn2/history_of_war_in_korea02/index.html 한국전쟁사 제2권 지연작전기 (p. 471)] 에서 기병중대의 소대장이었던 조철돈 소위의 증언은 아래와 같다.
'''"우리 중대가 유구전투(평택―조치원부근의 전투 참조)를 치르고 공주로 복귀하다 보니 12일 밤이 되었는데, 그때 이미 공주의 금강교가 끊어진 다음이었다. 그래서 금강 서안을 따라 밤중으로 말을 달려 그 이튿날 13일 아침에 부여대안에 도착, 그곳에서 배를 구하여 부여로 도하하였다. 부여에서 공주로 가다가 지석리(부여 동북쪽 7.5km) 부근에서 하안정찰을 나왔다가 길을 잃은 미군 6명을 만나 함께 삼교리로 갔다. 그곳에 포진지가 있었고, 서쪽 강변에는 미군수색중대와 공주경찰병력이 배치되어 있다고 하였다. 중대는 우금치(삼교리 동북쪽 1.8km) 남쪽에 중대본부를 두고, 우금치 서쪽 고지에 경계병력을 배치하였다."'''
'''"14일, 중대본부에서 점심식사를 하고 있는데, 고개 서쪽 고지에서 사격이 가해져서, 급히 달려가보니 적이었다. 그 고지의 적을 무찔렀는데 그 동안에 삼교리의 포병진지가 공격을 받게 되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포대를 구출하려고 달려갔으나, 이미 포대가 수라장이 된 뒤여서 적의 등을 찔러 포대와 합세를 하였을 뿐 적을 격퇴하지는 못하였다. 결국 포대와 함께 그곳에서 철수하게 되고말았는데, 105mm곡사포 5문인가 모두 공이를 뽑아 파괴하였다. 중대의 말(馬)에 미군 부상병을 싣고, 우리 병사들은 걸어서 동쪽의 논산도로로 빠졌는데, 도로에 나오니 미군차량들이 대기하고 있다가 그들을 후송해 갔다. 중대는 논산으로 집결하여 그날 밤을 보낸 뒤, 그곳에서부터 미 제34연대의 지휘를 벗어나, 15일 여산―전주로 내려가, 서남지구 전투사령부의 장악하에 들게 되었다."'''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가 1961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 - [https://history.army.mil/html/books/020/20-2/CMH_Pub_20-2.pdf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p. 128)]에는 아래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
'''"A group of South Korean carvalry rode past the battery and attacked west toward the enemy, but the confusion was so great that no one in the artillery position seemed to know what happened as a result of this intervention"'''
T. R. 페렌바크가 저술한 미국의 유명한 한국전쟁 역사책인 [https://erenow.org/ww/this-kind-of-war/9.php 'This kind of War']에는 아래와 같이 기술되어 있다.
'''"Next, it was B Battery's turn. Four hundred enemy infantry surrounded the battery area, and for several minutes something akin to Custer's last stand was repeated. Then, while a group of ROK horse cavalry, who had ridden out of nowhere to attack the enemy, slashed into the North Koreans on the west, the artillerymen went march order."'''
1950년 8월 4일 청송, 경주에 진출하려는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의 공격에 맞서 싸우다가 제766독립보병연대와 교전 중 대대 지휘소가 점령되기 직전 “포로가 되는 수치와 불명예 대신에 차라리 깨끗한 죽음을 택하겠다.”며 자신의 권총으로 자결하였다.[6]
사후, 중령으로 특진되었다.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적으로, 1977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5]。2002년 8월, 전쟁기념관이 "8월의 호국인물"로 선정했다[5]。
2. 1. 독립운동
장철부는 1921년 3월 10일 평안북도 용천군 동하면 법흥동에서 아버지 김여주(金麗柱)와 어머니 장익주(張益柱) 사이에서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김병원이었다.[6] 1941년 오산중학을 졸업하고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에 입학하였다.[6][2] 1944년 1월,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일본군으로 중국 전선에 투입되었다.[6] 중국 서주(徐州)에서 두 번의 탈영을 시도한 끝에 성공하여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들어가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 유격대장으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고, 이때 장철부로 개명하였다.[6][3]1945년 3월 임정 주석 김구의 추천으로 중국 황포군관학교 20기 기병과에 입학,[6][2] 1946년 12월 25일 졸업후, 1947년 귀국하였다.[2] 1948년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에 입교하여 5기로 임관하였다.[6] 1949년 육군본부 직할 독립기갑연대가 창설되자 기갑연대 예하 부대인 제2기병대대장(소령)으로 임명되었다.[6]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기병대대장으로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전공을 올렸다. 특히 공주-대평리 전투(금강 방어선 전투) 당시 미군 제63포병대대가 북한군에게 포위되어 전멸당할 위기에 놓이자, 기병중대가 적의 배후를 타격하여 미군의 탈출을 도왔다.[6] 이 전공은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가 1979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와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가 1961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 T. R. 페렌바크가 저술한 미국의 유명한 한국전쟁 역사책인 'This kind of War'에도 기술되어 있다.[6]
1950년 8월 4일 청송, 경주에 진출하려는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의 공격에 맞서 싸우다가 대대 지휘소가 점령되기 직전 “포로가 되는 수치와 불명예 대신에 차라리 깨끗한 죽음을 택하겠다.”며 자신의 권총으로 자결하였다.[6]
2. 2. 대한민국 국군 장교 임관과 한국전쟁 참전
1921년 3월 10일 평안북도 용천군 동하면 법흥동에서 아버지 김여주(金麗柱)와 어머니 장익주(張益柱) 사이에서 2남 3녀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1941년 정주 오산중학을 졸업하고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44년 1월, 일제에 의해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일본군으로 중국 전선에 투입되었다. 중국 서주(徐州)에서 두 번의 탈영을 시도한 끝에 성공하여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들어가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 유격대장으로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본명인 김병원에서 장철부로 개명하였다.[6]1945년 3월 임정 주석 김구의 추천으로 중국 황포군관학교 20기 기병과로 입학하여 1947년 2월 졸업하고 조선으로 귀국하였다. 1947년 조선경비사관학교(육사)에 입교하여, 1948년 육사 5기로 임관하였다. 1949년 육군본부 직할 독립기갑연대가 창설되자 기갑연대 예하 부대인 제2기병대대장(소령)으로 임명되었다.[6]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기병대대장으로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전공을 올렸다. 특히 공주-대평리 전투(금강 방어선 전투) 당시 7월 14일 미군 제63포병대대 소속의 B포개가 약 400여명의 북한군에게 포위되어 전멸당할 위기에 놓이자, 그가 지휘하는(직접 현장 지휘는 아님) 기병중대가 적의 배후를 타격, 미군의 탈출을 도왔다.[6] 이 전공은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가 1979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 - [https://new.mnd.go.kr/user/imhc/upload/pblictn2/history_of_war_in_korea02/index.html 한국전쟁사 제2권 지연작전기 (p. 471)] 에서 기병중대의 소대장이었던 조철돈 소위의 증언 형식으로 그리고 미 육군 군사((戰史) 연구소(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가 1961년 발간한 한국전쟁 공식 전사(戰史) - [https://history.army.mil/html/books/020/20-2/CMH_Pub_20-2.pdf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p. 128)]와 T. R. 페렌바크가 저술한 미국의 유명한 한국전쟁 역사책인 [https://erenow.org/ww/this-kind-of-war/9.php 'This kind of War']에도 기술되어 있다.
1950년 8월 4일 청송, 경주에 진출하려는 조선인민군 제12사단의 공격에 맞서 싸우다가 대대 지휘소가 점령되기 직전 “포로가 되는 수치와 불명예 대신에 차라리 깨끗한 죽음을 택하겠다.”며 자신의 권총으로 자결하였다.[6]
3. 전공 상세
3. 1. 공주-대평리 전투 (금강 방어선 전투)
4.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장철부 소령의 공훈을 기려 중령으로 1계급 특진을 추서하였다.[6]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호국인물 현양행사[7]와 함께 2002년에는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6] 묘소는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2묘역으로 2002년 8월 12일 안장되었다.[8]
5. 학력
1941년 평북 정주 오산중학을 졸업했다.[2] 1944년 일본 주오 대학 법학과를 중퇴했다.[2] 재학 중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중국으로 파견되었으나 탈영, 김구의 추천으로 황포군관학교에 입학하여[2] 1945년 황포군관학교 20기 기병과를 졸업했다.[4] 1948년 조선경비사관학교 5기를 졸업했다.[2]
6. 장철부를 연기한 배우
6. 1. 영화
1974년 영화 《증언》에서 최창호가 대대장 역을 연기했다.참조
[1]
논문
일제 말기 한인 학병들의 중국지역 일본군 부대 탈출과 항일 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2]
웹사이트
張哲夫
http://www.wmk.kr/ko[...]
戦争記念館
2016-06-06
[3]
웹사이트
張哲夫
https://www.mpva.go.[...]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2016-06-06
[4]
웹사이트
成都本校第二十期第一総隊騎兵独立第一隊学員姓名籍貫表
http://www.hoplite.c[...]
中国黄埔軍校網
2016-06-06
[5]
뉴스
「8月の護国人物」に張哲夫陸軍中領
http://www.hankyung.[...]
2016-06-06
[6]
웹인용
2017년 6월 호국인물 : 장철부 육군 중령
https://www.warmemo.[...]
전쟁기념관
2020-01-25
[7]
웹인용
'8월 호국인물'에 장철부 육군중령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1-25
[8]
웹인용
장철부
http://www.dnc.go.kr[...]
국립대전현충원
2020-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