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프랑수아 드 갈롭 드 라페루즈 백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프랑수아 드 갈롭 드 라페루즈 백작은 프랑스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이다. 그는 1756년 해군에 입대하여 7년 전쟁, 영불 전쟁에 참전했으며, 1785년부터 1788년까지 과학 탐험을 이끌었다. 라페루즈는 알래스카, 캘리포니아, 동북아시아 해안 등을 탐험했으며, 특히 제주도와 울릉도를 발견하고 사할린에서 아이누족을 만났다. 1788년 호주 보타니 만에 도착한 후, 뉴칼레도니아, 솔로몬 제도 등을 탐험하다가 실종되었다. 그의 탐험대는 바니코로 섬에서 난파되었으며, 1826년과 1828년에 잔해가 발견되었다. 라페루즈는 대한민국, 일본과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지명, 기념물, 문화 작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 탐험가 - 마미야 린조
    마미야 린조는 1775년 이바라키현에서 태어나 홋카이도 이북 지역 측량, 사할린 섬 확인, 마미야 해협 발견 등 지도 제작에 기여하고 흑룡강 하구 탐사로 러시아 동향을 파악한 에도 막부의 탐험가이자 관리였다.
  • 프랑스의 실종자 -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프랑스 작가이자 조종사였던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는 『어린 왕자』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공군 조종사이자 국제 항공 우편 업무 종사자,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공군 복귀 후 비행 임무 중 실종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실종자 - 루이 17세
    루이 17세는 루이 16세의 아들 루이 샤를의 추정 왕위 계승 명칭으로, 프랑스 혁명 중 유폐되어 아버지 사후 명목상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여러 미스터리와 자칭 왕위 계승자들을 낳았다.
장프랑수아 드 갈롭 드 라페루즈 백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페루즈, 생 루이 훈장을 달고 있음, 1778년, 주느비에브 브로사르 드 볼리외 그림
라페루즈, 생 루이 훈장을 달고 있음, 1778년, 주느비에브 브로사르 드 볼리외 그림
출생일1741년 8월 23일
사망일기원후 1788년경
출생지알비, 프랑스
사망지바니코로, 솔로몬 제도 (추정)
군사 정보
소속프랑스 해군
복무 기간1756년–1788년
계급준장
* 사령관
당대 동등 계급
소장 또는 준장
지휘Amazone
Astrée
Boussole
주요 전투7년 전쟁
루이스부르 원정
키베롱 만 해전
신호 언덕 전투
미국 독립 전쟁
1781년 7월 21일 전투
세인트 키츠 전투
세인츠 해전
허드슨 만 원정
수상생 루이 기사
추가 정보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라페루즈는 ''아스트레''를 지휘하여 1781년 7월 21일의 해전에 참전했다.


장프랑수아 드 갈롭 드 라페루즈는 프랑스 알비 근처에서 태어났다.[1] 그의 가문은 1558년에 귀족 작위를 받았다.[2]

라페루즈는 예수회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1756년 11월 19일 브레스트에서 해군 사관생도로 해군에 입대했다. 1757년 그는 프랑스 군함 ''셀레브르''에 배치되어 뉴 프랑스의 루이부르 요새로 가는 보급 원정에 참여했다. 라페루즈는 1758년에도 루이부르로 가는 두 번째 보급 원정에 참여했으나, 당시 7년 전쟁 초기 루이부르 요새가 포위 상태였기 때문에, 원정대는 영국 순찰대를 피해 뉴펀들랜드를 우회해야 했다.

1759년 라페루즈는 키브롱 만 해전에서 ''포르미더블''에 탑승하여 복무하던 중 부상을 입었다. 그는 영국군에게 포로로 잡혀 잠시 수감되었다가 프랑스로 석방되었고, 1760년 12월 정식으로 교환되었다.[3] 1762년에는 프랑스군의 뉴펀들랜드 점령 시도에 참여했으며, 영국군이 대규모로 도착하자 함대와 함께 탈출했다.

1778년 영불 전쟁이 발발하자 라페루즈는 32문 프리깃 ''아마존''의 지휘를 맡았다. 1779년 10월 7일, 그는 20문 HMS ''아리엘''을 나포하는 전과를 올렸다. 라페루즈는 1780년 4월 4일 선장으로 진급했으며, 테르네 제독 휘하의 특별 원정대에 소속되어 1780년 5월 2일 브레스트를 출발했다. 1780년 10월부터 11월까지 ''아마존''은 로드아일랜드에서 로리앙까지 항해한 뒤, 카리브해로 향했다.

이후 라페루즈는 ''아스트레''로 옮겨갔다. 1781년 여름, 그는 50문 ''사지테르''의 지휘를 제안받았지만, 그의 승무원들이 괴혈병으로 고통받고 있었기에 ''아스트레''의 지휘를 유지하도록 허가를 요청했다. 대신 그는 라투슈-트레빌 휘하에서 ''에르미온''과 함께 프리깃 사단을 이끌도록 임명되었다.

라페루즈는 1781년 12월 서인도 제도로 호송선을 호위했고, 1782년 2월 세인트 키츠 공격에 참여했다. 이후 로드니 제독의 함대와의 생트 해전에서는 패배를 겪었다. 1782년 8월, 그는 허드슨 만 원정을 이끌어 허드슨 만 해안에 있는 영국의 주요 무역 기지 두 곳(웨일스 공 요새와 요크 요새)을 성공적으로 점령하며 명성을 높였다. 이때 그는 웨일스 공 요새의 지사였던 새뮤얼 헌을 포함한 영국인 생존자들에게 식량과 탄약을 제공하고, 영국에 억류된 프랑스 포로 석방을 약속받는 조건으로 영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인도적인 조치를 취했다.

2. 1. 결혼

1783년, 라페루즈는 루이즈-엘레오노르 브루두와 결혼했다. 그녀는 수수한 배경의 젊은 크레올 여성으로, 라페루즈는 결혼 8년 전 프랑스령 일 드 프랑스(현재의 모리셔스)에서 처음 만났다. 그의 가족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마침내 이 결혼을 승낙했다.[4][5]

3. 과학 탐험 (1785-1788)

오른쪽에 앉아 있는 루이 16세가 1785년 6월 29일 라페루즈에게 지시를 내리는 모습, 니콜라-앙드레 몽시오 (1817). (베르사유 궁전)


1785년, 라페루즈는 루이 16세 국왕과 해군 장관 샤를르 외젠 가브리엘 드 라 크루아 드 카스트리 백작의 명을 받아 세계 일주 탐험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유럽 여러 나라는 경쟁적으로 과학 탐험 항해에 나서고 있었다.

루이 16세와 프랑스 궁정은 네덜란드 출신 상인 모험가 윌리엄 볼츠의 제안에서 영감을 얻었다. 볼츠는 이전에 마리 앙투아네트 여왕의 오빠인 요제프 2세에게 비슷한 항해를 제안했지만 거절당한 바 있었다. 프랑스는 볼츠의 구상을 받아들여 라페루즈 탐험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항만 및 군수창고 국장 샤를 피에르 클라레 드 플뢰리외는 탐험 계획 초안에서 볼츠의 아이디어가 유용했다고 인정하면서도, 탐험 계획은 볼츠의 구상과는 다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루이 16세에게 보고했다.

탐험의 주된 목표는 영국의 탐험가 제임스 쿡이 시작한 태평양 탐사를 마무리하고, 태평양 지역의 지도를 수정하고 완성하는 것이었다. 라페루즈는 쿡을 매우 존경했다. 이외에도 새로운 무역 상대를 찾고, 새로운 해상 항로를 개척하며, 프랑스의 과학 지식과 수집품을 늘리는 것도 중요한 목표였다. 그의 함선은 500톤급 프리깃함으로 개조된 보급선인 ''부솔''호(라페루즈 지휘)와 ''아스트롤라브''호(플뢰리오 드 랑글 지휘)였다. 탐험대는 지리, 과학, 민족학, 경제(고래잡이, 모피 무역 기회 탐색), 정치(프랑스 기지 건설 가능성 또는 필리핀에서 스페인과의 협력 모색)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북태평양과 남태평양, 극동 및 호주 해안까지 탐사할 계획이었다. 탐험대는 항해 중 발견한 내용을 태평양에 있는 유럽 기지들을 통해 프랑스에 보고하기로 했다.

탐험 준비 과정에서 라페루즈는 수석 엔지니어 폴 메로 몽네론을 1785년 3월 런던으로 보내 제임스 쿡이 사용했던 괴혈병 예방책과 원주민과의 교역품에 대해 조사하고, 영국산 과학 장비를 구매하도록 했다. 몽네론은 쿡 탐험대의 일원이었던 조지프 뱅크스 경의 도움으로 왕립 학회를 통해 쿡이 사용했던 경사 나침반 두 개를 빌릴 수 있었다. 또한 램스덴과 같은 영국의 유명 제작사로부터 여러 과학 기기를 구매했으며, 새로운 형태의 육분의 두 개를 추가로 확보하기도 했다. 몽골피에 형제는 탐험대에 자신들이 발명한 열기구 시제품 두 개를 제공했지만, 항해 중 사용되었다는 기록은 없다.[8]

장프랑수아 드 갈롭 드 라페루즈 백작의 석판화 (1835년경), 앙투안 모랭,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도서관


라페루즈는 부하들에게 신망이 높았다. 탐험대에는 총 114명의 승무원이 탑승했으며, 그중에는 10명의 과학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조제프 르포트 다젤레, 지리학자 로베르 드 라마농, 식물학자 라 마르티니에르, 물리학자, 3명의 박물학자, 그리고 화가인 가스파르 뒤셰 드 방시와 그의 조카 프레보 등이 참여했다.[10] 장-앙드레 몽제와 같은 다른 과학자들과 과학적 소양을 갖춘 군종 신부 두 명도 동행했다.

흥미롭게도, 당시 16세의 코르시카 출신 청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도 이 탐험대에 지원했었다.[11] 파리 군사학교 출신이었던 그는 예비 명단에 올랐으나 최종 선발되지 못하고 프랑스에 남게 되었다. 당시 나폴레옹은 수학과 포병술에 능숙하여 육군보다 해군 복무에 관심을 보였다.

탐험대는 제임스 쿡 탐험대의 과학자들이 사용했던 방식을 따라 정밀한 크로노미터와 월거리법을 이용해 경도를 측정하고, 도르래 삼각 측량이나 배에서 측정한 방위를 이용해 지도를 제작할 계획이었다.[12] 라페루즈의 탐험은 쿡이 증명한 과학적 항해술과 지도 제작법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그의 항해를 통해 경도 측정 문제가 해결되었고, 지도 제작은 과학적 정확성을 갖추게 되었다. 비록 아메리카 북서부 해안의 짙은 안개 때문에 완벽한 지도를 만들지는 못했지만, 기존 지도의 빈 곳을 채우는 데 기여했다.

3. 1. 탐험 경로

1785년 8월 1일, 라페루즈는 ''부솔''과 ''아스트롤라브'' 두 척의 배를 이끌고 브레스트 항구를 출발했다.[13] 탐험대는 케이프 혼을 돌아 남아메리카 대륙 남단을 통과한 후, 칠레스페인 식민지를 방문하여 실태를 조사했다.[14]

1786년 4월 9일, 탐험대는 태평양의 이스터 섬에 도착했다.[15]
1786년 탐험대가 방문했을 당시의 이스터 섬
이후 북쪽으로 항해하여 당시 샌드위치 제도로 불리던 하와이 제도로 향했고,[16] 마우이 섬에 상륙했는데, 이는 유럽인으로서는 최초의 기록이었다.

알래스카로 항해를 계속하여 1786년 6월 말 세인트 엘리아스 산 근처 해안에 상륙하여 주변 지역을 탐험했다.
1786년 7월, 알래스카 리투야 만에 정박한 라페루즈 함대
그러나 1786년 7월 13일,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했다. 라페루즈가 '프랑스인의 항구(Port des Français)'라고 명명한 리투야 만에서 바지선 1척과 롱보트 2척이 거센 해류에 휩쓸려 선원 21명이 목숨을 잃었다.[18] 이곳에서 틀링깃족 원주민과 만나기도 했다.[19] 이후 남쪽으로 항로를 잡아 현재의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과 섬들을 탐험했다.[20][21]

라페루즈 탐험대의 항해 경로


1786년 8월 10일부터 30일 사이에는 남하하여 당시 스페인령이던 캘리포니아 지역으로 이동했다. 9월 7일에는 샤스타 산의 분화를 목격했다고 기록했으나, 이 기록의 신빙성은 현재 낮게 평가된다.[22][23] 샌프란시스코 요새에 잠시 들러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의 약도를 제작하기도 했다. 9월 14일에는 몬터레이 만과 몬터레이 요새에 도착했다.[24] 라페루즈는 캘리포니아의 스페인 정착촌, 란초, 선교 시설 등을 둘러보며 실태를 조사했다. 특히 프란치스코회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선교 시설에서 캘리포니아 원주민들을 대하는 방식과 인디언 감소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기록으로 남겼으며, 선교 시설의 상황을 노예 농장에 비유하기도 했다.[26] 당시 프랑스와 스페인은 우호 관계였음에도 불구하고, 라페루즈의 이러한 기록은 식민 통치의 현실을 보여준다.

이후 라페루즈 함대는 100일간 태평양을 횡단했다. 이 과정에서 하와이 제도 북서쪽의 네커 섬과 프렌치 프레게이트 암초를 발견했다. 아시아 대륙에 처음 도착한 곳은 마카오였다. 이곳에서 알래스카에서 얻은 모피를 판매하고 그 수익을 선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27] 1787년 4월 9일에는 필리핀마닐라에 들러 보급품을 확보한 후,[28] 동북아시아 해안을 탐험하기 시작했다.

라페루즈 탐험대가 작성한 동해오호츠크해 지도


탐험대는 타이완 섬 부근을 지나 5월 21일에는 제주도 근해에 도달했다. 당시 제주도는 1653년 헨드릭 하멜 일행의 표류 이후 유럽인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은 곳이었다. 5월 25일에는 대한 해협을 통과했고, 5월 27일에는 울릉도를 발견하여 탐험대의 천문학자 조제프 르포트 다젤레의 이름을 따 '다젤레(Dagelet) 섬'이라고 명명했다. 악천후로 인해 울릉도 상륙은 시도하지 못했다. 이후 일본 노토 반도 근해를 거쳐 동해를 횡단하며 한반도 동해안 일부를 조사했다.

7월 6일에는 '오쿠-예소'라고 불리던 사할린 섬에 도착했다. 현지 주민인 아이누족은 라페루즈에게 사할린과 홋카이도(당시 '예조'), 그리고 아시아 본토(타타르 해안)가 그려진 지도를 보여주었다. 라페루즈는 사할린과 아시아 대륙 사이의 해협(현재의 마미야 해협, 당시 타타르 해협으로 불림)을 통과하려 했으나, 수심이 얕다는 아이누족의 정보에 따라 북상을 포기하고 남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8월에는 사할린과 홋카이도 사이의 소야 해협을 통과했는데, 이 해협은 후에 그의 이름을 따 라페루즈 해협으로 명명되었다. 여기서도 아이누족과 교류하고 쿠릴 열도 일부를 탐험했다.

1787년 9월 7일, 탐험대는 러시아 제국의 캄차카 반도에 있는 페트로파블롭스크 항구에 도착했다.[29] 이곳에서 선원들은 휴식을 취하며 현지 주민들의 환대를 받았다. 라페루즈는 파리에서 온 편지를 통해 영국이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에 건설 중인 식민지를 조사하라는 새로운 지시를 받았다. 탐험대의 통역관이었던 바르텔레미 드 레셉스는 이곳에서 하선하여 탐험 기록과 편지 등을 가지고 육로를 통해 프랑스로 귀환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1년여에 걸친 시베리아 횡단 끝에 무사히 프랑스에 도착하여 탐험대의 기록을 전달했고,[30] 결과적으로 탐험대의 유일한 생존자가 되었다.

라페루즈가 보타니 만에서 프랑스로 보낸 마지막 편지. 영국 수송선 ''알렉산더''호가 유럽으로 전달했다.


캄차카를 떠난 탐험대는 남태평양으로 향하여 1787년 12월 6일 사모아 제도에 도착했다.[31] 그러나 이곳에서 또다시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투투일라 섬의 마사크르 만에서 물을 구하러 간 선원들이 사모아 원주민들의 습격을 받아 ''아스트롤라브''호의 함장 폴 앙투안 플뢰리오 드 랑글과 과학자 로베르 드 라마농을 포함한 12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을 입었다.[32] 라페루즈는 보복을 자제하고 통가로 이동하여 보급을 받은 뒤, 아타와 노퍽 섬을 발견하며 항해를 계속했다.

1788년 1월 24일, 라페루즈 함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보타니 만에 도착했다.[34] 며칠 전 이곳에는 아서 필립 제독이 이끄는 영국의 제1 함대가 도착해 있었다. 영국 함대는 뉴사우스웨일스에 새로운 죄수 식민지를 건설할 목적이었으나, 필립 제독은 보타니 만이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실제 정착지는 북쪽의 포트 잭슨(현재의 시드니 항) 내 시드니 코브에 건설하기로 결정한 상태였다.[35] 라페루즈 함대가 도착했을 때는 강풍으로 인해 영국 함대의 이동이 1월 26일로 지연된 상황이었다.

프랑스 탐험대는 영국 측으로부터 정중한 대우를 받았으며, 약 6주간 보타니 만에 머물렀다. 라페루즈와 필립 제독이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양측 장교들은 여러 차례 교류하며[36] 필요한 물품을 주고받았다.[34] 프랑스 측에서는 로베르 쉬통 드 클로나르 함장이 시드니 코브를 방문하여 필립 제독을 만나기도 했다.[37][38][39] 머무는 동안 프랑스 탐험대는 임시 천문대와 정원을 만들고, 미사를 집전했으며, 지질 조사를 수행했다.[40] 라페루즈는 영국 함대의 수송선 ''알렉산더''호를 통해 자신의 항해 일지, 지도, 편지 등을 유럽으로 보냈다.[41] 안타깝게도 ''아스트롤라브''호의 사제였던 루이 레세뵈르 신부는 사모아에서 입은 부상이 악화되어 2월 17일 보타니 만에서 사망했고, 프렌치맨스 코브 해변에 묻혔다.

2013년 바스티유의 날, 시드니 라페루즈 교외의 라페루즈 기념비에서 열린 기념 행사.


1788년 3월 10일, 필요한 땔감과 식수를 확보한 프랑스 탐험대는 뉴칼레도니아, 산타크루스 제도, 솔로몬 제도, 루이지아드 제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및 남부 해안 탐험을 목표로 보타니 만을 떠났다.[34] 라페루즈는 편지에서 1789년 6월경 프랑스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으나, 이것이 그의 마지막 소식이 되었다. 라페루즈와 그의 탐험대는 이후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며, 그들의 행방은 오랫동안 미스터리로 남았다.

4. 실종 및 수색



1788년 1월 24일, 라페루즈 탐험대는 오스트레일리아 보타니 만에 도착하여[33][34] 아서 필립 제독이 이끄는 영국 제1 함대와 마주쳤다. 영국 함대는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유배지를 건설하기 위해 와 있었으며, 곧 정착지를 포트 잭슨(현재의 시드니 항구)으로 옮겼다.[35] 프랑스 탐험대는 영국 측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6주간 머물렀고,[34][36] 이 기간 동안 천문 관측, 지질 조사 등을 수행했다.[40] 또한, 탐험대의 사제였던 루이 레세뵈르 신부가 사모아에서 입은 부상으로 2월 17일 사망하여 프렌치맨스 코브 해변에 묻혔다. 라페루즈는 영국 상선 ''알렉산더''호를 통해 자신의 항해 기록과 편지들을 유럽으로 보냈다.[41]

1788년 3월 10일, 탐험대는 보급품을 확보한 후 뉴칼레도니아, 산타 크루스 제도, 솔로몬 제도 등을 탐험하기 위해 보타니 만을 떠났다.[34] 라페루즈는 1789년 6월까지 프랑스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했지만,[42] 이것이 그의 마지막 소식이었고, 이후 탐험대의 행방은 묘연해졌다. 루이 16세는 처형 직전까지도 "라페루즈 소식은 없소?"라고 물었다고 전해진다.[42]

탐험대의 실종 이후, 이들을 찾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1791년 9월, 앙투안 브루니 당트르카스토 제독이 라페루즈의 예상 경로를 따라 수색에 나섰고,[45] 1793년 솔로몬 제도의 바니코로 섬을 발견했지만,[46] 직접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 1826년 아일랜드 출신 선장 피터 딜런이 티코피아 섬에서 라페루즈 탐험대의 유물로 보이는 검을 발견하면서 실마리를 찾게 되었다. 그는 이 유물이 바니코로 섬에서 왔다는 정보를 얻어 직접 항해했고, 그곳 산호초에서 난파선의 잔해와 유물들을 발견하여[71] 탐험대가 바니코로 섬에서 난파되었음을 확인했다. 1828년에는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드 뒤르빌도 바니코로에서 추가 유물을 수습했다.[50]

이후에도 난파 경위와 생존자들의 행방을 밝히기 위한 조사가 이어졌다. 1964년에는 ''부솔'' 호로 추정되는 난파선이 발견되었고,[51] 2005년 프랑스 해군의 '바니코로 작전-라페루즈 난파선 추적 2005' 탐사를 통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52][53] 2008년에도 추가적인 수색 작업('라페루즈 작전 2008')이 진행되는 등,[54][55][56][57][58][59] 라페루즈 탐험대의 마지막 흔적을 찾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었다.

1828년 프랑수아 뤼드가 제작한 라페루즈의 사후 흉상

4. 1. 실종 이후 상황 (바니코로 섬)

1788년 보타니 만을 떠난 라페루즈 탐험대는 이후 소식이 끊기면서 행방이 묘연해졌다. 이들의 운명은 오랫동안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았다.

1791년 9월, 조제프 앙투안 브루니 단트르카스토 제독이 라페루즈 탐험대를 찾기 위해 브레스트를 출발했다. 1793년 5월, 그는 산타크루즈 제도의 바니코로 섬에 도착하여 섬 곳곳에서 피어오르는 연기를 목격했다. 이는 조난 신호일 가능성이 있었으나, 섬 주변을 둘러싼 위험한 암초 때문에 접근하여 자세히 조사하지는 못했다.[71] 설상가상으로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면서 수색 작업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비슷한 시기인 1791년 8월 13일, HMS ''바운티'' 호의 반란자들을 추적하던 영국 해군의 에드워드 에드워즈 선장(HMS ''판도라'') 또한 바니코로 섬 근처를 항해하다가 연기 신호를 발견했다. 하지만 그는 이 신호가 반란자들이 보낸 것일 리 없다고 단정하고 이를 무시한 채 항해를 계속했다.[63] 훗날 작가 스벤 발루스(Sven Wahlroos)는 1989년 자신의 저서에서 이 연기가 라페루즈 탐험대 생존자들이 보낸 구조 신호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에드워즈 선장의 무관심과 냉혹함 때문에 생존자들을 구조할 기회를 놓쳤다고 비판하며, 에드워즈가 "해양 역사의 영웅이 될 기회를" 스스로 차버렸다고 평가했다.[63]

탐험대의 비극적인 최후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는 1826년에 이르러서야 아일랜드 출신 선장 피터 딜런에 의해 발견되었다. 딜런은 산타크루즈 제도의 티코피아 섬에서 라페루즈 탐험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검 몇 자루를 우연히 입수했다. 그는 이 유물들이 근처 바니코로 섬에서 난파된 두 척의 큰 배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벵골에서 배를 구해 직접 바니코로 섬으로 향했다. 그곳의 산호초 사이에서 그는 대포알, 닻을 비롯한 난파선의 잔해와 여러 유물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71] 1828년에는 프랑스 탐험가 쥘 뒤몽 드 뒤르빌 역시 바니코로를 방문하여 추가적인 유물을 수습했다.[50] 딜런이 유럽으로 가져온 유물들은 당시 유일하게 생존해 있던 원정대원 바르텔레미 드 레셉스에 의해 ''아스트롤라브'' 호의 비품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딜런이 바니코로 섬의 원주민들로부터 얻은 정보와 이후의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라페루즈 탐험대가 겪었던 재난의 전말은 다음과 같이 재구성될 수 있다.

탐험대의 두 함선 ''부솔'' 호와 ''아스트롤라브'' 호는 모두 바니코로 섬의 암초에 부딪혀 난파되었다. ''부솔'' 호가 먼저 좌초된 것으로 추정된다.[61][71] ''부솔'' 호의 생존자들은 안타깝게도 섬의 원주민들에게 학살당한 것으로 보인다.[61] 이후 ''아스트롤라브'' 호는 짐을 내리고 배를 해체했으며, 이 배의 생존자들은 남은 잔해를 이용하여 두 개의 돛대를 가진 작은 배를 건조했다. 약 9개월 뒤, 이들은 건조한 배를 타고 서쪽으로 항해를 떠났지만, 그 이후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62][71] 한편, 원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족장"으로 보이는 남성 한 명과 그의 하인 한 명 등 소수의 인원이 섬에 더 남아 있었으나, 딜런이 섬에 도착하기 몇 년 전에 이미 바니코로를 떠났다고 한다.[62]

1964년에는 ''부솔'' 호의 난파선으로 추정되는 잔해가 발견되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51] 2005년 5월, 프랑스 해군의 ''자크 카르티에''호를 동원한 "바니코로 작전—라페루즈 난파선 추적 2005" 탐사를 통해 이 난파선이 공식적으로 ''부솔'' 호의 것임이 확인되었다.[52][53] 프랑스 정부는 2008년에도 "라페루즈 작전 2008"이라는 이름으로 추가적인 탐사를 진행하는 등 라페루즈 탐험대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54][55][56][57][58][59]

바니코로 섬의 라페루즈 탐험대 난파 지점에 세워진 기념비


현재 바니코로 섬의 라페루즈 탐험대 난파 지점 부근에는 이들의 비극적인 최후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5. 라페루즈의 유산



캄차카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 있는 라페루즈 기념비


누벨칼레도니아 해양 박물관(누메아, 누벨칼레도니아)에 전시된 수습된 도자기


라페루즈의 탐험과 생애를 기리기 위해 여러 기념물과 장소가 마련되었다. 솔로몬 제도의 바니코로와 캄차카의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는 그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1989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프랑스의 200주년 기념을 맞아 예술가 안테 다브로(오스트레일리아)에게 라페루즈의 기념비적인 청동 조각상을 의뢰했다. 이 조각상은 파리의 프로므나드 도스트랄리에 설치되었다.[69] 그의 이름은 다양한 지명과 선박 등에 남아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5. 1. 대한민국과의 관계

1787년 4월 9일, 마닐라에서 보급을 마친 라페루즈 탐험대는 동북아시아 해안으로 항해를 시작했다.[28] 항해 중 타이완 섬 부근을 지나 5월 21일에는 대한민국제주도 근해에 도달했다. 당시 유럽인들에게 제주도는 1635년 네덜란드 선박의 난파 이후 거의 알려지지 않은 섬이었다.[27] 라페루즈는 제주도를 '궨파트 섬' (Quelpart)으로 기록했다.

이후 탐험대는 5월 25일 대한해협을 통과했으며, 5월 27일에는 울릉도를 발견했다. 라페루즈는 이 섬에 탐험대의 천문학자 조제프 르포트 다젤레(Joseph Lepaute Dagelet)의 이름을 따 '다젤레 섬'(Dagelet Island)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는 울릉도에 상륙을 시도했으나, 기상 악화로 인해 성공하지 못했다. 이후 라페루즈는 일본해를 건너 한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북상하며 연안 조사를 수행했다.

5. 2. 일본과의 관계



1787년 아시아 대륙 북서 해안 탐사를 목표로 항해하던 중, 5월 21일 제주도 근해를 지나 5월 25일 대한 해협을 통과하였다. 5월 27일에는 울릉도를 발견하고 탐험대의 천문학자 조제프 르포트 다줄레(Joseph Lepaute Dagelet프랑스어)의 이름을 따 '다줄레(Dagelet) 섬'으로 명명했으나, 악천후로 상륙하지는 못했다. 이후 일본의 노토 반도 근해에 도달한 뒤, 동해를 횡단하며 한반도 연안을 조사하였다.

같은 해 7월 6일, 당시 '오쿠에조'라 불리던 사할린 섬에 도착했다. 그곳의 원주민인 아이누족은 라페루즈에게 오쿠에조, 에조, 그리고 아시아 본토의 타타르 해안이 표시된 지도를 그려주었다. 라페루즈는 사할린 섬과 아시아 대륙 사이의 해협(타타르 해협, 또는 마미야 해협)을 북쪽으로 통과하려 했으나, 수심이 얕다는 정보를 듣고 항해를 포기했다.

대신 남쪽으로 방향을 돌려 8월에는 사할린 섬(오쿠에조)과 에조 섬 사이의 소야 해협을 통과했다. 이 해협은 훗날 그의 이름을 따 라페루즈 해협으로 명명되었다. 해협 통과 후 쿠릴 열도에서 더 많은 아이누족을 만나고 이 지역을 탐험하였다.

5. 3. 지명

라페루즈의 탐험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계 여러 곳에 그의 이름을 딴 지명이 남아 있다.

소야 곶에 세워진 라페루즈 현창 기념비

  • 라페루즈 해협: 홋카이도와 사할린 섬 사이에 있는 해협. 일본에서는 소야 해협이라고도 부른다. 해협이 내려다보이는 소야 곶 언덕 위에 라페루즈 현창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 라페루즈: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근교의 지역. 보타니 만 북쪽 곶에 위치한다.
  • 라페루즈 만: 미국 하와이주 마우이 섬 남쪽 해안에 있는 만. 라페루즈가 상륙했던 장소이다.
  • 라페루즈 만: 칠레 이스터 섬에 있는 만.
  • 라페루즈 산: 미국 알래스카주 페어웨더 산맥에 있는 산. 높이는 3231m이다.
  • 라페루즈 빙하: 미국 알래스카주 페어웨더 산맥에 있는 빙하.
  • 라페루즈 산: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과이에 있는 산. 높이는 1127m이다.
  • 라페루즈 암초: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과이 서쪽 해안에 있는 암초.
  • 라페루즈 뱅크: 캐나다 밴쿠버 섬 서쪽 해안에 있는 해저 뱅크. 환경 캐나다 기상 부표 46206 (북위 48.83도, 서경 126.00도)이 위치한 곳이다.
  • 라페루즈 산: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에 있는 산. 높이는 1157m이다.
  • 라페루즈 산맥: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에 있는 산맥.
  • 라페루즈 피너클: 미국 하와이주 프렌치 프리깃 숄스에 있는 37m 높이의 암초.
  • 라페루즈 산: 뉴질랜드 남섬의 남알프스 산맥에 있는 산. 높이는 3078m이다.
  • 라페루즈 빙하: 뉴질랜드 남섬 웨스트랜드에 있는 빙하.
  • 라페루즈 거리: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특별구 캔버라의 그리피스 교외에 있는 주요 거리. 레드 힐 쇼핑 센터 북쪽 끝에 라페루즈 동상이 세워져 있다.
  • 라 페루즈 (크레이터): 표면에 있는 충돌구.
  • 라 페루즈 거리 (Rue La Pérouse프랑스어): 프랑스 파리 16구에 있는 거리.

5. 4. 기타



라페루즈의 생애와 항해 관련 유물들은 프랑스 남부 알비의 라페루즈 박물관과 누벨칼레도니아 해양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64] 두 박물관 모두 아스트롤라브와 부솔호에서 수습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65] 또한, 호주 라 페루즈에는 그의 호주 방문을 기념하는 라페루즈 박물관이 있다.[66]

라페루즈의 이름은 다음과 같은 여러 대상에 붙여졌다.

  • 프랑스 해군의 여러 함선
  • ''CMA CGM 라페루즈''(CMA CGM Laperouse): 프랑스 해운 회사 CMA CGM이 운영하는 13,800 TEU급 컨테이너선
  • ''르 라페루즈''(Le Lapérouse): 콤파니 뒤 퐁낭(Compagnie du Ponant)의 크루즈 선박 ''익스플로러'' 클래스의 첫 번째 선박


라페루즈와 그의 탐험은 여러 문학 및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쥘 베른의 1870년 소설 ''해저 2만 리''는 한 장 전체를 할애하여 라페루즈와 그의 배, 선원들의 운명을 다루었다.
  • 미국 드라마 ''북 오브 익스포저''의 에피소드 "The Quest"에서는 등장인물 조엘(롭 모로)이 전설 속 "북쪽의 보석 도시"(뉴욕)로 이어진다고 믿는 라페루즈의 오래된 지도를 발견하는 이야기가 나온다.[67]
  • 나오미 J. 윌리엄스의 소설 ''랜드폴스''는 라페루즈 탐험을 심도 있게 다룬 작품이다.[68]
  •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그의 저서 ''월든''의 첫 번째 장 "경제"에서 사업가의 자세를 설명하며, 항해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그 비극적인 결과의 예시로 "라 페루즈의 말할 수 없는 운명"을 언급했다.
  • 존 애플턴은 라페루즈의 마지막 항해를 소재로 한 장편 오페라 ''장-갤럽 드 라 페루즈의 마지막 항해''를 작곡했다.

참조

[1] 서적 The Explorer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Present Stewart, Tabori & Chang 1996
[2] 문서 Dunmore, pp. 3-4
[3] 문서 Dunmore, John. ''Where fate beckons: the life of Jean-François de la Pérouse''. pp. 26–32
[4] 문서 Novaresio, 1996. p. 181 "married a young Creole girl ... met ... at Mauritius"
[5] 논문 Review of Where Fate Beckons: The Life of Jean-Francois de La Pérouse, by John Dunmore https://www.ufv.ca/j[...] 2009-03
[6] 문서 Robert J. King, ''William Bolts and the Austrian Origins of the Lapérouse Expedition'', Terrae Incognitae, The Journal for the History of Discoveries, vol.40, 2008, pp. 1–28.
[7] 문서 Novaresio, 1996. p. 181 "Lapérouse ships, ''Astrolabe'' and ''Boussole''"
[8] 문서 " Daring French Explorations,1714-1854,Trailblazing adventures around the world.Featuring Bougainville,Laperouse,Dumont d’Urville, and more " Flammarion 2023
[9] 웹사이트 1788 Joseph Dagelet's Letter to William Dawes | Australia's migration history timeline | NSW Migration Heritage Centre https://web.archive.[...] 2019-11-27
[10] 문서 Novaresio, 1996. p. 184 "the mathematician and astronomer Dagelet, the botanist La Martiniére and the geologist Lamanon. Then there were the geographers, the physicists, the physicians, and the illustrators like Duché de Vancy and the two Prévosts (uncle and nephew)."
[11] 문서 Robert W. Kirk, "Paradise Past: The Transformation of the South Pacific, 1520–1929", McFarland & Company, Inc., 2012, p.206.
[12] 문서 De Langle's means of taking [[bearing (navigation)|bearing]]s was exactly that used by Cook.
[13] 문서 Novaresio, 1996. p. 181 "The expedition ... left the port of Brest on the 1st of August, 1785"
[14] 문서 Novaresio, 1996. p. 186 "stopping on the coast of Chile"
[15] 백과사전 Jean-François de Galaup, count de Lapérouse http://www.britannic[...] 2006-09-20
[16] 문서 Novaresio, 1996. p. 186 "Lapérouse headed for Easter Island ... left the island two days after his arrival ... after a brief stop in the Hawaiian Islands"
[17] 문서 Novaresio, 1996. p. 186 "Towards mid-June ... the coast of Alaska, dominated by ... Mount Saint Elias"
[18] 문서 Novaresio, 1996. pp. 186–187 "entered a deep inlet that was baptised French Port (now Lituya Bay) ... On the 13th of July, 1786 .. Only one of the three boats that landed returned ...engulfed by a particularly violent ebb tide. ... Around twenty men perished"
[19] 웹사이트 Pérouse, Jean-Francois de la http://www.abcbookwo[...] abcbookworld.com
[20] 웹사이트 Lapérouse: 1786 Chart of the B.C. Coast http://www.garylittl[...] garylittle.ca
[21] 웹사이트 Alaska's Digital Archives http://vilda.alaska.[...] Vilda Alaska-materials from libraries, museums and archives throughout the State of Alaska USA, including From Atlas du Voyage de la Perouse, No. 17. "1e Feuille." Drawn by Herault, engraved by Bouclet. Published in Paris by "L'Imprimerie de la République" in 1797
[22] 웹사이트 California's Mount Shasta Loses a Historical Eruption https://www.scientif[...] 2019-11-27
[23] 웹사이트 Early Exploration: Lapérouse Expedition, 1786, (Lapérouse, contrary to legend, did not see Mount Shasta in eruption in 1786) https://web.archive.[...] siskiyous.edy 2007-04-27
[24] 문서 Novaresio, 1996. p. 187 "Monterey ... was reached on the 14th of September"
[25] 웹사이트 DCQ Fall Equinox 1999 -- The Caves Ranch https://www.ventanaw[...] 2020-04-23
[26] 웹사이트 Early California: pre-1769–1840s: Missions | Picture This http://picturethis.m[...]
[27] 문서 Novaresio, 1996. p. 187 "After 100 days of sailing ... reached the port of Macao. ... trying to trade the furs they had acquired in North America"
[28] 문서 Novaresio, 1996. pp. 187, 191 "On the 9th of April, 1787, ... set sail for Japan."
[29] 문서 Novaresio, 1996. p. 191 "On the 7th of September, the expedition reached the coast of Kamchatka. The Russian authorities at Petropavlosk"
[30] 문서 Novaresio, 1996. p. 191 "to send a young officer across Siberia and Russia to France with the ships' logs and the valuable charts."
[31] 문서 Novaresio, 1996. p. 191 "On the 6th of December, ... the explorers dropped anchor off a Samoan island."
[32] 문서 Novaresio, 1996. p. 191 "The squad ... was attacked as they were returning to their boats, and 12 men were killed, including De Langle, Lamanon and another officer. Another 20 were seriously wounded."
[33] 문서 Novaresio, 1996. p. 192 "After having reached Tonga, he headed toward Australia"
[34] 서적 1788 : The Brutal Truth of the First Fleet https://trove.nla.go[...] Penguin Random House Australia 2010-10
[35] 논문 What Brought Lapérouse to Botany Bay? https://go.gale.com/[...] 1999-12
[36] 서적 The Road to Botany Bay Randwick & District Historical Society Inc 2000
[37] 서적 The Voyage of Governor Phillip to Botany Bay Stockdale 1789
[38] 뉴스 The Public Advertiser 1791-05-09
[39] 논문 Biographical Dictionary of Irishmen in France: Part XX 1947
[40] 웹사이트 French Firsts | Friends of the Laperouse Museum http://laperousemuse[...] 2013-10-19
[41] 웹사이트 Mail | Friends of the Laperouse Museum http://laperousemuse[...] 2013-10-19
[42] 웹사이트 Finding La Pérouse https://reporter.anu[...] 2019-01-10
[43] 웹사이트 Gallica – France Amérique – La Pérouse et la côte Pacifique https://gallica.bnf.[...] 2019-11-27
[44] 웹사이트 Laperouse museum last documents http://laperousemuse[...] 2019-11-27
[45] 웹사이트 The fate of La Perouse http://www.sl.nsw.go[...] State Library of NSW 2013-02-07
[46] 서적 Where Fate Beckons: The Life of Jean-Francois de la Perouse Exisle Publishing 2006
[47] 웹사이트 In search of Lapérouse http://www.nla.gov.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2002-09
[48] 간행물 La Pérouse, Jean-François de Galaup (1741–1788) 2013-02-14
[49] 뉴스 La Perouse 1825-09-18
[50] 문서 1996
[51] 웹사이트 After Vanikoro-In Search of the Lapérouse Expedition (Lapérouse Museum) http://www.laperouse[...] laperouse-france.fr 2010-07-24
[52] 뉴스 La Perouse wreck identified in Solomon Is http://www.abc.net.a[...] abc.net.au 2008-09-13
[53] 뉴스 One of France's greatest maritime mysteries is slowly yielding up its secrets https://www.theguard[...] 2005-04-08
[54] 웹사이트 Le mystère Lapérouse – Vanikoro 2008 – Report de la mission http://lemysterelape[...] 2010-10-08
[55] 웹사이트 Expédition Lapérouse 2008 http://www.operation[...] 2010-10-08
[56] 웹사이트 Reece Discombe, 1919–2007. (Obituary of one of the divers who investigated the expedition site) http://rspas.anu.edu[...]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20-01-10
[57] 웹사이트 Lapérouse operation 2008 http://www.eramet.fr[...] 2010-10-08
[58] 웹사이트 Expéditon Lapérouse 2008 http://www.operation[...] operationlaperouse 2008 2010-10-08
[59] 웹사이트 Le mystère Lapérouse, enquête dans le Pacifique sud http://www.marine-ma[...] Musée de la Marine
[60] 웹사이트 Launch of "Lapérouse 2008" Operation http://www.eramet.fr[...] 2010-10-08
[61] 서적 Australian Shipwrecks AH and AW Reed 1972
[62] 서적 Narrative and Successful Result of a Voyage in the South Seas, Performed by Order of the Government of British India, to Ascertain the Actual Fate of Lapérouse's Expedition 1829
[63] 서적 Mutiny and Romance in the South Seas Salem House Publishers, c/o Harper & Row 1989
[64] 웹사이트 The Lapérouse museum https://www.albi-tou[...] 2022-01-23
[65] 웹사이트 'What news of Lapérouse?' http://www.theguardi[...] 2022-01-21
[66] 웹사이트 La Perouse Museum https://www.sydney.c[...] 2022-01-23
[67] 뉴스 Northern Exposure, 6X14—'The Quest' http://www.twiztv.co[...] Twiz TV.com 1995-02-08
[68] 서적 Landfalls http://naomijwilliam[...] Farrar, Straus and Giroux 2015
[69] 웹사이트 details of the bust of Jean-François de Galaup https://www.artatsit[...] 2024-02-07
[70] 웹사이트 Find a Grave https://www.findagra[...]
[71] 서적 ウォールデン森の生活 上 小学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