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다과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다과이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샬럿 여왕 제도로 불렸다. 베링 해협을 통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최초 인류가 거쳐간 곳으로 추정되며, 13,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다. 1774년 유럽인에게 처음 발견되었으며, 해양 모피 무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4년, 캐나다 정부는 하이다 족에게 200개 이상의 섬에 대한 권리를 이전하여 원주민 토지 권리를 인정했다. 하이다과이는 독특한 지리적, 생태적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하이다족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이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섬 - 밴쿠버섬
밴쿠버 섬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남서부에 위치하며, 원주민의 고향이자 1774년부터 유럽인들의 탐험이 시작되었고, 밴쿠버 섬 식민지,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와의 통합을 거쳐 캐나다 연방에 가입하여 기술, 임업, 어업, 관광업 등의 산업이 이루어지고 빅토리아를 중심으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섬 - 그레이엄섬 (브리티시컬럼비아주)
그레이엄섬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하이다과이에 속한 섬으로, 여러 커뮤니티가 위치해 있으며 나이쿤 주립공원, 노스 비치, 카노 인렛 등의 명소가 있다. - 캐나다의 군도 - 북극 제도
북극 제도는 북위 60도에서 북극점 사이, 캐나다의 누나부트 준주와 노스웨스트 준주에 걸쳐 있는 36,563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로, 북극 기후와 툰드라 지형을 띠며 이누이트의 문화가 발달했고, 노스웨스트 통로의 영해 문제와 한스 섬 영유권 분쟁이 있었으나 2022년 해결되었다. - 캐나다의 군도 - 벨처 제도
벨처 제도는 캐나다 누나부트 준주 허드슨만에 위치한 원생대 지층의 군도로, 쇄설암과 화성암이 주를 이루며, 사니킬루아크 마을이 있고, 도르셋 문화와 툴레족의 거주 흔적이 있으며, 1610년 헨리 허드슨에 의해 발견되었고, 모피 교역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한다. - 타이가·북방수림 - 핀란드
핀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핀란드어와 스웨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1917년 독립하여 1995년 유럽 연합에 가입하고 2023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으며, 노키아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과 높은 교육 수준 및 사회 복지 시스템을 갖춘 국가이다. - 타이가·북방수림 - 스웨덴
스웨덴은 스칸디나비아 반도 동부에 위치한 북유럽 국가로, 바이킹 시대를 거쳐 독립을 선언하고 발트해 지역 강국으로 부상했으며, 입헌군주제 수립 후 중립을 지키다 NATO에 가입하고 EU 회원국이지만 유로화를 거부하며 높은 사회복지와 삶의 질을 유지하는 국가이다.
하이다과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별칭 | 퀸 샬롯 더 샬롯 |
위치 | 태평양 |
총 섬 수 | 약 150개 |
주요 섬 | 그레이엄 섬 모레스비 섬 |
면적 | 10,180 km² |
최고봉 | 모레스비 산 |
해발고도 | 1,164 m |
국가 | 캐나다 |
행정 구역 |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
최대 도시 | 다징 기즈 |
최대 도시 인구 | 964명 |
인구 | 4,526명 (2021년) |
인구 밀도 | 0.445 명/km² |
시간대 | 태평양 시간대 |
지리 | |
폭 | 55–125 km |
역사 | |
이름 변경 | 2010년 하이다 과이 화해 법에 따라 퀸 샬롯 제도에서 하이다 과이로 변경됨 |
기타 | |
언어 |
2. 역사
1787년 조지 딕슨이 하이다과이를 측량했으며, 그 선단의 한 척(영국 왕 조지 3세의 왕비 샤를로트의 이름을 딴 퀸샤롯 호)의 이름을 따서 "퀸샤롯 제도"로 명명되었다.
1980년대 초, 하이다족의 역사를 존중하고 식민지 시대 명칭인 퀸샤롯 제도를 대체하기 위해 "하이다 과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만들어졌다.[72] "하이다"는 "우리", "사람들"을 의미하며, "하이다 과이"는 "우리의 섬", "사람들의 섬"을 뜻한다. 2009년 12월 11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정부는 2010년 중반에 퀸샤롯 제도를 공식적으로 "하이다 과이"로 바꾸는 법률을 발표했고, 2010년 6월 3일 법률이 통과되어 개칭이 확정되었다.[72] 이 개칭은 캐나다 정부 및 국제기구에서도 인정되었다. 다만, 이 섬들을 포함하는 행정구역인 "스키나 퀸샤롯 지역"의 명칭은 변경되지 않았다.
"세계의 끝 섬들"을 의미하는 옛 이름인 "하아달라 과이"(Xaadala Gwayee, Xhaaidlagha Gwaayaai)도 사용되고 있다.[72][73]
2. 1. 선사 시대

하이다과이는 고고학자들이 베링 해협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최초의 인류가 거쳐간 태평양 연안 경로의 한 지점으로 여긴다.[22] 이 당시 하이다과이는 섬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는 수몰된 대륙붕을 통해 밴쿠버섬 및 본토와 연결되어 있었다.[23][24]
하이다과이에 사람들이 어떻게 정착하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고고학 유적지를 통해 13,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 거주 흔적이 확인되었다.[25] 한때 베링기아에 거주하던 인구는 최후 빙하기 이후 북아메리카 북부로 확산되었고, 에스키모-알류트족과 나데네족 인디언의 기원이 되었다.[26]
하이다 족 족장인 앨버트 에드워드 에덴쇼가 전한 구전설화에 따르면 하이다 족은 알래스카 북부에서 새로운 영토를 찾아 하이다과이로 이주했다고 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빅토리아 대학교의 수중 고고학자들은 2014년 헤카테 해협 해저에서 발견된 석조 구조물이 13,700년 이상 되었으며,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인간 거주 흔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 시대의 해안 유적지는 현재 깊은 수중에 있다.[27]
2. 2. 하이다족의 시대
하이다과이는 고고학자들에 의해 베링 해협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한 최초의 인류가 거쳐 간 태평양 연안 경로의 한 지점으로 여겨진다.[22] 이 당시 하이다과이는 섬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는 수몰된 대륙붕을 통해 밴쿠버섬 및 본토와 연결되어 있었다.[23][24]하이다과이에 사람들이 어떻게 정착하게 되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고고학 유적지를 통해 13,0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인간 거주 흔적이 확인되었다.[25] 한때 베링기아에 거주하던 인구는 최후 빙하기 이후 북아메리카 북부로 확산되었고, 에스키모-알류트족과 나데네족 인디언의 기원이 되었다.[26]
하이다 족 족장인 앨버트 에드워드 에덴쇼가 전한 구전설화에 따르면, 하이다 족은 알래스카 북부에서 새로운 영토를 찾아 하이다과이로 이주했다고 한다.
빅토리아 대학교의 수중 고고학자들은 2014년 헤카테 해협 해저에서 발견된 석조 구조물이 13,700년 이상 되었으며,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인간 거주 흔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려 하고 있다. 이 시대의 해안 유적지는 현재 깊은 수중에 있다.[27]

1787년 조지 딕슨이 하이다과이를 측량했으며, 그 선단의 한 척(영국 왕 조지 3세의 왕비 샤를로트를 기린 퀸샤롯 호)의 명칭에서 유래하여 "퀸샤롯 제도"로 명명되었다.
하이다족의 역사를 존중하고, 식민지적인 명칭인 퀸샤롯 제도를 대체하고자 1980년대 초기에 "하이다 과이"라는 명칭이 만들어졌다.[72] "하이다"는 "우리",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며, "하이다 과이"는 "우리의 섬", "사람들의 섬"이 된다. 2009년 12월 11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정부는 2010년 중반에 퀸샤롯 제도를 공식적으로 "하이다 과이"로 개칭하는 법률을 발표했다. 2010년 6월 3일 법률이 가결되어 개칭이 결정되었으며[72], 이 개칭은 캐나다의 각 정부 및 국제기구에서도 인지되었다. 이 섬들을 포함하는 행정구역 "스키나 퀸샤롯 지역"의 명칭은 이후에도 그대로이다.
"세계의 끝 섬들"을 의미하는 옛 이름인 "하아달라 과이"(Xaadala Gwayee, Xhaaidlagha Gwaayaai)도 사용되고 있다.[72][73]
2. 3. 유럽인과의 접촉
1787년 조지 딕슨이 측량했으며, 선단 중 한 척인 퀸샤롯 호(영국 왕 조지 3세의 왕비 샤를로트의 이름을 땀)의 이름을 따서 "퀸샤롯 제도"로 명명되었다.하이다족의 역사를 존중하고 식민지 시대 명칭인 퀸샤롯 제도를 대체하기 위해 1980년대 초기에 "하이다 과이"라는 새로운 이름이 만들어졌다.[72] "하이다"는 "우리", "사람들"을 의미하며, "하이다 과이"는 "우리의 섬", "사람들의 섬"을 의미한다. 2009년 12월 11일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정부는 2010년 중반에 퀸샤롯 제도를 공식적으로 "하이다 과이"로 바꾸는 법률을 발표했다. 2010년 6월 3일 법률이 통과되어 개칭이 확정되었고[72], 캐나다 정부 및 국제기구에서도 인정되었다. 다만, 이 섬들을 포함하는 행정구역인 "스키나 퀸샤롯 지역"의 명칭은 변경되지 않았다.
"세계의 끝 섬들"을 의미하는 옛 이름인 "하아달라 과이"(Xaadala Gwayee, Xhaaidlagha Gwaayaai)도 사용되고 있다.[72][73]
2. 4. 식민지 시대
이 군도는 1774년 후안 페레즈가 랑가라 섬에서,[35] 1778년 제임스 쿡이, 1786년 라 페루즈가 처음으로 유럽인에게 발견되었다. 1794년, 하이다족은 미국의 해양 모피 무역 선박인 선장 사이먼 메트칼프의 ''이노''를 휴스턴 스튜어트 해협 근처 닌스틴츠에서 나포했고, 쿰쉬와 만 근처에서 ''Resolution''를 나포하여 침몰시켰다.[36] 두 경우 모두 한 명의 선원만 살아남았다. 1851년, 하이다족은 금광 탐사자를 태운 ''조지아나''를 나포하여 약 두 달 동안 선원들을 인질로 잡았다.[37]이 섬들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해양 모피 무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시대 대부분 동안 이 섬들의 무역은 미국인들이 지배했다.[38] 1846년 오리건 조약으로 이 섬에 대한 미국의 주장은 끝났다. 1850년대에 금이 발견된 후, 영국은 남아있는 미국의 영토 주장을 없애려고 노력했다.[39]
샬럿 여왕 제도 식민지는 1851년 모레스비 섬의 골드 러시로 인해 늘어난 미국의 해상 무역 활동에 대응하여 식민지 사무소에서 창설한 영국 식민지였다. 이 식민지를 위한 별도의 행정부나 수도는 설립되지 않았고, 유일한 관리자 또는 임명자는 제임스 더글러스였으며, 그는 동시에 밴쿠버 섬 총독이었다. 이 식민지는 1850년대부터 1866년까지 행정 목적으로 밴쿠버 섬 식민지와 합병되었으며, 이때까지 밴쿠버 섬 식민지는 본토와 합병되었고, 본토는 그 이전까지 별도의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였다.
2. 5. 21세기
이 군도는 1774년 후안 페레즈가 랑가라 섬에서,[35] 1778년 제임스 쿡, 1786년 라 페루즈에 의해 처음 유럽인에게 발견되었다. 1794년, 하이다족은 미국의 해양 모피 무역 선박인 선장 사이먼 메트칼프의 ''이노''를 휴스턴 스튜어트 해협 근처 닌스틴츠에서 나포했고, 쿰쉬와 만 근처에서 ''Resolution''를 나포하여 침몰시켰다.[36] 두 경우 모두 한 명의 선원만 생존했다. 1851년, 하이다족은 금광 탐사자를 태운 ''조지아나''를 나포하여 약 두 달 동안 선원을 인질로 잡았다.[37]이 섬들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의 해양 모피 무역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시대의 대부분 동안 이 섬들의 무역은 미국인들이 지배했다.[38] 1846년 오리건 조약은 이 섬에 대한 미국의 주장을 종식시켰다. 1850년대에 금이 발견된 후 영국은 남아있는 미국의 영토 주장을 배제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39]
샬럿 여왕 제도 식민지는 1851년 모레스비 섬의 골드 러시로 인해 증가한 미국의 해상 무역 활동에 대응하여 식민지 사무소에서 창설한 영국 식민지였다. 이 식민지를 위한 별도의 행정부나 수도는 설립되지 않았는데, 그 유일한 관리자 또는 임명자는 제임스 더글러스였으며, 그는 동시에 밴쿠버 섬 총독이었다. 본질적으로 이 식민지는 1850년대부터 1866년까지 행정 목적으로 밴쿠버 섬 식민지와 합병되었으며, 이때까지 밴쿠버 섬 식민지는 본토와 합병되었고, 본토는 그 이전까지 별도의 브리티시컬럼비아 식민지였다.
2012년 7월, 기업가 러스 조지는 하이다과이 섬에서 수백 마일 떨어진 태평양에 약 90718.50kg의 황산철 먼지를 살포했다. 올드 매싯 마을 의회는 이 지구 공학 실험에 마을 기금 100만달러를 지원하도록 설득당했는데, 이는 "연어 증진 프로젝트"라는 명목이었다.[40] 이 실험은 과거에 철이 부족했던 해역에서 더 많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연어가 발생할 것이라는 개념에 기반했다. 조지는 새로운 플랑크톤의 탄소 격리 효과를 시장성 있는 탄소 상쇄로 활용하여 프로젝트 자금을 조달하려 했다. 이 프로젝트는 비과학적인 절차와 무모함에 대한 비난에 시달렸다. 조지는 100톤의 철은 자연적으로 바다로 유입되는 양에 비해 무시할 만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41]
변호사, 환경 운동가, 시민 단체들은 이 투기를 두 개의 국제 모라토리엄에 대한 "노골적인 위반"이라고 비난하고 있다.[40][42] 조지는 올드 매싯 마을 의회와 변호사들이 이 노력을 승인했으며, 최소 7개의 캐나다 기관이 이를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41] 2013년 5월, 하이다 연어 복원 법인은 조지를 회사의 이사직에서 해임하고 그의 고용을 종료했다.[43] 2013년 연어 회귀량은 5천만 마리에서 2억 2천 6백만 마리로 증가했지만,[44] 1990년 이후 공해상에서 실시된 13건의 주요 철 비료 실험에 대한 연구 결과, 이 방법이 입증되지 않았으며, 하이다과이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과학자들은 실험이 효과가 있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결론지었다.[45]
2024년, 수십 년에 걸쳐 정부와 하이다(Haida)족 간에 협상된 합의에 따라, 브리티시컬럼비아 주는 캐나다 서부 해안의 200개 이상의 섬에 대한 권리를 하이다 족에게 이전했으며, 이를 통해 하이다과이 전역에 걸쳐 하이다 족의 원주민 토지 권리를 인정했다. 이 합의는 캐나다에서 최초로 이루어진 종류의 것이었다.[14][46]
3. 지리
하이다과이는 북위 52도에서 54도, 서경 131도에서 133도 사이에 위치하며, 북쪽 끝은 주 본토보다 알래스카주에 더 가깝다. 행정적으로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스키나-퀸샬럿 지역에 속한다. 총 면적은 약 10180km2로, 일본의 기후현(약 10621km2)보다 약간 좁고, 섬 전체 인구는 약 3,800명이다.
하이다과이 제도는 활동적인 변환 단층인 퀸 샬럿 단층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이 단층은 3~30년마다 상당한 규모의 지진을 발생시킨다. 이는 열도 서해안을 따라 태평양판과 북아메리카판의 수렴으로 인한 것이다.[61][62] 1949년과 2012년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역은 상당한 지질 활동이 일어나는 곳이지만, 잠재적인 위험을 지역 주민에게 경고하기 위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은 거의 없다. 많은 주민들, 특히 원주민 공동체 출신들은 워싱턴이나 알래스카와 같은 인접한 미국 주와 미국 지질조사소(USGS)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러한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환경부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태평양 연안 전역에서 정기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캐스케이디아 섭입대는 몇 가지 추가적인 지진 위험을 초래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섭입대가 섬 서쪽 해안 정착지에 직접적인 쓰나미 위험을 제기한다는 것이다.
3. 1. 위치 및 지형
거의 북위 52도에서 54도, 서경 131도에서 133도에 위치하며, 북쪽 끝은 주 본토보다 알래스카주에 더 가깝다. 행정적으로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스키나-퀸샬럿 지역에 속한다.총 면적은 약 10180km2로, 일본의 기후현(약 10621km2)보다 약간 좁다.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마운트 모레스비(Mount Moresby)의 산꼭대기는 해발 1164m이다. 섬 전체 인구는 약 3,800명이다.
3. 2. 기후
하이다과이의 기후는 해양성(''Cfb'')이지만, 모레스비 산 정상 부근은 아한대 해양성(''Cfc'')이다. 평균 기온과 연중 총 강수량 면에서 스코틀랜드 서부 해안과 매우 유사하지만, 위도는 스코틀랜드 서부 해안보다 낮다. 위도는 52° 39'로, 아일랜드 남부와 같다.[59]텔렐과 샌드스핏 주변의 비교적 보호된 지역에서는 연간 강수량이 1200mm에서 1400mm 사이이다.[60] 월별 평균 강수량은 10월부터 1월까지 현저하게 집중되며, 12월이 가장 습한 달로 평균 약 198mm이며, 대부분 비가 내리지만 눈이 올 수도 있다. 5월부터 7월까지는 눈에 띄게 건조한 계절이며, 가장 건조한 달인 7월에는 평균 약 46.4mm의 비가 내린다.
강설량은 일반적으로 적당하며, 평균 10cm에서 70cm 사이이지만, 북쪽의 랑가라 섬에서는 약 100cm의 강설량을 보인다.
강수는 일반적으로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가을부터 초겨울까지), 비교적 보호된 지역에서도 모든 날의 약 3분의 2에서 발생하며, 직사광선은 부족하여 하루 평균 약 3~4시간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습구 온도 (°C) | 13.9 | 13.5 | 13.5 | 17.9 | 23.2 | 28.5 | 30.9 | 30.3 | 27.4 | 24.5 | 17.9 | 15.0 | 30.9 |
역대 최고 기온 (°C) | 12.4 | 13.4 | 13.9 | 18.9 | 21.7 | 26.7 | 27.8 | 26.7 | 24.1 | 20.6 | 16.3 | 13.4 | 27.8 |
평균 최고 기온 (°C) | 6.4 | 6.7 | 7.8 | 9.7 | 12.3 | 15.0 | 17.3 | 18.1 | 16.1 | 12.2 | 8.4 | 6.7 | 11.4 |
평균 기온 (°C) | 4.0 | 4.1 | 4.9 | 6.6 | 9.4 | 12.2 | 14.5 | 15.2 | 13.2 | 9.4 | 5.7 | 4.2 | 8.6 |
평균 최저 기온 (°C) | 1.6 | 1.5 | 1.9 | 3.4 | 6.4 | 9.3 | 11.6 | 12.2 | 10.2 | 6.6 | 3.0 | 1.7 | 5.8 |
역대 최저 기온 (°C) | -13.9 | -12.3 | -12.2 | -5.1 | -1.1 | 2.2 | 5.0 | 1.9 | -0.6 | -3.1 | -15.5 | -12.8 | -15.5 |
평균 강수량 (mm) | 190.7mm | 130.8mm | 116.8mm | 97.7mm | 66.4mm | 51.7mm | 48.1mm | 62.2mm | 83.5mm | 169.5mm | 193.8mm | 196.2mm | 1407.5mm |
평균 강우량 (mm) | 178.4mm | 120.8mm | 112mm | 96.6mm | 66.4mm | 51.7mm | 48.2mm | 62.3mm | 83.5mm | 169.5mm | 191.8mm | 190mm | 1371.2mm |
평균 강설량 (cm) | 12.7cm | 9.9cm | 5.2cm | 1cm | 0cm | 0cm | 0cm | 0cm | 0cm | 0cm | 3cm | 6cm | 37.9cm |
평균 강수 일수 (≥ 0.2 mm) | 23.3 | 19.2 | 21.5 | 19.9 | 17.7 | 15.8 | 14.9 | 14.8 | 17.3 | 22.8 | 24.0 | 23.8 | 234.9 |
평균 강우 일수 (≥ 0.2 mm) | 21.8 | 17.8 | 20.9 | 19.8 | 17.7 | 15.8 | 14.9 | 14.9 | 17.3 | 22.8 | 23.3 | 22.7 | 229.7 |
평균 강설 일수 (≥ 0.2 cm) | 3.6 | 2.8 | 2.2 | 0.9 | 0.0 | 0.0 | 0.0 | 0.0 | 0.0 | 0.0 | 1.5 | 2.0 | 13.0 |
평균 상대 습도 (%) | 84.4 | 80.1 | 77.1 | 76.4 | 76.0 | 77.1 | 76.1 | 76.1 | 76.3 | 78.5 | 81.6 | 84.6 | 78.7 |
평균 일조 시간 | 41.9 | 77.2 | 115.9 | 157.7 | 194.0 | 183.8 | 195.9 | 187.7 | 137.9 | 98.0 | 58.4 | 44.8 | 1493.1 |
3. 3. 지질
하이다과이 제도는 활동적인 변환 단층인 퀸 샬럿 단층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이 단층은 3~30년마다 상당한 규모의 지진을 발생시킨다. 이는 열도 서해안을 따라 태평양판과 북아메리카판의 수렴으로 인한 것이다.[61][62] 하이다과이에서는 1949년과 2012년에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역은 상당한 지질 활동이 일어나는 곳이지만, 잠재적인 위험을 지역 주민에게 경고하기 위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은 거의 없다. 많은 주민들, 특히 원주민 공동체 출신들은 워싱턴이나 알래스카와 같은 인접한 미국 주와 미국 지질조사소(USGS)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에 대해 비판적이다. 이러한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캐나다 환경부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태평양 연안 전역에서 정기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캐스케이디아 섭입대는 몇 가지 추가적인 지진 위험을 초래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섭입대가 섬 서쪽 해안 정착지에 직접적인 쓰나미 위험을 제기한다는 것이다.
4. 생태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하이다과이는 약 기원전 55,000년경에 툰드라와 순록, 매머드를 포함한 초식 포유류가 서식하는 낮은 초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매머드나 마스토돈 화석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이 연구에서는 그레이엄 섬의 나이쿤 주립 공원 내 케이프 볼(Cape Ball) 부지에서 고대 이탄 속에서 분뇨를 먹는 곰팡이가 발견되었다.[53] 툰드라와 같은 풍경은 그 후 고산 숲과 초원이 혼합된 형태로 진화했다.[53]
마지막 플라이스토세 빙하기가 이 군도에서 약 기원전 16,000년에 물러났는데, 이는 브리티시컬럼비아 해안의 나머지 지역보다 약 2,000년이나 빨랐다.[54] 이러한 점과 그 후 본토로부터의 격리는 1970년대에 하이다 원주민 및 환경 운동가들이 "북쪽의 갈라파고스"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했으며, 이는 많은 고유 식물과 동물이 있는 독특한 생물문화적 지대이다. 이 온대 북반구 삼림 지역의 기후는 이 지역의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알래스카 해안 대부분과 마찬가지로 북태평양 해류의 영향을 받아 연중 많은 강수량과 비교적 온화한 기온을 보인다.
이 섬들은 가문비나무, 서부 붉은 삼나무, 노랑 삼나무(노트카 사이프러스), 해안 소나무, 서부 캐나다솔송나무, 고산 캐나다솔송나무, 서부 주목 및 붉은 오리나무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큰 나무가 있는 탄 숲의 고향이다. ''퀸 샬럿 제도 식물상''[55]은 이 섬들의 식물을 설명한다.
토양은 다양하다. 이탄은 배수가 잘 안 되는 평지, 심지어 습한 지역의 경사진 땅에서도 흔하다.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는 잘 발달된(캐나다 분류에 따른 잘 정의된 eluvial horizon, Ae) 성숙한 토양이 교란되지 않은 지역에서 포드졸을 이룬다.[56] 벌채나 풍도와 같은 교란의 역사는 Ae가 다른 수평선과 혼합되어 부분적으로만 보인다.[57]
키이드키야스(Golden Spruce)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 노란색 가문비나무로, 그레이엄 섬에서 가장 큰 야쿤 강 근처에 있었다. 이 나무는 산업 벌목 행위에 대한 항의로 1997년 불법적으로 잘려나갈 때까지 인기 있는 관광 명소였다.
1996년 봄부터 1997년 11월 30일까지, 이 섬들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볼거리는 수컷 백색 까마귀였다. 그는 포트 클레멘스 주변에서 살았고, 현지인과 방문객 모두에게서 먹이를 얻는 모습이 흔히 목격되었다. 그는 변압기와 접촉한 후 죽었다. 흰 까마귀는 전 포트 클레멘스 주민이자 박제사인 로저 브리튼 시니어와 주니어에 의해 보존되었으며, 포트 클레멘스 역사 협회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58]
5. 교통
하이다 과이에는 대중교통이 없다. 택시와 렌터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셔틀을 예약할 수도 있다.[16]
섬과 브리티시컬럼비아 본토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수단은 샌드스핏 공항, 매싯 공항, 그리고 스키데이트의 BC 페리 터미널이다.
16번 고속도로의 가장 서쪽 구간은 매싯과 그래함 섬의 스키데이트를 연결하며,[3] 스키데이트는 MV '노던 어드벤처'를 통해 정기적인 BC 페리 서비스를 이용하여 본토의 프린스 루퍼트와 연결된다. 페리 예약은 강력히 권장된다.[16]
또한 스키데이트와 모레스비 섬의 앨리포드 베이 사이에도 정기적인 BC 페리 서비스가 제공된다. 수상 비행기 서비스는 앨리포드 베이 수상 비행장 및 매싯 수상 비행장과 같은 시설과 연결된다.
그래함 섬에는 120km의 고속도로가 있다. 모레스비에는 20km의 포장 도로만이 해안선을 따라 있다.[17]
6. 경제
경제는 혼합형이며, 예술과 천연 자원을 포함하고, 주로 벌목과 상업적 어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서비스 산업과 정부 관련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최근 몇 년 동안 관광업, 특히 어업 및 관광 가이드, 자전거 타기, 캠핑, 그리고 어드벤처 관광이 경제에서 더 두드러진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카이 일니가이에 하이다 문화 유산 센터가 설립되면서 원주민 문화 관광이 더욱 강화되었다.
7. 교육
공립 교육은 하이다과이 교육구 50을 통해 제공되며, 이곳은 매셋, 포트 클레멘스, 다징 기이즈(과거 퀸 샬럿), 샌드스핏, 스키데게이트에 초등학교와 중등학교를 운영한다. 올드 매셋 빌리지 의회는 K/4부터 5학년(2023-24 학년도부터 6학년까지)까지의 학교인 치프 매튜스 학교를 운영한다.[18] 노던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와 하이다과이 고등 교육 협회를 통해 하이다 헤리티지 센터에서 고등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된다.[19]
8. 보건
노던 헬스에서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북부 지역에 공공 자금으로 운영되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이다과이에는 두 개의 병원이 있다. 하나는 매싯에 있는 노던 하이다과이 병원 및 건강 센터이고, 다른 하나는 2015년 가을에 완공된 다징 기즈의 하이다과이 병원이다.
하이다과이에는 브리티시컬럼비아 구급차 기지 4곳이 있다. 이 기지에는 약 36명의 임시 응급 의료 대응자(EMR)와 매싯에 기반을 둔 1명의 파트타임 지역 사회 응급 구조사가 근무하고 있다.
9. 인구
1774년 유럽인과 접촉 당시 하이다과이의 인구는 약 30,000명으로, 여러 마을에 거주했으며 하이다의 다른 씨족과 다른 민족에서 온 노예 인구를 포함했다. 1800년대에 인구의 90%가 천연두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티푸스, 홍역, 매독을 포함한 다른 질병들도 발생하여 더 많은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0] 1862년 태평양 북서부 천연두 유행만으로도 하이다족의 70% 이상이 사망했다.
1900년까지 섬에는 350명만이 남았다. 사람들은 고향을 떠나 스키데게이트와 올드 매싯 마을, 본토의 통조림 공장 마을, 또는 밴쿠버 섬으로 갔기 때문에 마을은 버려졌다. 오늘날, 약 4,500명[20]의 사람들이 섬에 살고 있다. 원주민(하이다)의 약 70%가 스키데게이트와 올드 매싯의 두 커뮤니티에 거주하며, 각 커뮤니티의 인구는 약 700명이다. 하이다족은 섬 전체 인구의 45%를 차지한다.
앤서니 섬과 닌스틴츠 하이다 마을 유적은 200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네스코는 결정에서 질병으로 인한 인구 감소가 하이다족의 "사라진 문명"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21]
10. 문화
북서 해안 미술
빌 리드의 작품 ''하이다 과이의 정신''은 2004년부터 2011년까지 발행된 캐나다 20달러 지폐 뒷면에 실렸다.[63] 카누를 탄 하이다 추장을 묘사한 이 작품에는 신화 속 전령 까마귀, 개구리, 독수리가 함께 등장한다. 이 조각의 첫 번째 주조품인 ''하이다 과이의 정신: 검은 카누''는 워싱턴 D.C.에 있는 캐나다 대사관 아트리움에 전시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인 ''하이다 과이의 정신: 옥 카누''는 밴쿠버 공항에 전시되어 있다. 하이다 미술은 대형 기념비적인 크기의 삼나무 토템 기둥과 통나무 카누, 수공예 금은 세공 장신구, 하이다 만화 형식의 만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0. 1. 문화 유산 반환
영국 벅스턴 박물관 및 미술관은 소장품 중 일부를 하이다인에게 반환했다. 박물관은 북미 원주민 및 퍼스트 네이션 유물을 반환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이 유물을 돌려주었다.[64]10. 2. 하이다어
하이다어는 아타바스칸-에약-클링깃어와 몇 가지 유사점을 근거로 나데네어족의 일부로 분류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많은 언어학자들은 그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여기며 하이다어를 고립어로 계속 간주하고 있다. 하이다어 화자는 50명 남짓이며, 모두 70세 이상이다. 텔러스와 꽌 트러스트는 최근 150km 마이크로파 중계기를 통해 섬에 광대역 인터넷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이를 통해 80개 이상의 언어, 이야기 및 구두 역사의 CD에 대한 상호 작용 연구가 가능해졌다.11. 대중 문화 속 하이다과이
- 하이다과이는 독특한 숲과 생태계로 인해 1970년대부터 ''사물의 본성'' 다큐멘터리에 등장했다. 1990년대 이후 많은 야생 동물 및 모험 관광 TV 시리즈(미국 및 캐나다)도 이 섬을 지구 트레킹 장소로 소개했다.
- 하이다과이와 그 사람들은 다큐멘터리 ''하이다과이: 세상의 가장자리''의 주제이다.
- 퀸 샬럿 제도는 리처드 드레이퍼스와 해리 터틀도브의 스팀펑크 대체 역사 소설 ''두 조지''에서 중요한 장소이다. 이 책은 공식적인 개명이 있기 15년 전인 1995년에 출판되었다.
- 이 섬들은 더글러스 커플랜드의 2009년 소설 ''제너레이션 A''의 배경이기도 하다.
- 하이다과이, 특히 닌스틴츠는 루이즈 페니의 소설 ''잔혹한 이야기''의 핵심 장소이다.
- 시인 로버트 브링허스트는 신화 전달자 간들 및 스카이가 전한 이야기들을 번역한 일련의 작품을 출판했다.
- 캐나다 작가 R.J. 할릭의 저서 ''The Silver Totem of Shame''의 일부는 하이다과이를 배경으로 한다.[65]
- 하이다과이에서의 항해가 로빈 에스록의 베스트셀러 ''The Great Canadian Bucket List''에 소개되었다.[66]
- 마운트 이리의 2017년 앨범 ''나를 바라본 까마귀''는 "Ravens"라는 곡에서 가수 필 엘버럼의 하이다과이 여행을 언급한다.
- 하이다과이를 주로 다룬 2시간짜리 다큐멘터리 ''노스웨스트의 거장들''이 2017년 9월 온타리오 교육 TV 네트워크에서 방송되었다.[67]
- 하이다과이는 존 바일런트의 ''황금 가문비나무''의 배경이다. 이 책은 하이다과이의 황금 가문비나무 또는 키이드캬스를 그랜트 해드윈이 베어낸 사건을 다룬다.[68]
- Gwaai Edenshaw와 헬렌 헤이그-브라운이 감독하고 하이다어로 제작된 최초의 장편 영화인 ''칼날의 가장자리 (SG̲aawaay Ḵ'uuna)''는 2017년 하이다과이에서 촬영되었다.[69]
- ''레인보우 식스 시즈''는 밴쿠버에서 자란 선택 가능한 오퍼레이터인 프로스트를 언급하는데, 그녀는 청소년 시절 하이다과이에서 사냥을 하며 시간을 보냈다.
참조
[1]
웹사이트
BC Population Estimates & Projections
https://bcstats.shin[...]
2022-12-06
[2]
간행물
Haida Gwaii
[3]
뉴스
Welcome to Haida Gwaii: "Haida Gwaii is not only where we are, this is who we are"
https://www.haidagwa[...]
Haida Gwaii Observer
2019-06-04
[4]
웹사이트
Ship X̱aayda Kil Glossary
http://www.sd50.bc.c[...]
Skidegate Haida Immersion Program
2018-02-19
[5]
웹사이트
Amending Agreement of the Kunst'aa guu - Kunst'aayah Reconciliation Protocol
http://coastalfirstn[...]
2018-02-19
[6]
웹사이트
Bill 18 — 2010: Haida Gwaii Reconciliation Act
http://www.leg.bc.ca[...]
Queen's Printer
2011-03-17
[7]
웹사이트
HAIDA GWAII RECONCILIATION ACT
http://www.bclaws.ca[...]
2017-07-02
[8]
간행물
Queen Charlotte Islands
[9]
웹사이트
History: Where we've come from (our history)
http://massetbc.com/[...]
Village of Masset
2018-02-19
[1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aida Nation
http://www.haidanati[...]
Council of the Haida Nation
2014-08-16
[11]
웹사이트
Mandate - Council of the Haida Nation
http://www.haidanati[...]
2019-05-18
[12]
뉴스
Heiltsuk and Haida nations finalize peace treaty
https://globalnews.c[...]
Global News
2015-06-30
[13]
뉴스
Canada hands 'long-overdue' title over more than 200 islands to Haida Nation
https://www.theguard[...]
2024-04-15
[14]
뉴스
On Small Islands Off Canada's Coast, a Big Shift in Power
https://www.nytimes.[...]
2024-07-04
[15]
뉴스
Gwaii Haanas
Haida Gwaii Observer
[16]
뉴스
Arriving in Haida Gwaii
Haida Gwaii Observer
[17]
뉴스
Getting Around
Haida Gwaii Observer
[18]
웹사이트
Chief Matthews School
https://oldmassettvi[...]
2024-07-20
[19]
웹사이트
Haida Gwaii Higher Education Society webpage
http://www.haidagwai[...]
2014-02-02
[20]
웹사이트
"File not found | Fichier non trouv\xE9"
http://www12.statcan[...]
[21]
웹사이트
SGang Gwaay
https://whc.unesco.o[...]
2019-12-26
[22]
뉴스
Underwater discovery near Haida Gwaii could rewrite human history
https://www.theglobe[...]
2014-09-24
[23]
논문
North American black bear mtDNA phylogeography: implications for morphology and the Haida Gwaii glacial refugium controversy
1997
[24]
논문
Islands coming out of concealment: traveling to Haida Gwaii on the northwest coast of North America
2008
[25]
뉴스
Archeologists to launch historic fishing expedition off B.C.'s Haida Gwaii
https://www.huffingt[...]
2014-06-06
[26]
논문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 diversity and the peopling of the Americas: Evolutionary and demographic evidence
2004-06-17
[27]
논문
Modeling Paleoshorelines and Locating Early Holocene Coastal Sites in Haida Gwaii
1999
[28]
논문
American Indian prehistory as written in the mitochondrial DNA: a review
2009
[29]
논문
Ancient links between Siberians and Native Americans revealed by subtyping the Y chromosome haplogroup Q1a
2011
[30]
서적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Academic Press
1984
[31]
논문
The Discovery of the Koryaks and Their Perception of the World
1984
[32]
웹사이트
Koryak
http://www.mnh.si.ed[...]
Arctic Studies Center
2015-05-25
[33]
논문
Evidence of California-area abalone shell in Haida trade and culture.
2003
[34]
웹사이트
Civilization.ca - Haida - the people and the land - Social organization
https://www.historym[...]
2020-04-14
[3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Native Peoples of the Americas: North America. Volume 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6]
웹사이트
Searching For Shipwrecks In The Waters Of Haida Gwaii, B.C.
http://www.cbc.ca/st[...]
2014-06-10
[37]
뉴스
Underwater researchers explore Haida Gwaii
http://metronews.ca/[...]
Metro News (Victoria)
2014-06-30
[38]
서적
Just east of sundown: the Queen Charlotte Islands
https://books.google[...]
TouchWood Editions
2013-05-05
[39]
서적
Charting Northern Waters: Essays for the Centenary of the Canadian Hydrographic Servic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2013-05-05
[40]
웹사이트
World's biggest geoengineering experiment 'violates' UN rules
https://www.theguard[...]
2012-10-17
[41]
뉴스
A Rogue Climate Experiment Outrages Scientists
https://www.nytimes.[...]
2012-10-18
[42]
웹사이트
Environment Canada launches probe into massive iron sulfate dump off Haida Gwaii coast
http://aptn.ca/pages[...]
APTN National News
2012-10-17
[43]
뉴스
Haida announce termination of Russ George
http://www.newswire.[...]
Canada Newswire
2013-07-02
[44]
웹사이트
The Pacific's Salmon Are Back — Thank Human Ingenuity
http://www.nationalr[...]
Nationalreview.com
2014-04-23
[45]
논문
Iron-dumping ocean experiment sparks controversy
[46]
뉴스
Canada hands 'long-overdue' title over more than 200 islands to Haida Nation
https://www.theguard[...]
2024-07-05
[47]
웹사이트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Dictionary of America and the West Indies: Containing an Entire Translation of the Spanish Work of Colonel Don Antonio de Alcedo, with Large Additions and Compilations from Modern Voyages and Travels and from Original and Authentic Information
https://books.google[...]
James Carpenter, ... Longman, Hurst, Rees, Orme and Brown, ... White, Cochrane and Company and Murray, ... London; Parker, Oxford; and Deighton, Cambridge.
2020-10-17
[48]
웹사이트
Historical Map Society of British Columbia
http://hmsbc.library[...]
2013-05-05
[49]
웹사이트
Toporama
http://atlas.nrcan.g[...]
2011-03-17
[50]
간행물
Haida Gwaii
[51]
웹사이트
The Atlas of Global Conservation
http://maps.tnc.org/[...]
2020-11-13
[52]
웹사이트
Queen Charlotte Islands {{!}} Ecoregions {{!}} WWF
https://www.worldwil[...]
2020-11-13
[53]
뉴스
Mammoths may have roamed Haida Gwaii 57,000 years ago
https://vancouversun[...]
2015-10-06
[54]
서적
Haida Gwaii: human history and environment from the time of loon to the time of the iron people
https://www.ubcpress[...]
UBC Press
2021-11-07
[55]
서적
Flora of the Queen Charlotte Islands
Research Branch, Canada Department of Agriculture
[56]
웹사이트
A field guide to ecosystem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for Haida Gwaii
http://www.for.gov.b[...]
Prov. B.C., Victoria, B.C. Land Manag. Handb. 68
2014
[57]
논문
Ecological descriptions of Pacific golden chanterelle (''Cantharellus formosus'') habitat and estimates of its extent in Haida Gwaii
http://www.jem.forre[...]
2015-09-06
[58]
문서
Port Clements Historical Society "White Raven" display case information
[59]
웹사이트
Harlow latitude and longitude
http://www.distances[...]
2015-11-13
[60]
웹사이트
Canadian Climate Normals 1981–2010 Station Data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8-18
[61]
논문
The Queen Charlotte Fault, British Columbia: seafloor anatomy of a transform fault and its influence on sediment processes
[62]
뉴스
On This Day August 22, 1949
2008-08-22
[63]
웹사이트
Banknotes
http://www.bank-banq[...]
2010-10-28
[64]
뉴스
How one Derbyshire museum took initiative in returning Indigenous artefacts
https://www.theguard[...]
2023-02-14
[65]
웹사이트
R.J. Harlick - The Books
http://www.rjharlick[...]
2014-12-13
[66]
웹사이트
haida
http://www.canadianb[...]
[67]
웹사이트
Masters of the Pacific Coast: Tribes of the Northwest
http://tvo.org/progr[...]
2017-09-13
[68]
웹사이트
The Golden Spruce by John Vaillant
https://www.penguinr[...]
2018-10-28
[69]
웹사이트
Making history on Haida Gwaii/ On B.C.'s Haida Gwaii, history is being made with a film in a language very few people can speak
https://www.theglobe[...]
2017-06-22
[70]
웹사이트
Legislative Assembly of British Columbia Bill 18 — 2010: Haida Gwaii Reconciliation Act: Haida Gwaii is the sole official name of the islands. The name change became official in Canadian law when on June 3, 2010 when the Haida Gwaii Reconciliation Act received Royal assent.
http://www.leg.bc.ca[...]
[71]
BC Geographical Names
Haida Gwaii - Name change is officially recognized by all levels of Canadian governments, including international name databases
http://archive.ilmb.[...]
[72]
BC Geographical Names
http://apps.gov.bc.c[...]
[73]
BC Geographical Names
http://apps.gov.bc.c[...]
[74]
웹인용
Canadian Climate Normals 1981–2010 Station Data
http://climate.weath[...]
Environment Canada
2016-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