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주는 인류 역사와 함께 다양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특정 대상에게 해를 가하려는 의도로 행해진다. 고대 사회에서는 신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의 힘을 빌려 저주를 행했으며, 무덤이나 사원을 보호하기 위해 저주 문구를 새기기도 했다. 한국 전통 사회에서는 개인적인 원한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 규범 위반에 대한 제재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욕설에도 저주가 개입되기도 하며, 문학,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흥미로운 소재로 사용된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특정 팀이나 선수에게 지속적인 불운이 따르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저주'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저주에 대처하기 위해 저주의 효력을 없애거나 반사시키는 행위도 존재하며, 관련 속담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주 - 방황하는 유대인
예수를 조롱한 죄로 영원히 속죄받지 못하고 세상을 떠돌아다니는 저주를 받았다는 전설 속 인물인 방황하는 유대인은 '카르타필루스'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여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성경적, 역사적 맥락에서 기원하고 진화하여 여러 매체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재해석되었다. - 저주 -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은 17세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시대에서 유래된 전설로, 희망봉 인근을 영원히 떠돌아다닌다는 유령선이며, 예술 작품, 특히 바그너의 오페라에 영감을 주었다. - 신비주의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신비주의 - 독일 신비주의
독일 신비주의는 부정 신학, 평신도 자각, 범신론적 신을 강조하며 이성 중시, 자기 수양, 독일어 사용을 선호하는 사상 경향으로, 종교 개혁과 독일 철학에 영향을 미쳤다. - 문화인류학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문화인류학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저주 | |
---|---|
개요 | |
유형 | 초자연적 방해 또는 그러한 방해를 주기 위한 주문 |
관련 용어 | 저주 걸기, 마법, 흑마술, 재앙, 불운 |
특징 | |
의도 | 고통, 불행, 또는 해를 입히려는 의도를 가짐 |
매개체 | 말, 행동, 의례, 또는 물건을 통해 전달될 수 있음 |
대상 | 개인, 장소, 물건, 또는 심지어 미래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문화적 관점 | |
기원 |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서 나타나는 오랜 믿음 체계의 일부 |
목적 | 복수, 정의 구현, 또는 단순히 악의적인 의도의 표현 |
대처 방법 | 종교 의식, 부적, 주문 해제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됨 |
현대적 관점 | |
인식 | 일부는 미신으로 치부하지만, 여전히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존재함 |
영향 | 심리적 불안, 두려움, 또는 특정한 행동 유발 가능성 |
윤리적 문제 | 타인에게 해를 끼치려는 의도는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됨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민속학, 인류학, 종교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됨 |
대중 문화 | 영화,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묘사됨 |
2. 역사
저주는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오래된 현상으로, 고대 문헌과 유물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욕설 중에는 '육실할' 또는 '급살 맞을' 등과 같이 저주의 방법이 포함된 경우가 있다. 저주는 활동, 언어, 정물(靜物)의 측면을 가지며, 이를 통해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다. 이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지하기보다는 자신의 힘으로 다른 것을 강제하려는 태도를 보여준다.
미라로 만들어진 시체의 무덤이나 미라 자체를 훼손하는 행위와 저주가 연관되어 있다는 믿음은 공포 영화 등을 통해 대중문화의 주류가 될 정도로 널리 퍼졌다. "파라오의 저주"는 투탕카멘의 무덤을 발굴한 고고학자들을 괴롭혔다고 알려져 있으며, 외츠탈 알프스 미라 "외치"의 발굴에도 비슷한 추측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저주는 19세기 영국의 언론인들에 의해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고대 이집트인들은 실제로 사원이나 무덤의 재산 또는 물품을 보호하는 표식에 저주 비문을 새겼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주하다"라는 말은 축사와 어원적으로 같으며, "고하다"에 반복·계속의 조동사 "후"가 접속된 것으로, 고대의 언령신앙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죽은 사람, 동물, 신령이 행하는 저주를 "재앙"이라고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저주는 주술과도 관계가 깊지만, 주술은 의도나 결과의 선악에 관계없이 사용되는 반면, 저주는 주로 나쁜 의미로 사용된다.
저주는 살아있는 인간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 주문, 기원 등 언어적, 주술적, 종교적인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여겨진다. 종교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신, 악마 등 강력한 영의 힘을 빌리거나, 자신의 영능력에 따른다고 생각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축시 참배가 대표적인 주술적 행위에 의한 저주의 예이다.[15]
신화, 전설, 이야기 등에서는 등장인물이 마법사 등에 의해 저주를 받아 동물로 변신하거나 (백조의 호수), 잠에 빠지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 예가 많이 나타난다.
일상생활에서 단순한 징크스를 "〇〇의 저주" (도시전설의 저주)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2. 1. 고대 사회의 저주
고대 사회에서 저주는 신이나 초자연적인 존재의 힘을 빌려 특정 대상에게 해를 가하려는 의도로 행해졌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무덤이나 사원을 훼손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 저주 문구를 새겨 넣었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는 저주를 통해 질병이나 재앙을 일으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저주 부적을 만들어 개인적인 원한을 갚거나 경쟁자를 제거하려 했다.
"저주하다"라는 말은 축사와 어원적으로 같으며, "고하다"에 반복·계속의 조동사 "후"가 접속된 것으로, 고대의 언령신앙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15]
2. 2. 한국 전통 사회의 저주
한국의 전통 사회에서 저주는 개인적인 원한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행위에 대한 제재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광해조일기에는 왕자의 출세를 막기 위한 저주 행위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으며, 이는 저주가 단순한 미신이 아니라, 권력 투쟁의 도구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육실할', '급살 맞을'과 같은 욕설은 저주의 방법 중 하나로, 언어 자체가 저주의 힘을 가진다는 믿음을 반영한다.광해조일기 권 2에는 저주의 종류에 관한 기록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 왕자의 출세를 막기 위해 압승(壓勝)을 음모한 것인데, 여기에는 고양이를 묻고 경문을 쓰는 행위, 소경이 왕자의 생월을 적고 경을 외는 행위, 사람을 그린 종이의 눈을 바늘로 찌르는 행위, 산 강아지를 죽여 묻거나 못에 던지는 행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저주는 힘에 의한 압승이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한다.

오늘날 사용되는 욕설 중에도 저주의 의미가 담긴 경우가 있다. '육실할', '급살 맞을'과 같은 욕설은 저주의 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저주에는 활동, 언어, 정물(靜物)이라는 측면이 있으며, 이를 통해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다. 이는 초인간적, 초자연적 존재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다른 것을 강제하려는 태도를 보여준다.
2. 3. 성경에서의 저주
성경에서는 하느님이 뱀, 땅, 그리고 카인을 저주하는 모습이 묘사된다.(, ,[5] ) 노아는 가나안을 저주하고(), 여호수아는 예리코를 다시 건설하는 사람을 저주한다(). 히브리 성경의 여러 책에는 율법을 위반한 자에 대한 긴 저주 목록이 있다(, 등). 십계명에 앞서 나타나는 이집트의 10가지 재앙은 이스라엘의 하느님의 지시에 따라 아론과 모세의 놋뱀을 통해 내려진 저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억압된 자들이 강요된 농노, 노예 등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신약성경에서, 그리스도는 열매 없는 무화과나무를 저주하고(), 믿지 않는 도시들(), 부자, 세속적인 자들,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에 대한 비난을 선언하며, 저주받은 자들에게 닥칠 끔찍한 저주를 예언한다(). 저주라는 단어는 또한 죄의 속죄의 희생자(), 사소한 죄와 영원한 죄(; )에 적용된다.[6]
고린도전서 12장 3절에 '예수를 저주할자라 하지 아니하고'에서 저주(cursed)에 해당하는 말이 헬라어로 아나떼마이다. 이것은 사도바울이 성령에 의하면 절대로 사용할 수 없는 말로, 가장 가혹한 말에 해당한다.
존 오언은 그의 성령론에서 유대인들이 그 당시에 아직도 예수를 저주한다고 주장하였다.[19]
3. 유형
저주는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조선 광해군 시기 기록인 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에는 여러 가지 저주 유형이 나타난다.[1] 고양이를 땅에 묻고 경문을 묻거나, 종이에 사람을 그려 바늘로 눈을 찌르는 행위, 산 강아지를 죽여 못에 던지는 행위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저주는 힘으로 상대를 제압하려는 압승(壓勝) 신념에서 비롯되었다.
오늘날에도 '육실할', '급살 맞을'과 같은 욕설에는 저주의 의미가 담겨 있다. 이는 인간의 욕구와 정서, 그리고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다른 것을 강제하려는 태도를 반영한다.
저주 형태는 민간 종교와 민속학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의도적인 저주 시도는 마법 행위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한다. 힌두교 문화에서는 현자(리시)가 축복(''Āshirvada'' 또는 ''Vara'')과 저주(''Shaapa'')를 내릴 수 있는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리시 브리구가 나후샤 왕에게 내린 저주[3]와 리시 데발라가 내린 저주가 그 예이다.[4]
"저주하다"라는 말은 축사와 어원적으로 같으며, "고하다"에 반복·계속의 조동사 "후"가 접속된 것으로, 고대의 언령신앙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이미 죽은 사람, 동물이나 신령이 행하는 저주를 특히 "재앙"이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주술과도 관계가 깊지만, 주술은 의도 및 결과의 선악에 관계없이 사용되는 반면, 저주는 주로 나쁜 의미로 사용된다.
신화, 전설, 이야기 등에서는 등장인물(특히 왕자, 공주 등)이 마법사 등에 의해 저주를 받아 동물로 변신하거나 (백조의 호수), 잠에 빠지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 예가 많이 보인다.
흔히 단순한 징크스를 무엇인가에 의한 저주라고 생각하여, "〇〇의 저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시전설의 저주).
3. 1. 민간 신앙 속 저주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후두교에서는 징크스와 엇갈린 상태를 통해 저주를 건다. 이는 발자국 마법의 한 형태로, 저주받은 물건을 희생자의 길에 놓아 밟았을 때 작동하게 한다.[3] 중동 및 지중해 문화에서는 악마의 눈을 통해 질투나 악의적인 의도로 저주를 건다고 믿는다. 악마의 눈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사람의 눈을 연상시키는 가운데 검은 점이 있는 흰색 원이 있는 짙은 파란색 원형 유리로 보호 아이템을 만들기도 한다. 펜실베이니아 더치는 헥싱(독일어로 마법을 행하는 단어인 hexen|헥센de에서 유래)을 통해 저주를 건다고 믿는다.3. 2. 주술적 저주
주문, 기원 등 언어적, 주술적 또는 종교적인 행위를 통해 저주가 이루어진다고 믿는 경우가 많다. 종교 및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신, 악마 등 강력한 영적 존재의 힘을 빌리거나, 개인의 영능력을 통해 저주를 행한다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축시 참배가 주술적 저주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5]4. 현대 사회의 저주
현대 사회에서 저주는 법률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현대 일본 법 체계에서는 주술 행위 자체는 불능범으로 보아 처벌하지 않지만, 저주를 암시하는 행위는 협박죄나 스토커 행위 등의 규제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다.[16]
저주는 문학,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흥미로운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미스 사이공, 로미오와 줄리엣, 잠자는 숲속의 미녀 등 많은 작품에서 저주가 중요한 이야기 전개 요소로 사용된다.[1]
작품명 | 내용 |
---|---|
리골레토 | 몬테로네 백작이 리골레토에게 저주를 걸고, 리골레토는 딸의 비극적인 죽음이 이 저주 때문이라고 생각한다.[1] |
미스 사이공 | 투이가 킴에게 저주를 퍼붓는다.[1] |
로미오와 줄리엣 | 머큐시오는 몬태규 가와 캐퓰릿 가에 저주를 내린다.[1] |
잠자는 숲속의 미녀 | 카라보스(말레피센트)가 오로라 공주에게 저주를 건다.[1] |
미녀와 야수 | 요정이 왕자를 야수로 변하게 한다.[1] |
여섯 마리의 백조 | 어머니가 아들들에게 새의 형태로 저주를 내린다.[1] |
슈렉 | 피오나 공주가 낮에는 인간, 밤에는 오우거가 되는 저주에 걸린다.[1]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레이디 디미트레스쿠가 에단 윈터스에게 저주를 퍼붓는다.[1] |
드래그 미 투 헬 | 크리스틴 브라운이 실비아 가누시에게 저주를 받는다.[1] |
어느 날, 그 녀석이 왔다 | 가인은 고대 가문의 저주를 받는다.[1]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죠죠리온 | 히가시카타 가문이 저주에 걸려 있다.[1] |
괴담, 공포, 미스터리 장르에서도 저주는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다.[1]
제목 | 비고 |
---|---|
음양사[1] | |
원탁의 기사(13번째 자리)[1] | |
잠자는 숲속의 미녀(마녀의 저주)[1] | |
백조의 호수[1] | |
북커스[1] | |
테쿰세의 저주[1] | |
9번째의 저주[1] | |
왕가의 저주[1] | |
호프 다이아몬드의 저주[1] | |
게쉬[1] | |
축시 참배[1] |
1900년대부터는 슈퍼맨의 저주가 알려져 있다.[1]
스포츠 분야에서도 특정 팀이나 선수에게 불운이 계속되는 현상을 '저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밤비노의 저주, 염소의 저주, 커널의 저주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베스트 마더상의 저주, 나의 이력서의 저주, 시마 코사쿠의 저주, 스케반 형사의 저주, 링 여배우의 저주 등은 야유하는 의미로 저주로 여겨지는 구절들이다.[1]
4. 1. 법률적 관점
현대 일본의 법 체계는 초자연 현상을 전제로 하지 않으므로, 주술 그 자체는 불능범이며 처벌할 수 없다. 다만, 짚 인형을 보여주는 등 상대방에게 저주하고 있음을 알려 협박죄나 스토커 행위 등의 규제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적발된 사례가 있다. 주술의 효과를 긍정하는 입장에서는 반대로 "타인에게 알려지면 효과가 없다"고 믿어져 왔다.[16]4. 2. 문화 콘텐츠 속 저주
저주는 문학,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서 흥미로운 소재로 활용된다. 미스 사이공, 로미오와 줄리엣, 잠자는 숲속의 미녀 등 많은 작품에서 저주가 중요한 플롯 장치로 사용된다.[1]작품명 | 내용 |
---|---|
리골레토 | 몬테로네 백작이 리골레토에게 저주를 건다. 리골레토는 자신의 딸이 비극적으로 죽은 것을 이 저주 때문이라고 생각한다.[1] |
미스 사이공 | 2막에서 복수심에 불타는 영혼인 투이는 자신의 환상 속에서 킴을 고문하고 괴롭히며, 크리스가 그녀를 버리고 떠날 것이고 그의 죽음에 대해 킴을 비난하는 저주를 퍼붓는다.[1] |
로미오와 줄리엣 | 죽어가는 머큐시오는 몬태규 가와 캐퓰릿 가에 "두 집안 모두에게 역병이 닥치기를"이라는 저주를 내린다. (종종 "두 집안 모두에게 재앙이 닥치기를"로 인용된다.)[1] |
잠자는 숲속의 미녀 | 사악한 요정 카라보스(디즈니 영화에서는 말레피센트)는 오로라 공주에게 16번째 생일에 죽는다는 저주를 건다.[1] |
미녀와 야수 | 요정이 자만심에 가득 찬 왕자를 흉측한 야수로 변하게 하여 벌한다.[1] |
여섯 마리의 백조 (및 변형) | 어머니는 여섯 (일곱, 열두) 아들에게 새의 형태로 저주를 내리고, 그들의 여동생은 마법의 셔츠를 꿰매어 변신을 되돌려야 한다.[1] |
슈렉 | 피오나 공주는 낮에는 인간, 밤에는 오우거가 되는 저주에 걸렸다.[1]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에단 윈터스는 레이디 디미트레스쿠와의 피 튀기는 결투 후 그녀가 재가 되어 죽기 전에 자신의 딸 로즈를 다시는 볼 수 없을 것이라고 고문하고 조롱하며 저주를 퍼붓는다.[1] |
드래그 미 투 헬 | 크리스틴 브라운은 실비아 가누시에게 3일 동안의 고문을 경험하고, 람미아에게 끌려 지옥으로 갈 것이라는 저주를 받는다.[1] |
어느 날, 그 녀석이 왔다 | 가인은 고대 가문의 저주의 대상이 되어 가족과 친구들이 자신을 죽이려 할까 두려워한다.[1]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죠죠리온 | 히가시카타 가문은 장남이 10세가 되면 돌로 변하는 저주에 걸려 있다.[1] |
이 외에도 괴담이나 괴기·호러 계열 창작의 테마, 초자연 현상으로 위장한 미스터리의 트릭 재료 등으로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다.[1]
제목 | 비고 |
---|---|
음양사[1] | |
원탁의 기사(13번째 자리)[1] | |
잠자는 숲속의 미녀(마녀의 저주)[1] | |
백조의 호수[1] | |
북커스[1] | |
테쿰세의 저주[1] | |
9번째의 저주[1] | |
왕가의 저주[1] | |
호프 다이아몬드의 저주[1] | |
게쉬[1] | |
축시 참배[1] |
1900년대부터는 슈퍼맨의 저주가 있다.[1]
근대 스포츠와 관련된 징크스로는 밤비노의 저주, 도시락의 저주, 아르캉시엘의 저주, 마에다의 저주, 유미토리 역사의 저주, 올림픽 주장의 저주가 있다.[1]
반쯤 야유하는 의미로 저주로 여겨지는 구절은 베스트 마더상의 저주, 나의 이력서의 저주, 시마 코사쿠의 저주, 스케반 형사의 저주, 링 여배우의 저주가 있다.[1]
4. 3. 스포츠와 저주
스포츠 분야에서는 특정 팀이나 선수에게 지속적으로 불운이 따르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저주'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밤비노의 저주, 염소의 저주, 커널의 저주 등은 스포츠 팬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진 저주의 사례이다.- '''밤비노의 저주'''는 보스턴 레드삭스가 베이브 루스를 뉴욕 양키스에 팔면서 시작된 저주로, 86년간 월드시리즈 우승을 하지 못하다가 2004년에 깨졌다.
- '''염소의 저주'''는 시카고 컵스가 1908년부터 2016년까지 월드시리즈에서 우승하지 못한 것을 설명하는 저주이다.
- '''커널의 저주'''는 한신 타이거스 팬들이 1985년 일본 시리즈 우승을 기념하며 KFC 설립자 커널 샌더스 동상을 도톤보리 강에 던진 후 생긴 저주로 여겨졌으며, 한신 타이거스가 2023년 일본 시리즈에서 우승하면서 깨졌다고 여겨진다.
5. 저주와 관련된 개념
저주는 어떤 대상에게 불행이나 재앙이 일어나기를 바라는 행위이다. 이러한 저주는 힘에 의한 압승(壓勝)이라는 신념을 바탕으로 한다.
조선 광해군 때 쓰여진 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에는 저주의 종류에 관한 기록이 상세히 나타나 있다.[19] 기록에 따르면, 왕자의 출세를 막기 위해 고양이를 묻고 경문을 쓰거나, 왕자의 생월을 적어 저주하고, 사람 모양의 종이에 바늘로 눈을 찌르는 등 다양한 방법의 저주가 행해졌다. 이러한 저주는 16종류가 16번에 걸쳐 열흘에서 닷새 간격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오늘날에는 '육실할', '급살 맞을'과 같은 욕설에도 저주의 의미가 담겨 있다. 이러한 욕설은 저주의 방법 중 하나로, 활동, 언어, 정물(靜物) 중 하나를 행하면 목적하는 효과가 있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초자연적인 존재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상대를 제압하려는 태도를 보여준다.
신약성경 고린도전서 12장 3절에서 언급된 '저주'(아나떼마)는 가장 가혹한 말로, 성령에 따르면 사용할 수 없는 말이다. 존 오언은 그의 저서 성령론에서 유대인들이 당시에도 예수를 저주했다고 주장했다.[19]
저주받은 물건은 훔치거나 성스러운 장소에서 약탈한 물건으로, 소유자에게 불행을 가져온다고 알려져 있다. 호프 다이아몬드나 버스비의 발걸이 의자가 그 예시이다. 버스비의 발걸이 의자는 살인자 토마스 버스비가 처형 직전에 저주하여 그 의자에 앉는 모든 사람이 죽게 된다고 전해진다. 성경에서는 우상 숭배에 사용된 물건을 저주받은 물건으로 간주하며, 이는 악마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5. 1. 저주 되돌리기
저주는 효력을 없애거나 반사시키는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마법 방지, 징크스 깨기, 액막이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소금을 사용하거나, 입김을 불거나, 음양사의 도움을 받는 등의 방법으로 저주를 되돌리려 했다.[17]- 소금 - 현관이나 문 앞, 혹은 집 안에 소금을 원뿔형으로 뭉쳐 접시 위에 놓는다.
- 입김 - 사기리, 인간의 "숨", "호흡"을 불어 대상물 등을 정화한다.
- 음양사 - 고대 일본의 율령제 하에서 나카츠카사성의 음양료에 속한 관직 중 하나였지만, 중세, 근세에는 민간에서 사적 기도나 점술, 저주 되돌리기를 하는 자를 의미한다.[18]
5. 2. 저주와 관련된 속담
남을 저주하려면 자기 무덤을 먼저 파라는 한국 속담은 저주가 자신에게도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한다.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CURSE
https://www.merriam-[...]
2019-07-17
[2]
서적
Have You Been Hexed? Recognizing and Breaking Curses
Llewellyn Worldwide
[3]
서적
The Mahabharata, Book 13 of 18: Anusasana Parva
https://books.google[...]
Forgotten Books
2012-09-04
[4]
서적
Buddhaghosha's Parables: translated from Burmese by Captain T. Rogers: With an Introduction, containing Buddha's Dhammapada, or "Path of Virtue", translated from Pâli by F. Max Müller
https://archive.org/[...]
Trübner
[5]
문서
On Genesis 3:17 cf. Andreas Dorschel, 'Entwurf einer Theorie des Fluchens', Variations 23 (2015), § 29, pp. 167–175, pp. 174–175
[6]
문서
Cursing
[7]
웹사이트
Occult and Cursed Objects List
https://truthinreali[...]
2012-10-27
[8]
웹사이트
The Border Reivers - The Curse
https://www.bbc.co.u[...]
BBC Cumbria
2003-07
[9]
뉴스
Dare You Read the Curse?
http://www.timesands[...]
2005-03-10
[10]
웹사이트
Cursing Stone & Reiver Pavement
https://gordonyoung.[...]
[11]
뉴스
They're doomed: the curse of Carlisle
https://www.theguard[...]
2005-03-09
[12]
뉴스
Shaven but stirred: the Gillette curse
http://www.tribune.i[...]
Tribune.ie
2009-11-29
[13]
뉴스
Henry, Woods, Federer: The curse of Gillette
https://www.independ[...]
Independent.co.uk
2009-11-29
[14]
문서
「呪い」にマジナイとノロイの別があるように、「調伏」にもその原義である仏教用語と、転じて対象を「悪」とみなすことで呪詛と同義となった用語があり、「呪詛調伏」(じゅそちょうぶく)と並べられた用法がみられる。
https://kotobank.jp/[...]
[15]
문서
現代においてはこれを代行すると称する業者も存在する。
朝日新聞
2009-05-04
[16]
뉴스
【ニュースQ3】見せてはいけない…「わら人形」で脅迫容疑
2017-01-31
[17]
서적
『マンガ神道入門〜日本の歴史に生きる八百万の神々〜』
サンマーク出版
[18]
서적
陰陽道―呪術と鬼神の世界
講談社選書メチエ
[19]
서적
The works of John Owen.
https://www.worldcat[...]
Banner of Truth Trust
1965-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