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순간경보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국순간경보시스템(J-Alert)은 일본에서 탄도 미사일, 지진, 쓰나미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시민들에게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위성 기반 경보 시스템이다. 기상청과 내각관방에서 작성한 정보를 확성기, 지상파 텔레비전, 라디오, 이메일, 셀 방송 등을 통해 전달하며, 2013년 5월까지 전국 지자체의 99.6%가 시스템을 갖추었다. J-Alert는 정보 전달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지만, 오작동, 정보 전달 지연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유사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난 경보 - 긴급경보방송
긴급경보방송은 재난 발생 시 국민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특정 조건 충족 시 발령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신호를 사용하고, 시스템 오류 및 규정 위반 사례에도 불구하고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스템 오작동 방지와 규정 준수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 재난 경보 - 긴급지진속보
긴급지진속보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파를 감지하여 규모와 진앙지 등을 신속히 추정하고 예상 진도와 도달 시간을 예측하여 발표하는 경보 시스템으로, 기술 개발과 시스템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일본의 사회 - 오타쿠
오타쿠는 특정 대상에 집착적인 관심을 보이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로, 과거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문화를 지칭하기도 한다. - 일본의 사회 - 단카이 세대
단카이 세대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에서 태어난 많은 수의 인구를 지칭하며, 고도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일본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국순간경보시스템 | |
---|---|
개요 | |
명칭 | 전국 순간 경보 시스템 |
영문 명칭 | J-Alert (제이-얼러트) |
일본어 명칭 | 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 (Zenkoku Shunji Keihō Shisutemu, 젠코쿠 슌지 케이호 시스테무) |
목표 | 긴급 재해 정보 즉시 전달 |
운영 주체 | 일본 정부 |
대상 정보 | 지진 속보 쓰나미 경보 화산 폭발 정보 탄도 미사일 발사 정보 기타 긴급 재해 정보 |
시스템 구성 | |
주요 구성 요소 | 중앙 정부 지방 자치 단체 방송국 |
정보 전달 경로 | 중앙 정부 → 지방 자치 단체 → 주민 |
경보 발령 시 | 사이렌 작동 긴급 방송 송출 휴대폰 긴급 경보 발송 |
기술적 특징 | |
특징 | 위성 통신망 이용 자동 경보 시스템 다국어 지원 (일부) |
문제점 | 오경보 발생 가능성 정보 전달 지연 가능성 시스템 유지 보수 비용 |
활용 및 효과 | |
활용 | 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피 유도 주민 안전 확보 |
기대 효과 | 재해 피해 최소화 |
관련 정보 | |
유사 시스템 | 엘-얼러트 (지역 주민 정보 전달 시스템) |
관련 기관 | 총무성 소방청 |
참고 자료 | 총무성 소방청: 전국 순간 경보 시스템(J-Alert)이란 |
관련 뉴스 | 일본, 쓰나미 및 미사일 경보 시스템 시작 |
관련 웹사이트 | J-Alert: 일본의 재해 경고 기술 – 공공 영향 센터 |
2. 시스템
행정전용망인 LGWAN에 단말기를 접속하여 비상 속보를 전달받는 네트워크. J-ALERT의 연동뿐만 아니라 중앙부처에서 내려주는 속보를 직접 받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2009년 북한 미사일 시험때 상급 부처를 거치고 거쳐 소식을 받는 게 느리다는 걸 절감한 이후로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다.
J-Alert는 위성 기반 시스템으로, 당국이 경보를 지역 대중 매체에 신속하게 방송하고, 전국적인 확성기, 지상파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이메일, 그리고 셀 방송 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3]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지역 관계자에게 알리는 데 약 1초, 시민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4초에서 20초가 소요된다. J-Alert 수신기의 향상된 버전이 2019년 3월 말까지 설치되었다. 새로운 모델은 이전 모델이 최대 20초가 걸리는 것에 비해 2초 안에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4]
J-Alert는 지상 시스템과 Superbird-B3 통신 위성을 통해 방송된다.[5]
탄도 미사일이 일본으로 향하는 것과 같은 시민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시민 방호 사이렌이라는 사이렌이 확성기를 통해 울린다.[6]
소방청에서 정보를 전송할 때, 정보의 종류를 식별하는 정보 번호와 대상 지역 코드 정보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방송 내용의 자동 선택 및 방재 행정 무선/유선 방송을 자동 기동시키는 지방 자치 단체의 필터링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곳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필터링 기능으로 인해, 방재 행정 무선/유선 방송이 자동 기동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기상 재해 등의 대상 지역에 한정되지만, 유사시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그 특수성과 확대 가능성 때문에 공격 대상 지역 이외의 지역에 대해서도 "통지/전달 지역" 및 "참고 정보 지역"으로 방재 행정 무선이 자동 기동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몸을 보호할 무기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 함부로 밖을 돌아다니는 것은 위험하며, 당분간은 해당 지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경보와 동시에 실내 대피 권고도 전달된다.
2. 1. 정보 전달 과정 (일본)
J-Alert는 위성 기반 시스템으로, 당국이 경보를 지역 대중 매체에 신속하게 방송하고, 전국적인 확성기, 지상파 텔레비전, 라디오 방송, 이메일, 그리고 셀 방송 시스템을 통해 시민들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3] 일본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지역 관계자에게 알리는 데 약 1초, 시민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4초에서 20초가 소요된다. J-Alert 수신기의 향상된 버전은 2019년 3월 말까지 설치되었으며, 새로운 모델은 이전 모델이 최대 20초가 걸리는 것에 비해 2초 안에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4]J-Alert는 지상 시스템과 Superbird-B3 통신 위성을 통해 방송된다.[5]

긴급 사태 발생부터 주민에게 정보가 전달되기까지의 대략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
:;긴급 사태의 발생과 인지
::쓰나미나 무력 공격 등의 긴급 사태가 발생한 후, 기상 관계 정보는 기상청이, 무력 공격 등의 국민 보호 관계 정보는 내각관방이 먼저 인지한다. 탄도 미사일 정보는 항공자위대의 자동 경계 관제 조직 또는 미국 전략 사령부의 우주 통합 기능 구성 부대·북미 항공 우주 방위 사령부로부터 내각관방으로 전달된다.
:;소방청으로 정보 전달
::기상청 또는 내각관방은 인지한 긴급 사태에 대해 소방청에 정보를 전달한다.
:;지방 자치 단체로 정보 전달
::소방청은 통신 위성 (슈퍼버드 B3)을 경유하여 긴급 정보를 전국 지방 자치 단체에 배포한다.
:;주민에게 정보 전달
::소방청의 긴급 정보를 지방 자치 단체가 수신. 시정촌에서 방재 행정 무선이나 유선 방송 전화, 긴급 고지 FM 라디오가 자동 기동되어 사이렌 경보 및 음성 방송 등을 통해 정보가 주민에게 전달된다. 기본적으로 실내 대피나 높은 지대로의 쓰나미 피난에 의한 자기 방어가 지시된다.
::텔레비전과 라디오는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끼어드는 형태로 전달한다. 긴급 지진 속보에서는 방송 화면 위에 텔롭을 표시하는 데 반해, J-ALERT에서는 화면 자체를 전환한다.
탄도 미사일이 일본으로 향하는 것과 같은 시민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시민 방호 사이렌이라는 사이렌이 확성기를 통해 울린다.[6]
3. 전달 정보
전국순간경보시스템(J-Alert)으로 전달되는 정보는 크게 기상청이 작성하는 기상 관련 정보와 내각관방이 작성하는 유사시 관련 정보로 나뉜다.[12] 2016년 10월 현재 24종류의 정보가 전송된다.[12]
- 지진 정보: 긴급지진속보[14], 진도 속보, 진원·진도에 관한 정보, 도카이 지진 예지 정보, 도카이 지진 주의 정보, 도카이 지진 조사 정보 등이 있다.
- 쓰나미 정보: 쓰나미 경보와 쓰나미 주의보를 포함한다.

- 화산 정보: 분화 경보(일부 특별 경보 포함), 화구 주변 경보, 분화 예보 등이 있다.
- 기상 정보: 기상 등의 특별 경보(호우, 대설, 폭풍, 폭풍설, 파랑, 고조)[13], 기상 경보(호우, 홍수, 대설, 폭풍, 폭풍설, 파랑, 고조), 기상 주의보(16개 항목), 토사 재해 경계 정보[15], 토네이도 주의 정보[15], 기록적 단시간 호우 정보[15], 지정 하천 홍수 예보[15] 등이 있다.
- 유사시 관련 정보: 탄도 미사일 정보(주로 북한에 의한 미사일 공격), 항공 공격 정보(공습 경보), 게릴라·특수 부대 공격 정보, 대규모 테러 정보, 기타 국민 보호 정보[15] 등이 있다.
대쓰나미 경보, 쓰나미 경보, 기상 등의 특별 경보[13], 분화 경보, 긴급 지진 속보, 유사시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자동 기동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12]
전국순간경보시스템(J-Alert)을 통해 전달되는 안보 정보는 내각관방이 작성하며, 탄도 미사일, 공습, 게릴라, 테러, 기타 침공 등 유사시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3]
- 항공 공격 정보: 공습 경보와 같은 항공 공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3]
- 게릴라·특수 부대 공격 정보: 게릴라 및 특수 부대의 공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3]
- 대규모 테러 정보: 대규모 테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3]
- 기타 국민 보호 정보: 시민 방위 및 국가 방위에 대한 기타 정보를 제공한다.[3]
이러한 정보들은 시정촌에서 방재 행정 무선을 자동 기동시킬지 결정할 수 있지만, 유사시 관련 정보는 자동 기동이 원칙이다.[12]
3. 1. 재난 정보
전국순간경보시스템(J-Alert)으로 전달되는 정보는 크게 기상청이 작성하는 기상 관련 정보와 내각관방이 작성하는 유사시 관련 정보로 나뉜다.[12] 2016년 10월 현재 24종류의 정보가 전송된다.[12]- 지진 정보: 긴급지진속보[14], 진도 속보, 진원·진도에 관한 정보, 도카이 지진 예지 정보, 도카이 지진 주의 정보, 도카이 지진 조사 정보 등이 있다.
- 쓰나미 정보: 쓰나미 경보와 쓰나미 주의보를 포함한다.
- 화산 정보: 분화 경보(일부 특별 경보 포함), 화구 주변 경보, 분화 예보 등이 있다.
- 기상 정보: 기상 등의 특별 경보(호우, 대설, 폭풍, 폭풍설, 파랑, 고조)[13], 기상 경보(호우, 홍수, 대설, 폭풍, 폭풍설, 파랑, 고조), 기상 주의보(16개 항목), 토사 재해 경계 정보[15], 토네이도 주의 정보[15], 기록적 단시간 호우 정보[15], 지정 하천 홍수 예보[15] 등이 있다.
- 유사시 관련 정보: 탄도 미사일 정보(주로 북한에 의한 미사일 공격), 항공 공격 정보(공습 경보), 게릴라·특수 부대 공격 정보, 대규모 테러 정보, 기타 국민 보호 정보[15] 등이 있다.
대쓰나미 경보, 쓰나미 경보, 기상 등의 특별 경보[13], 분화 경보, 긴급 지진 속보, 유사시 관련 정보에 대해서는 자동 기동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12]
3. 2. 안보 정보 (유사시 관련 정보)
전국순간경보시스템(J-Alert)을 통해 전달되는 안보 정보는 내각관방이 작성하며, 탄도 미사일, 공습, 게릴라, 테러, 기타 침공 등 유사시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3]- 항공 공격 정보: 공습 경보와 같은 항공 공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3]
- 게릴라·특수 부대 공격 정보: 게릴라 및 특수 부대의 공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3]
- 대규모 테러 정보: 대규모 테러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3]
- 기타 국민 보호 정보: 시민 방위 및 국가 방위에 대한 기타 정보를 제공한다.[3]
이러한 정보들은 시정촌에서 방재 행정 무선을 자동 기동시킬지 결정할 수 있지만, 유사시 관련 정보는 자동 기동이 원칙이다.[12]
4. 도입 현황 및 과제
많은 현과 도시 지역에서 시스템 도입이 늦어졌다. 일본 정부는 시스템 도입 당시 2009년까지 전국 80%에 J-Alert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희망했다.[2] 그러나 2011년까지 전국 36%만이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비용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는데, 초기 설치 비용은 약 4억 3천만 일본 엔으로 추산되며, 연간 유지 보수 비용은 약 1천만 일본 엔으로 추산된다.
2013년 5월까지 전국 지자체의 99.6%가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7]
- 2004년(헤이세이 16년) 11월 - 고치현(게이세이촌에서 실증 실험이 실시되었다.
- 2005년(헤이세이 17년)
- * 5월 24일 - 경제재정자문회의에 제출된 "아소 안심·안전 비전"[16] 내에서 J-ALERT의 개발·정비가 발표되었다.
- * 9월 27일 - 중앙방재회의에서 J-ALERT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다.
- 2005년(헤이세이 17년) 10월 ~ 2006년(헤이세이 18년) 3월 - "사이렌 등에 의한 순간 정보 전달 방식에 관한 검토 위원회"가 개최되었다(총 3회).
- 2006년(헤이세이 18년)
- * 1월 ~ 3월 - 15개 도도부현, 16개 시정촌의 참여 하에 실증 실험이 실시되었다(자세한 내용은 다음 절 참조).
- * 3월 27일 - 사이렌 등에 의한 순간 정보 전달 방식에 관한 검토 위원회의 보고서[17]가 정리되었다.
- 2007년(헤이세이 19년)
- * 2월 9일 - 10개 도도부현, 4개 시정에서 J-ALERT의 일부 운용이 시작되었다.
- ** 도도부현(10개 단체)
홋카이도, 사이타마현, 지바현, 도쿄도, 후쿠이현, 나가노현, 시즈오카현, 효고현, 돗토리현, 후쿠오카현
- ** 시정(4개 단체)
이와테현 가마이시시, 사이타마현 히다카시, 지바현 미나미보소시, 효고현 이치카와정
- * 6월 13일 - 소방청으로부터 이와테현 가마이시시 및 효고현 이치카와정에서 J-ALERT를 이용한 긴급 지진 속보의 일반인 대상 전달 시험 실시(6월 18일)가 발표되었다[18].
- * 10월 1일 - 긴급 지진 정보 송신을 시작.
- * 12월 17일 -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 송신을 시작.
- 2009년(헤이세이 21년) 1월 6일 - 수신 대상을 지방공공단체 외에도 확대.
- 2010년(헤이세이 22년)
- * 2월 28일 - 칠레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에 대해 J-ALERT에 의한 쓰나미 경보·쓰나미 주의보를 속보했지만, 일부 지역에서 오보가 발생했다[19][20].
- * 12월 22일 - 고도화된 시스템 도입 시작[21].
- 2011년(헤이세이 23년)
- * 3월 9일 - 동일 발생한 산리쿠 앞바다를 진원지로 하는 지진의 쓰나미 주의보에 대해, 주의보 대상 구역 외의 일부 지역에 잘못 방송되었다[22].
- * 3월 11일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이 발생. 대쓰나미 경보 등이 발령되었다.
- * 6월 -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이 있었던 지역 이외의 거의 모든 자치체에서 하드웨어 정비를 완료했다.
- 2012년(헤이세이 24년)
- * 9월 12일 - 전국을 대상으로 발령한 J-ALERT 일제 방송 훈련에서 약 280개 시구정촌에서 음성이 나오지 않는 등의 불량이 발생했다[23].
- * 12월 12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 오키나와현과 현내 전체 41개 시정촌에 제공했지만, 2개 시정촌에서 주민에게 전달되지 않았다[24].
- 2013년(헤이세이 25년) 5월 - 수도 직하 지진 등에 대비하여 백업이 되는 간사이 국의 운용을 시작.
- 2014년(헤이세이 26년)
- * 3월 27일 - 시스템 개수를 통해 기상 특별 경보가 추가됨과 동시에 자동 시작으로 지정되었다.
- * 4월 1일 - NTT 도코모의 지역 메일·KDDI, 오키나와 셀룰러, 소프트뱅크 모바일의 긴급 속보 메일에서 J-ALERT로 발신하는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의 배포를 시작[25].
- 2016년(헤이세이 28년) 2월 7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오키나와현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
- 2017년(헤이세이 29년)
- * 8월 29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홋카이도·아오모리현·이와테현·아키타현·미야기현·야마가타현·후쿠시마현·이바라키현·토치기현·군마현·니가타현·나가노현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 북일본·동일본의 12개 도도부현에 제공했지만, 적어도 7개 도도부현 16개 시정촌에서 정보 전달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총무성 소방청이 밝혔다[26].
- * 9월 15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홋카이도·아오모리현·이와테현·아키타현·미야기현·야마가타현·후쿠시마현·이바라키현·토치기현·군마현·니가타현·나가노현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
- 2022년(레이와 4년)
- * 10월 4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홋카이도·아오모리현[27]·도쿄도(도서부)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했지만, 홋카이도의 4개 시정 및 아오모리현의 2개 시에서 정보 전달에 문제가 있었다는 것을 총무성 소방청이 밝혔다[28].
- * 11월 3일 - 북한 미사일 발사에 의해 미야기현·야마가타현·니가타현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
- 2023년(레이와 5년)
- * 4월 13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미사일 중 하나가 홋카이도에 낙하할 것으로 보인다"며 홋카이도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했지만, 후에 "낙하 가능성은 없어졌다"고 정정했다[29].
- * 5월 31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오키나와현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했지만, 북한은 인공위성 로켓 발사가 실패했다고 발표했다.
- * 8월 24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오키나와현에 국민 보호에 관한 정보를 발동했지만, 북한은 인공위성 로켓 발사가 실패했다고 발표했다.
- * 9월 1일 - 시스템 개수를 통해 "낙하 우려가 있는 지역이 기존보다 확정되기 전에 정보 발신"함으로써 "시간이 1분 정도 단축"되고 "J-ALERT가 전송되는 범위가 넓어진다"고 한다[30].
- * 11월 21일 -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의해 오키나와현을 대상으로 발령되었지만 미사일은 "태평양을 통과했다"고 해제되었다[31].
- 2024년(레이와 6년)
- * 5월 27일 - 북한이 인공위성으로 추정되는 발사에 의해 오키나와현을 대상으로 발령되었지만 약 20분 후에 해제[32].
J-ALERT는 전국적인 운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 방재 행정 무선 정비 및 정보 전달 경로 확충: J-ALERT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방재 행정 무선 정비가 필수적이다. 2009년 3월 기준, 전국 동보 계열 시정촌 방재 행정 무선의 정비율은 75.9%에 불과하여 미정비 지역 해소가 시급하다.[33] 또한, 실내나 폭우/강풍 시 정보 전달이 어려운 방재 행정 무선의 특성상, 가구별 수신기, 휴대 전화 메일, CATV망, 원세그 방송 등 다양한 전달 경로를 병용하여 정보 전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 방재 행정 무선 자동 기동 시간 단축: J-ALERT는 초 단위의 빠른 정보 전달이 요구되지만, 2006년 실증 실험에서는 정보 발신부터 방송까지 5-23초가 소요되었다. 옥외 확성 자국 호출 방식 최적화, 셀렉트 호출 시간 단축, 방재 행정 무선 제어탁에서의 정보 처리 시간 단축, 합병된 시정촌의 방재 행정 무선 시스템 통합 등을 통해 정보 전달 시간을 단축해야 한다.
- 타 시스템과의 연동: J-ALERT를 지방 공공 단체가 이미 운용 중인 시스템과 연동하면 위기 관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직원 비상 소집, 소방 기관 일제 지령, 비상 전원 기동 등이 연동 가능한 예시이다.
- 도입 자치체 보급률: 2009년 4월 기준, J-ALERT 수신 시스템 도입 자치체는 15.7%, 방재 행정 무선 등과 직결시킨 자치체는 11.7%에 불과했다.[34] 2013년 5월에는 99.6%의 자치체가 도입했지만, 2009년 4월 북한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예고 당시 낮은 J-ALERT 설치율 때문에 총리대신 관저의 Em-Net을 사용해야 했다. 2014년 4월 전국 모든 자치체에 도입이 완료되었고, 자동 기동 장치도 2016년 5월에 도입이 완료되었다.[36]
- 오작동 가능성: 2008년 기후현 오노정과 후쿠이현 미하마정에서 J-ALERT 오작동 문제가 발생했다. 미하마정에서는 "미사일 착탄 우려" 방송이 흘러나와 주민 문의가 쇄도했고, 미하마 원전이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였다. 수신 장치 수리 작업 실수와 경보 데이터 선택 오류가 원인이었다.[37] 2010년 칠레 지진 쓰나미 경보, 2022년 북한 탄도 미사일 발사 때도 오작동이 발생하여 시스템 개선이 이루어졌다.[38][39]
- 경보의 정밀도 및 속도: 2022년 북한 미사일 발사 시, 상공 통과 예상 시각 이후 경보가 발령되어 정밀도 문제가 제기되었다.[40][41] 2023년 북한 미사일 발사 시에는 "홋카이도 주변 낙하" 정보가 수정되는 등 정보 전달 방식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42] 2023년 9월 시스템 개선을 통해 경보 속도가 "1분 정도 단축될 것"이라고 밝혔다.[30]
4. 1. 과제 (일본)
J-ALERT는 전국적인 운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방재 행정 무선 정비 및 정보 전달 경로 확충: J-ALERT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방재 행정 무선 정비가 필수적이다. 2009년 3월 기준, 전국 동보 계열 시정촌 방재 행정 무선의 정비율은 75.9%에 불과하여 미정비 지역 해소가 시급하다.[33] 또한, 실내나 폭우/강풍 시 정보 전달이 어려운 방재 행정 무선의 특성상, 가구별 수신기, 휴대 전화 메일, CATV망, 원세그 방송 등 다양한 전달 경로를 병용하여 정보 전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 방재 행정 무선 자동 기동 시간 단축: J-ALERT는 초 단위의 빠른 정보 전달이 요구되지만, 2006년 실증 실험에서는 정보 발신부터 방송까지 5-23초가 소요되었다. 옥외 확성 자국 호출 방식 최적화, 셀렉트 호출 시간 단축, 방재 행정 무선 제어탁에서의 정보 처리 시간 단축, 합병된 시정촌의 방재 행정 무선 시스템 통합 등을 통해 정보 전달 시간을 단축해야 한다.
- 타 시스템과의 연동: J-ALERT를 지방 공공 단체가 이미 운용 중인 시스템과 연동하면 위기 관리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직원 비상 소집, 소방 기관 일제 지령, 비상 전원 기동 등이 연동 가능한 예시이다.
- 도입 자치체 보급률: 2009년 4월 기준, J-ALERT 수신 시스템 도입 자치체는 15.7%, 방재 행정 무선 등과 직결시킨 자치체는 11.7%에 불과했다.[34] 2013년 5월에는 99.6%의 자치체가 도입했지만, 2009년 4월 북한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 예고 당시 낮은 J-ALERT 설치율 때문에 총리대신 관저의 Em-Net을 사용해야 했다. 2014년 4월 전국 모든 자치체에 도입이 완료되었고, 자동 기동 장치도 2016년 5월에 도입이 완료되었다.[36]
- 오작동 가능성: 2008년 기후현 오노정과 후쿠이현 미하마정에서 J-ALERT 오작동 문제가 발생했다. 미하마정에서는 "미사일 착탄 우려" 방송이 흘러나와 주민 문의가 쇄도했고, 미하마 원전이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였다. 수신 장치 수리 작업 실수와 경보 데이터 선택 오류가 원인이었다.[37] 2010년 칠레 지진 쓰나미 경보, 2022년 북한 탄도 미사일 발사 때도 오작동이 발생하여 시스템 개선이 이루어졌다.[38][39]
- 경보의 정밀도 및 속도: 2022년 북한 미사일 발사 시, 상공 통과 예상 시각 이후 경보가 발령되어 정밀도 문제가 제기되었다.[40][41] 2023년 북한 미사일 발사 시에는 "홋카이도 주변 낙하" 정보가 수정되는 등 정보 전달 방식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42] 2023년 9월 시스템 개선을 통해 경보 속도가 "1분 정도 단축될 것"이라고 밝혔다.[30]
5. 주요 사례
2023년 4월 1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사일 발사 경고로 인해 홋카이도에서 사이렌이 울렸다. 평양이 신형 탄도 미사일을 발사한 후, J-Alert를 통해 홋카이도 북부 섬의 500만 명 이상의 주민들에게 즉시 대피하라는 자동 메시지가 휴대전화로 전송되었다. 주민들은 수백 마일 떨어진 바다에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은 잔해를 피하기 위해 대피했다.[8]
6. 한국의 관련 시스템
한국에서는 행정전용망인 LGWAN에 단말기를 접속하여 비상 속보를 전달받는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J-ALERT와의 연동뿐만 아니라 중앙부처에서 내려주는 속보를 직접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09년 북한 미사일 시험 발사 당시 상급 부처를 거쳐 소식을 전달받는 과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경험한 후, 이러한 시스템 보급이 가속화되었다.
7.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J-Alert 논의
참조
[1]
웹사이트
J-Alert: disaster warning technology in Japan – Centre for Public Impact
https://www.centrefo[...]
2017-08-29
[2]
뉴스
Japan Launches Alert System For Tsunamis And Missiles
http://www.terradail[...]
2017-08-29
[3]
웹사이트
Jアラートの概要
https://web.archive.[...]
2017-08-29
[4]
웹사이트
Disaster agency urges municipalities to upgrade J-Alert receivers
https://web.archive.[...]
2017-08-07
[5]
웹사이트
東京都地域防災計画
https://www.bousai.m[...]
2021-04-17
[6]
웹사이트
Protecting Ourselves against Armed Attacks and Terrorism
https://www.kokuminh[...]
2024-09-22
[7]
뉴스
J-alert to serve as early warning system during weather emergencies
https://web.archive.[...]
The Japan Daily Press
2013-10-31
[8]
뉴스
Japan stands by cancelled missile alert sent to millions of residents
https://www.reuters.[...]
2023-04-13
[9]
웹사이트
内閣官房 国民保護ポータルサイト
http://www.kokuminho[...]
[10]
간행물
J-ALERTの情報受信機関の拡大と地上配信の開始に向けた業務規程等の整備(平成21年1月6日)
総務省消防庁
[1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Jアラート」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12]
간행물
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業務規程
[13]
문서
2014年3月27日に追加された。
[14]
문서
原則、[[日本放送協会|NHK]]や[[民間放送]]で使用している報知音(速報音)を鳴動するようになっている。
[15]
문서
2010年12月22日にシステム改修により追加された(「その他の国民保護情報」以外は2011年3月以降に配信)。
[16]
간행물
麻生 安心・安全ビジョン(平成17年5月24日)
総務省消防庁
[17]
간행물
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J-ALERT)についての検討会報告書、実証実験結果及び標準仕様書(平成18年3月27日)
総務省消防庁
[18]
간행물
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J-ALERT)を用いた緊急地震速報の一般への伝達の試行(平成19年6月13日)
総務省消防庁
[19]
뉴스
Jアラート、津波で誤報 避難勧告解除直後にまた警報
朝日新聞
2010-03-02
[20]
뉴스
津波「Jアラート」が誤報、システム不具合?
読売新聞
2010-03-02
[21]
간행물
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J-ALERT)の高度化開始及び全国的整備(平成22年12月17日)
総務省消防庁
[22]
간행물
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J-ALERT)の不具合に関する対応について(平成23年3月9日)
総務省消防庁
[23]
뉴스
Jアラートの一斉訓練、280市区町村でトラブル メーカー1社に問題か - MSN産経ニュース
MSN産経
2012-09-16
[24]
뉴스
【北ミサイル発射】Jアラート情報、2市村で住民に伝わらず 沖縄県 - MSN産経ニュース
MSN産経
2012-12-12
[25]
웹사이트
政府からの「Jアラート」を携帯各社の緊急メールで配信 避難・救援・弾道ミサイル発射情報など
https://k-tai.watch.[...]
2014-03-28
[26]
뉴스
北朝鮮ミサイル Jアラート、7道県16市町村でトラブル
毎日新聞
2017-08-29
[27]
문서
ただし、第1報は、青森県ではなく、東京都島嶼部に出された。
[28]
뉴스
Jアラート伝達、北海道・青森6市町で不具合 総務省消防庁
https://web.archive.[...]
[29]
뉴스
Jアラート"北海道付近に落下"発表も訂正
https://news.ntv.co.[...]
2023-04-13
[30]
웹사이트
Jアラートシステム改修 時間は1分程度短縮 隣接都道府県にも発信
https://www.fnn.jp/a[...]
2023-09-16
[31]
웹사이트
【速報】北朝鮮ミサイル避難の呼びかけを解除 太平洋へ通過したとみられる
https://www.fnn.jp/a[...]
2023-11-21
[32]
웹사이트
沖縄県内Jアラートで避難呼びかけ 北朝鮮による軍事偵察衛星の発射
https://www.fnn.jp/a[...]
2024-05-28
[33]
웹사이트
市町村防災無線システムの整備数
http://www.tele.soum[...]
総務省
[34]
뉴스
【北ミサイル発射】Jアラート整備へ財政支援 自治体対象に21年度補正で
産経新聞
2009-04-08
[35]
간행물
J-ALERT概要
総務省消防庁
[36]
PDF
J-ALERT概要(H28版)
http://www.fdma.go.j[...]
総務省消防庁
[37]
뉴스
【詳報】ミサイル発射の誤警報、原因は修理時の作業漏れと警報の選択ミス
https://xtech.nikkei[...]
ITpro
2008-07-02
[38]
뉴스
津波Jアラート、71市町村で誤放送 消防庁近く改修へ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0-03-10
[39]
웹사이트
Jアラート誤発信「過去の記録が消去されていなかった」
https://news.ntv.co.[...]
2022-10-05
[40]
웹사이트
Jアラート ミサイル通過予想時刻後に発表
https://news.ntv.co.[...]
2022-11-03
[41]
웹사이트
日本政府が“情報訂正”…「Jアラート」精度や政府内の連携の問題が浮き彫りに 北朝鮮“3発発射”
https://news.ntv.co.[...]
2022-11-03
[42]
뉴스
北ミサイル発射"Jアラート"政府「訂正ではなく新たな情報を提供
https://news.ntv.co.[...]
日テレNEWS
2023-04-13
[43]
웹사이트
トップページ
https://www.centurys[...]
[44]
웹인용
1.全国瞬時警報システム(Jアラート)とは 平成29年版 消防白書 総務省消防庁
https://www.fdma.go.[...]
2021-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