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력기반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력기반군은 독일 연방군의 조직으로, 교육 훈련, 연구 시설을 총괄하는 전군국과 국토 방위 임무를 수행하는 전력 지원 사령부로 구성된다. 전력기반군은 육군에 존재했던 병과를 승계하며, 헌병, 전자전, 심리전, 군악대, 지리 정보, 공병, 보급, 정비, 엽병 등의 병과로 이루어진다. 전력기반군은 통합군으로서 별도의 고유 제복은 없으며, 각 출신 군종의 제복을 착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력기반군 - 연방방위군화생방방호사령부
    독일 연방군의 화생방 방호 및 재난 구호를 담당하는 연방방위군화생방방호사령부는 1956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 체제를 갖추었으며, 화생방 공격 대비, 재난 구호,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유럽연합 및 NATO 군사위원회에 대한 독일 측 군사 대리인 역할을 수행한다.
  • 전력기반군 - 연방방위군야전엽병사령부
    독일 연방방위군 소속의 군사 경찰 부대인 연방방위군 야전엽병사령부는 규율 유지, 교통 통제, 범죄 수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산하에 여러 연대와 야전엽병 장교를 양성하는 학교를 두고 있다.
  • 2000년 설립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부산영화평론가협회는 2000년 부산국제영화제의 부대행사로 시작되어 우수한 한국 영화와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하는 영화상으로, 시상식에서 2015년부터는 포럼 형식으로 진행되며 대상, 각본상, 기술상, 연기자상, 신인감독상, 신인연기자상, 심사위원특별상, 이필우기념상 등의 부문으로 시상한다.
  • 2000년 설립 - 최저임금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 심의, 사업 종류별 구분 심의, 제도 발전 연구 등을 수행하는 고용노동부 소속 위원회로, 근로자, 사용자, 공익위원 각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되어 매년 다음 해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며, 결정은 고용노동부 장관의 고시를 통해 효력이 발생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전력기반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전력 지원 및 가능 서비스 로고
전력 지원 및 가능 서비스 로고
명칭전력 지원 및 가능 서비스
로마자 표기Streitkräftebasis
약칭SKB
창설일2000년 10월 1일
국가독일
소속독일 연방방위군
종류합동
역할군사 물류
규모28,000명 (2023년)
지휘 구조Kommando Streitkräftebasis
주둔지하르트회헤
별칭해당 없음
후원자해당 없음
모토해당 없음
색상해당 없음
군가Marsch der Streikräftebasis
마스코트해당 없음
장비해당 없음
기념일해당 없음
해체일해당 없음
비행 시간해당 없음
웹사이트전력 지원 및 가능 서비스 웹사이트
지휘부
총감공군 중장 마르틴 셸라이스
부총감공군 중장 페터 보러
참모총장육군 소장 위르겐 제처
주요 지휘관만프레드 닐손, 볼프람 퀴hn
설명
추가 정보

2. 역사적 배경

2000년 전력기반군(SKB) 창설 이전, 독일 연방군은 육군, 공군, 해군 각 군종이 별도의 지원 부대를 운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산된 구조는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제기되었고, 통합된 지원 조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독일 통일 이후 군 구조 개편의 필요성이 커졌으며, 군축과 전문성 강화, 그리고 NATO 등 국제적인 군사 작전 참여가 증가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전력기반군 창설이 추진되었다.

창설 당시 전력기반군은 NATO 지역 외 독일 군사 작전에 대한 국가적 감독을 담당하는 연방군 작전 사령부(Einsatzführungskommandode)와 독일 영토 방위를 위한 4개의 군관구 사령부(Wehrbereichskommandosde)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조직 구조를 가졌다. 군관구 사령부는 각각 , 마인츠, 에르푸르트, 뮌헨에 본부를 두었으며, 독일의 연방 구조에 따라 여러 주 사령부(Landeskommandosde)를 통제했다.

이후 시대 변화에 따라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2012년 4월에는 징병제 종료에 따른 대대적인 군 개편의 일환으로, 포츠담에 본부를 둔 연방군 작전 사령부가 연방군 감찰관에게 직접 보고하는 체계로 변경되었다. 이는 작전 지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2022년 9월에는 또 다른 개편을 통해 영토 작전 사령부(Territoriales Führungskommandode)가 창설되었다. 이 사령부 역시 기존 합동 지원 및 지원 서비스의 일부를 기반으로 하여 연방군 감찰관에게 직접 보고하게 되었으며, 독일 영토 내에서의 작전 및 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3. 주요 임무

전력기반군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연방군 전군에 대한 후방 지원 및 해외로 파견된 연방군 부대에 대한 보급을 담당한다.
  • 독일 내 국토 방위 임무를 수행하고, 파견된 국가에서 활동하는 연방군 부대의 지휘 참모 당국을 지원한다.


또한, 과거 '''연방군 중앙 군사 부문'''(ZMilDBw)으로 불렸던 부문도 전력기반군에 속해 있다. 여기에는 다음 기관들이 포함된다.

  • 독일 연방군 대학교 (뮌헨 캠퍼스 및 함부르크 캠퍼스)
  • 바렌도르프에 위치한 연방군 스포츠학교
  • 쾰른에 위치한 군사 보안국

4. 조직 구조

독일 연방군의 전력기반군(SKB)은 주로 두 개의 주요 기구로 구성된다: 전군국( Streitkräfteamtde )과 전력 지원 사령부( Kommando Streitkräftebasisde ).[9]

전군국은 에 위치하며, 연방군의 모든 학교, 훈련 및 연구 센터, 군사 방첩국( Militärischer Abschirmdienstde ), 그리고 연방군의 고등 사관학교와 대학들을 지휘한다. 전군국의 상세한 예하 기관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전력 지원 사령부는 여러 지휘 및 통제 역할을 담당하는 최고 사령 당국이다. 과거에는 국토 방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4개의 군사 지구 사령부( Wehrbereichskommandosde, WBK)를 예하에 두었다. 이 사령부들의 본부는 각각 (WBK I), 마인츠 (WBK II), 에르푸르트 (WBK III), 뮌헨 (WBK IV)에 위치했으며, 각 사령부는 해당 지역의 사령부( Landeskommandodes )를 통제했다. 현재 전력 지원 사령부의 상세한 예하 부대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영국의 국방 물류 기구나 호주 국방부의 호주 지원 사령부와는 달리, 과거 전력기반군은 독일 영토 방위 구조와 NATO 지역 밖의 독일 군사 작전에 대한 국가적 감독 기능( 포츠담의 연방군 작전 사령부가 수행)을 포함했었다.

조직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왔다. 2012년 개편으로 연방군 작전 사령부( Einsatzführungskommandode )는 연방군 총감에게 직접 종속되었다. 2022년에는 전력기반군의 일부를 기반으로 영토 작전 사령부( Territoriales Führungskommandode)가 창설되어 마찬가지로 연방군 총감에게 직접 종속되었다.

전력기반군은 고유의 제복이 없으며, 소속 군인들은 각자의 출신 군종(육군, 공군, 해군 등) 제복을 착용한다. 독일 연방군 내에서는 합동 의료 서비스와 함께 독립된 군종에 준하는 취급을 받는다. 전력기반군의 최고 지휘관은 연방군 총감이지만, 공식적인 최고 간부는 연방군 부총감을 겸임하는 전력기반군 총감이다. 2010년 기준으로 현역병은 약 70,500명이었다.[9]

4. 1. 전력 지원 사령부 예하 부대

독일 연방군의 전력 지원 사령부에 해당하는 '''합동 지원 및 지원 서비스 본부'''는 에 위치하며 여러 지휘 및 통제 역할을 담당한다. 이 사령부 예하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부대 및 기관들이 있다.

  • 군사 연구 사무소 (뮌헨 소재)
  • 연방 안보 정책 아카데미 (베를린 소재)
  • NATO 및 EU의 독일 군사 대표 (브뤼셀 소재)
  • '''연방군 병참 사령부''' (에르푸르트 소재)[7]
  • '''독일 연방군 헌병대 사령부''' (하노버 주둔)
  • '''독일 연방군 화생방 방호 사령부''' (부르흐잘 소재)


각 사령부(병참, 헌병, 화생방 방호)의 상세한 예하 부대 구성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1. 병참 사령부

연방군 병참 사령부 휘장
'''연방군 병참 사령부'''는 에르푸르트에 위치한다.[7]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1 병참 연대 휘장
    제1 병참 연대 (부르크바이마그데부르크 소재)
  • *
    제161 병참 대대 휘장
    제161 병참 대대 (델멘호르스트 소재)
  • *
    제163 병참 대대 휘장
    제163 병참 대대 (델멘호르스트 소재)
  • *
    제171 병참 대대 휘장
    제171 병참 대대 (부르크바이마그데부르크 소재)
  • *
    제172 병참 대대 휘장
    제172 병참 대대 (베일리츠 소재)
  • 제4 병참 연대 휘장
    제4 병참 연대 (폴크하흐 소재, 2023년 10월 12일 발족)
  • *
    제461 병참 대대 휘장
    제461 병참 대대 (발트퓌른 소재)
  • *
    제467 병참 대대 휘장
    제467 병참 대대 (폴크하흐 소재)
  • * 제471 병참 대대 (오스터하이데 소재, 2024년 10월 1일 발족 예정)
  • *
    제472 병참 대대 휘장
    제472 병참 대대 (큄머스브루크 소재)
  • 제164 특수 공병 연대 휘장
    제164 특수 공병 연대 (후줌 소재)
  • 연방군 병참 학교 휘장
    연방군 병참 학교 (오스터홀츠-샤름베크 소재)
  • 연방군 병참 센터 휘장
    연방군 병참 센터 (빌헬름스하펜 소재)
  • 연방군 차량 센터 휘장
    연방군 차량 센터 (묀헨글라트바흐 소재)

4. 1. 2. 헌병 사령부

독일 연방군 헌병대 사령부 문장
'''독일 연방군 헌병대 사령부'''는 하노버에 위치하고 있다. 예하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가 있다.

  • 헌병 및 참모 지원 학교 문장
    헌병 및 참모 지원 학교 (하노버 주둔)
  • -- 제1 헌병 연대 (베를린 주둔)
  • -- 제2 헌병 연대 (힐덴 주둔)
  • -- 제3 헌병 연대 (뮌헨 주둔)

4. 1. 3. 화생방 방호 사령부

'''독일 연방군 화생방 방호 사령부'''는 부르흐잘에 위치하며, 예하에 다음 부대들을 두고 있다.

  • 화생방 방호 및 법적 보호 임무 학교, 존토펜 소재
  • 제1 화생방 방호 연대, 슈트라우스베르크 소재
  • 제7 화생방 방호 대대, 회크스터 소재
  • 제750 화생방 방호 대대 "바덴", 부르흐잘 소재

4. 2. 전군국 예하 기관

연방군 사무소( Streitkräfteamtde )는 에 위치하며, 연방군의 모든 학교, 훈련 및 연구 센터, 군사 방첩국( Militärischer Abschirmdienstde ), 그리고 연방군의 고등 사관학교와 대학들을 지휘한다.

주요 예하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연방군 사무소''', 소재
  • * 연방군 검증 임무 센터, 가일렌키르헨 소재
  • * 연방군 군견 훈련소, 울멘 소재
  • * 연방군 공보 센터, 슈트라우스베르크 소재
  • * 연방군 군악대, 소재
  • * 연방군 스포츠 학교, 바렌도르프 소재

4. 3. 기타 주요 기관

전력기반군 총감 직속의 주요 기관 및 부서는 다음과 같다.[9]

  • 군사 보안국: 쾰른 소재 (첩보 기관)
  • 군사 정보국: 쾰른 소재 (첩보 기관)
  • 연방군 인사국: 쾰른 소재 (군정 기관)
  • 연방군 기간 업무국: 쾰른 소재 (군정 기관)
  • 연방군 후방 지원국: 장크트 아우구스틴 소재 (군정 기관)
  • 연방군 대학교: 뮌헨 및 함부르크 소재
  • 연방 안보 정책 대학교: 베를린 소재
  • NATO / EU / WEU 독일군 대표부: 브뤼셀 소재

5. 병과

전력기반군은 육군에 존재했던 병과를 승계하고 있다. 이러한 병과는 완전 소속 또는 분담 파견으로 성립된다. 이들 장병의 군복에 관한 외부 식별 방법은 베레모장, 병과색 또는 베레모색으로 인식된다.

이에 해당하는 병과는 다음과 같다.


  • 헌병 (Feldjägertruppe|펠트예거트루페de) (FJgTr)
  • 전자전 부대 (EloKa)
  • 심리전 부대 (OpInfoTr)
  • 군악대 (MilMus)
  • 지리 정보 (GeoInfo)
  • 공병과의 일부 (PiTr)
  • 보급 병과의 일부 (NschTr)
  • 정비 병과의 일부 (InstTr)
  • 엽병과의 일부 (JgTr)


육군 외의 군종 전체 구성원도 전력기반군 내에서 통상 근무하지만, 더 큰 "순수 종"의 군종별 단위는 통상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개별 장병을 통해 체현된다.

6. 제복

전력기반군은 통합군으로서 별도의 고유 제복을 정하지 않았다. 소속 군인들은 각자 원래 소속되었던 육군, 해군, 공군 등 출신 군종의 제복을 그대로 착용한다. 이 때문에 같은 부서 내에서도 서로 다른 군복을 입고 근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조

[1] 뉴스 Der große Erfolg von Gerhard Fetzer 2010-10-01
[2] 웹사이트 Aktuelle Personalzahlen der Bundeswehr [Current personnel numbers of the Federal Defence] https://www.bundeswe[...] 2020-05-28
[3] 웹사이트 Strukturen für die 'Bundeswehr der Zukunft': Viel Unruhe, wenig Klarheit – Augen geradeaus! https://augengeradea[...]
[4] 웹사이트 Übergabeappell April 2012 http://www.einsatz.b[...] Bundeswehr 2014-12-12
[5] 웹사이트 Bundeswehr stellt Territoriales Führungskommando auf – Corona-General an der Spitze https://augengeradea[...] Augen geradeaus 2022-10-20
[6] 웹사이트 Organisation Streitkräftebasis http://www.streitkra[...] Bundeswehr 2018-07-19
[7] 웹사이트 Logistikkommando der Bundeswehr https://www.bundeswe[...] 2021-11-11
[8] 웹사이트 Homepage of the Joint Support Service http://www.streitkra[...] 2015-07-01
[9] 웹사이트 Die Starke der Streitkrafte http://www.bundesweh[...] 2010-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