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선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선군은 전쟁 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편성된 군사 조직으로, 특히 러시아 제국, 소련, 일본 제국에서 사용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맞서 북서부, 남서부, 북부, 서부, 루마니아, 캅카스 전선을 설치했다. 소련은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전선군을 운용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유사시를 대비한 조직을 유지했다. 일본 제국은 러일 전쟁에서 만주군 예하 부대로 전선을 운용했으며,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북지나 방면군, 지나 파견군 등 다수의 방면군을 설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전선군 - 남서부 전선군 (소련)
    남서부 전선군은 독소 전쟁 초기에 독일 남부 집단군에 맞서 싸운 소련군의 전선군으로, 주요 전투에 참여하여 독일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고 스탈린그라드 포위망 형성에 기여했으며, 1943년 제3우크라이나 전선군으로 개칭되었다.
  • 소련의 전선군 -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 전선에서 활약한 소련군의 전선군으로, 우크라이나, 폴란드, 독일 등지에서 나치 독일 국방군을 상대로 승리했으며, 종전 후에는 소련 중앙군집단으로 재편되었다.
전선군
군사 조직
유형군사 편성
규모군, 군단보다 크고, 군집단보다 작음
역할특정 전역에서 작전 통제 및 지휘
지휘관전선군 사령관 (계급은 일반적으로 대장 또는 상급 대장)
역사적 맥락
기원러시아 제국
발전소련에서 발전
사용 국가소련, 러시아, 기타 국가
구성 요소
일반적인 구성여러 개의 군
군단
항공 부대
지원 부대
지휘 및 통제
지휘 체계전선군 사령관
참모
각 군 및 부대에 대한 지휘 권한
소련의 전선군
특징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한 대규모 작전 수행
여러 개의 군을 통합하여 운용
기동성, 화력, 방어력을 갖춤
주요 임무적 방어선 돌파
주요 지역 점령
적의 공격 저지
주요 전선군 (독소전쟁)북부 전선군
북서부 전선군
서부 전선군
남서부 전선군
남부 전선군
카렐리야 전선군
레닌그라드 전선군
볼호프 전선군
칼리닌 전선군
브랸스크 전선군
중부 전선군
보로네즈 전선군
스텝 전선군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
제2 우크라이나 전선군
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제1 벨로루시 전선군
제2 벨로루시 전선군
제3 벨로루시 전선군
제1 발트 전선군
제2 발트 전선군
제3 발트 전선군
트란스바이칼 전선군
제1 극동 전선군
제2 극동 전선군

2. 러시아 제국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러시아 최고사령부는 두 개의 전선을 설치했다. 하나는 독일 제국에 맞서 배치된 부대를 통합한 북서부 전선이었고, 다른 하나는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맞서 배치된 부대를 통합한 남서부 전선이었다.

1915년 8월, 북서부 전선은 북부 전선과 서부 전선으로 분할되었다.

1916년 말에는 루마니아 전선이 창설되었으며, 여기에는 루마니아군의 잔존 부대도 포함되었다.

1917년 4월, 캅카스 군을 재편성하여 캅카스 전선이 창설되었다.

3. 소련

소련의 전선군은 러시아 내전 기간 중 처음으로 창설되었다. 이들은 전시 조직이었으며, 평시에는 일반적으로 해산되어 군관구로 재편성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 소련군은 국경의 평시 군사 지구를 전선 사령부와 군사 지구 사령부로 분할하는 군사 교리를 확립했다.[3] 전선군은 자체적인 군 규모의 전술 고정익 항공 조직(항공군)을 갖추고 있었으며, 전선군 사령관에게 직접 종속되었다.[3]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는 스탈린그라드 전선군, 돈 전선군, 남동 전선군 등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냉전 시대 동안 전선과 그 참모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내에서 소련군 집단이 되었다.[6] 전선은 전시 최고 작전 지휘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평시에는 전선이 실제로 설치된 적은 없었지만,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육군 관구로 유지되었다. 전선은 일반적으로 3~4개의 제병 연합군과 1~2개의 전차군으로 구성되었지만, 정해진 조직은 없었다.[6]

한국과 관련된 전선군으로는 제1 극동 전선군이 있으며, 1945년 만주 전략공세작전에 참전하여 일본 관동군을 격파하고 한반도 북부 지역을 해방하는 데 기여했다.

3. 1. 러시아 내전 시기 (1918-1920)

소비에트 전선군은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처음 창설되었다. 이들은 전시 조직이었으며, 평시에는 일반적으로 전선군이 해산되고 그들의 군대는 다시 군관구로 편성되었다.

보통 단일 군관구는 적대 행위가 시작될 때 또는 적대 행위가 예상될 때 단일 전선군을 형성했다. 일부 군관구는 전선군을 형성할 수 없었다. 전선군은 1920년의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중에도 형성되었다.

러시아 내전 및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당시의 주요 전선군은 다음과 같다.

  • 북부 전선군 (1918년 9월 15일 – 1919년 2월 19일)
  • 서부 전선군 (1919년 2월 12일 – 1924년 4월 8일)
  • 남서부 전선군 (1920년 1월 10일 – 1920년 12월 5일)
  • 남부 전선군 (1918년 9월 – 1920년 1월 및 1920년 9월 – 12월)
  • 동남부 전선군 (1919년 9월 30일 – 1920년 1월 16일)
  • 동부 전선군 (1918년 6월 13일 – 1920년 1월 15일)
  • 투르케스탄 전선군 (1919년 2월 23일 – 1926년 6월 4일)
  • 우크라이나 전선군 (1919년 1월 – 6월)
  • 카스피해-코카서스 전선군 (1918년 12월 8일 – 1919년 3월 13일)
  • 코카서스 전선군 (1920년 1월 16일 – 1921년 5월 29일)

3. 2.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1941-1945)

소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 국경의 평시 군사 지구를 전선 사령부와 군사 지구 사령부로 분할하는 군사 교리를 확립했다.[3] 전선군은 일반적으로 자체적인 군 규모의 전술 고정익 항공 조직(항공군)을 갖추고 있었으며, 전선군 사령관에게 직접 종속되었다.[3]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유럽 전역에서 활동한 주요 소련 전선군은 다음과 같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소련 전선군 (1941-1945)
형성전선군 (기간)사령관개편
발트 특수 군관구북서부 전선군 (1941년 6월 22일 – 1943년 11월 20일)표도르 쿠즈네초프, 표트르 소베니코프, 파벨 쿠로치킨, 세묜 티모셴코, 이반 코네프해산
서부 특수 군관구서부 전선군 (1941년 6월 22일 – 1944년 4월 15일)드미트리 파블로프, 안드레이 예레멘코, 세묜 티모셴코, 이반 코네프, 게오르기 주코프, 바실리 소콜로프스키, 이반 체르냐코프스키제3 벨로루시 전선군
키예프 특수 군관구남서부 전선군 (I) (1941년 6월 21일 – 1942년 7월 12일)미하일 키르포노스, 세묜 티모셴코, 표도르 코스텐코남부 전선군과 스탈린그라드 전선군으로 분할
레닌그라드 군관구북부 전선군 (1941년 6월 24일 – 1941년 8월 26일)마르키안 포포프레닌그라드 전선군과 카렐리야 전선군으로 분할
동원된 평시 편성 모스크바 군관구남부 전선군 (I) (1941년 6월 25일 – 1941년 7월 28일)이반 튜레네프, 드미트리 랴비셰프, 야코프 체레비첸코, 로디온 말리노프스키북코카서스 전선군
NKVD 군대가 육군으로 이관 (STAVKA 예비 군 집단)예비군 전선군 (1941년 7월 14일 – 1941년 7월 29일)이반 보그다노프 (NKVD)서부 전선군과 새로 형성된 예비 전선군으로 분할
모스크바 군관구모자이스크 방어선 전선군 (1941년 7월 18일 – 7월 30일)파벨 아르테미예프 (NKVD)예비 전선군
4군 사령부 & 서부 전선군 우익중앙 전선군 (I) (1941년 7월 26일 – 1941년 8월 25일)표도르 쿠즈네초프, 미하일 예프레모프주요 독일 선봉대가 막대한 피해를 입혀 해산되었으며, 중앙 전선군의 잔존 병력은 브랸스크 전선군 (I)에 흡수되었다.
예비군 전선군예비 전선군 (I) (1941년 7월 30일 – 1941년 10월 12일)게오르기 주코프, 세묜 부됤니서부 전선군과 통합
20 소총 군단 및 25 기계화 군단브랸스크 전선군 (I) (1941년 8월 16일 – 1941년 11월 10일)안드레이 예레멘코, 미하일 페트로프, 게오르기 자하로프해산
자캅카스 군관구 및 세바스토폴 방어 지역자캅카스 전선군 (I) (1941년 8월 23일 – 1941년 12월 30일)드미트리 티모페예비치 코즐로프코카서스 전선군
북부 전선군레닌그라드 전선군 (1941년 8월 27일 – 1945년 7월 24일)마르키안 포포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게오르기 주코프, 이반 페듀닌스키, 미하일 호진, 레오니트 고보로프레닌그라드 군관구
북부 전선군카렐리야 전선군 (1941년 9월 1일 – 1944년 11월 15일)발레리안 프로로프, 키릴 메레츠코프핀란드가 전쟁에서 탈출한 후 해산되었으며, 전선군 사령부는 만주 해방을 위한 제1 극동 전선군이 될 프리모르스키군 집단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모자이스크 방어선 전선군모스크바 예비 전선군 (1941년 10월 9일 – 1941년 10월 12일)파벨 아르테미예프 (NKVD)서부 전선군에 흡수
22, 29, 30 및 31군의 서부 전선군칼리닌 전선군 (1941년 10월 19일 – 1943년 10월 20일)이반 코네프, 막심 푸르카예프, 안드레이 예레멘코제1 발트 전선군
동원된 예비군, 모스크바 군관구모스크바 방어 지구 (1941년 12월 3일 – 1943년 10월 1일)파벨 아르테미예프 (NKVD)독일군의 진격이 멈추고 모스크바에 대한 위협이 회피된 후 징집병 훈련 사령부가 되었으며, 사령부는 1943년 10월 벨로루시 군관구를 재건하는 데 사용되었다.
레닌그라드 전선군 좌익 및 STAVKA 예비 편성볼호프 전선군 (I) (1941년 12월 17일 – 1942년 4월 23일)키릴 메레츠코프'레닌그라드 전선군'에 볼호프 방향 군 집단으로 재통합
중장 코스텐코의 임무 집단브랸스크 전선군 (II) (1941년 12월 24일 – 1943년 3월 12일)야코프 체레비첸코, 필리프 골리코프, 니칸드르 치비소프,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막스 레이터예비 전선군 (II.)
자캅카스 전선군코카서스 전선군 (1941년 12월 30일 – 1942년 1월 28일)드미트리 티모페예비치 코즐로프크림 전선군 및 자캅카스 군관구
코카서스 전선군크림 전선군 (1942년 1월 28일 – 1942년 5월 19일)드미트리 티모페예비치 코즐로프파괴 후 잔존 병력은 북코카서스 전선군에 흡수
자캅카스 군관구크림 전선군 파괴 후 재동원자캅카스 전선군 (II) (1942년 5월 15일 – 1945년 8월 25일)이반 튜레네프트빌리시 군관구
크림 전선군의 잔존 부대와 남부 전선군북코카서스 전선군 (I) (1942년 5월 20일 – 1942년 9월 3일)세묜 부됤니흑해군 집단
레닌그라드 전선군의 볼호프 방향 군 집단볼호프 전선군 (II) (1942년 6월 8일 – 1944년 2월 15일)키릴 메레츠코프해산
브랸스크 전선군 (II)의 일부보로네시 전선군 (1942년 7월 9일 – 1943년 10월 20일)필리프 골리코프, 니콜라이 바투틴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
남서부 전선군 (I)의 일부스탈린그라드 전선군 (I) (1942년 7월 12일 – 1942년 9월 30일)세묜 티모셴코, 바실리 고르도프, 안드레이 예레멘코돈 전선군
스탈린그라드 전선군 (I)의 일부남동 전선군 (1942년 8월 7일 – 1942년 9월 30일)안드레이 예레멘코스탈린그라드 전선군 (II)
스탈린그라드 전선군 (I)돈 전선군 (1942년 9월 30일 – 1943년 2월 15일)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중앙 전선군 (II)
남동 전선군스탈린그라드 전선군 (II) (1942년 9월 30일 – 1942년 12월 31일)안드레이 예레멘코남부 전선군 (II)
예비 편성남서부 전선군 (II) (1942년 10월 25일 – 1943년 10월 20일)니콜라이 바투틴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
스탈린그라드 전선군 (II)남부 전선군 (II) (1943년 1월 1일 – 1943년 10월 20일)안드레이 예레멘코,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표도르 톨부힌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I)
예비 편성북코카서스 전선군 (II) (1943년 1월 24일 – 1943년 11월 20일)이반 마스레니코프, 이반 예피모비치 페트로프별동 해안군
돈 전선군중앙 전선군 (II) (1943년 2월 15일 – 1943년 10월 20일)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벨로루시 전선군 (I)
브랸스크 전선군 (II)예비 전선군 (II) (1943년 3월 12일 – 1943년 3월 23일)막스 레이터쿠르스크 전선군
예비 전선군 (II)쿠르스크 전선군 (1943년 3월 23일 – 1943년 3월 27일)막스 레이터오룔 전선군
쿠르스크 전선군오룔 전선군 (1943년 3월 27일 – 1943년 3월 28일)막스 레이터브랸스크 전선군 (III)
오룔 전선군브랸스크 전선군 (III) (1943년 3월 28일 – 1943년 10월 10일)막스 레이터, 마르키안 포포프발트 전선군
41군예비 전선군 (III) (1943년 4월 10일 – 1943년 4월 15일)마르키안 포포프스텝 군관구
스텝 군관구스텝 전선군 (1943년 7월 9일 – 1943년 10월 20일)이반 코네프제2 우크라이나 전선군
브랸스크 전선군 (III)발트 전선군 (1943년 10월 15일 – 1943년 10월 20일)마르키안 포포프제2 발트 전선군
칼리닌 전선군제1 발트 전선군 (1943년 10월 20일 – 1945년 2월 24일)안드레이 예레멘코, 이반 바그라먄제3 발트 전선군 산하 젬란드군 집단
발트 전선군제2 발트 전선군 (1943년 10월 20일 – 1945년 2월 9일)마르키안 포포프, 안드레이 예레멘코, 레오니트 고보로프레닌그라드 전선군에 흡수
중앙 전선군 (II)벨로루시 전선군 (I) (1943년 10월 20일 – 1944년 2월 23일)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제1 벨로루시 전선군 (I)
보로네시 전선군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 (1943년 10월 20일 – 1945년 6월 10일)니콜라이 바투틴, 게오르기 주코프, 이반 코네프중앙군 집단
스텝 전선군제2 우크라이나 전선군 (1943년 10월 20일 – 1945년 6월 10일)이반 코네프, 로디온 말리노프스키오데사 군관구
남서부 전선군 (II)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 (1943년 10월 20일 – 1945년 6월 15일)로디온 말리노프스키, 표도르 톨부힌남부군 집단
남부 전선군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I) (1943년 10월 20일 – 1944년 5월 15일)표도르 톨부힌해산, 편성은 STAVKA 예비로 이전
벨로루시 전선군 (I)제1 벨로루시 전선군 (I) (1944년 2월 24일 – 1944년 5월 4일)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벨로루시 전선군 (II)
북서부 전선군제2 벨로루시 전선군 (I) (1944년 2월 24일 – 1944년 5월 4일)파벨 쿠로치킨제1 벨로루시 전선군에 흡수 (II)''
제1 벨로루시 전선군 (I)벨로루시 전선군 (II) (1944년 4월 6일 – 1944년 4월 16일)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제1 벨로루시 전선군 (II)
벨로루시 전선군 (II)제1 벨로루시 전선군 (II) (1944년 4월 16일 – 1945년 6월 10일)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게오르기 주코프독일 주둔 소련군
레닌그라드 전선군 좌익제3 발트 전선군 (1944년 4월 21일 – 1944년 10월 16일)이반 마슬레니코프해산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스탈린그라드 전선군, 돈 전선군, 남동 전선군 등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한국과 관련된 전선군으로는 제1 극동 전선군이 있으며, 1945년 만주 전략공세작전에 참전하여 일본 관동군을 격파하고 한반도 북부 지역을 해방하는 데 기여했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냉전 시대 동안 전선과 그 참모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내에서 소련군 집단이 되었다.[6] 전선은 전시 최고 작전 지휘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평시에는 전선이 실제로 설치된 적은 없었지만,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육군 관구로 유지되었다. 전선은 일반적으로 3~4개의 제병 연합군과 1~2개의 전차군으로 구성되었지만, 정해진 조직은 없었다.[6]

4. 일본 제국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은 그해 8월 31일 중국 주둔군을 제1군으로 개편하고 화북 서부를 작전 지역으로 하는 제2군을 편성하여 이들을 북지나 방면군 예하에 두었다.[1]

같은 해 11월 7일에 중지나 방면군이 편성되었지만 1938년 중지나 파견군으로 개편되었고, 1940년 남지나 방면군이 편성되었지만 1941년 제23군으로 개편되었다. 1939년에는 북지나 방면군, 중지나 파견군을 통괄하는 지나 파견군이 편성되었다.[1]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 일본 제국 육군의 방면군은 북지나 방면군뿐이었으나, 이후 전쟁이 격화되면서 버마 방면군, 제1방면군, 제2방면군, 제3방면군, 제5방면군, 제6방면군, 제7방면군, 제8방면군, 제10방면군, 제11방면군, 제12방면군, 제13방면군, 제14방면군, 제15방면군, 제16방면군, 제17방면군, 제18방면군 등이 증설되어 종전 시에는 총 17개가 존재했다.

4. 1. 개요

일본 제국 육군에서 방면군은 중일 전쟁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러일 전쟁 당시의 제1군, 제2군 등은 만주군 예하 부대였고, 그 후에 설치된 조선군, 대만군 등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경비 부대였다.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같은 해 8월 31일에 북지나 방면군이 최초로 설치되었다. 이후 전쟁이 격화되면서 방면군은 증설되어 종전 시에는 17개가 존재했다.

방면군의 군대 부호는 '''HA'''였으며, 육군 대장 또는 중장이 사령관을 맡았다. 일본 육군에는 군단이 없고 사단이 군에 직속되었기 때문에, 외국 육군에서는 군 상당으로 인식하고 있다.

4. 2. 주요 방면군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은 그해 8월 31일 중국 주둔군을 제1군으로 개편하고 화북 서부를 작전 지역으로 하는 제2군을 편성하여 이들을 북지나 방면군 예하에 두었다. 이것이 최초의 방면군이다.

1938년 중지나 방면군중지나 파견군으로, 1940년 남지나 방면군1941년 제23군으로 개편되면서 태평양 전쟁 개전 시점에는 북지나 방면군만 남았다.

주요 방면군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APP-6C Joint Military Symbology http://armawiki.zumo[...] NATO 2011-05
[2] 간행물 FM 100-2-3, The Soviet Army: Troops, Organizations, and Equipment 1991-06
[3] 서적 Inside the Soviet Army http://militera.lib.[...] Hamish Hamilton
[4] 문서 Erickson 1975
[5] 문서 Glantz, 2005, p.495
[6] 간행물 US Army FM 100-2-3 The Soviet Army: Troops, Organization, and Equip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