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학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자 학습(e-러닝)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습 방식으로, 1990년대에 용어가 등장했다. 초기에는 컴퓨터 보조 교육(CAI) 형태로 시작하여,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웹 기반 훈련(WBT) 등으로 발전했다. e-러닝 시스템은 교재 및 학습 자료와 학습 관리 시스템(LMS)으로 구성되며, 학습자와 교사 간의 소통, 자율 학습 지원, 교육 활동 기록 등에 활용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증가하면서 대학을 중심으로 e-러닝 보급이 가속화되었다. e-러닝은 학습자에게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학습, 교사에게는 업무 효율성 증진 등의 장점이 있지만,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 능력, 교사와의 소통, 실습 과목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e-러닝 콘텐츠 공유를 위해 SCORM과 같은 규격이 사용되며, 학교 설치 기준에서도 e-러닝 관련 규정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자 학습 |
---|
2. 역사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CAI(computer-assisted instruction)에서 시작하여 CBT(computer-based training), 웹 기반 교육(WBT, web-based training) 등으로 발전해왔다. 1990년대 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함께 'e러닝'이라는 용어가 등장했으며, 초기에는 미국과 일본 등에서 통신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졌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통신 기술의 진보로 상호작용성이 강화되고 학습자의 자학자습 지원 및 교육 활동 관리가 용이해졌으며, 대학 교육과 통신 교육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은 비대면 교육의 필요성을 증대시키며 e러닝의 보급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이나 교육은 이전부터 고안되어 왔으며, CAI(computer-assisted instruction 또는 computer-aided instruction) 등을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었다. 이후 CBT(computer-based training)나 웹 기반 교육(web-based training, WBT) 등의 발전과 함께, 1990년대에 'e러닝'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마이크로파 통신이나 위성 통신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에서 동일한 강좌를 수강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었으나, 1990년대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저비용이면서 쌍방향성이 높은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2001년에 제시된 e-Japan 구상을 통해 e러닝이 폭넓은 층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 2. 발전과 보급
전자학습은 ICT 활용 교육과 유사한 개념으로,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비해 학습 공간과 경험이 확장되고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화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ICT 활용 교육이 학습 환경, 방법, 내용 면에서 더욱 발전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형식적으로는 인터넷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해 학습 공간이 기존 교실 중심에서 가정, 사회 등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되었고, 방법적으로는 시간과 장소 제약 완화로 학습자 수준별 또는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이 강화되었다.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이나 교육은 이전부터 고안되어 왔으며, CAI(computer-assisted instruction)를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었다. 이후 CBT(computer-based training)나 WBT(web-based training) 등이 발전했으며, 1990년대에 'e러닝'이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마이크로파 통신이나 위성 통신을 이용해 넓은 지역에서 동일한 강좌를 수강하는 시스템이 구축되었으나, 1990년대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저비용의 쌍방향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2001년 제시된 e-Japan 구상을 통해 e러닝이 폭넓은 주목을 받게 되었다.
현대의 e러닝은 통신 기술의 진보와 보급에 힘입어 교사와 학습자 간, 또는 학습자 상호 간의 소통이 가능해졌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학습자의 자학자습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적절한 학습 진도를 유지하고, 교사가 탄력적인 교육 활동을 위해 학습자 관련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 등이 고려되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 주로 우편에 의존했던 통신 교육에도 e러닝이 도입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수업 방법의 조직적 혁신을 목표로 하는 교수 개발에서도 e러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존 기자재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DVD 등을 이용한 복습이 용이하며, 연수를 통한 학습 점검 시스템 구축도 가능하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대면 수업이 어려워지면서 2020년부터 대학을 중심으로 e러닝이 급속도로 보급되었다.
2. 3. 코로나19 팬데믹과 e-러닝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대면 수업이 어려워지면서, 2020년부터 특히 대학에서 e러닝이 급속도로 보급되었다.3. e-러닝 시스템
e러닝 시스템은 e러닝을 실시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으로, 학습자와 교사가 주요 이용자이며, 때로는 시스템 관리자가 운영을 지원하기도 한다.[3] 시스템은 크게 교재·학습 자료와 학습 관리 시스템(LMS)으로 구성되지만, 'e러닝'이라는 용어 자체가 시스템을 의미하기도 한다.[3]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교재·학습 자료와 학습자만으로 이루어진 자습 시스템이며, Moodle이 대표적이다. World Wide Web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은 WBT(Web-Based Training)라고도 불린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튜토리얼 기능 역시 자습 시스템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화면 지시에 따라 조작하며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학습하도록 돕는 기능이다.
3. 1. 교재·학습 자료
e러닝의 교재 및 학습 자료는 흔히 '''콘텐츠'''라고 불리며, 정지 영상, 동영상, 음성, 문장 등을 조합한 멀티미디어 형태가 많다. 이러한 자료들은 전자 도감이나 전자 백과사전처럼 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또한, 학습 내용을 수시로 확인하는 소규모 테스트, 문제 연습을 위한 드릴, 학습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 문제 등도 교재 및 학습 자료에 포함된다. 이러한 자료들은 학습 관리 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과 연동되어 학습자의 학습 이력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기록은 학습자가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거나, 집단 학습 시 학습 지원에 활용될 수 있다.
3. 2. 학습 관리 시스템 (LMS)
e러닝 시스템은 e러닝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 시스템이며, 주로 "교재 및 학습 자료"와 학습 관리 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eng)으로 구성된다. 학습 관리 시스템은 학습 콘텐츠의 관리 및 배포, 학습자 활동 추적 등 e러닝 운영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때로는 시스템을 포함하지 않고 "e러닝"이라는 용어 자체가 e러닝 정보 시스템을 가리키기도 한다.[3]3. 2. 1. 학습 관리 시스템의 기능
학습 관리 시스템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은 전자 학습 시스템에서 교사 등이 제작한 교재 및 학습 자료를 보관·축적하고, 학습자에게 적절하게 배포하며, 학습자의 출석을 포함한 학습 이력 및 쪽지 시험·드릴·시험 문제의 성적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다수의 수강생 성과를 쉽게 파악하는 데 사용되며, 학교에서의 대면 수업 대체나 병용, 기업에서의 사원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학습자에게는 포털 사이트 역할을 하여, 학습 관리 시스템에 로그인한 후 학습, 시험 등 일련의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학습자 간 또는 교사와 학습자 간의 소통을 돕기 위한 전자 게시판 (포럼)이나 채팅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도 많다.
학습 진척도 관리 및 지원을 하는 안내자를 "멘토"라고 하며, 멘토에 의한 관리를 "멘토링"이라고 부른다. 특히 학습 내용에 대한 지원을 하는 사람은 "튜터"라고 한다. 이러한 학습자에 대한 적절한 지원은 전자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4. 컴퓨터 보조 수업 (CAI)
'''컴퓨터 보조 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eng, 간단히 '''CAI''')은 컴퓨터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업을 의미한다.
4. 1. CAI의 유형
컴퓨터 보조 수업(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영어, 간단히 '''CAI''')은 보조적 수단으로써 컴퓨터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업이다. CAI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학습교재를 제시하고 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교사를 대신하여 학습의 개별화와 학습지도 및 통제를 가능하게 한다. CAI의 교과목 프로그램은 그 성격이나 교육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4]- 반복 연습(drill and practice)
- 개별 교수(tutorial)
- 모의 실습(simulation)
-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 자료 관리(database)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CAI 프로그램에 따라 컴퓨터는 각종 개시 절차를 거쳐 학습자에게 제공할 질문을 단말기에 제시한다. 학습자가 응답하면 컴퓨터는 응답의 옳고 그름을 판정하여 다음 정보를 단말기에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마치 교사와 1:1로 대화하듯이 컴퓨터를 통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5. 장점과 단점
전자 학습은 기존의 교사와 학습자 관계에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며, 장점과 단점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집합·대면 학습과 전자 학습을 조합한 블렌딩 기법을 활용하기도 한다.
5. 1. 장점
학습자 측면- 동일 시간, 동일 장소에 모일 필요 없이, 자유로운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다.
- 개개인의 숙련도에 따라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 목적에 맞는 균일화(표준화)된 수업을 받을 수 있다.
- 인쇄 교재만 있는 통신 교육에 비해, 인쇄 교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교사 측면
- 학습자와 동일 시간, 동일 장소에 있을 필요 없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 클래스별로 동일한 수업을 반복할 필요가 없다.
- 인쇄 교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성적 관리 등의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 교재의 갱신, 최신화가 용이하다.
또한, 집합 교육보다 규모의 경제를 활용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다.
5. 2. 단점
e러닝은 기존의 교사와 학습자 관계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하며,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지적된다.학습자 측면
-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스스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 화면을 통한 비대면 소통 방식이 가진 본질적인 한계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수업 중 궁금한 점이 생겨도 즉각적으로 질문하고 답변을 얻는 등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이 어렵다.
- 교사나 다른 학습자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및 교류가 부족하여 사회적 관계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 일부 e러닝 과정은 정식 자격증이나 학점으로 인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교사 측면
- 학습자의 학습 태도, 집중도, 어려움 등을 직접 관찰하기 어렵고 주로 데이터에 의존하여 파악해야 한다.
- 화면을 통한 소통의 한계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 온라인 환경에 맞는 교재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준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 e러닝 시스템 구축 및 콘텐츠 개발 등에 초기 투자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 실기나 실험, 실습과 같이 직접적인 체험이나 조작이 필수적인 과목에는 적용하기 부적합하다.
6. 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
e러닝은 기존의 교사와 학습자 관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여러 장점과 단점을 동시에 지닌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집합 학습이나 대면 학습과 같은 전통적인 방식과 e러닝을 적절히 조합하는 '블렌딩' 기법이 활용되기도 한다. 이 접근법은 각 방식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 대한민국 e-러닝 현황과 과제
전자학습은 전통적인 교육 방식과 비교했을 때 학습 공간과 경험이 더 넓어지고,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화될 수 있는 교육 방식으로, ICT 활용 교육과 비슷한 의미를 지닌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ICT 활용 교육이 학습 환경, 방법, 내용 면에서 더욱 확장되고 발전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다.
- '''형식적 측면''': 학습 공간이 오프라인 교실 중심에서 온라인 공간으로 확장된다. 인터넷 등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사이버 공간을 적극 활용하여, 학습의 장이 가정이나 사회 등으로 넓어지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스스로 주도하여 할 수 있는 학습 체제를 의미한다.
- '''방법적 측면''':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화된다. 기존의 면대면 학습에서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학습으로 변화하면서 학습 장소와 시간의 제약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맞춘 학습이나 자기 주도적인 학습 활동이 더욱 강조되는 학습 체제이다.
8. e-러닝 관련 규격
e러닝의 확산과 함께 관련 기술 및 운영에 대한 다양한 규격이 등장했다. 주요 규격으로는 여러 학습 관리 시스템 간 콘텐츠 호환성을 위한 콘텐츠 공유 규격(예: SCORM, Experience API)과 학교 등 교육기관에서의 e러닝 운영 조건을 명시하는 학교 설치 기준 등이 있다.
8. 1. 콘텐츠 공유를 위한 규격
다양한 학습 관리 시스템 간에 동일한 교재나 학습 자료 등을 이용하기 위한 규격이다. 대표적인 규격으로는 SCORM이 있다.교재 및 학습 자료의 콘텐츠는 학습 관리 시스템이 규정하는 방식에 따라 작성되지만, 학습 관리 시스템은 무료를 포함하여 다수 개발되면서 규격 난립이 우려되었다. SCORM은 서로 다른 학습 관리 시스템 간에 교재 및 학습 자료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양 난립을 방지할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하지만 SCORM 자체의 복잡한 사양으로 인해 일반 교사가 SCORM에 맞는 교재 및 학습 자료를 쉽게 만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2013년 ADL(프로젝트명 TinCan)은 SCORM을 잇는 새로운 규격인 Experience API(xAPI)를 발표했다. xAPI는 모든 경험을 수용하여 교육 및 인재 육성에 활용하려는 관점에서 제정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이 사양에 기반한 새로운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다.
8. 2. 학교 설치 기준
학교 설치 기준이란 학교(대학 등을 포함)의 설비, 편제 등을 규정한 것의 총칭이며, 교육 과정(커리큘럼)에 정해진 수업을 실시할 때 필요한 요건 등도 규정하고 있다.일본의 대학 설치 기준에 근거한 문부과학성 고시 등에는 e러닝과 관련된 규정도 있다. 이 고시에 따르면, 고등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대학(대학원 포함), 단기 대학, 고등 전문 학교)에서 학점을 부여하는 수업 중 e러닝을 교실 이외의 장소에서 학습자에게 수강하게 하는 경우, 동시 및 쌍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원격 수업 등을 제외하고는 "매회 수업 실시에 있어 문항 해답, 첨삭 지도, 질의응답 등에 의한 지도를 함께 실시하고, 해당 수업에 관한 학생의 의견 교환 기회가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예: 「대학 설치 기준 제25조 제2항의 규정에 의거한 대학이 이수시킬 수 있는 수업 등」(2001년 문부과학성 고시 제51호))
참조
[1]
링크
http://www.econ.kuma[...]
2021-03
[2]
링크
http://uls01.ulc.tok[...]
2021-03
[3]
웹사이트
How To Build E-Learning Platform
https://spdload.com/[...]
SPD LOAD
2020-05-20
[4]
웹인용
How to build a custom e-learning app?
https://spdload.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