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체론은 1926년 얀 스머츠가 저술한 저서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부분의 단순한 합이 아닌 전체로서의 본질을 강조하는 철학적 관점이다. 스머츠는 전체론을 과학적으로 측정 가능한 모든 것, 진화의 원인, 우주의 본질을 설명하는 데 사용했다. 과학에서는 물리학의 양자역학, 생물학의 시스템 생물학, 사회과학의 방법론적 전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며, 인식론, 언어학, 대체의학 등에서도 활용된다. 비판적인 시각으로는 환원주의적 방법론과 전체주의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체론 - 색채론
- 전체론 -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은 프랑스의 예수회 사제이자 철학자, 고생물학자, 지질학자로, 진화론적 관점에서 우주와 인간의 기원과 미래를 탐구하며 과학과 신학을 융합하려 했고, '노스피어'와 '오메가 포인트' 개념을 제시하여 기독교적 진화론 체계를 구축했다. - 창발 - 연결주의
연결주의는 정신 현상을 단순한 단위들의 네트워크로 설명하는 인공지능 및 인지과학의 접근 방식이며, 뇌의 뉴런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학습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창발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전체론 |
---|
2. 역사적 배경
"전체론"이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지만, 현대적 의미의 전체론은 20세기 초 얀 스머츠의 저서 ''전체론과 진화''에서 처음 체계화되었다. 스머츠는 진화가 단순한 우연이 아닌, 창조적이고 자기 교정적인 과정이라고 주장하며, 전체 시스템이 환경에 창의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강조했다.[6][7][8][9]
"holism"이라는 용어는 존 스코트 홀데인의 생물학 이론의 영향을 받은 남아프리카의 철학자 얀 스머츠가 ''Holism and Evolution'' (Holism and Evolution|전체론과 진화영어) (1926)에서 사용하면서 널리 퍼지게 되었다.[48][49][45]
이 개념은 독일 낭만주의의 자연 철학에서 기원했으며, 기계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연의 전체적인 인식을 목표로 한 셸링의 "유기적 조직화"(Organisation) 개념 등에서 그 발흥을 볼 수 있다.[45]
게슈탈트 심리학은 인간의 정신을 부분이나 요소의 집합이 아닌, 전체성이나 구조를 중요시해야 한다는 관점을 제시하며 전체론의 계보에 속한다.
현상학에도 전체론적인 사고방식이 있으며, 근대 과학의 환원주의적 방법을 비판하면서 홀론이라는 개념을 제창한 아서 쾨슬러의 사상에도 전체론이 나타난다. 또한, 쾨슬러의 사상을 따른 뉴에이지 과학의 흐름에서도 전체론을 찾아볼 수 있다.
2. 1. 얀 스머츠와 전체론
"전체론"이라는 용어는 1926년 얀 스머츠(1870–1950)가 저술한 ''전체론과 진화''에서 처음 사용되었다.[6] 스머츠는 전체론을 통해 과학적으로 측정 가능한 모든 것(물리적이든 심리적이든)은 부분 이상의 전체로서의 본질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원자, 세포, 개인의 성격 등이 이에 해당한다. 스머츠는 개인의 몸과 마음이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니라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이 사람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또한 스머츠는 전체론을 진화의 원인으로 설명했다. 그는 진화가 우연이나 신과 같은 초월적인 힘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다윈의 자연 선택과 유전적 변이 개념을 강조하며 우주의 자연 과정을 우연으로만 보는 관점을 비판하고, 진화를 자연이 창의적으로 스스로를 교정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즉, 전체 시스템이 환경적인 스트레스 요인에 창의적으로 반응하고, 부분들이 자연스럽게 협력하여 전체를 더 발전된 상태로 이끄는 과정이 전체론이라는 것이다.[8][9]2. 2. 게슈탈트 심리학
골드슈타인의 뇌병리학, V. 바이체커의 의학적 인간학[51], 베를린 학파의 게슈탈트 심리학 등은 의학 및 심리학에서 전체론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이들은 각각 강약의 차이는 있지만 전체론적인 관점을 포함한 이론 체계이다.[45]3. 과학적 적용
20세기 양자역학의 발전은 물리적 시스템과 그 부분, 특히 양자 현상의 비분리성을 강조하는 전체론적 관점과 일치한다. 양자 얽힘과 같은 현상은 시스템의 상태가 개별 부분으로 환원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14]
물리학에서 전체론은 물리적 시스템의 본질을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관점이기도 하다. 방법론적 전체론은 시스템이 전체로서의 속성에 따라 정확하게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다른 의미에서 전체론은 시스템의 본질이 구성 요소의 속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는 형이상학적 주장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미의 물리적 전체론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 존재론적 전체론: 일부 시스템은 단순히 물리적 부분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 속성 전체론: 일부 시스템은 물리적 부분과 독립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 규범적 전체론: 일부 시스템은 물리적 부분에서 따르는 법칙을 넘어선 물리 법칙을 따른다.
생물학에서 전체론은 시스템 생물학이라는 분야로 발전했다. 시스템 생물학은 생물학적 시스템을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로 이해하려는 접근 방식이다. 한스 드리쉬는 생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조화 등능계 개념을 제시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생물학 분야에서는 전체론이 생기론과 연결되어 이해되는 경우도 많다.[45]
의미 전체론은 개별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에 의존하며, 상호 연결된 큰 그물을 형성한다고 본다. 한 단어의 의미가 변경되면 그물 속의 다른 모든 단어의 의미도 변경된다고 주장한다.[22][23]
3. 1. 물리학
20세기 양자역학의 발전은 물리적 시스템과 그 부분, 특히 양자 현상의 비분리성을 강조하는 전체론적 관점과 일치한다. 양자 얽힘과 같은 현상은 시스템의 상태가 개별 부분으로 환원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물리학에서의 전체론은 물리적 시스템의 본질을 이해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관점이기도 하다. 방법론적 전체론은 시스템이 전체로서의 속성에 따라 정확하게 이해된다고 주장한다. 반면 방법론적 환원주의는 액체의 거동을 구성 분자인 분자, 원자, 이온 또는 전자를 검토하여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다른 의미에서 전체론은 시스템의 본질이 구성 요소의 속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는 형이상학적 주장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미의 물리적 전체론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 존재론적 전체론: 일부 시스템은 단순히 물리적 부분으로 구성되지 않는다.
- 속성 전체론: 일부 시스템은 물리적 부분과 독립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 규범적 전체론: 일부 시스템은 물리적 부분에서 따르는 법칙을 넘어선 물리 법칙을 따른다.
3. 1. 1. 비분리성
양자역학의 발달과 함께 20세기에 전체론이 등장했다.물리학에서 전체론은 물리적 시스템, 특히 양자 현상의 비분리성을 강조한다. 고전역학에서는 개별 부분의 행동이 전체를 나타내기 때문에 전체론적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양자역학에서 시스템의 상태는 특정 종류의 환원적 분석을 거부한다. 예를 들어, 공간적으로 분리된 두 양자 시스템은 서로 "얽혀있는"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한 시스템에 대한 분석이 다른 시스템의 분석과 구별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14] 물리학에서 비분리성에는 다양한 개념이 있으며, 그 탐구는 존재론적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4][15]
3. 1. 2. 다양한 관점
물리학에서 전체론은 시스템을 전체로서의 속성에 따라 이해해야 한다는 방법론적 주장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응집 물질 물리학에서는 "이 분야의 가장 중요한 발전은 중간 또는 거시적 수준에서 질적으로 새로운 개념의 출현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개념은 미시적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와 호환되기를 바라지만, 어떤 의미에서도 논리적으로 의존하지 않는다."[16]라는 견해가 있으며, 이는 현대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태도로 여겨진다.[14]이론 물리학자 데이비드 봄(1917-1992)은 전체 물리적 시스템의 본질에 관한 존재론적 전체론을 주장했다.[19] 그는 우주에 대한 완전한 설명은 모든 입자와 그 위치의 단순한 목록을 넘어, 그 입자의 속성과 관련된 물리적 양자장이 그 궤적을 안내해야 한다고 믿었다.[17][18]
반면 닐스 보어(1885-1962)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존재론적 전체론을 고수했다.[20] 보어는 관측 장치를 기본 물리적 부분 외에 관측 대상 시스템의 일부로 보았다. 그의 이론은 전체 시스템이 단순히 그 부분으로 구성되지 않았다는 봄의 견해에 동의하며 위치 및 운동량과 같은 속성을 구성 요소 외에 전체 시스템의 속성으로 식별한다.[21] 그러나 보어는 이러한 전체론적 속성은 물리적 시스템이 관찰될 때 실험적 맥락에서만 의미가 있으며, 관측되지 않을 때는 의미 있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3. 2. 생물학
생물학에서 전체론은 시스템 생물학이라는 분야로 발전했다. 시스템 생물학은 생물학적 시스템을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 네트워크로 이해하려는 접근 방식이다. 한스 드리쉬는 생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조화 등능계 개념을 제시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생물학 분야에서는 전체론이 생기론과 연결되어 이해되는 경우도 많다.[45]J.S. 홀데인과 B. 뒬켄 등은 생물학과 전체론을 발전시켰다.[45] 홀데인은 생물과 환경의 밀접하고 일체화된 관계를 강조했다.
생물학에서의 전체론에는 주로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생명 현상에는 인간이 임의로 만들어낸 물리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유의 원리가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군중이나 종과 같은 상위 수준의 현상은 개체나 유전자와 같은 하위 수준에서의 거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3. 2. 1. 시스템 생물학
생물학에서 전체론의 과학적 응용은 시스템 생물학이라고 한다. 생물학적 조직은 시스템 생물학에 반대되는 분석적 접근 방식으로, 생물학적 시스템과 구조를 구성 요소의 측면에서만 모델링한다. "환원주의적 접근 방식은 대부분의 구성 요소와 많은 상호 작용을 성공적으로 식별했지만 불행히도 시스템 속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할 수 있는 설득력 있는 개념이나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생물학적 네트워크에서 원인과 결과의 다양성은 정량적 측정을 통해 여러 구성 요소를 동시에 관찰하고 수학적 모델을 통한 엄격한 데이터 통합을 통해 더 잘 해결된다."[40]시스템 생물학의 목표는 시스템 내 상호 작용에 대한 모델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모델링에 대한 전체론적 접근 방식에는 세포 모델링 전략,[41] 유전체 상호 작용 분석,[42] 및 표현형 예측이 포함된다.[43]
전체에 깃든, 부분에서는 보이지 않는 새로운 성질을 'Ganzheit(전체성)'이라고 한다.[50]
한스 드리쉬는 생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45] 그가 제시한, 전체 형태를 유지하는 《조화 등능계》라는 개념에서도 그것을 볼 수 있다. 그런 점도 있어, 생물학 분야에서는 홀리즘이 생기론과 결부되어 이해되는 경우도 많다.
생물학 영역에서의 홀리즘은 J.S. 홀데인과 B. 뒬켄 등이 발전시켰다.[45] 홀데인은 생물과 그 환경과의 밀접하고 일체화된 관계를 강조했다.
생물학에서의 홀리즘에는 주로 2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생명 현상에는 (인간이 임의로 만들어낸) 물리 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특유의 원리가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군중이나 종과 같은 상위 수준의 현상은 개체나 유전자와 같은 하위 수준에서의 거동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3. 2. 2. 시스템 의학
시스템 의학은 시스템 생물학의 원리를 의학에 적용한 분야로, 인체를 복잡한 상호작용 네트워크로 간주한다. 시스템 의학은 질병의 원인을 단순히 개별 유전자나 단백질의 이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불균형으로 이해한다.[50]3. 3. 언어학
의미 전체론은 개별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에 의존하며, 상호 연결된 큰 그물을 형성한다고 본다. 한 단어의 의미가 변경되면 그물 속의 다른 모든 단어의 의미도 변경된다고 주장한다.[22][23]과학 분야에서 전체론과 반대되는 관점은 환원주의이다. 그러나 언어학 또는 언어 철학의 맥락에서 환원주의는 일반적으로 원자론이라고 불린다.
의미 전체론은 구성성과 의미의 불안정성 문제로 인해 비판받기도 한다. 의미 전체론은 언어가 구성성과 상충된다는 점과 언어의 의미를 불안정하게 만든다는 비판을 받는다.
3. 3. 1. 의미 전체론
의미 전체론은 개별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에 의존하며, 서로 연결되어 큰 연결망을 형성한다고 본다. 이는 한 단어의 의미가 바뀌면 연결된 다른 모든 단어의 의미도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22][23] 의미 전체론에서 어떤 단어의 의미 변화가 정확히 어떤 단어들에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언어 내 모든 단어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24][25][26][27]언어학이나 언어 철학에서 의미 전체론과 반대되는 입장은 원자론이다. 원자론은 각 단어의 의미가 독립적이어서 언어 내에서 발생하는 속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이와 달리, 한 단어의 변화가 비교적 작은 범위의 다른 단어에만 영향을 준다고 보는 입장을 의미 분자론이라고 한다.
의미 전체론의 언어학적 관점은 콰인[28]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마이클 더밋, 제리 포더, 어니스트 레포어와 같은 분석 철학자들에 의해 구체화되었다.[29] 이러한 전체론적 접근은 단어가 어떻게 의미를 전달하는지에 대한 언어 철학의 고전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지만, 구성성과의 충돌 및 의미의 불안정성 문제로 인해 비판받기도 한다.
의미 전체론은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와의 추론적 역할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예를 들어, "애완 물고기"라는 단어는 "3온스 미만"이라는 의미를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의미가 단어의 구조가 아니라 어떤 단어가 사용되고 다른 단어와 어떻게 의미를 추론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의미 전체론은 구성주의와 충돌하며, 잠재적으로 모호한 의미를 가진 문장을 만들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29][31] 또한, 의미 전체론은 언어의 의미를 불안정하게 만든다는 비판도 받는다.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송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추론적 가정이나 신념을 공유해야 하는데, 이러한 신념이 다르면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33][32]
의미 전체론은 정보 전달,[33] 언어 학습,[34][35][36] 심리 상태에 대한 의사 소통[37][38] 등 다양한 유형의 의사 소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일부 의미 전체론자들은 의미 전체론의 불안정성이 여러 측면에서 허용 가능한 특징이라고 주장한다.[14] 예를 들어, ''문맥적'' 전체론자들은 사람들이 실제로 동일한 추론적 가정을 공유하지 않고, 대신 문맥에 의존하여 추론의 차이를 해결하고 의사 소통을 돕는다고 주장한다.[39]
의미론에서 전체론은 개별 단어나 문장의 의미 변화가 언어 체계 전체의 문맥 속에서만 의미를 가지며 이해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즉, 개별 단어나 문장의 의미 변화는 언어 체계 전체의 변화와 연결되어 있다.[45]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언어 이론,[45]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게임 이론,[45] 도널드 데이비드슨의 논의[45] 등이 의미론적 전체론의 대표적인 예시로 언급된다.
과학철학에서 토머스 쿤이나 폴 파이어아벤트 등이 주장한 공약불가능성 개념은 개념의 의미가 이론 전체의 문맥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의미론적 전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5]
4. 사회과학적 적용
사회과학에서 전체론은 방법론적 개체주의와 대립하며, 사회 현상을 개인의 단순한 총합이 아닌 독자적인 실재성을 가진 것으로 본다. 오귀스트 콩트의 사회 유기체설, 카를 만하임의 사회 계획론, 에밀 뒤르켐의 사회적 사실론 등은 사회과학에서의 전체론적 관점을 보여준다.
5. 인식론적 적용
윌러드 밴 오먼 콰인은 1951년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독단"이라는 논문에서 인식론적 전체론을 제창했으며[45], 이는 후에 과학 철학 분야에서 뒤엠-콰인 테제로 발전했다. 콰인은 검증이나 반증의 대상은 개별 명제가 아니라 "과학 전체"이며, 신념 체계 전체를 재조정하여 어떤 반증 사례도 기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5. 1. 뒤엠-콰인 테제
윌러드 밴 오먼 콰인은 1951년 "경험주의의 두 가지 독단"이라는 논문에서 인식론적 전체론을 제창했다.[45] 콰인은 《지시의 불가측성》과 《번역의 불확정성》 테제를 이끌어 냈으며, 이는 과학 철학 분야에서 뒤엠-콰인 테제로 발전했다.콰인에 따르면 검증이나 반증의 대상은 개별 명제가 아니라 "과학 전체"이며, 반증 사례가 있어도 신념 체계 전체를 재조정하여 어떤 반증 사례도 기각할 수 있다.[45]
6. 비판
환원주의 진영에서는 전체론이 과학적 엄밀성이 부족하고 실증적 증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한다. 피터 메다워는 전체론을 비판하며, "전체론이 생물학 이해를 진전시킨 적은 없었지만, 그 이해를 이렇다 할 정도로 방해한 적도 없었다"고 평가했다.[55]
칼 포퍼는 전체론이 사회학에 도입되면 국가 권력을 증대시키고, 결국 1923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전체주의와 연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57]
6. 1. 환원주의 진영의 비판
환원주의 진영에서는 19세기에서 20세기 서양 근대 과학이 자연 현상을 분할할 수 있다고 믿고, 인간이 임의로 만들어낸 소수의 물리 법칙만으로 진정한 자연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고 믿는 환원주의적 방법을 취해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환원주의적 방법을 신봉하는 사람들은 전체론(홀리즘)을 비판했다.피터 메다워는 전체론이 "유기체의 각 부분을 분리하여 연구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점에 대해 "어떤 기관을 '분리하여' 연구하는 묘기 따위는 실제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한, "전체론이 생물학 이해를 진전시킨 적은 없었지만, 그 이해를 이렇다 할 정도로 방해한 적도 없었다"고 평가했다.[55]
칼 포퍼는 당시 세계의 정치 상황에 고뇌하며, "이 생각[56]이 사회학에 도입되면 국가 권력을 증대시키게 되고, 결국 1923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전체주의라는 단어가 나타내는 개념과 같아진다"고 말했다.[57]
6. 2. 정치적 비판
칼 포퍼는 전체론이 사회학에 도입되면 국가 권력을 증대시키고, 결국 1923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전체주의와 연결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57]7. 현대적 응용 및 라이프스타일
전체론[44]은 식이요법,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방식을 보완하거나 대체하는 접근 방식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체론은 특정 생활 방식의 결과를 얻기 위한 엄격하거나 잘 정의된 방법론은 아닐 수 있으며, 때로는 표준적인 방식에서 간과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하는 실천을 묘사하는 형용사로 사용된다.
7. 1. 대체의학
대체의학에서 전체론은 특정 생활 방식의 결과를 얻기 위한 엄격하거나 잘 정의된 방법론은 아닐 수 있다. 때로는 표준 형태에서 무시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하는 실천을 묘사하는 형용사로 사용된다.[44] 특히, 대체의학에서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전체론적 관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중국어의 "整体"(zhěngtǐ)[52]라는 단어는 일본어에서 총체, 전체, 전체론, 홀리즘 등으로 번역된다. 중국의학 등 전통 의학에서 整体(전체관, 전체 관념)는 인간의 신체와 건강, 질병을 전체론적으로 파악하는 기본적인 개념이지만, 일본인이 쓴 중국 의학 연구서나 일본에서 발전한 한방의학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표현이다.[53] 또한, 수기 등으로 신체 조정을 의미하는 일본어의 정체(整体)와는 전혀 다른 의미이다.
7. 2. 지속 가능한 발전
전체론(Holistic)이라는 용어는 식이요법, 교육, 의료 분야에서 기존 방식을 보충하거나 대체하는 삶의 방식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44] 이러한 맥락에서 전체론은 특정 생활 방식의 결과를 얻기 위한 엄격하거나 잘 정의된 방법론은 아닐 수 있다. 때로는 이러한 실천의 표준 형태가 무시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하는 실천을 묘사하는 형용사로 사용되며, 특히 대체의학의 맥락에서 그렇다.참조
[1]
논문
Holism, physical theories and quantum mechanics
[2]
웹사이트
Meaning Holism
https://plato.stanfo[...]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0-12-31
[3]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Health Care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Who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 Lancaster Glossary of Child Development
https://www.lancaste[...]
2019-05-22
[5]
서적
The Fabric of Realit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11-04-14
[6]
서적
Smuts 1. The Sanguine Years, 1870-1919
Cambridge Univ Press
[7]
논문
Jan Christian Smuts and His Doctrine of Holism
https://www.utpjourn[...]
Univ of Toronto Press
[8]
논문
Menneskets biologi - mettet med erfaring
[9]
논문
Transgenerational epigenetic effects on animal behaviour
[10]
논문
A critical analysis of J.C. Smuts' theory of holism
https://clok.uclan.a[...]
Elsevier
[11]
서적
Holism and Evolution
The Macmillan Company
[12]
논문
Jan Smuts and Personality Theory: The Problem of Holism in Psychology
http://centroadleria[...]
University of Cape Town
[13]
논문
Review of Holism and Evolution
https://www.jstor.or[...]
1927-01-01
[14]
웹사이트
Holism and Nonseparability in Physic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3-31
[15]
논문
Forms of Quantum Nonseparability and Related Philosophical Consequences
https://arxiv.org/ft[...]
Journal for General Philosophy of Science
[16]
서적
The Problems of Physics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Wholeness and the Implicate Order
Routledge & Kegan Paul
[18]
서적
The Undivided Universe
Routledge
[19]
웹사이트
Home — Birkbeck, University of London
https://www.bbk.ac.u[...]
[20]
웹사이트
Copenhagen Interpretation of Quantum Mechanics
https://plato.stanfo[...]
[21]
서적
Atomic Theory and the Description of N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Meaning Holism
https://plato.stanfo[...]
2020-12-31
[23]
논문
Problems and changes in the empiricist criterion of meaning
[24]
논문
Advertisement for a Semantics for Psychology
[25]
논문
Logic, Meaning and Conceptual Role
[26]
논문
Meaning Holism Defended
[27]
논문
Meaning as Functional Classification
[28]
서적
Two dogmas of empiric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Holism: A Shoppers Guide
Blackwell
[30]
서적
The Compositionality Papers
Oxford University Press
[31]
논문
Is Compositionality Compatible with Holism?
[32]
웹사이트
Meaning Holism
https://plato.stanfo[...]
[33]
웹사이트
Meaning Holism
https://plato.stanfo[...]
2020-12-31
[34]
서적
What is a Theory of Meaning? (II)
Clarendon Press
[35]
논문
Holism, Language Acquisition and Algebraic Logic
[36]
논문
Semantic Holism and Language Learning
[37]
서적
Psychosemantics: The Problem of Meaning in the Philosophy of Mind
MIT Press
[38]
서적
Holism: A Shoppers Guide
Blackwell
[39]
서적
Belief and Meaning
Blackwell
[40]
논문
Genetics: Getting Closer to the Whole Picture
2007-04-27
[41]
서적
From isolation to integration, a systems biology approach for building the Silicon Cell
Springer-Verlag
[42]
서적
Statistical Tools for Gene Expression Analysis and Systems Biology and Related Web Resources
Humana Press
[43]
논문
A Whole-Cell Computational Model Predicts Phenotype from Genotype
2012-07
[44]
웹사이트
Ambihemispherical Holosophy's 12 Translucidly Mindful Words
https://translucidmi[...]
2021-12-10
[45]
서적
哲学・思想 事典
岩波書店
[46]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47]
서적
科学の社会化シンドローム
岩波書店
[48]
서적
Holism and Evolution
[49]
문서
[50]
서적
岩波生物学辞典 第四版
[51]
서적
医学的人間学とは何か?
[52]
웹사이트
整体
http://cjjc.weblio.j[...]
白水社 中国語辞典
[53]
웹사이트
漢方の基礎 第6回
http://hoyaku.jp/kan[...]
別府薬剤師会
[54]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55]
서적
アリストテレスから動物園まで―生物学の哲学辞典
[56]
문서
[57]
서적
歴史主義の貧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