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해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해질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어원은 "전기"와 "풀리는"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1884년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전해질이 용액에서 이온으로 해리된다는 가설을 제시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전해질은 염, 산, 염기 등이 용매에 녹아 형성되며, 용질의 해리 정도에 따라 강전해질과 약전해질로 나뉜다. 생리학적으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등 이온들이 세포 내외의 균형을 유지하며 신경 및 근육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해질 불균형은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측정하고, 전해질 음료나 수액을 통해 보충할 수 있다. 전기화학에서는 전극과 전해질의 반응을 통해 전지, 연료 전지, 전기도금 등에 활용된다. 전해질의 전리도는 용액의 농도, 온도, 압력에 영향을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화학 - 태양광 발전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직류 전기로 변환 후 교류 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초기 투자비용, 간헐성, 환경적 영향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전기화학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 전기공학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 전기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 생리학 - 항상성
    항상성은 생명체가 생존을 위해 체온, 혈당, 혈액 pH, 수분 및 이온 균형 등 내부 환경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 음성 피드백 시스템, 신경계, 내분비계 등을 통해 조절된다.
  • 생리학 -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이 환경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때 심리적,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으로, 지속시간, 강도, 예측 가능성, 통제 가능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며, 인지된 스트레스 척도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전해질
전해질
전해질 모식도
전해질의 모식도. 용매 속에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해리된 전해질 입자를 보여준다.
정의물에 녹아 이온으로 해리되어 용액 속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물질
이온화 방식전해질이 물과 같은 극성 용매에 용해되면, 전해질을 구성하는 이온들이 용매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이온이 용매 속에서 안정화됨. 이 과정을 이온 용매화 또는 수화라고 함.
이온 용매화 과정에서 전해질을 구성하는 이온들은 용매 분자로부터 떨어져 나와 용액 속에 자유롭게 존재함. 이렇게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온들이 용액 속에서 전류를 흐르게 함.
유형
종류
염기
역할
생체 내 기능세포 기능 조절
체액 균형 유지
신경 신호 전달
근육 수축
배터리배터리 내부에서 이온이 이동하여 전하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
화학화학 반응에서 촉매 또는 반응 매개체 역할
관련 용어
비전해질물에 녹아도 이온화되지 않아 전류를 흐르게 하지 못하는 물질
이온화전해질이 이온으로 분리되는 과정
이온전하를 띤 원자 또는 분자
전도도전하를 운반하는 정도
기타
주의사항전해질 불균형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
전해질 용액은 안전하게 다루어야 함
참고 자료미국 국립 암 연구소 전해질 정의
전해질 용액의 구조 연구 보고서

2. 어원

"전해질"이라는 단어는 전기와 관련된 ēlectro-||grc와 "풀릴 수 있는"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 lytos||grc에서 유래했다.[35] ēlectro-||grc는 원래 "호박"을 의미했지만, 현대에는 전기를 뜻한다.[35]

3. 역사

1903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스반테 아레니우스, 수용액에서 전해질의 해리 개념을 확립한 선구자


1884년 스반테 아레니우스는 고체 결정질 염이 용해될 때 전하를 띤 입자 쌍으로 해리된다는 설명을 제시했으며, 이 업적으로 1903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7][8][9][10] 아레니우스는 용액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염이 전하를 띤 입자로 해리되며, 이 입자를 마이클 패러데이가 이전에 "이온"이라고 명명했다고 설명했다. 패러데이는 이온이 전기 분해 과정에서 생성된다고 믿었으나, 아레니우스는 전류가 없더라도 염의 용액에는 이온이 포함되어 있다고 제안했다. 따라서 그는 용액 내 화학 반응은 이온 간의 반응이라고 제안했다.[8][9][10]

아레니우스의 이온 가설 직후, 프란츠 호프마이스터와 지크문트 레위스[11][12][13]는 서로 다른 이온 종류가 단백질의 용해도 등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이온들의 영향 크기에 대한 일관된 순서는 다른 많은 시스템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는데, 이는 이후 호프마이스터 계열로 알려지게 되었다.

4. 형성

전해질 용액은 보통 소금과 같은 용질이 용매에 녹을 때, 용매와 용질 분자 사이의 열역학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개별 성분이 해리되는 "용매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NaCl)을 물에 넣으면 다음과 같은 해리 반응에 따라 소금(고체)이 성분 이온으로 용해된다.[35]

: NaCl(s) → Na+(aq) + Cl(aq)

이산화탄소와 같이 물과 반응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도 전해질이 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기체는 물에 용해되어 히드로늄, 탄산염, 수소탄산염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을 생성한다.[15]

용융염도 전해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이 용융되면 액체가 전기를 전도한다. 특히, 녹는점이 100°C 미만인 용융염인 이온성 액체는 고도로 전도성이 높은 비수계 전해질로, 연료 전지 및 배터리에서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다.[16]

5. 전해질의 종류

전해질은 용매에 용해될 때 이온으로 해리되는 정도에 따라 강전해질과 약전해질로 나뉜다. 또한, 고체 상태에서도 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고체 전해질도 존재한다.


  • 강전해질: 용매에 용해될 때 대부분 이온으로 해리되는 전해질이다. 염화나트륨(NaCl)과 같은 염, 염산(HCl)과 같은 강산, 수산화나트륨(NaOH)과 같은 강염기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7] 알칼리 토금속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제한적인 강전해질인 수산화물을 형성한다.
  • 약전해질: 용매에 용해될 때 일부만 이온으로 해리되는 전해질이다. 아세트산(CH3COOH)과 같은 약산, 암모니아(NH3)와 같은 약염기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 고체 전해질: 겔 전해질, 세라믹 전해질, 고분자 전해질, 유기 플라스틱 전해질 등이 있다.
  • 겔 전해질: 액체 전해질과 유사하게 유연한 결정 구조 내에 액체를 포함하고 있다.
  • 세라믹 전해질: 이온이 세라믹 상의 결정 격자 내에서 이동한다.
  • 고분자 전해질: 염이 고체 매질에 직접 용해되는 형태이다.
  • 유기 이온성 플라스틱 결정: 이동성 이온이 결정 구조 내에서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는 유기 염이다.

6. 생리적 중요성

각 생물 종은 전해질 농도를 엄격하게 조절하는 고유한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22]

6. 1. 개요

생리학에서 주요 전해질 이온은 나트륨(Na+), 칼륨(K+), 칼슘(Ca2+), 마그네슘(Mg2+), 염화물(Cl), 인산이수소(HPO42−) 및 중탄산염(HCO3)이다.[19] 더하기(+)와 빼기(−) 전하 기호는 물질이 이온성이며 전자 분포가 불균형임을 나타내며, 이는 화학적 해리의 결과이다. 나트륨은 세포 외액에 존재하는 주요 전해질이고 칼륨은 주요 세포 내 전해질이다.[20] 두 이온 모두 체액 균형과 혈압 조절에 관여한다.[21]

모든 알려진 다세포 생물은 세포 내 및 세포 외 환경 간에 미묘하고 복잡한 전해질 균형을 필요로 한다.[19] 특히, 전해질의 정확한 삼투압 구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구배는 신체의 수분과 혈액 pH에 영향을 주고 조절하며, 신경근육 기능에 중요하다.

근육 조직과 뉴런은 모두 신체의 전기 조직으로 간주된다. 근육과 뉴런은 세포 외액 또는 간질액과 세포 내액 사이의 전해질 활동에 의해 활성화된다. 전해질은 "이온 채널"이라고 불리는 세포막에 내장된 특수 단백질 구조를 통해 세포막에 출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육 수축은 칼슘(Ca2+), 나트륨(Na+) 및 칼륨(K+)의 존재에 의존한다. 이러한 주요 전해질의 수준이 충분하지 않으면 근육 약화 또는 심한 근육 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23]

전해질 균형은 전해질 함유 물질의 경구 섭취 또는 응급 상황에서는 정맥(IV) 주입에 의해 유지되며, 일반적으로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며 신장이 과도한 수준을 배출한다. 사람의 경우 전해질 항상성은 항이뇨 호르몬, 알도스테론 및 부갑상선 호르몬과 같은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탈수과수분과 같은 심각한 전해질 장애는 심장 및 신경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해결되지 않으면 의료 응급 상황이 된다.

6. 2. 전해질 불균형

생리학에서 전해질의 주요 이온은 나트륨(Na+), 칼륨(K+), 칼슘(Ca2+), 마그네슘(Mg2+), 염화물(Cl), 인산이수소(HPO42−) 및 중탄산염(HCO3)이다.[19] 전해질 불균형은 전해질 함유 물질을 입으로 섭취하거나, 응급 상황에서는 정맥 주사(IV)를 통해 유지되며,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고 신장에서 과도한 양을 배출한다. 사람의 경우 전해질 항상성은 항이뇨 호르몬, 알도스테론, 부갑상선 호르몬과 같은 호르몬에 의해 조절된다. 탈수과수분과 같은 심각한 전해질 장애는 심장 및 신경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빨리 해결하지 않으면 의료 응급 상황이 된다.

6. 3. 전해질 측정

전해질 측정은 혈액 검사를 통해 이온 선택성 전극을 이용하거나 의료 기술사가 실시하는 소변 검사로 흔히 시행되는 진단 절차이다. 이러한 값의 해석은 병력 분석 없이는 다소 의미가 없으며, 신장 기능 측정과 병행하지 않고서는 종종 불가능하다. 가장 자주 측정되는 전해질은 나트륨칼륨이다. 염소 수치는 나트륨 수치와 본질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동맥혈 가스 해석을 제외하고는 거의 측정되지 않는다. 소변에서 수행되는 중요한 검사 중 하나는 전해질 불균형 발생을 확인하기 위한 비중 검사이다.

6. 4. 수분 보충

운동, 과도한 알코올 섭취, 다한증, 설사, 구토, 중독 또는 기아로 인한 탈수 후에는 나트륨과 칼륨 염을 함유한 전해질 음료를 통해 신체의 수분과 전해질 농도를 보충할 수 있다.[24] 이러한 전해질 음료는 물, 설탕, 소금을 정확한 비율로 섞어 직접 만들 수도 있다.[25] 포도당(설탕)은 나트륨과 포도당의 공동 수송 기전을 이용하기 위해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25] 사람과 동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상업용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26]

경구 수액 요법에서는 운동, 과도한 발한, 설사, 구토 또는 기아로 인한 탈수 후에 체내 수분과 전해질 수치를 보충하기 위해 나트륨염과 칼륨염이 포함된 전해질 용액을 사용한다. 이때 순수한 물을 제공하는 것은 체세포 내의 염류를 희석시켜 생화학적 기능을 방해하므로 최선의 방법이 아니며, 물중독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스포츠 음료는 일반적으로 다량의 탄수화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등장액, 저장액, 고장액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하지만 스포츠 음료는 많은 양의 당분을 포함하고 있어 어린이가 매일 마시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며, 전문적으로 배합된 시판 전해질 용액이 권장된다. 스포츠 음료는 설사로 인한 체액 손실을 보충하는 데에도 적합하지 않으며, 이미 발생한 전해질 불균형을 회복하는 데는 의료용 수액팩이 사용된다.

7. 전기화학에서의 전해질

전극을 전해질에 담그고 전압을 가하면 전해질이 전기를 전도한다. 일반적으로 단독 전자는 전해질을 통과할 수 없다. 대신, 음극에서는 전자를 받아들이는 환원 반응이, 양극에서는 전자를 내놓는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그 결과, 음극 주위에는 음전하 구름이, 양극 주위에는 양전하가 발생한다. 전해질의 이온은 이러한 전하를 중화시켜 전자가 계속 흐르고 반응이 계속될 수 있게 한다.

전해전지는 일반적인 소금 용액에서 염소(Cl2)와 수산화나트륨(NaOH)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물에 녹인 소금(염화나트륨, NaCl) 용액에서 음극 반응은 다음과 같다.

: 2 H2O + 2e → 2 OH + H2

그리고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양극 반응은 다음과 같다.

: 2 NaCl → 2 Na+ + Cl2 + 2e

그리고 염소 기체가 용액에 방출되어 나트륨과 수산화 이온과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가정용 표백제)을 생성한다. 양전하를 띤 나트륨 이온 Na+는 음극으로 이동하여 OH의 음전하를 중화시키고, 음전하를 띤 수산화 이온 OH는 양극으로 이동하여 Na+의 양전하를 중화시킨다.

전해질 전도체는 금속-전해질 계면에서의 화학 반응이 유용한 효과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에 사용된다.

  • 전지: 서로 다른 전자 친화도를 가진 두 가지 물질을 전극으로 사용한다. 전자는 전지 외부에서 한 전극에서 다른 전극으로 흐르고, 전지 내부에서는 전해질의 이온에 의해 회로가 닫힌다. 여기서 전극 반응은 화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27]
  • 일부 연료 전지: 고체 전해질 또는 양성자 전도체가 수소와 산소 연료 가스를 분리하면서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32]
  • 전기도금 탱크: 전해질이 도금할 물체에 금속을 동시에 증착하고 회로에서 그 물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 작동 시간 게이지: 두 개의 얇은 수은 기둥이 작은 전해질로 채워진 틈으로 분리되고, 장치를 통해 전하가 통과함에 따라 한쪽에서는 금속이 용해되고 다른 쪽에서는 도금되어 보이는 틈이 천천히 이동한다.
  • 전해 콘덴서: 화학적 효과를 사용하여 매우 얇은 유전체 또는 절연체 코팅을 생성하는 반면 전해질 층은 하나의 콘덴서 판 역할을 한다.
  • 일부 습도계: 거의 건조한 전해질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
  • 가열된 연화된 유리는 전해질 전도체이며 일부 유리 제조업체는 큰 전류를 통과시켜 유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한다.
  • 나트륨-황 전지에서는 베타 알루미나가 전해질로 사용된다.


전기화학 및 용액화학 측정에서 이온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과염소산나트륨과 같은 배위 능력이 약한 전해질이 사용된다.

8. 전리도

전해질을 용해했을 때, 실제로 이온화되어 있는 물질의 몰분율을 나타낸 것을 '''전리도'''라고 하며, 주로 기호 '''α'''로 나타낸다.[35]

전리도가 1에 가까운 물질은 '''강전해질''', 작은 물질은 '''약전해질'''이라고 한다. 전해질에는 이온성 화합물분자성 화합물이 있다.[35]

전리도는 농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작아지고, 반대로 무한히 희석하면 1이 된다. 따라서 물성의 지표로서는 다루기 어렵고, pH 계산 등에서는 전리 평형을 고려한 평형상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35]

또한, 온도 및 압력 의존성도 보인다. 전리에 대한 엔탈피 변화가 음인 경우 온도 상승에 따라 전리도가 감소한다.[36]

: \left( {\partial \ln K \over {\partial T} } \right)_{P} = {\Delta H^\circ \over {RT^2} }

전리에 의해 전하를 띤 이온에 대한 용매화 정도가 증가하고 부피 변화는 음인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적으로 압력 증가에 따라 전리도는 상승한다.[37]

: \left( {\partial \Delta G \over {\partial P} } \right)_{T} = \Delta V

참조

[1] 논문 The structure of electrolyte solutions https://iopscience.i[...] 2021-12-18
[2] 서적 Battery technology crash course : a concise introduction http://worldcat.org/[...] Springer 2020-10-29
[3] 서적 Polymer Electrolytes: Characterization Techniques and Energy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0-02-18
[4] 논문 Influence of ion solvation on the properties of electrolyte solutions
[5] 서적 Fluids and Electrolyte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6] 웹사이트 electrolyte https://www.cancer.g[...] 2011-02-02
[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03 https://www.nobelpri[...] 2017-01-05
[8] 서적 The New Columbia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1975
[9] 서적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992
[10] 서적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Charles Scribner's Sons 1970
[11] 논문 Zur Lehre Von Der Wirkung Der Salze
[12] 논문 'Zur Lehre von der Wirkung der Salze' (about the science of the effect of salts): Franz Hofmeister's historical papers https://linkinghub.e[...]
[13] 논문 Understanding specific ion effects and the Hofmeister series
[14] 논문 The Electrostatic Origins of Specific Ion Effects: Quantifying the Hofmeister Series for Anions
[15] 논문 离子液体研究进展 https://web.archive.[...]
[16] 논문 Protic ionic liquid and ionic melts prepared from methanesulfonic acid and 1H-1,2,4-triazole as high temperature PEMFC electrolytes https://lirias.kuleu[...]
[17] 서적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18] 논문 Electrochemical corrosion tests in an environment of low-conductive ethanol-gasoline blends: Part 1 – Testing of supporting electrolytes https://www.scienced[...] 2021-01-01
[19] 논문 The Interplay of Dysregulated pH and Electrolyte Imbalance in Cancer 2020-04-07
[20] 논문 细胞膜钠泵及其临床意义 https://web.archive.[...]
[21] 논문 电解质紊乱对晚期肿瘤的治疗影响
[22] 웹사이트 Chapter 15 Fluids and Electrolytes https://www.ncbi.nlm[...] Chippewa Valley Technical College 2021
[23] 웹사이트 Reproductive Consequences of Electrolyte Disturbances in Domestic Animals https://www.research[...]
[24] 논문 Anaerobic performance when rehydrating with water or commercially available sports drinks during prolonged exercise in the heat
[25] 웹사이트 Rehydration drinks https://web.archive.[...] Webmd.com 2008-04-28
[26] 웹사이트 Oral Rehydration Salt Suppliers http://rehydrate.org[...] Rehydrate.org 2014-10-07
[27] 논문 The effect of additive of Lewis acid type on lithium–gel electrolyte characteristics
[28] 웹사이트 The Roll-to-Roll Battery Revolution https://web.archive.[...] Ev World
[29] 논문 Novel composite polymeric electrolytes with surface-modified inorganic fillers
[30] 논문 Detailed studies on the fillers modification and their influence on composite, poly(oxyethylene)-based polymeric electrolytes
[31] 논문 Ceramic-in-polymer versus polymer-in-ceramic polymeric electrolytes—A novel approach
[32] 논문 1,2,4-Triazolium perfluorobutanesulfonate as an archetypal pure protic organic ionic plastic crystal electrolyte for all-solid-state fuel cells
[33] 논문 Imidazolium methanesulfonate as a high temperature proton conductor https://lirias.kuleu[...]
[34] 문서 (1978)
[35] 문서 (1981)
[36] 서적 Tanaka 1981
[37] 서적 Tanaka 1981
[38] 서적 완자 화학 Ⅰ(1권) 비유와상징 2006-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