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근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근옹주는 조선 선조와 정빈 민씨의 딸로, 생년은 정확하지 않다. 1611년 김이원의 아들 김극빈과 혼인했으나, 2년 뒤 사망했다. 묘소는 경기도 양평군에 있으며, 남편 김극빈의 묘와 함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13년 사망 - 오쿠보 나가야스
오쿠보 나가야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케다 가신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행정 능력을 인정받아 막부 운영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부정 축재 의혹으로 실각하고 가문이 몰락했다. - 1613년 사망 - 카를로 제수알도
카를로 제수알도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이자 작곡가로, 아내 살해 사건으로 유명하며 반음계적 화성과 격정적인 감정 표현이 특징인 마드리갈을 작곡했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정근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2. 생애
정근옹주는 조선 제14대 왕 선조와 후궁 정빈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생년은 명확하지 않다. 성은 이, 본관은 전주 이씨이다.[1][2]
1610년(광해군 2년) 음력 9월 19일 광해군은 정근옹주의 남편을 간택하기 위해 11세부터 16세까지의 남성을 대상으로 간택 단자를 내도록 하였다.[3] 이듬해인 1611년(광해군 3년) 음력 5월 21일, 대사헌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한 선산 김씨 김신원(또는 김이원[4])의 아들 김극빈이 남편으로 정해져 일선위에 봉해졌다.[5][6]
그러나 정근옹주는 혼인 2년 후인 1613년(광해군 5년) 음력 7월 11일에 사망하였다. 옹주가 죽자 광해군은 차자를 올리는 것과 모든 하례를 미루도록 하였다.[7] 정근옹주는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김극빈의 조카 김세필이 그 후사를 이었다. 그러나 김세필 또한 아들을 낳지 못해 다시 일가 친척 김구상이 그 뒤를 이었다.[8]
2. 1. 가계
정근옹주는 조선 제14대 왕 선조와 후궁 정빈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3녀이다. 생년은 명확하지 않다. 성은 이, 본관은 전주이다.[1][2]정빈 민씨는 여흥 민씨 민사준의 딸로, 1580년(선조 13년) 음력 5월 26일 종2품 숙의로 정식 간택되어 입궁하였다. 정빈 민씨는 선조와의 사이에서 정근옹주를 비롯한 2남 3녀를 낳았다.[1][2]
2. 2. 옹주 시절
1610년(광해군 2년) 음력 9월 19일 광해군이 정근옹주의 남편을 간택하기 위해 11세부터 16세까지의 남성을 대상으로 간택 단자를 내도록 하였다.[3] 이듬해인 1611년(광해군 3년) 음력 5월 21일 대사헌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한 선산 김씨 김신원(또는 김이원[4])의 아들 김극빈으로 남편이 정해졌다. 이때 김극빈은 일선위에 봉해졌다.[5][6]그러나 정근옹주는 혼인 2년 뒤인 1613년(광해군 5년) 음력 7월 11일 사망하였다. 옹주가 죽자 광해군은 차자를 올리는 것과 모든 하례를 미루도록 하였다.[7] 정근옹주는 자녀가 없어 김극빈의 조카 김세필로 그 후사를 이었다. 그러나 김세필 또한 아들을 낳지 못해 다시 일가 친척 김구상으로 하여금 그 뒤를 잇게 하였다.[8]
2. 3. 사후
정근옹주의 묘소는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에 있다. 남편 김극빈의 묘와 나란히 있으며, 망주석과 문인석 등이 있다. 그러나 묘비는 없고, 다만 묘비가 있었던 것을 짐작케 하는 흔적인 비좌만이 남아있다.[9]3. 가족 관계
정근옹주는 선조와 정빈 민씨의 딸로, 인성군, 정인옹주, 정선옹주, 인흥군과 형제자매이다. 시아버지는 김이원, 시어머니는 강릉 김씨 김광렬의 딸이며, 김극빈과 혼인하여 양자 김세필을 두었다.
3. 1. 친정
아버지 | 선조(1552~1608, 재위 1567~1608) |
---|---|
어머니 | 정빈 민씨(1567~1626) |
오빠 | 인성군 공(1588~1628) |
언니 | 정인옹주(1590~1656) |
언니 | 정선옹주(1594~1614) |
동생 | 인흥군 영(1604~1651) |
3. 2. 시가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선조 14권, 13년(1580 경진 / 명 만력 8년) 5월 26일(갑오) 1번째기사
[2]
웹사이트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정빈민씨묘갈〉
http://gsm.nricp.go.[...]
[3]
서적
조선왕조실록 광해 33권, 2년(1610 경술 / 명 만력 38년) 9월 19일(신유) 1번째기사
[4]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이원〉
https://terms.naver.[...]
[5]
서적
조선왕조실록 광해 41권, 3년(1611 신해 / 명 만력 39년) 5월 21일(경신) 3번째기사
[6]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김극빈〉
https://web.archive.[...]
2012-08-01
[7]
서적
조선왕조실록 광해 68권, 5년(1613 계축 / 명 만력 41년) 7월 11일(정묘) 1번째기사
[8]
웹사이트
《국조인물고》김이원
https://terms.naver.[...]
[9]
웹사이트
두산백과 〈정근옹주 묘〉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