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옹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인옹주는 조선 선조와 후궁 정빈 민씨의 장녀이다. 1603년 홍식의 아들 홍우경과 혼인하여 당원위에 봉해졌으며, 1656년에 사망했다.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으며, 남편 홍우경과 합장되었다. 1988년 충청북도 기념물 제78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6년 사망 - 김집 (1574년)
사계 김장생의 아들이자 조선 중기 문신이자 예학자인 김집은 율곡 이이, 성혼의 성리학과 송익필의 예학을 계승하고 인조반정 공신을 비판하는 등 강직한 성품을 보였으며, 『신독재문집』 등의 저서를 남기고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조선 후기 예학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쳐 문묘에 배향되고 동방 18현에 오르는 영예를 누렸다. - 1656년 사망 - 주앙 4세
주앙 4세는 1640년 포르투갈 독립을 쟁취하고 스페인과의 복고 전쟁을 이끈 브라간사 공작 출신의 국왕으로, 외교적 군사적 성과와 더불어 음악가로서 문화 예술 발전에도 기여했으며 그의 딸은 잉글랜드 국왕과 결혼했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정인옹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옹주 |
배우자 | 당원위 홍우경 |
자녀 | 1남 |
왕조 | 조선 |
아버지 | 선조 |
어머니 | 정빈 민씨 |
친척 | 인성군(오빠), 정근옹주(동생), 정근옹주(동생) 등 |
출생일 | 1590년 |
출생지 | 조선 |
사망지 | 조선 |
사망일 | 1656년 음력 1월 10일 |
매장지 | 홍우경.정인옹주묘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 |
국적 | 조선 |
2. 생애
선조의 장녀 정인옹주는 정빈 민씨 소생으로, 홍우경과 혼인하였다.[4] 1656년(효종 7년) 사망 후 3년간 녹봉을 지급받았으며,[5][6]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 남편과 합장되었다.[7]
2. 1. 가계 및 출생
조선의 제14대 왕인 선조와 그 후궁 정빈 민씨의 장녀로 태어났다. 성은 이, 본관은 전주이다.생모 정빈 민씨는 여흥 민씨 민사준의 딸로, 1580년(선조 13년) 음력 5월 26일 종2품 숙의로 정식 간택되어 입궁하였다. 정빈 민씨는 선조와의 사이에서 정인옹주를 비롯한 2남 3녀를 낳았다.[2][3]
2. 2. 혼인 및 사망
1603년(선조 36년) 이조참판을 지낸 남양 홍씨 홍식의 아들 홍우경과 혼인하였으며, 홍우경은 당원위에 봉해졌다.[4] 1656년(효종 7년) 음력 1월 10일 사망하였으며,[5] 사후에도 3년간 녹봉을 그대로 지급받았다.[6]2. 3. 묘소
정인옹주의 묘소는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실원리에 있다. 1625년(인조 3년) 사망한 남편 홍우경과 합장되었으며, 묘비와 동자석, 장명등 및 문인석, 망주석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정인옹주와 홍우경의 묘는 1988년 9월 30일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78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7].3. 가족 관계
정인옹주의 남편 홍우경은 1590년(선조 23년)에 태어나 옹주와 혼인 후 당원위에 봉해졌고, 이후 봉헌대부에 올랐다. 광해군 때 인목왕후 폐비에 반대하여 유배를 갔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복작되었다. 1625년(인조 3년) 음력 6월 4일, 3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8]
3. 1. 친정
정인옹주의 친정 | |
---|---|
부왕 | 선조 (1552 ~ 1608, 재위 1567 ~ 1608) |
생모 | 정빈 민씨 (1567 ~ 1626) |
오빠 | 인성군 (1588 ~ 1628) |
동생 | 정선옹주 (1594 ~ 1614) |
동생 | 정근옹주 (1599 ~ 1613) |
동생 | 인흥군 (1604 ~ 1651) |
3. 2. 시가
- 시아버지 : 홍식(1559 ~ 1608)
- 시어머니 : 윤견철(尹堅鐵)의 딸 파평 윤씨
- * '''남편''' : 당원위(唐原尉) 홍우경(1590 ~ 1625)
- ** '''아들''' : 홍언(1609 ~ ?)
- ** 며느리 : 정랑(正郞) 이신(李莘)의 딸 전주 이씨(1614 ~ ?)
손자 : 홍기서(洪箕叙, 1631 ~ ?)
- ** 며느리 : 부사(府使) 증(贈) 참의(參議) 여이량(呂爾亮)의 딸 함양 여씨
손녀 : 홍종민(洪終敏, 1644 ~ ?)
손자 : 홍기주(洪箕疇, 1646 ~ ?)
손자 : 홍기범(洪箕範, 1648 ~ ?)
손녀 : 홍종숙(洪終淑, 1651 ~ ?)
손자 : 홍기협(洪箕協, 1654 ~ ?)
- ** 며느리(양첩) : 혜숙(惠淑)
서손자 : 홍기진(洪箕陳, 1662 ~ ?)
참조
[1]
서적
선원록
[2]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선조 14권, 13년(1580 경진 / 명 만력(萬曆) 8년) 5월 26일(갑오) 1번째기사
1580-05-26
[3]
웹사이트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정빈민씨묘갈〉
http://gsm.nricp.go.[...]
[4]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홍우경〉
https://terms.naver.[...]
[5]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효종 16권, 7년(1656 병신 / 청 순치(順治) 13년) 1월 10일(기축) 2번째기사
1656-01-10
[6]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효종 17권, 7년(1656 병신 / 청 순치(順治) 13년) 7월 2일(무신) 2번째기사
1656-07-02
[7]
웹사이트
문화재청 - 문화재검색 〈홍우경.정인옹주묘소〉
http://www.cha.go.kr[...]
[8]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9권, 3년(1625 을축 / 명 천계(天啓) 5년) 6월 4일(경진) 7번째기사
1625-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