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빈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빈 김씨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서모이다. 환조의 여종 출신으로, 환조와의 사이에서 의안대군 이화를 낳았다. 태조는 김씨를 극진히 예우했으며, 김씨가 죽자 정안옹주로 봉해졌다. 1404년에 사망했으며, 고종 때 정빈으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환조 - 의혜왕후
의혜왕후 최씨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머니이며, 이자춘과의 혼인을 결정하고 삼한국대부인, 의비, 의혜왕후로 추존되었으며, 능은 화릉이고 이성계와 정화공주를 낳았다. - 조선 환조 - 쌍성총관부
쌍성총관부는 1258년 조휘 등이 철령 이북 땅을 원나라에 바치며 설치된 원나라의 고려 지배 기구로, 조휘의 가문이 대대로 총관직을 세습했으나 1356년 유인우, 이성계 등에 의해 함락되어 고려에 수복되며 고려가 자주성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 1404년 사망 - 교황 보니파시오 9세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서방 교회 대분열 시대에 1389년부터 1404년까지 재임한 로마 교황으로, 교황령에 대한 세속적 통치권 확립과 재건에 힘썼으나 아비뇽의 대립교황과 대립하고 성직 매매 등으로 비판받았다. - 1404년 사망 - 익안대군
익안대군은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아들로, 조선 건국 후 익안군에 봉해지고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온후하고 검소한 성품으로 마한 공정공에 추봉, 정종의 묘정에 배향, 영종정경부사에 추증되었다. - 고려 공민왕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 공민왕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정빈 김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김고음가 |
작위 | 옹주 빈 |
별칭 | 정안옹주 |
시호 | 정빈 |
배우자 | 증 조선 환조(고려 시대 무관 이자춘) |
자녀 | 의안대군 이화 |
왕조 | 조선 |
아버지 | 미상 |
어머니 | 미상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1404년 음력 1월 9일 |
인물 정보 | |
출생명 | 김고음가 |
배우자 | 이자춘 (1361년 결혼) |
자녀 | 이화 |
사망일 | 1404년 1월 9일 |
사망 장소 | 조선 |
묻힌 곳 | 미상 |
작위명 | 정안옹주 (1392년 경 책봉) |
추존 작위 | 정빈 김씨 (1872년 고종에 의해 추존) |
본관 | 김씨 |
왕가 | 이씨 |
2. 생애
정빈 김씨는 환조의 여종으로, 이름은 고음가(古音加)이며 태조 이성계의 서모이다[9]. 환조와의 사이에서 이화를 낳았다. 태조는 이복 형제인 의안대군을 각별히 여겼고, 환조 사후 김씨를 개경으로 데려와 무릎을 꿇고 대했으며, 노비 문서를 불태웠다[10]. 태조가 젊었을 때 김씨가 까마귀 5마리를 쏘아달라고 부탁했고, 태조가 한 번에 맞추자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11].
조선 건국 후 정안옹주(定安翁主)에 봉해졌고, 1404년(태종 4년) 음력 1월 9일에 사망하자 태종이 조회를 3일간 정지하고 애도했다[12]. 1872년(고종 9년) 음력 12월 1일, 고종에 의해 정1품 정빈(定嬪)으로 추증되었다[13].
2. 1. 조선 건국 이전
자세한 가계나 본관은 전하지 않는다. 환조의 여종이었으며, 성은 김, 이름은 고음가(古音加)이다[9]. 태조 이성계의 서모이다.김씨는 환조와의 사이에서 아들 이화(훗날의 의안대군)를 낳았는데, 태조는 자신의 서제인 이화를 항상 각별히 여겼다고 전해진다. 또한 태조는 환조가 죽자 김씨를 개경으로 데려왔으며, 김씨를 대할 때에 항상 무릎을 꿇고 대했다고 한다. 더불어 김씨의 노비 문서를 불태워 없애버리기까지 하였다[10].
한편 태조가 젊었을 때, 김씨가 우연히 까마귀 5마리를 보고는 태조에게 활로 쏘아달라고 부탁하였다. 태조가 한 번의 활을 쏘아 5마리를 동시에 맞추자, 김씨는 태조에게 절대로 이러한 일을 아무데에도 발설해서는 안된다고 했다는 일화가 기록되어 있다[11].
2. 2. 조선 건국 이후
조선 건국 후, 김씨는 '''정안옹주'''(定安翁主)에 봉해졌다. 1404년(태종 4년) 음력 1월 9일에 사망하였으며, 태종은 조회를 3일간 정지하고 애도하였다[12]. 고종 때인 1872년(고종 9년) 음력 12월 1일에 정1품 '''정빈'''(定嬪)으로 추증되었다[13].3. 가족 관계
- 남편 : 조선 환조 (1315~1360)
- 아들 : 의안대군 이화 (1340~1408)
참조
[1]
웹사이트
태조의 아버지 환조 가계도
https://m.blog.naver[...]
2021-06-03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조 4권, 2년(1393 계유 / 명 홍무 26년) 9월 18일(경신) 3번째기사
[3]
서적
내시 와 궁녀, 비밀 을 묻다
https://books.google[...]
가람 기획
2007
[4]
서적
https://books.google[...]
Kim Yeong-sa, 김영사
2003
[5]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조 1권 총서 29번째기사
[6]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03
[7]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03
[8]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2021-06-04
[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조 4권, 2년(1393 계유 / 명 홍무 26년) 9월 18일(경신) 3번째기사
[10]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조 1권 총서 51번째기사
[11]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조 1권 총서 29번째기사
[1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태종 7권, 4년(1404 갑신 / 명 영락 2년) 1월 9일(신해) 3번째기사
[13]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30책 (탈초본 2783책) 고종 9년 12월 1일 신해 23/32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