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사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사룡은 1491년에 태어나 1570년 또는 1573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김종직의 제자인 이행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으며, 시에 능하여 명성을 얻었다. 1507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09년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며, 1516년 문과 중시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병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두 차례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과거 시험 부정 사건으로 파직되기도 했으나 복직하여 판중추부사 등을 지냈다. 저서로 《호음잡고》, 《천사일로일기》 등이 있으며, 묘소는 현재 남양주시 가운동에 있다.

2. 생애

정사룡은 조선 중기의 문신, 시인, 작가이다. 김종직의 제자인 이행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시와 문장에 능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기도 했다.[1]

문장력이 뛰어나 많은 문하생을 배출했지만, 과거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저질러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제자인 이량이 권력을 남용하다 몰락할 때 연좌되었으나, 선조 즉위 후 복직하였다.[1]

허목에 의하면 1573년(선조 6)에 사망했다고 한다.[1]

2. 1. 가계와 초기 활동

1491년 12월 19일 경기도 양주군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정난종이고, 아버지는 장령과 부사를 지내고 증 이조판서에 추증된 정광보(鄭光輔)이며,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로 대호군 이삼격(李三格)의 딸이다. 증조부 정사(鄭賜), 조부 정난종, 숙부 정광필(鄭光弼)은 3대에 걸쳐 과거에 급제하였다.[1]

김종직의 재전제자이며 최부(崔溥)의 문인 용재 이행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그는 시에도 관심을 보였는데, 소식을 사숙하고, 황정견(黃庭堅)의 시도 사숙하였다. 당대에 그는 시를 잘 지어 유명했으며 특히 율시를 잘 지어 명성을 얻었다.[1]

첫 부인 창녕성씨(昌寧成氏)는 성성렬(成成烈)의 딸인데, 첫 부인을 소박해서 내보냈다. 이 일과 부친상 당시 아내와 아들을 대신 보낸 일로 오랫동안 인신공격을 당했다. 그밖에도 첩이 1명 더 있었는데 궁궐에서 나온 여자라 한다. 또한 노비 출신 첩이 있어 노비 첩의 자손(蘖孫)이 있었다.[1]

1507년(중종 1년) 증광사마시(增廣司馬試)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하였다. 음서로 관직에 올라 황해도도사(黃海道都事)로 재직했다.[1]

1509년(중종 4) 황해도사 재직 중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 4위로 급제하고 1514년(중종 9)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16년(중종 11) 문과 중시(重試)에 장원(壯元) 급제하였다.[1]

2. 2. 관직 생활

1507년(중종 1년) 증광사마시(增廣司馬試)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하였다. 음서로 관직에 올라 황해도도사(黃海道都事)로 재직했다.[1]

1509년(중종 4) 황해도사 재직 중 별시 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 4위로 급제하고 1514년(중종 9)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1516년(중종 11) 문과 중시(重試)에 장원(壯元) 급제하고 사간, 부제학, 성균관대사성, 공조참의, 한성부우윤, 한성부좌윤을 역임한 후 1534년(중종 29) 동지사(冬至使)로 명나라에 사행을 다녀왔다. 이후 한성부판윤, 대제학, 형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 지돈녕부사,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1]

1534년(중종 29) 명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冬至使)의 정사가 되어 연경을 다녀왔다. 1542년(중종 37년) 예조판서, 1544년(중종 39) 공조판서로 다시 명나라에 파견되는 동지사에 임명되어 연경을 다녀왔다. 인종 즉위 후 1544년 병조판서, 대제학,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1554년(명종 9년) 대제학, 1558년 이조판서를 역임했다.[1]

문장력이 있어 어숙권(魚叔權), 노서린(盧瑞獜), 권응인(權應仁), 이붕상(李鵬翔), 임기(林芑), 이량 등이 그의 문하생으로 배출되었다. 특히 과거 시험의 시험감독관으로 있을 때 자신의 제자 이량을 부정하게 합격시킨 일과, 1558년의 별시문과 때에는 신사헌의 뇌물을 받고 시험 전에 답을 미리 알려준 일로 물의가 되기도 했다. 그밖에도 신사헌에게 과거 시험 문제를 누설한 원인은 당시 찬성이었던 심통원(沈通源)의 청탁을 받기도 했다. 이 일로 파직됐다가 그해 판중추부사로 복직했으며 이어 공조판서가 됐다. 1562년(명종 17년) 판중추부사로 재전직했다.[1] 제자인 이량이 왕실의 외척으로 전권을 휘두르다가 1563년 사림을 제거하려 했으며, 이로 인해 심의겸, 기대항 등의 탄핵을 받고 몰락할 때 그 역시 연좌되어 몰락했지만 선조 즉위 후 복직하여 판중추부사,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했다.[1]

2. 3. 과거 부정 사건과 말년

1558년 별시문과 때 신사헌에게 뇌물을 받고 시험 전에 답을 미리 알려준 일로 물의를 빚었다. 심통원(沈通源)의 청탁으로 신사헌에게 과거 시험 문제를 누설하기도 했다.[1] 이 일로 파직됐다가 그해 판중추부사로 복직했고, 이어 공조판서가 되었다. 1562년(명종 17년) 판중추부사에 재차 임명되었다. 제자인 이량이 왕실 외척으로서 권력을 휘두르다가 1563년 사림을 제거하려 했고, 이로 인해 심의겸, 기대항 등에게 탄핵받고 몰락할 때 정사룡 역시 연좌되어 몰락했다. 그러나 선조 즉위 후 복직하여 판중추부사,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했다. 통설에는 1570년에 사망했다고 알려졌으나, 미수 허목에 따르면 1573년(선조 6)에 영중추부사로 사망했다고 한다.

2. 4. 사후

묘소는 처음 경기도 포천군 가산면 용화동에 매장되었다가 80년 후 경기도 양주군 미음면 가재동(加才洞, 현 남양주시 가운동) 산, 현재의 위치로 이장되었다. 가재동은 후일 조운리와 합쳐져 가운리가 되었다. 그의 묘소는 후일 풍수지리를 잘 봤던 그의 증손자 정지문(鄭之問)이 이곳으로 이장한 것이라 한다. 묘소 입구에는 신도비가 서 있다. 묘비문은 미수 허목이 썼다.

3. 문학 세계

노수신, 황정욱과 함께 '호소지(湖蘇芝)', '관각삼걸(館閣三傑)'로 불렸다.[3]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의 일원으로 한시사에 이름을 남겼는데, 말을 치밀하게 다듬어 기개와 풍모가 있으며, 기이한 문구를 얻으려는 시풍을 장기로 삼았다. 정사룡의 시는 서곤체(西崑體)에 근원을 두었는데, 서곤체는 만당(晩唐) 이상은의 시를 추숭하는 유파이다. 특히, 칠언율시에 뛰어나 당시 문단에서 그와 신광한을 한시의 쌍벽으로 꼽았다.[3]

4. 평가

정사룡은 해동강서시파의 일원으로, 시에서 말을 치밀하게 다듬고 기이한 문구를 사용하는 것을 장기로 삼았다. 노수신, 황정욱과 함께 '호소지', '관각삼걸'로 불렸으며, 신광한과 함께 한시의 쌍벽으로 꼽혔다.[3]

4. 1. 긍정적 평가

노수신, 황정욱과 함께 '호소지(湖蘇芝)', '관각삼걸(館閣三傑)'로 불린다.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의 일원으로 한시사에 이름을 남겼는데, 말을 치밀하게 다듬어 기개와 풍모가 있으며, 기이한 문구를 얻으려는 시풍을 장기로 삼았다. 정사룡의 시는 서곤체(西崑體)에 근원을 두었는데, 서곤체는 만당(晩唐) 이상은의 시를 추숭하는 유파이다. 특히, 칠언율시에 뛰어나 당시 문단에서 그와 신광한을 한시의 쌍벽으로 꼽았다.[3]

4. 2. 부정적 평가

정사룡은 해동강서시파의 일원으로 한시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의 시는 말을 치밀하게 다듬어 기개와 풍모가 있으며, 기이한 문구를 얻으려는 시풍을 장기로 삼았다. 노수신, 황정욱과 함께 '호소지', '관각삼걸'로 불린다.[3] 그는 만당 이상은의 시를 추종하는 서곤체에 근원을 두었는데, 특히 칠언율시에 뛰어나 당시 문단에서 신광한과 함께 한시의 쌍벽으로 꼽혔다.[3]

5. 저서


  • 《천사일로일기》
  • 《조천록》
  • 《호음잡고》
  • 《호음초당집》

6. 가족 관계

구 분내용
아버지정광보 (鄭光輔)
정한룡(鄭漢龍)
첫째 부인창녕성씨(昌寧成氏), 성성렬(成成烈)의 딸
둘째 부인광산김씨, 김손원(金遜遠)의 딸
아들정순경(鄭純褧)
손자정상현(鄭象賢)
정상무(鄭象武)
증손정지문(鄭之問)
손자정상헌(鄭象獻)
서증손정지산(鄭之産)
서증손녀소용 정씨 (1596년[4] ~ 1623년 4월 12일), 광해군의 후궁
아들정순부(鄭純裒)
며느리진주류씨
손자정상선(鄭象先)
정상조(鄭象祖)


7. 기타

그는 귤정 윤구(尹衢), 낙천 윤의중 부자와 교류했는데, 이들은 후일 고산 윤선도의 증조부와 조부가 된다.[2] 정사룡의 집안은 훈구 공신이었지만, 그는 김종직의 재전제자인 용재 이행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사림파에 속했다. 그는 어숙권(魚叔權), 노서린(盧瑞獜), 권응인(權應仁), 이붕상(李鵬翔), 임기(林芑), 이량 등의 문인들을 배출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디지털도봉문화대전 - 정사룡 http://dobong.grandc[...]
[2] 문서 정사룡의 할아버지 정난종의 신도비문을 강징이 썼다.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사룡(鄭士龍) http://encykorea.aks[...]
[4] 문서 해인사 상량문 중 광해군 때 제작된 상량문 1개에서 그녀의 생년이 기록되어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