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곱평균제곱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곱평균제곱근(RMS)은 일련의 값 또는 연속적인 파형의 제곱의 산술 평균의 제곱근이다. RMS는 이산적인 값과 연속적인 값에 대해 정의되며, 전기 공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전기 공학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을 나타내며, 교류 전류의 실효값은 저항 부하에서 같은 전력을 소모하는 직류 전류의 값과 같다. 물리학에서는 기체 분자의 평균제곱근 속력 계산에 사용되며, 오차 분석에도 활용된다. RMS는 표준 편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파르세발 정리를 통해 주파수 영역에서도 계산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계량 - 최빈값
    최빈값은 데이터 집합에서 가장 자주 나타나는 값으로, 확률 분포의 중심 경향을 나타내는 척도이며 이상치에 둔감하고 명목형 데이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 통계량 - 피어슨 상관 계수
    피어슨 상관 계수는 두 변수 간의 선형 관계를 측정하는 지표로,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 또는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선형 관계를 나타낸다.
  • 평균 - 조화 평균
    조화 평균은 양의 실수들의 역수의 산술 평균의 역수로 정의되며, 작은 값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율이나 비를 포함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평균의 한 종류이다.
  • 평균 - 표본 평균
    표본 평균은 모집단의 모평균을 추정하기 위해 표본에서 추출된 값들의 산술 평균을 구한 것으로, 표본 내 변수 값들의 합을 값의 개수로 나눈 값이며, 불편성을 가지고 확률 변수이며 자체적인 분포를 갖는다.
제곱평균제곱근
개요
정의변수 값들의 제곱의 평균에 대한 제곱근
약자RMS (Root Mean Square)
다른 이름이차평균, 제곱 평균, 유효값
수학적 정의
공식RMS(x) = √((x₁² + x₂² + ... + xₙ²) / n)
설명n은 표본의 개수
xᵢ는 i번째 표본 값
연속 함수의 RMSRMS(f) = √((1/(b-a)) ∫ₐᵇ [f(x)]² dx)
설명a와 b는 적분 구간의 경계
활용
통계학분포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
전기 공학교류 전압 또는 전류의 유효값 계산에 사용
음향학음압 레벨 측정에 사용
기타다양한 공학 및 과학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에 활용
예시
예시 데이터1, 1, 2, 3, 5
RMS 값2√3 ≈ 3.464

2. 정의

일련의 값들(혹은 연속시간 파형)에 대한 제곱평균제곱근은 원래의 값(혹은 연속시간 파형을 정의하는 함수의 제곱)의 제곱들에 대한 산술평균(평균)의 제곱근이다.[4]

''n''개의 값 \{x_1,x_2,\dots,x_n\}의 집합의 경우 RMS는 다음과 같다.

:

x_\text{RMS} = \sqrt{ \frac{1}{n} \left( {x_1}^2 + {x_2}^2 + \cdots + {x_n}^2 \right) }.



구간 T_1 \le t \le T_2에 대해 정의된 연속 함수(또는 파형) ''f''(''t'')에 대한 해당 공식은 다음과 같다.

:

f_\text{RMS} = \sqrt {\int_{T_1}^{T_2} {[f(t)]}^2\, {\rm d}t}},



그리고 모든 시간에 대한 함수의 RMS는 다음과 같다.

:

f_\text{RMS} = \lim_{T\rightarrow \infty} \sqrt {\int_{-T}^{T} {[f(t)]}^2\, {\rm d}t}}.



모든 시간에 대한 주기 함수의 RMS는 함수의 한 주기의 RMS와 같다.

확률 과정의 RMS 통계량의 경우, 평균 대신 기댓값을 사용한다.

크기 의 데이터 , ''x'', …, ''x''}}에 대해 제곱평균제곱근은

:\operatorname{RMS}[x] = \sqrt{\frac{1}{n} \textstyle\sum\limits_{i=1}^n {x_i}^2} =

\sqrt{\frac

정의된다.

연속 함수 의 구간 , ''t''] (''t'' < ''t'')}}에 대해서는 매개변수적분을 사용하여,

:\operatorname{RMS}[x(t)] = \sqrt {\frac{1}{t_2 - t_1} \int_{t_1}^{t_2} (x(t))^2\, dt}

로 정의된다.

2. 1. 이산적인 값에 대한 정의

n개의 값 {x₁, x₂, ..., xₙ}에 대한 제곱평균제곱근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4]

:

x_{\mathrm{rms}} =

\sqrt {{{x_1}^2 + {x_2}^2 + \cdots + {x_n}^2} \over n}.



이는 값들의 제곱의 산술평균(평균)의 제곱근이다.[4]

2. 2. 연속적인 값에 대한 정의

구간 T_1 \le t \le T_2에서 정의된 연속 함수 f(t) (혹은 파형)에 대한 제곱평균제곱근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4]

:

f_{\mathrm{rms}} = \sqrt {\int_{T_1}^{T_2} {[f(t)]}^2\, dt}},



전체 시간에 대한 제곱평균제곱근은 다음과 같다.[4]

:

f_\mathrm{rms} = \lim_{T\rightarrow \infty} \sqrt {\int_{-T}^{T} {[f(t)]}^2\, dt}}.



주기함수의 경우 전체 시간에 대한 제곱평균제곱근은 한 주기의 제곱평균제곱근과 같다.[4]

3. 여러 파형에서의 RMS

wikitext

400px


400px


사인파의 전압 대 시간(도 단위) 그래프로 RMS, 피크(PK), 피크-피크(PP) 전압을 보여준다.


파형이 순수한 사인파인 경우, 진폭(피크-피크, 피크)과 RMS 간의 관계는 고정되어 있으며 알려져 있다. 이는 임의의 연속적인 주기적 파형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는 임의의 파형에는 해당되지 않는데, 주기적이거나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평균이 0인 사인파의 경우, RMS와 피크-피크 진폭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피크-피크'' = 2 \sqrt{2} \times \text{RMS} \approx 2.8 \times \text{RMS}.

다른 파형의 경우, 사인파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삼각파 또는 톱니파의 경우:

:''피크-피크'' = 2 \sqrt{3} \times \text{RMS} \approx 3.5 \times \text{RMS}.

파형변수 및 연산자RMS
직류y = A_0\,A_0\,
사인파y = A_1 \sin(2\pi ft)\,\frac{A_1}{\sqrt{2}}
구형파y = \begin{cases}A_1\,
직류 편이 구형파y = A_0 + \begin{cases}{\sqrt{A_0^2 + A_1^2}}\,
개조 사인파y = \begin{cases}\frac{A_1}{\sqrt{2}}
삼각파y = \left>2 A_1 \operatorname{frac}(ft) - A_1\right|A_1 \over \sqrt 3
톱니파y = 2 A_1 \operatorname{frac}(ft) - A_1\,A_1 \over \sqrt 3
펄스파y = \begin{cases}A_1 \sqrt D
상간 사인파y = A_1 \sin(t) - A_1 \sin\left(t - \frac{2\pi}{3}\right)\,A_1 \sqrt{\frac{3}{2}}
여기서:



주기 함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분 구간을 주기의 정수배로 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어 x(t) = \sin(\omega t)에 대해서는 주기를 \tau = \frac{2\pi}{\omega}로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operatorname{RMS}[\sin \omega t]

= \sqrt{\frac{1}{\tau} \int_0^{\tau} \sin^2 \omega t \, dt}

= \sqrt{\frac{1}{\tau} \int_0^{\tau} \frac{1-\cos 2\omega t}{2} \, dt}

= \frac{1}{\sqrt{2}}

마찬가지로 삼각함수의 합에 대해 적절한 주기 \tau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begin{align}

\operatorname{RMS}\left[\sum_n c_n \sin \omega_n t \right]

&= \sqrt{\frac{1}{\tau} \int_0^{\tau} \left(\sum_n c_n \sin \omega_n t \right)^2\, dt} \\

&= \sqrt{\frac{1}{\tau} \sum_{m,n} \int_0^{\tau}

c_m c_n \sin(\omega_m t)\sin(\omega_n t)\, dt} \\

&= \sqrt {\frac{1}{\tau} \sum_{m,n} \int_0^{\tau}

c_m c_n \frac{\cos(\omega_m t - \omega_n t) - \cos(\omega_m t + \omega_n t)}{2} \, dt} \\

&= \sqrt{\frac{1}{2} \sum_n (c_n)^2}

\end{align}

비대각 성분은 적분하면 0이 되므로(직교), 대각 성분의 적분만 남는다.

서로 직교하는 파형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파형의 RMS 값은 각 파형의 RMS 값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계산된다.

:\text{RMS}_\text{Total} =\sqrt{\text{RMS}_1^2 + \text{RMS}_2^2 + \cdots + \text{RMS}_n^2}

완벽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거나 서로 "위상이 일치하는" 파형의 경우, RMS 값이 직접적으로 합산된다.

3. 1. 사인파

파형이 순수한 사인파인 경우, 진폭(피크-피크, 피크)과 RMS 간의 관계는 고정되어 있으며 알려져 있다. 이는 임의의 연속적인 주기적 파형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는 임의의 파형에는 해당되지 않는데, 주기적이거나 연속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평균이 0인 사인파의 경우, RMS와 피크-피크 진폭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피크-피크'' = 2 \sqrt{2} \times \text{RMS} \approx 2.8 \times \text{RMS}.

다른 파형의 경우, 사인파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삼각파 또는 톱니파의 경우:

:''피크-피크'' = 2 \sqrt{3} \times \text{RMS} \approx 3.5 \times \text{RMS}.

주기 함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분 구간을 주기의 정수배로 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어 x(t) = \sin(\omega t)에 대해서는 주기를 \tau = \frac{2\pi}{\omega}로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operatorname{RMS}[\sin \omega t]

= \sqrt{\frac{1}{\tau} \int_0^{\tau} \sin^2 \omega t \, dt}

= \sqrt{\frac{1}{\tau} \int_0^{\tau} \frac{1-\cos 2\omega t}{2} \, dt}

= \frac{1}{\sqrt{2}}

마찬가지로 삼각함수의 합에 대해 적절한 주기 \tau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begin{align}

\operatorname{RMS}\left[\sum_n c_n \sin \omega_n t \right]

&= \sqrt{\frac{1}{\tau} \int_0^{\tau} \left(\sum_n c_n \sin \omega_n t \right)^2\, dt} \\

&= \sqrt{\frac{1}{\tau} \sum_{m,n} \int_0^{\tau}

c_m c_n \sin(\omega_m t)\sin(\omega_n t)\, dt} \\

&= \sqrt {\frac{1}{\tau} \sum_{m,n} \int_0^{\tau}

c_m c_n \frac{\cos(\omega_m t - \omega_n t) - \cos(\omega_m t + \omega_n t)}{2} \, dt} \\

&= \sqrt{\frac{1}{2} \sum_n (c_n)^2}

\end{align}

비대각 성분은 적분하면 0이 되므로(직교), 대각 성분의 적분만 남는다.

파형변수 및 연산자RMS
사인파y = A_1 \sin(2\pi ft)\,\frac{A_1}{\sqrt{2}}



여기서,


  • ''y''는 변위,
  • ''t''는 시간,
  • ''f''는 주파수,
  • ''A''는 진폭(피크 값)이다.

3. 2. 구형파



진폭이 A₁인 구형파의 RMS 값은 A₁이다.

파형변수 및 연산자RMS
구형파y = \begin{cases}A_1\,
여기서: 는 진폭(피크 값),frac(r)는 r의 소수 부분이다.


3. 3. 삼각파



진폭이 A₁인 삼각파의 RMS 값은 A_1 \over \sqrt 3이다. 다른 파형은 사인파와 RMS 값이 동일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삼각파의 경우 ''피크-피크'' = 2 \sqrt{3} \times \text{RMS} \approx 3.5 \times \text{RMS}.이다.

파형변수 및 연산자RMS
삼각파y = \left>2 A_1 \operatorname{frac}(ft) - A_1\right|A_1 \over \sqrt 3
여기서: 는 진폭(피크 값),D는 듀티 사이클 또는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주기 (1/f)의 비율,frac(r)는 r의 소수 부분이다.


3. 4. 톱니파



진폭이 A₁인 톱니파의 RMS 값은 A_1 \over \sqrt 3이다. 이는 삼각파의 RMS 값과 같다. 톱니파의 파형은 y = 2 A_1 \operatorname{frac}(ft) - A_1\,로 표현된다. 여기서 ''y''는 변위, ''t''는 시간, ''f''는 주파수, ''A''는 진폭, frac(''r'')는 ''r''의 소수 부분이다. 다른 파형의 경우, 사인파와 RMS와 피크-피크 진폭의 관계가 항상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톱니파의 경우 ''피크-피크'' = 2 \sqrt{3} \times \text{RMS} \approx 3.5 \times \text{RMS}이다.

3. 5. 펄스파



펄스파의 RMS 값은 진폭과 듀티 사이클에 의해 결정된다. 진폭이 A_1이고 듀티 사이클이 D인 펄스파의 RMS 값은 A_1 \sqrt D이다.

3. 6. 파형 조합

서로 직교하는 파형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파형의 RMS 값은 각 파형의 RMS 값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으로 계산된다.[5]

:\text{RMS}_\text{Total} =\sqrt{\text{RMS}_1^2 + \text{RMS}_2^2 + \cdots + \text{RMS}_n^2}

완벽하게 양의 상관관계가 있거나 서로 "위상이 일치하는" 파형의 경우, RMS 값이 직접적으로 합산된다. 주기 함수의 경우 일반적으로 적분 구간을 주기의 정수배로 하여 계산한다. 예를 들어, x(t) = sin(ωt)에 대해서는 주기를 τ = 2π/ω로 나타내고,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operatorname{RMS}[\sin \omega t]

= \sqrt{\frac{1}{\tau} \int_0^{\tau} \sin^2 \omega t \, dt}

= \sqrt{\frac{1}{\tau} \int_0^{\tau} \frac{1-\cos 2\omega t}{2} \, dt}

= \frac{1}{\sqrt{2}}

마찬가지로 삼각함수의 합에 대해 적절한 주기 τ를 사용하면, 비대각 성분은 적분하면 0이 되므로(직교), 대각 성분의 적분만 남는다.

:\begin{align}

\operatorname{RMS}\left[\sum_n c_n \sin \omega_n t \right]

&= \sqrt{\frac{1}{\tau} \int_0^{\tau} \left(\sum_n c_n \sin \omega_n t \right)^2\, dt} \\

&= \sqrt{\frac{1}{\tau} \sum_{m,n} \int_0^{\tau}

c_m c_n \sin(\omega_m t)\sin(\omega_n t)\, dt} \\

&= \sqrt {\frac{1}{\tau} \sum_{m,n} \int_0^{\tau}

c_m c_n \frac{\cos(\omega_m t - \omega_n t) - \cos(\omega_m t + \omega_n t)}{2} \, dt} \\

&= \sqrt{\frac{1}{2} \sum_n (c_n)^2}

\end{align}

4. 응용

전기공학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이차평균을 써서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는데, 이 때 각 이차평균값을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이라 한다.[6] 교류 전류의 실효값(RMS)은 저항 부하에서 같은 전력을 소모하는 직류 전류의 값과 같다.[1]

RMS 전압과 RMS 전류를 곱하면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가정용 교류 전압의 RMS 값으로 220V를 사용하며, 이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의 기반이 된다.

파형 조합의 실효값의 특수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text{RMS}_\text{AC+DC} = \sqrt{\text{V}_\text{DC}^2 + \text{RMS}_\text{AC}^2}

여기서 \text{V}_\text{DC}는 신호의 직류(또는 평균) 성분을 나타내고, \text{RMS}_\text{AC}는 신호의 교류 성분을 나타낸다.

전기공학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 데 RMS 값이 사용된다. 전기 기술자는 종종 저항 R에 의해 소산되는 전력 P를 알아야 한다. 저항에 일정한 전류 I가 흐를 때 전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 = I^2 R

하지만 전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함수 I(t)인 경우, 이 공식을 확장해야 한다. 주기적 함수의 경우, 시간에 따라 소산되는 평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PAvg = ( I(t)^2R )Avg = ( I(t)^2 )Avg R = IRMS^2R

따라서 함수 I(t)의 RMS 값 IRMS는 전류 I(t)의 시간 평균 전력 소산과 동일한 전력 소산을 생성하는 일정한 전류이다. 평균 전력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 V(t)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으며, RMS 값은 VRMS이다.

:PAvg = VRMS^2 / R

이 방정식은 사인파 또는 톱니파 형태와 같은 모든 주기적 파형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지정된 부하에 전달되는 평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두 방정식의 제곱근을 취하고 서로 곱하면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Avg = VRMS IRMS

두 유도 모두 전압과 전류가 비례한다는 것(즉, 부하 R은 순수 저항성임)에 의존한다. 반응성 부하는 교류 전력 항목에서 설명한다.

일반적인 교류의 경우, RMS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p를 피크 전류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IRMS = √(1 / (T2 - T1) * ∫(T1에서 T2까지) [Ip sin(ωt)]^2 dt)

여기서 t는 시간이고 ω는 각속도(ω = 2π/T, T는 파의 주기)이다. 삼각 항등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IRMS = Ip / √2

비슷한 분석을 통해 사인파 전압에 대한 유사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VRMS = Vp / √2

여기서 IP는 피크 전류를 나타내고 VP는 피크 전압을 나타낸다.

전력 계산에 유용하기 때문에 전원 콘센트의 전압은 거의 항상 RMS 값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주전원 전압의 피크 값은 약 120 × √2, 즉 약 170볼트이다.

"RMS 전력"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평균 전력"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오디오 전력 측정 및 그 단점에 대한 논의는 오디오 전력을 참조한다.

물리학에서 기체 분자의 평균제곱근 속력은 평균 제곱 속력의 제곱근으로 정의된다. 이상 기체의 평균제곱근 속력은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v_\text{RMS} = \sqrt{3RT \over M}

여기서 ''R''은 기체 상수(8.314 J/(mol·K))를 나타내고, ''T''는 켈빈 단위의 기체 온도이며, ''M''은 몰당 킬로그램 단위의 기체의 몰 질량이다. 물리학에서 속력은 속도의 스칼라 크기로 정의된다. 정지해 있는 기체의 경우, 분자의 평균 속도는 분자의 평균 속도가 0이라도 수천 km/h에 달할 수 있다.

이론적 예측에서 얻은 데이터 집합과 어떤 물리량의 실제 측정에서 얻은 데이터 집합을 비교할 때, 두 데이터 집합의 쌍별 차이의 제곱평균제곱근(RMS)은 오차가 평균적으로 0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쌍별 차이의 절댓값의 평균은 차이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차이의 제곱평균제곱근이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척도인데, 아마도 수학적 관례와 다른 공식과의 호환성 때문일 것이다. 제곱평균제곱근 편차는 측정값과 예측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4. 1. 전기 공학

전기공학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이차평균을 써서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는데, 이 때 각 이차평균값을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이라 한다.[6] 교류 전류의 실효값(RMS)은 저항 부하에서 같은 전력을 소모하는 직류 전류의 값과 같다.[1]

RMS 전압과 RMS 전류를 곱하면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가정용 교류 전압의 RMS 값으로 220V를 사용하며, 이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의 기반이 된다.

4. 1. 1. 전압

전기공학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이차평균을 써서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는데, 이 때 각 이차평균값을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이라 한다.[6] 파형 조합의 실효값의 특수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text{RMS}_\text{AC+DC} = \sqrt{\text{V}_\text{DC}^2 + \text{RMS}_\text{AC}^2}

여기서 \text{V}_\text{DC}는 신호의 직류(또는 평균) 성분을 나타내고, \text{RMS}_\text{AC}는 신호의 교류 성분을 나타낸다.

4. 1. 2. 전류

전기공학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이차평균을 써서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는데, 이 때 각 이차평균값을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이라 한다.

교류 전류의 실효값(RMS)은 저항 부하에서 같은 전력을 소모하는 직류 전류의 값과 같다.[1]

4. 1. 3. 평균 전력

전기공학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 데 RMS 값이 사용된다. 전기 기술자는 종종 저항 R에 의해 소산되는 전력 P를 알아야 한다. 저항에 일정한 전류 I가 흐를 때 전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P = I^2 R

하지만 전류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함수 I(t)인 경우, 이 공식을 확장해야 한다. 주기적 함수의 경우, 시간에 따라 소산되는 평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PAvg = ( I(t)^2R )Avg = ( I(t)^2 )Avg R = IRMS^2R

따라서 함수 I(t)의 RMS 값 IRMS는 전류 I(t)의 시간 평균 전력 소산과 동일한 전력 소산을 생성하는 일정한 전류이다. 평균 전력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 V(t)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찾을 수 있으며, RMS 값은 VRMS이다.

:PAvg = VRMS^2 / R

이 방정식은 사인파 또는 톱니파 형태와 같은 모든 주기적 파형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지정된 부하에 전달되는 평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두 방정식의 제곱근을 취하고 서로 곱하면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PAvg = VRMS IRMS

두 유도 모두 전압과 전류가 비례한다는 것(즉, 부하 R은 순수 저항성임)에 의존한다. 반응성 부하는 교류 전력 항목에서 설명한다.

일반적인 교류의 경우, RMS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p를 피크 전류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IRMS = √(1 / (T2 - T1) * ∫(T1에서 T2까지) [Ip sin(ωt)]^2 dt)

여기서 t는 시간이고 ω는 각속도(ω = 2π/T, T는 파의 주기)이다. 삼각 항등식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IRMS = Ip / √2

비슷한 분석을 통해 사인파 전압에 대한 유사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VRMS = Vp / √2

여기서 IP는 피크 전류를 나타내고 VP는 피크 전압을 나타낸다.

전력 계산에 유용하기 때문에 전원 콘센트의 전압은 거의 항상 RMS 값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주전원 전압의 피크 값은 약 120 × √2, 즉 약 170볼트이다.

"RMS 전력"이라는 용어는 때때로 "평균 전력"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오디오 전력 측정 및 그 단점에 대한 논의는 오디오 전력을 참조한다.

4. 2. 속력

물리학에서 기체 분자의 평균제곱근 속력은 평균 제곱 속력의 제곱근으로 정의된다. 이상 기체의 평균제곱근 속력은 다음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v_\text{RMS} = \sqrt{3RT \over M}

여기서 ''R''은 기체 상수(8.314 J/(mol·K))를 나타내고, ''T''는 켈빈 단위의 기체 온도이며, ''M''은 몰당 킬로그램 단위의 기체의 몰 질량이다. 물리학에서 속력은 속도의 스칼라 크기로 정의된다. 정지해 있는 기체의 경우, 분자의 평균 속도는 분자의 평균 속도가 0이라도 수천 km/h에 달할 수 있다.

4. 3. 오차 분석

이론적 예측에서 얻은 데이터 집합과 어떤 물리량의 실제 측정에서 얻은 데이터 집합을 비교할 때, 두 데이터 집합의 쌍별 차이의 제곱평균제곱근(RMS)은 오차가 평균적으로 0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쌍별 차이의 절댓값의 평균은 차이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차이의 제곱평균제곱근이 일반적으로 선호되는 척도인데, 아마도 수학적 관례와 다른 공식과의 호환성 때문일 것이다. 제곱평균제곱근 편차는 측정값과 예측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5. 다른 통계량과의 관계

표준 편차 \sigma_x=(x-\overline{x})_\text{rms}모집단 또는 파형 x의 산술 평균 \bar{x}로부터의 RMS 편차이다. 이들은 x의 RMS 값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7]

:\sigma_x^2 = \overline{(x-\overline{x})^2} = x_\text{rms}^2 - \overline{x}^2 .

이로부터 RMS 값은 항상 평균보다 크거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RMS는 제곱 편차(오차)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물리학자들은 입력 신호의 평균이 0이라고 가정할 수 있을 때, 즉 주어진 기준선 또는 적합으로부터 신호의 제곱 평균 편차의 제곱근을 나타낼 때, 표준 편차의 동의어로 "제곱 평균 제곱근"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8][9] 이것은 전기 기술자들이 신호의 "AC 전용" RMS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다. 표준 편차는 0이 아닌 평균에 대한 신호의 변동의 RMS이므로, 직류 성분이 제거된다(즉, 평균 신호가 0이면 RMS(신호) = stdev(신호)).

변량 에 대해 기댓값 이 정해진다면, 그 값의 기댓값으로부터의 편차 의 제곱근평균(RMS, root mean square) 을 구할 수 있다. 이 편차의 제곱근평균은 의 표준편차 }}와 같다.

:\sigma_x = \sqrt{\frac{1}{n} \textstyle\sum\limits_{i=1}^n \left(x_i - \langle x \rangle \right)^2}

= \operatorname{RMS}[x-\langle x\rangle]

또한, 제곱편차 }}를 전개하면, 편차의 제곱근평균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begin{align}

\operatorname{RMS}[x-\langle x\rangle]

&= \sqrt{\frac{1}{n} \textstyle\sum\limits_{i=1}^n \left(x_i - \langle x \rangle \right)^2} \\

&= \sqrt{\frac{1}{n} \textstyle\sum\limits_{i=1}^n {x_i}^2 - 2\langle x \rangle \dfrac{1}{n} \sum\limits_{i=1}^n x_i + \langle x \rangle^2} \\

&= \sqrt{\left(\operatorname{RMS}[x] \right)^2 - \langle x \rangle^2}

\end{align}

단, 마지막에서 기댓값 이 }}의 평균값 }}과 같다는 것을 사용했다.

:\langle x \rangle = \bar x = \frac{1}{n} \textstyle\sum\limits_{i=1}^n x_i

이때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left(\operatorname{RMS}[x] \right)^2 = {\sigma_x}^2 + \langle x \rangle^2

기댓값 이 }}의 산술평균 }}과 같은 것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를 의 각 회의 측정값이라고 하면, 그 표본평균 }}은 기댓값 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가진 값이 된다. 실험에서는 참값을 알 수 없으므로, 기댓값 대신 측정값의 표본평균 }}이 사용되고, 표준편차는 측정값의 평균값으로부터의 불편분산의 제곱근으로 추정된다. 불편하지 않은 단순한 표본표준편차는 제곱근평균의 형태로 표현되지만, 불편표본표준편차 }}는 그것과 다르다.

:\operatorname{RMS}[x-\bar{x}] = \sqrt{\frac{1}{n} \textstyle\sum\limits_{i=1}^n (x-\bar{x})^2} \neq \sqrt{\frac{1}{n-1} \textstyle\sum\limits_{i=1}^n (x-\bar{x})^2} = u_x

단순한 표본표준편차에서는 분산의 중심이 기댓값이 아니라 표본평균이기 때문에, 이것은 참값으로부터의 오차를 평가하지 않는다.

이것들이 거의 동등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측정 정밀도에 비해 충분히 많은 횟수 측정을 했을 경우뿐이다.

5. 1. 표준 편차

표준 편차 σx모집단 또는 파형 x의 산술 평균 ⟨x⟩로부터의 RMS 편차이다.[7] RMS 값은 항상 평균보다 크거나 같은데, 이는 제곱 편차(오차)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물리학자들은 입력 신호의 평균이 0이라고 가정할 수 있을 때, 표준 편차의 동의어로 "제곱 평균 제곱근"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8][9] 이것은 전기 기술자들이 신호의 "AC 전용" RMS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다. 표준 편차는 0이 아닌 평균에 대한 신호의 변동의 RMS이므로, 직류 성분이 제거된다(즉, 평균 신호가 0이면 RMS(신호) = stdev(신호)).

변량 x에 대해 기댓값 ⟨x⟩이 정해진다면, 그 값의 기댓값으로부터의 편차 x - ⟨x⟩의 RMS를 구할 수 있다. 이 편차의 RMS는 x의 표준편차 σx와 같다.

: σx = RMS[x-⟨x⟩]

또한, 제곱편차 (x - ⟨x⟩)2를 전개하면, 편차의 RMS는 다음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

: RMS[x-⟨x⟩] = √((RMS[x])2 - ⟨x⟩2)

이때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RMS[x])2 = σx2 + ⟨x⟩2

기댓값 ⟨x⟩이 xi의 산술평균 x와 같은 것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xi를 x의 각 회의 측정값이라고 하면, 그 표본평균 x은 기댓값 ⟨x⟩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가진 값이 된다. 실험에서는 참값을 알 수 없으므로, 기댓값 ⟨x⟩ 대신 측정값의 표본평균 x이 사용되고, 표준편차는 측정값의 평균값으로부터의 불편분산의 제곱근으로 추정된다.

단순한 표본표준편차에서는 분산의 중심이 기댓값이 아니라 표본평균이기 때문에, 이것은 참값으로부터의 오차를 평가하지 않는다.

이것들이 거의 동등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측정 정밀도에 비해 충분히 많은 횟수 측정을 했을 경우뿐이다.

5. 2. 주파수 영역

파르세발 정리를 이용하면 주파수 영역에서 제곱평균제곱근(RMS)을 계산할 수 있다. 표본화된 신호 x[n] = x(t=nT)(T는 표본화 주기)에 대해,

:\sum_{n=1}^N{x^2[n]} = \frac{1}{N}\sum_{m=1}^N \left| X[m] \right|^2,

여기서 X[m] = \operatorname{DFT}\{x[n]\}이고, ''N''은 표본 크기, 즉 표본 내 관측치의 수와 DFT 계수이다.

시간 영역에서 계산된 RMS는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된 RMS와 같다.

:

\text{RMS}\{x[n]\}

= \sqrt{\frac{1}{N}\sum_n{x^2[n]}}

= \sqrt{\frac{1}{N^2}\sum_m{\bigl| X[m] \bigr|}^2}

= \sqrt{\sum_m{\left| \frac{X[m]}{N} \right|^2}}.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Physics (6 ed.)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Calculus Made Easy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020-07-05
[3] 서적 Probability, Statistics and Other Frightening Stuff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7-05
[4] 학술지 Determining the Effective or RMS Voltage of Various Waveforms without Calculus http://tiij.org/issu[...] 2007-09-01
[5] 웹사이트 How to Derive the RMS Value of Pulse and Square Waveforms https://masteringele[...] 2015-01-21
[6] 웹사이트 Make Better AC RMS Measurements with your Digital Multimeter https://literature.c[...] 2019-01-15
[7] 서적 Digital signal transmis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백과사전 Root-Mean-Square https://mathworld.wo[...]
[9] 웹사이트 ROOT, TH1:GetRMS http://root.cern.ch/[...] 2013-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