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임스 아부레즈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아부레즈크는 사우스다코타 출신의 레바논계 미국인으로, 미국 해군 복무, 토목 기사, 변호사, 작가로 활동했다. 그는 1970년 연방 하원 의원에 당선되었고, 1972년에는 연방 상원 의원이 되어 인디언 문제 위원회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 상원 의원 시절, 그는 1975년 인디언 자립 및 교육 지원법과 1978년 인디언 아동 복지법 제정에 기여했다. 정계 은퇴 후에는 미국-아랍 반차별 위원회를 설립하고,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2023년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스다코타주의 변호사 - 팀 존슨 (사우스다코타주의 정치인)
    팀 존슨은 사우스다코타주 출신의 미국 정치인으로, 사우스다코타주 하원 및 상원 의원, 미국 하원의원을 거쳐 1997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농업 정책 지원, 미니트맨 미사일 국립사적지 설립, 재향군인 의료 서비스 개선 등을 옹호한 중도 민주당원이다.
  • 직접민주주의 활동가 - 기 드보르
    기 드보르는 프랑스의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 시투아시오니스트 인터내셔널의 주요 이론가로서, 『스펙터클 사회』를 통해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본질을 비판하며 현대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직접민주주의 활동가 - 요제프 보이스
    요제프 보이스는 2차 세계 대전 참전 경험과 샤머니즘적 요소를 결합한 예술관을 정립하고 "모든 사람은 예술가다"라는 슬로건과 사회 조각 개념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독일의 행위 예술가, 조각가, 설치 미술가, 이론가이자 교육자이다.
  • 20세기 미국의 변호사 - 리처드 닉슨
    리처드 닉슨은 제37대 미국 대통령으로, 외교 정책, 워터게이트 사건, 그리고 사임이라는 상반된 유산을 남겼다.
  • 20세기 미국의 변호사 - 로버트 버드
    로버트 버드는 쿠 클럭스 클랜 가입을 후회하고 사과했으며, 1946년 정계 입문 후 50년 이상 연방 상원의원으로 활동하며 베트남 및 이라크 전쟁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고, 미국 역사상 최장수 상원의원으로 기록되었다.
제임스 아부레즈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임스 아부레즈크 (1977년)
아부레즈크 (1977년)
출생 이름제임스 조지 아부레즈크
출생일1931년 2월 24일
출생지미국사우스다코타주우드
사망일2023년 2월 24일 (92세)
사망지미국사우스다코타주수폴스
정당민주당
학력사우스다코타 광산기술학교 (이학사)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법무박사)
복무미국 해군
복무 기간1948–1952
전투한국 전쟁
배우자메리 앤 홀턴 (1952년 결혼, 1981년 이혼)
마가렛 베데아 (1982년 결혼, 이혼)
사나 디에브 (1991년 결혼)
자녀3명
미국 하원
선거구사우스다코타주 제2선거구
임기 시작1971년 1월 3일
임기 종료1973년 1월 3일
이전E. Y. 베리
이후제임스 압드너
미국 상원
사우스다코타주
임기 시작1973년 1월 3일
임기 종료1979년 1월 3일
이전칼 문트
이후래리 프레슬러
미국 상원 인도 문제 위원회
직위위원장
임기 시작1977년 1월 3일
임기 종료1979년 1월 3일
이전조지프 C. 오마호니 (1947년)
이후존 멜처

2. 초기 생애 및 교육

제임스 조지 아부레즈크는 사우스다코타 우드에서 레바논계 미국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났다.[3][4][5][37] 그는 로즈버드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성장했으며, 1948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3]

1948년부터 1952년까지 미국 해군에 복무하며 한국 전쟁 시기를 보냈다.[6][3] 군 복무 후, 1961년 사우스다코타 광산 기술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3][40] 1966년에는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법학대학에서 법무박사(J.D.) 학위를 취득했다.[3][9][40]

2. 1. 가정 환경 및 성장 배경

제임스 조지 아부레즈크는 사우스다코타 우드에서 레바논계 미국인 2세로 태어났다.[37] 그의 가족은 레바논 정교회 신자인 레바논 출신 이민자였으며, 그는 5남매 중 한 명이었다.[3][4][5] 아버지 찰스 아부레즈크는 오스만 제국 시리아주(현재 레바논) 엘 크피르(El Kfeir) 마을 출신으로,[38] 미국으로 건너와 두 개의 잡화점을 운영하며 성공했고, 우드 시장까지 역임했다.[3][39] 어머니 레나 아부레즈크(결혼 전 성씨: 미켈)는 주부였다.[3]

아부레즈크는 로즈버드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자랐으며, 집에서는 아랍어만 사용했고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나서야 영어를 배웠다.[3] 16세 때 교사에게 장난을 친 일로 학교에서 퇴학당했고, 집을 떠나 형 톰과 함께 살았다.[3] 그는 1948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3]

1948년부터 1952년까지 아부레즈크는 한국 전쟁 전후 시기에 미국 해군에서 복무했다.[6] 기초 군사 훈련을 마친 후 전기 기술 학교에 입학했으며, 이후 일본에 주둔한 해군 선박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3][6]

군 복무 후에는 목장이나 카지노에서 일했으며, 유도 강사로도 활동했다.[2] 한때 사우스다코타 주 로커빌에서 바를 운영했는데, 당시 미래의 사우스다코타 주지사가 되는 빌 얀클로를 바텐더로 고용하기도 했다. 1961년에는 사우스다코타 광산 기술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3][40] 잠시 캘리포니아 주에서 토목 기사로 일하다가 사우스다코타로 돌아와 엘스워스 공군 기지의 제44 전략 미사일 부대 예하 미니트맨 미사일 사일로 건설 관련 업무를 했다. 32세에 법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하고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법학대학에 입학하여 1966년 법무박사(전문직) 학위를 받았다.[3][9][40] 졸업 후에는 래피드시티에서 변호사로 활동을 시작했다.[39]

2. 2. 학창 시절 및 해군 복무

사우스다코타 주 우드에서 레바논 정교회 신자인 레바논계 미국인 이민자 가정의 5남매 중 한 명으로 태어났다.[3][4][5][37] 그의 아버지 찰스 아부레즈크는 오스만 제국 시리아주(현재 레바논) 엘 크피르(El Kfeir) 마을 출신으로,[38] 미국으로 건너와 두 개의 잡화점을 소유했으며 우드 시장을 지내기도 했다.[3][39] 어머니 레나 아부레즈크(결혼 전 성씨: 미켈)는 주부였다.[3]

아부레즈크는 로즈버드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자랐으며, 집에서는 아랍어만 사용하다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나서야 영어를 배웠다.[3] 16세 때 교사에게 장난을 친 일로 학교에서 퇴학당했고, 형 톰과 함께 살기 위해 집을 떠났다.[3] 1948년 고등학교를 졸업했다.[3]

1948년부터 1952년까지 미국 해군에 입대하여 한국 전쟁 시기에 복무했다.[6][3] 12주간의 기초 군사 훈련을 받은 후 전기 기술 학교에 입학했고, 이후 일본에 주둔한 해군 선박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3][6]

군 복무 후에는 목장, 카지노에서 일했으며 유도 강사로도 활동했다.[2] 한때 사우스다코타 주 로커빌에서 바를 운영했으며, 이때 미래의 사우스다코타 주지사가 될 빌 얀클로를 바텐더로 고용하기도 했다.[3] 1961년 사우스다코타 광산 기술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3][40] 잠시 캘리포니아 주에서 토목 기사로 일하다가 사우스다코타로 돌아와 엘스워스 공군 기지의 제44 전략 미사일 부대 소속 미니트맨 미사일 격납고 건설에 참여했다.[3] 32세에 법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하고, 1966년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법학대학에서 법학 박사(J.D.) 학위를 받았다.[3][9][39]

2. 3. 고등 교육

군 복무 후, 아부레즈크는 목장, 카지노에서 일했으며 유도 강사로도 활동했다.[2] 한동안 그는 사우스다코타 주 로커빌에서 게이 레이디 바를 운영했으며, 미래의 사우스다코타 주지사인 빌 얀클로를 바텐더로 고용하기도 했다.

그는 1961년 사우스다코타 광산 기술 대학교(Rapid City, South Dakota)에서 토목 공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3][39] 이후 캘리포니아 주에서 토목 기사로 잠시 일하다가 사우스다코타로 돌아와 엘스워스 공군 기지의 제44 전략 미사일 부대 소속으로 건설된 미니트맨 사일로 건설 현장에서 근무했다. 32세에 법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하고, 1966년 사우스다코타 대학교 법학대학(Vermillion, South Dakota)에서 법무박사(J.D.) 학위를 취득했다.[3][9][40]

3. 정치 경력

사우스다코타주 래피드시티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던 아부레즈크는 민주당 소속으로 정계에 입문했다.[6] 1968년 사우스다코타주 법무장관 선거에 도전했으나 낙선한 뒤,[7] 1970년 미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1971년부터 1973년까지 활동했다.[8]

이후 1972년 미국 상원 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재임했다. 상원의원 시절에는 초대 상원 인디언 문제 위원회 의장을 맡는 등[9] 미국 원주민 권익 향상에 기여했으며, 1974년 잡지 ''TIME''으로부터 "미래를 위한 200명의 얼굴"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9] 그의 구체적인 의정 활동은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변호사 활동 및 정계 입문

아부레즈크는 사우스다코타주 래피드시티에서 변호사로 활동을 시작하며 민주당에 입당했다.[6] 1968년에는 사우스다코타주 법무장관 선거에 출마했으나, 고든 마이드랜드에게 패배했다.[7] 이후 1970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사우스다코타주 제2선거구를 대표하여 활동했다. 이 선거구는 1983년에 폐지되었다.[8]

1972년에는 미국 상원 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상원의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두 번째 임기에는 도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상원의원 재임 중에는 상원 인디언 문제 위원회의 초대 의장을 맡기도 했다.[9] 1974년, 잡지 ''TIME''은 아부레즈크를 "미래를 위한 200명의 얼굴" 중 한 명으로 선정하며 그의 활동을 조명했다.[9]

3. 2. 연방 하원의원 (1971-1973)

1970년, 아부레즈크는 미국 하원에 당선되어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사우스다코타주 제2선거구에서 활동했다. 이 선거구는 1983년에 폐지되었다.[8]

3. 3. 연방 상원의원 (1973-1979)

1970년 미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1971년부터 1973년까지 사우스다코타주 제2선거구에서 활동했다.[8]

1972년 미국 상원에 당선되어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상원의원으로 재직했다. 그는 두 번째 임기에는 도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상원의원 시절, 그는 상원 인디언 문제 위원회의 초대 의장을 맡았다.[9] 1974년에는 잡지 ''TIME''에 의해 "미래를 위한 200명의 얼굴"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9]

3. 4. 주요 입법 활동

아부레즈크자유주의 성향을 가졌으며[47], 소규모 농가나 아메리카 원주민과 같은 사회적 약자를 적극적으로 옹호했다.[40] 그가 태어난 우즈는 1930년대 당시 수 족의 보호구역 내에 있었기 때문에, 그의 가족은 수 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덕분에 그는 인디언 문제에 정통한 인물로 알려졌다.[39][45]

상원 의원 시절 그의 주요 입법 활동은 다음과 같다.

  • 공공 안전 사무국(OPS) 폐지

아부레즈크는 외국 경찰력에 훈련을 제공하면서 인권 침해를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던 공공 안전 사무국(OPS)을 강하게 비판했다. OPS는 미국 국제 개발처(USAID) 내의 냉전 시대 프로그램이었다.[11] 그는 1974년 해외 경찰 지원을 금지하고 1975년 OPS를 폐쇄하는 법안을 성공적으로 발의하여 통과시켰다.[11]

  • 1975년 인디언 자립 및 교육 지원법

이 법은 인디언 부족에게 더 큰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 미국 원주민 사무국(BIA)은 부족에게 보조금을 지급했지만, 이 법을 통해 부족은 직접 계약과 기금을 관리하며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부족에 대한 BIA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줄어드는 효과를 가져왔다.[1]

  • 미국 인디언 종교 자유법

이 법 역시 그의 주요 입법 성공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8]

  • 인디언 아동 복지법 (ICWA, 1978)

아부레즈크의 대표적인 입법 성과 중 하나로, 아메리카 원주민 아동과 그 가족이 강제로 헤어지는 비극을 막기 위해 제정되었다.[10] 당시 미국 사회에서는 아동 학대방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그 기준은 주로 백인 기독교 사회의 가치관에 기반했다. 이로 인해 인디언 고유의 부족 단위 육아 문화는 제대로 고려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인디언 사회에서는 친척에게 아이를 맡기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지만, 백인 사회복지사들은 이를 육아 포기로 오인하기도 했다. 또한, 많은 인디언 부족이 겪고 있던 빈곤 때문에 아이들이 "생활 필수품을 빼앗긴" 상태로 간주되어 부모와 분리되는 경우가 많았다.[50]

결과적으로 수많은 인디언 아동들이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 사회복지사나 선교사들에 의해 구제라는 명목으로 부모와 강제로 분리되어, 백인 등 비인디언 가정에 위탁되거나 입양되었다. 이는 아이들에게서 그들의 문화를 빼앗고 부족의 존속 자체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였다.[10][50] 1974년 미국 인디언 문제 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디언 아동의 25%에서 35%가 부모로부터 격리된 상태였으며, 아부레즈크의 지역구였던 사우스다코타 주에서는 주 정부에 의해 입양된 아동 중 40%가 인디언 아동일 정도였다.[50]

아부레즈크가 주도하여 제정한 ICWA는 아메리카 원주민 아동이 자신의 문화 안에서 양육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연방 차원의 기준을 마련했다. 이 법은 보호 구역 내 아동에 대한 문제 발생 시 부족 법원이 우선적인 관할권을 갖도록 규정했으며, 보호 구역 외 아동에 대해서도 주 법원과 동시적이면서도 추정적인 관할권을 부여함으로써 무분별한 입양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10][50][51]

3. 5. 기타 활동

정계 입문 후, 아부레즈크는 중동 분쟁과 관련된 다양한 입장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거의 매일 연락을 받았다.[3] 1973년에는 레바논 대사관의 초청으로 베이루트를 방문했다.[3] 같은 해 말, 그는 아랍 지도자들과 만나 평화 협정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스라엘이 예루살렘 구시가지, 서안 지구, 가자 지구를 반환하는 조건으로 휴전을 협상하려 했으나, 이스라엘은 이를 거부했다.[3] 1976년에는 국제 테러리스트를 은닉한 국가에 대한 외국 원조를 중단하는 법안에 대해 다른 상원 의원들과 함께 반대 투표를 했다. 이는 해당 법안에 이스라엘 군이 저지른 테러 행위에 대한 조항이 빠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1973년, 아부레즈크 상원 의원은 조지 맥거번과 함께 미국 원주민 운동 지도자들과 협상하여 운디드 니 점령 사태를 종결시키려 노력했다.[2] 당시 미국 원주민 운동 지도자들은 연방 정부가 오글라라 수족과의 역사적 조약을 존중할 것을 요구하며 연방 법 집행 기관과 대치하고 있었다.[12][13] 점령 사태 다음 해인 1974년 여름, 아부레즈크는 미국 원주민 정책 검토 위원회 법안을 발의하여[14] 11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설립했고, 1977년 획기적인 보고서가 발표될 때까지 위원장으로 활동했다.[15][16] 또한 그는 1977년 위원회가 창설된 이후 1979년 상원을 떠날 때까지 인도 문제 특별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다.[17]

1970년대의 제임스 아부레즈크


1976년, 의사이자 변호사인 코니 레드버드 핑커먼-우리가 아메리카 원주민 여성 중 최대 4분의 1이 비자발적으로 불임 시술을 받았다는 보고서를 발표하자, 아부레즈크는 일반 회계 감사원에 이 문제에 대한 조사를 지시했다.[18]

아부레즈크는 1898년 사우스다코타주에서 채택된 주 국민 발안 절차와 유사한 국민 발안 절차를 통해 더 직접적인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한 초기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19] 1977년 7월, 그는 동료 상원 의원인 마크 해트필드(공화, 오리건)와 함께 국민 투표를 통해 연방 법률을 제정할 수 있도록 하는 헌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20][21] 아부레즈크의 결의안에 따르면, 유권자들은 이전 대통령 선거 유권자 수의 3%에 해당하는 서명을 확보하면 국민 투표에 법안을 부칠 수 있었다.[19] 그의 이러한 노력은 전국적인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 아부레즈크는 관련 청문회를 주재하고 이 제안이 "미국 국민의 현명함에 대한 믿음"에 기초하고 있다고 증언했다.[19] 1978년 국민 발안 운동은 하원과 상원에서 추가적인 공동 발의자를 확보했지만, 제95차 의회에서는 더 이상의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후 관심이 점차 줄어들었다.[19]

1977년, 아부레즈크 상원 의원과 맥거번은 사우스다코타 대학교와 사우스다코타 주립 대학교 출신 농구 선수들과 함께 쿠바를 방문하여 쿠바 국가 남자 농구팀과 경기를 가졌다.[8][1]

1978년, 아부레즈크는 재선에 도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의 자리는 오랫동안 정치적으로 대립해 온 공화당의 래리 프레슬러가 승계했다.[22]

4. 정계 은퇴 이후 활동

상원의원 퇴임 후 아부레즈크는 워싱턴 D.C.와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 등지에서 변호사이자 작가, 활동가로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법률 고문을 맡기도 했으며,[23] 1967년 USS 리버티호 사건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24][25] 1980년에는 풀뿌리 시민 권리 단체인 미국-아랍 반차별 위원회(ADC)를 설립했고,[3]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 또한 아메리카 원주민의 권익 보호, 특히 자신이 상원의원 시절 주도했던 인디언 아동 복지법(ICWA)을 지키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10]

2003년 아부레즈크는 웹사이트 Probush.com을 명예 훼손 혐의로 고소했으며,[26][27] 이후 제인 폰다와 록산느 던바-오르티즈도 원고로 참여했다. 이 소송은 2005년 해당 인터넷 사이트와의 합의로 마무리되었다.[28]

2007년, 아부레즈크는 헤즈볼라가 지원하는 뉴스 채널 알-마나르와의 인터뷰에서 시온주의자들이 9/11 테러 공격을 이슬라모포비아 조장에 이용했으며, 미국 의회를 통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헤즈볼라하마스를 저항 세력으로 본다고 말했다.[29] 그는 2014년에도 이스라엘을 계속 비판하며 "점령을 종식하는 것이 하마스가 발사하는 로켓을 끝낼 것"이라고 주장했다.[30]

HuffPost의 작가 제임스 조그비는 2014년, 아부레즈크가 앱스캠 작전 이후 연방 수사국(FBI)에 항의했던 것을 언급하며 그를 "담대하고 용감한 전 상원의원"이라고 평가했다.[31]

4. 1. 미국-아랍 반차별 위원회 설립 (1980)

1980년, 상원 의원직에서 물러난 아부레즈크는 아랍계 미국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에 맞서기 위해 풀뿌리 시민권 단체인 미국-아랍 반차별 위원회(American-Arab Anti-Discrimination Committee, ADC)를 설립했다.[3][44]

4. 2. 이란 이슬람 공화국 법률 고문

상원의원 퇴임 후 아부레즈크는 워싱턴 D.C.에서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법률 고문을 역임했으며, 이에 대해 ''뉴욕 타임스''는 그를 "워싱턴의 이란 사람"이라고 칭했다.[23] 그는 전 샤 정부가 체결한 계약에 대한 지불을 요구하는 소송에서 이슬람 공화국을 변호했으며,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와 그의 아내가 빼돌렸다고 주장되는 이란 자산 회수를 모색했다.

아부레즈크 상원의원은 1967년 USS ''리버티'' 사건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하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24] 그는 이 사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USS ''리버티'' 사건의 수치스러운 점은 우리 선원들이 그들이 진정한 애국자이자 영웅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적으로 취급받았다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USS ''리버티''를 공격한 사건 외에는, 이스라엘 로비가 미국의 역대 정부를 침묵시킬 수 있을 만큼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건은 없습니다. 이스라엘과 미국 내 하수인들이 퍼뜨리는 거짓말을 허용하는 것은 우리 군인들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모든 사람들에게 실망스러운 일입니다."[25]


1980년, 아부레즈크는 풀뿌리 시민 권리 단체인 미국-아랍 반차별 위원회(ADC)를 설립했다.[3] 1989년에는 그의 회고록인 ''Advise and Dissent: Memoirs of South Dakota and the U.S. Senate''를 출판했다. 또한 미국 유대인 위원회 인사와 함께 ''Through Different Eyes: Two Leading Americans — a Jew and an Arab — Debate U. S. Policy in the Middle East'' (1987)를 공동 저술했다.

2003년 아부레즈크는 웹사이트 Probush.com을 명예 훼손 혐의로 고소했으며,[26][27] 이후 제인 폰다와 록산느 던바-오르티즈도 원고로 참여했다. 이 소송은 2005년 해당 인터넷 사이트와의 합의로 마무리되었다.[28]

2007년, 아부레즈크는 헤즈볼라가 지원하는 뉴스 채널 알-마나르와의 인터뷰에서 시온주의자들이 9/11 테러 공격을 이슬라모포비아 조장에 이용했으며, 미국 의회를 통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헤즈볼라하마스를 저항 세력으로 본다고 말했다.[29] 그는 2014년에도 이스라엘을 계속 비판하며 "점령을 종식하는 것이 하마스가 발사하는 로켓을 끝낼 것"이라고 주장했다.[30]

상원 퇴임 후 아부레즈크는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서 변호사이자 작가로 활동하며,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주권과 문화 지원 활동을 이어갔다. 2015년 7월에는 보수 성향의 골드워터 연구소가 인디언 아동 복지법(ICWA)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이 법이 아메리카 원주민 아동을 보호하고 부족 가족을 보존하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과거 동료였던 고 배리 골드워터 상원의원 역시 이 법안에 찬성했었다고 언급했다.[10]

HuffPost의 작가 제임스 조그비는 2014년, 아부레즈크가 앱스캠 작전 이후 연방 수사국(FBI)에 항의했던 것을 언급하며 그를 "담대하고 용감한 전 상원의원"이라고 평가했다.[31]

4. 3. USS 리버티호 사건 비판

아부레즈크 상원의원은 1967년 USS 리버티호 사건에 대해 강한 분노를 표하며, 해당 공격의 정황에 대해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24] 그는 이 사건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USS ''리버티'' 사건의 수치스러운 점은 우리 선원들이 그들이 진정한 애국자이자 영웅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적으로 취급받았다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이 USS ''리버티''를 공격한 사건 외에는, 이스라엘 로비가 미국의 역대 정부를 침묵시킬 수 있을 만큼 강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건은 없습니다. 이스라엘과 미국 내 하수인들이 퍼뜨리는 거짓말을 허용하는 것은 우리 군인들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모든 사람들에게 실망스러운 일입니다."[25]

4. 4. 저술 활동

아부레즈크는 두 권의 책을 저술했다. 1987년에는 미국 유대인 위원회의 하이먼 북바인더(Hyman Bookbinder)와 함께 미국의 중동 정책에 대한 유대인과 아랍인의 시각을 담은 ''다른 시각으로: 두 명의 주요 미국인 - 유대인과 아랍인 - 미국의 중동 정책을 논하다''를 공동 집필했다. 1989년에는 자신의 정치 경력을 회고하는 ''충고와 반대: 사우스다코타와 미국 상원의 회고록''을 출판했다.

연도제목ISBN비고
1987Through Different Eyes: Two Leading Americans — a Jew and an Arab — Debate U. S. Policy in the Middle East
(다른 시각으로: 두 명의 주요 미국인 - 유대인과 아랍인 - 미국의 중동 정책을 논하다)
미국 유대인 위원회의 하이먼 북바인더와 공동 저술
1989Advise and Dissent: Memoirs of South Dakota and the U.S. Senate
(충고와 반대: 사우스다코타와 미국 상원의 회고록)


4. 5. 아메리카 원주민 권익 보호 활동 지속

아부레즈크가 태어난 우즈는 1930년대 당시 수 족의 보호구역 (로즈버드 보호구역) 내에 있었기 때문에, 그의 가족은 수 족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 찰스가 아내 레나를 레바논에서 불러왔을 때,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환영 연회를 열어주었다고 전해진다[39]。 이러한 가정 환경과 지역적 배경 덕분에 그는 인디언 문제에 정통한 인물로 알려졌다[45]

그는 상원의원 재직 중이던 1978년, 인디언 아동과 가족을 보호하기 위한 Indian Child Welfare Act|1978년 인디언 아동 복지법eng(ICWA) 제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49]。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미국 사회에서는 아동 학대방임 문제를 법적 처벌보다는 입양을 통해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 기준은 백인 기독교 사회의 가치관에 기반했으며, 인디언 고유의 가족 제도나 육아 방식은 고려되지 않았다. 인디언 사회에서는 친척에게 아이를 맡기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으나, 백인 사회복지사들은 이를 육아 포기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인디언 부족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아이들이 "생활 필수품을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는 아이들"로 분류되었다. 연방 정부의 지원을 받는 사회복지사나 선교사들은 구제를 명목으로 인디언 아이들을 부모와 강제로 분리시켜 백인 가정에 입양시키거나 시설로 보냈다. 이는 인디언 아동의 문화 정체성을 박탈하고 부족 공동체의 존속 자체를 위협하는 행위였다. 1974년 미국 인디언 문제 협회가 인디언 문제 소위원회에 보고한 바에 따르면, 전체 인디언 아동의 25%에서 35%가 부모로부터 격리된 상태였다. 아부레즈크의 지역구였던 사우스다코타 주에서는 주 정부가 관여한 입양 아동 중 40%가 인디언 아동이었다[50]。 아부레즈크가 주도하여 제정된 ICWA는 원주민 아동의 보호 감독권 이전에 있어 부족 법원의 관할권을 우선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이러한 무분별한 입양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50][51]

상원의원 퇴임 후 아부레즈크는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서 변호사이자 작가로 활동하며, 부족의 주권과 문화 보존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다. 그는 ICWA를 자신의 가장 중요한 입법 성과로 여겼다. 2015년 7월, 그는 골드워터 연구소가 ICWA의 위헌성을 주장하며 제기한 소송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ICWA를 폐지하려는 세 건의 소송 중 하나였는데, 일부 주 정부와 입양 관련 단체들은 금전적 이익 때문에 아메리카 원주민 아동 입양에 대한 규제에 반대해왔다. 아부레즈크는 ICWA가 아메리카 원주민 아동을 보호하고 부족 가족을 지키는 데 필수적인 법안임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자신의 친구이자 동료였던 고 배리 골드워터 상원의원 역시 1977년 이 법안에 찬성했으며, 생전에 부족 문제에 관해 자신과 자주 상의했다고 언급했다[10]。 아부레즈크는 자유주의 성향을 보이며[47], 소규모 농가나 아메리카 원주민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권익을 꾸준히 옹호해왔다[40]

5. 사망

그는 2023년 2월 24일, 92번째 생일에 수폴스 자택에서 사망했다. 장례식은 2023년 5월 28일 일요일, 수폴스 시내 워싱턴 예술 과학 파빌리온에서 거행되었다.

6. 개인사

아부레즈크는 세 번 결혼했다. 1952년 메리 앤 홀튼과 처음 결혼했으나 1981년에 이혼했다.[3] 두 사람 사이에는 세 명의 자녀가 있다.[2] 이후 마가렛 베세아와 결혼했다가 이혼했으며, 1991년에는 사나 디에브와 결혼하여 사망할 때까지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34]

아부레즈크는 동방 정교회 신자였다. 그는 평생 대부분을 사우스다코타에서 보냈다.[35]

참조

[1] 뉴스 James Abourezk, the First Arab American Senator, Dies at 92 https://www.nytimes.[...] 2023-02-26
[2] 뉴스 James Abourezk, 1st Arab American U.S. senator, dies at 92 https://www.independ[...] 2023-02-25
[3] 서적 Arab American Biography U.X.L.
[4] 뉴스 Former Senator Jim Abourezk honored https://www.nativesu[...] 2022-03-07
[5] 웹사이트 Champion of Excellence: James Abourezk https://sdexcellence[...] South Dakota Hall of Fame 2022-03-07
[6] 서적 Advise and Dissent: Memoirs of South Dakota and the U. S. Senate Chicago Review Press
[7] 웹사이트 Official Election Returns https://sdsos.gov/el[...] sdsos.gov 2019-05-25
[8] 뉴스 Former U.S. Senator James Abourezk enters hospice care https://www.proquest[...] 2023-02-25
[9] 뉴스 200 Faces for the Future https://search.ebsco[...] 2023-02-25
[10] 웹사이트 Suzette Brewer, "War of Words: ICWA Faces Multiple Assaults From Adoption Industry" http://indiancountry[...]
[11] 뉴스 When NACLA Helped Shutter the U.S. Office of Public Safety https://search.ebsco[...] 2023-03-01
[12] 뉴스 A Return to the Wounded Knee Occupation, 50 Years Later https://www.smithson[...] 2023-03-01
[13] 뉴스 Indians at Wounded Knee Free 11 Held for 2-Days https://www.nytimes.[...] 2023-03-01
[14] 간행물 Legislation and Litigation Concerning American Indians 1978-03
[15] 웹사이트 Indian Review Commission https://library.cqpr[...] 2023-03-01
[16] 뉴스 Red Lake violence rekindles controversy over BIA role https://www.newspape[...] 2023-03-01
[17] 웹사이트 ABOUREZK, James George http://bioguide.cong[...] 2023-03-01
[18] 웹사이트 Involuntary sterilization https://www.historyw[...] 2023-04-29
[19] 서적 Congress and the People: Deliberative Democracy on Trial https://books.google[...]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 뉴스 A Case for the People https://www.nytimes.[...] 2023-03-01
[21] 간행물 The Referendum: Democracy's Barrier to Racial Equality https://digitalcommo[...] 1978-12
[22] 웹사이트 Lawrence: Abourezk's contempt for Pressler remains strong? http://www.aberdeenn[...] Aberdeen News 2014-10-08
[23] 뉴스 Iran's Man in Washington https://www.nytimes.[...] 2023-03-01
[24] 웹사이트 Abourezk https://cdn.muckrock[...]
[25] 웹사이트 Experts on the USS Liberty https://www.honorlib[...]
[26] 웹사이트 Abourezk v. ProBush.com http://www.dmlp.org/[...] 2020-05-14
[27] 웹사이트 Web site won't oppose adding Jane Fonda to 'traitor list' lawsuit {{!}} First Amendment Center – news, commentary, analysis on free speech, press, religion, assembly, petition http://www.firstamen[...] 2020-05-14
[28] 뉴스 Abourezk, Internet site settle lawsuit https://www.newspape[...] 2023-03-01
[29] 웹사이트 Former U.S. senator James Abourezk to Hizbullah TV: The Arabs who were involved in 9/11 cooperated with the Zionists. Alan Dershowitz is a real snake. https://www.memri.or[...] 2021-02-07
[30] 웹사이트 Letter: Jewish community commentary on Israel https://www.arguslea[...] 2024-09-08
[31] 뉴스 What American Hustle Doesn't Tell You About ABSCAM https://www.huffingt[...] Huffington Post 2014-10-13
[32] 웹사이트 Former SD Senator James Abourezk Passes Away https://www.yankton.[...] 2023-02-24
[33] 웹사이트 Memorial for former US Senator James Abourezk set for Sunday in Sioux Falls https://www.arguslea[...] 2023-06-27
[34] 뉴스 A Food Scene Grows in Sioux Falls, S.D. https://www.nytimes.[...] 2023-02-27
[35] 서적 The Encyclopedia of Native American Biography Henry Holt
[36] 서적 アメリカはなぜイスラエルを偏愛するのか: 超大国に力を振るうユダヤ・ロビー ダイヤモンド社
[37] 서적 Arab American Biography, Volume 1 https://books.google[...] U.X.L., 1999
[38] 문서 母のレナ(旧姓ミッケル)も父チャールズと同じクフィール村の出身。
[39] 서적 Mellette County 1911-1986 the Mellette County Historical Society
[40] 웹사이트 James Abourezk - SD Hall of Fame Programs https://sdexcellence[...] 2021-05-30
[41] 웹사이트 Official Election Returns https://sdsos.gov/el[...] sdsos.gov 1968-11-05
[42] 웹사이트 Official Election Returns https://sdsos.gov/el[...] sdsos.gov 1970-11-03
[43] 웹사이트 Official Election Returns https://sdsos.gov/el[...] sdsos.gov 1972-11-07
[44] 서적 The Arab America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45] 뉴스 Special Section: 200 Faces for the Future http://content.time.[...] 1974-07-15
[46] 뉴스 U.S. Reported Set to Bolster Reservation Arms https://www.nytimes.[...] 1973-03-03
[47] 웹사이트 Lawrence: Abourezk's contempt for Pressler remains strong? http://www.aberdeenn[...] Aberdeen News 2014-10-06
[48] 웹사이트 Former SD Senator James Abourezk Passes Away https://www.yankton.[...] 2023-02-25
[49] 웹사이트 Tribes honor author of Indian Child Welfare Act https://www.indianz.[...] 2021-06-01
[50] 간행물 "1978年インディアン児童福祉法"研究
[51] 간행물 先住民フェミニズムと「家族」 : 児童福祉法(1978 年)の制定背景に関する一考察
[52] 웹사이트 Arab-Americans Blast Israel, Call for US Sanctions With AM-Israeli Raid Bjt https://apnews.com/a[...] 2021-06-01
[53] 웹사이트 Former U.S. senator James Abourezk to Hizbullah TV: The Arabs who were involved in 9/11 cooperated with the Zionists. Alan Dershowitz is a real snake. I Watch Al-Manar TV in the U.S. https://www.memri.or[...] 2021-06-01
[54] 웹사이트 ‘What must be said:’ An enduring anti-Semitic trope https://www.clevelan[...] 2021-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