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트기는 뜨거운 가스를 배출하여 추진력을 얻는 엔진을 사용하는 항공기를 의미한다. 1930년대에 터보제트 엔진이 개발되면서 제트기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후 터보팬, 램제트 등 다양한 종류의 제트 엔진이 등장했다. 제트 엔진의 배치 방식은 항공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며, 외장 방식과 내장 방식으로 구분된다. 제트기는 고속 비행에 적합하며, 항공역학적 설계를 통해 효율을 높인다. 한국 전쟁은 제트기 시대를 본격적으로 열었으며, 현재 여객기, 전투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트기 - 비즈니스 제트기
    비즈니스 제트기는 기업 임원, 자산가, 정부 등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한 항공기로, 1964년 리어제트 23 양산 이후 터보프롭, 터보제트, 터보팬 엔진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기종이 개발되며 시장이 성장했으나, 최근에는 경제 상황과 환경 규제가 새로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 제트기 - 제트 여객기
    제트 여객기는 터보 제트 엔진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여객기로, 기술 혁신을 거듭하며 장거리 운송을 가능하게 하고 항공 여행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복합 소재, 고 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 디지털 비행 시스템 등을 갖춘 최신 기종들이 운항되고 있다.
제트기
지도 정보
개요
종류항공기
엔진제트 엔진
일반적인 속도981 km/h
일반적인 운항 고도10,000 ~ 15,000 m
역사
제트 엔진 개발자프랭크 휘틀
개발 날짜1930년대 후반
첫 제트 비행1939년 8월 27일

2. 역사

제트기의 역사는 동력 비행의 초기 역사부터 시작된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모터제트, 터보프롭, 펄스제트, 로켓 추진 항공기 등 다양한 방식의 제트 엔진이 시도되었다. 독일에서는 로켓 엔진 연구가 진행되어 1928년에 리피쉬 엔테가 로켓 동력으로 비행한 최초의 항공기가 되었다.[4] 이듬해인 1929년, 오펠 RAK.1은 최초로 특별히 제작된 로켓 항공기가 되어 비행에 성공했다.

최초로 비행한 터보제트 항공기는 한스 폰 오하인의 설계로 구동되는 하인켈 He 178이었으나, 엔진 내부의 고온으로 인한 금속 피로 문제가 발생하여 빠르게 고장났다. 프랭크 휘틀의 원심류 엔진과는 대조적으로, 한스 폰 오하인이 설계한 축류 엔진은 1950년대까지 대부분의 제조업체에서 채택되었다.[7][8]

이탈리아의 카프로니 캄피니 N.1 모터제트 시제품은 1940년 8월 27일 비행하여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9] 당시 독일 He 178 프로그램은 비밀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국제항공연맹(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은 카프로니 캄피니 N.1을 최초의 제트 항공기로 인정했다. 캄피니는 1932년에 모터제트 개발을 시작했는데, 터빈이 터빈 가스의 연소가 아닌 피스톤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는 점에서 진정한 터보제트와 달랐으며, 이는 훨씬 더 복잡한 해결책이었다.

미국의 벨 XP-59A는 제너럴 일렉트릭이 제작한 프랭크 휘틀 엔진의 변형 버전 두 대를 사용하여 1942년 10월 1일에 비행했다. 글로스터 메테오는 최초의 양산 제트기였으며, 최초의 양산형 주문은 1941년 8월 8일에 이루어졌다.[11] 시제기는 1943년 3월 5일에 처음 비행했으며 최초의 양산기는 1944년 1월 12일에 비행했다.[12] 메서슈미트 Me 262 프로그램이 글로스터 메테오 프로그램보다 먼저 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Me 262 최초의 양산형은 1944년 3월 28일에 비행했다.[14]

메서슈미트 Me 262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제작한 최초의 실전 배치 제트 전투기였다.[15] 1944년 4월 19일 아우크스부르크 남쪽 레흐펠트의 ''에르프로붕스코만도 262''에서 실전 배치되었다. Me 262는 1944년 7월 26일에 제트 전투기로 최초의 전투 승리를 거두었다. 대량 생산은 1944년 초에 시작되었으며, 최초의 비행대는 그 해에 실전 배치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너무 늦었다.

1944년 중반, 영국의 메테오는 V-1 비행 폭탄에 대한 영국 방어에 사용되었고, 전쟁 후반부에는 유럽 상공에서 지상 공격 작전을 수행했다. 1944년 독일은 아라도 Ar 234 제트 정찰 및 폭격기를 실전 배치했지만, 주로 정찰 임무에 사용되었고, 하인켈 He 162는 1944년 말에 등장했다. 소련은 1942년 자체 베레즈냐크-이사예프 BI-1을 시험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1945년 요셉 스탈린에 의해 폐기되었다. 일본 제국 해군도 1945년에 나카지마 킥카를 포함한 제트기를 개발했다. 1945년 말까지 미국은 최초의 제트 전투기인 록히드 P-80 슈팅 스타를 실전 배치했고, 영국은 드 햇빌랜드 뱀파이어를 실전 배치했다.

미국은 1948년 최초의 제트 폭격기인 노스아메리칸 B-45 토네이도를 실전 배치했다. 1950년 11월 8일 한국 전쟁 중에 미 공군 러셀 J. 브라운 중위는 F-80을 타고 압록강 근처에서 두 대의 북한 MiG-15기를 요격하여 역사상 최초의 제트 대 제트 도그파이트에서 격추시켰다. 영국은 1951년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를 경폭격기로 실전 배치했다.

BOAC는 1952년 런던에서 요하네스버그까지 드 햇빌랜드 코멧 제트 여객기로 최초의 상업용 제트 서비스를 운영했다. 그러나 설계 결함과 알루미늄 합금 사용으로 인해 항공기는 치명적인 금속 피로를 겪어 여러 번 추락했고,[16] 이로 인해 1958년 보잉 707이 실전 배치되어 민간 항공기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훨씬 더 높은 연료 효율을 가진 터보팬 항공기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실전 배치되기 시작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트기 유형이 되었다.

Tu-144 초음속 여객기는 2503km/h로 가장 빠른 상업용 제트 항공기였다. 1975년에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상업 서비스에서 철수되었다. 마하 2 콩코드는 1976년에 서비스를 시작하여 27년 동안 비행했다.

가장 빠른 군용 제트 항공기는 3661km/h의 SR-71 블랙버드였다.

2. 1. 초기 역사

하인켈 He 178은 1939년 8월 최초로 터보제트 엔진으로 비행한 항공기였다.


동력 비행의 첫 사례 이후, 많은 제트 엔진 설계가 제안되었다. 르네 로랭, 모리즈, 해리스는 제트 분출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2]

다른 제트 엔진들이 가동된 후, 루마니아의 발명가 앙리 코안다는 1910년에 제트 추진 항공기인 코안다-1910을 제작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는 이후에 허위로 밝혀진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했던 도면에 상당한 변경을 가해야 했다.[3] 사실 덕트 팬 엔진은 역화되어 비행 전에 항공기를 불태웠고, 연료 분사 장치가 없고 고온의 제트 분출이 인화성이 높은 직물 표면에 향하는 것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등 제트 엔진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이 부족했다.[3]

1930년대에 프랭크 휘틀한스 폰 오하인에 의해 독립적으로 터보제트가 발명되었다. 최초로 비행한 터보제트 항공기는 폰 오하인의 설계로 구동되는 하인켈 He 178로, 1939년 8월 27일 로스토크(독일)에서 비행했다.[5][6]

대중의 주목을 받은 최초의 제트 추진 항공기 비행은 1940년 8월 27일 비행한 이탈리아의 카프로니 캄피니 N.1 모터제트 시제품이었다.[9] 이것은 당시 (독일 He 178 프로그램은 여전히 비밀로 유지되었던) 국제항공연맹(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이 인정한 최초의 제트 항공기였다.

보잉 707


프랭크 휘틀 경의 터보제트 엔진으로 구동된 영국의 실험용 항공기인 글로스터 E.28/39는 1941년 5월 15일에 최초로 비행했다.[10]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제트기는 급속도로 발전했다. 독일메서슈미트 Me 262를 개발하여 실전에 배치했다. Me 262는 1944년 4월 19일에 실전 배치되었으며, 1944년 7월 26일에는 제트 전투기로 최초의 전투 승리를 거두었다. 영국은 글로스터 메테오를 개발하여 V-1 비행 폭탄 요격에 사용했다. 일본메서슈미트 Me 262를 기반으로 나카지마 킥카(橘花)를 개발했지만, 종전으로 인해 실전에 투입되지는 못했다. 미국은 록히드 P-80 슈팅 스타를 개발하여 종전 직전에 실전에 배치했다.[22]

2. 3. 한국 전쟁과 그 이후

제트 엔진의 작동 방식 때문에 일반적인 배기 속도는 음속 또는 그 이상이므로, 대부분의 제트기는 효율적인 비행을 위해 초음속 또는 음속 바로 아래 속도(transonic|천음속영어)로 비행해야 한다. 따라서 항공역학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제트기는 일반적으로 휘트콤 면적 규칙을 사용하여 설계되는데, 이 규칙은 항공기의 기수부터 어떤 지점까지 항공기의 단면적의 총합이 시어스-하크 형상의 단면적과 거의 같아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형상은 에너지를 낭비하는 충격파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3. 제트 엔진의 종류

제트 엔진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 다른 특징과 용도를 가지고 있다. 초기 제트기에는 주로 터보제트 엔진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터보팬 엔진이 더 널리 사용된다.

록히드 SR-71은 마하 3.35(3661km/h)로 비행하는 가장 빠른 제트기 중 하나였다.


제트 엔진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로켓은 가장 오래된 유형이며, 매우 높은 속도가 필요하거나 제트 엔진을 작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공기가 없는 매우 높은 고도에서 작동할 때 주로 사용된다. 극도로 빠른, 일반적으로 극초음속인 배기 속도와 산화제를 탑재해야 하는 필요성으로 인해 추진제를 매우 빠르게 소모하여 일상적인 운송에는 비실용적이다.

2017년 현재, 순수 제트 엔진(퓨어 제트)은 거의 사라졌지만, 전투기 등의 소형 초음속기에서는 저 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을 탑재하고 있다. 민간 여객기를 대표하는 아음속 대형기는 고아음속에서의 효율이 높기 때문에 고 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주류이다. 예외로는 초음속 여객기인 콩코드와 Tu-144가 있는데, 이들은 애프터버너를 갖춘 터보제트 엔진 4기를 탑재하고 있었다.

3. 1. 터보제트 엔진

제트 엔진은 뜨거운 가스를 배출하여 작동하는 엔진으로, 여러 유형이 있다. 터보제트는 그 중 하나로, 높은, 보통 초음속인 배기 속도와 낮은 전면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 고속, 보통 초음속 비행에 가장 적합하다. 한때 널리 사용되었지만, 아음속 비행에서는 터보프롭터보팬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이다. 터보제트를 사용한 마지막 주요 항공기는 콩코드와 Tu-144 초음속 여객기였다.[1]

3. 2. 터보팬 엔진

터보팬은 터보제트 엔진에 팬을 추가하여 효율을 높인 방식이다. 팬은 공기를 압축하여 연소실로 보내는 역할과 함께, 일부 공기를 연소실을 거치지 않고 바로 배출하여 추가적인 추진력을 얻는다. 저바이패스 터보팬은 고음속, 천음속 및 저초음속 속도에 사용되며, 고바이패스 터보팬은 여객기와 같은 아음속 항공기에 사용된다.[1]

3. 3. 램제트 엔진

램제트는 항공기가 전진하는 속도를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이다. 구조가 간단하지만, 초음속에서만 작동한다는 단점이 있다. 주로 순항 미사일 등에 사용된다.

3. 4. 기타 제트 엔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트기'라는 용어를 가스터빈 기반의 공기흡입식 제트 엔진을 가리키는 데 사용하지만, 로켓스크램제트도 모두 제트 추진으로 추진된다.

순항 미사일은 주로 램제트 또는 터보제트 또는 때로는 터보팬으로 추진되는 일회용 무인 제트기이지만, 초기 추진을 위해 로켓 추진 시스템을 갖추는 경우가 많다.

가장 빠른 공기흡입식 제트기는 약 마하 9~10의 무인 X-43 스크램제트이다.

가장 빠른 유인(로켓) 항공기는 마하 6.85의 X-15이다.

스페이스 셔틀은 X-43이나 X-15보다 훨씬 빠르지만, 상승 중에는 로켓 추력에 의해 탄도적으로 운반되었기 때문에 항공기로 간주되지 않았다. 재진입 중에는 (글라이더와 같이) 무동력 항공기로 분류되었다. 첫 비행은 1981년이었다.

벨 533(1964), 록히드 XH-51(1965), 시코르스키 S-69(1977-1981)는 제트 배기가 전진 추력에 추가된 복합 헬리콥터 설계의 예이다.[17] 힐러 YH-32 호넷과 페어리 초경량 헬리콥터는 로터가 팁 제트로 구동되는 많은 헬리콥터 중 하나였다.

제트 추진식 윙슈트가 존재한다 – 모형 항공기 제트 엔진으로 추진 – 하지만 지속 시간이 짧고 고도에서 발사해야 한다.[18]

시코르스키 S-69는 보조 터보제트가 장착된 복합 헬리콥터였다

4. 제트 엔진 배치

제트 엔진의 배치는 항공기의 성능과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제트 엔진은 소형일수록 추력중량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소형 엔진을 여러 개 탑재하는 것이 대형 엔진을 적게 탑재하는 것보다 무게와 추력 면에서 유리하다. 하지만, 연비 효율 면에서는 대형 엔진을 적게 탑재하는 것이 유리하며, 엔진 수를 늘리는 것은 제조, 유지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22]

민간 비즈니스 제트, 여객기, 수송기에서는 엔진 고장에 대비하여 쌍발(2개) 이상의 엔진을 사용한다. 엔진 고장으로 즉시 비행 불가능해지는 단발기는 없으며, 소형 1인승 스포츠 기체는 조종사 탈출이 가능하여 단발 엔진을 사용하기도 한다. 쌍발기는 엔진 1개가 정지했을 때 60분 이내에 긴급 착륙 가능한 공항이 있는 항로만 운항할 수 있으며, 태평양이나 대서양 횡단 항로 설정에 제약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엔진 신뢰성이 향상되어 ETOPS 규정에 따라 쌍발기로도 외양 항행이 가능해졌다. 엔진 수가 적으면 기체 가격과 연비 면에서 유리하므로, 항공사들은 가능한 엔진 수가 적은 것을 선호한다.[22]

군용기, 특히 전투기에서는 단발(1개) 또는 쌍발(2개) 엔진이 많다. 군인만 탑승하는 군용기는 안전성 요구가 민간보다 덜 엄격하며, 폭격기나 수송기 등 대형기는 필요한 추력을 얻기 위해 4발 엔진을 탑재하기도 한다. 추력이 충분하다면 엔진 수를 줄이는 것이 좋으며, 최근 단발기는 과거 쌍발기보다 추력이 높은 경우도 있다. F-5의 개량형인 F-20은 쌍발에서 단발로 엔진 수를 줄이고 추력을 높였다.[22]

보잉 B-47은 6발, B-52는 8발 엔진을 탑재했는데, 이는 파일런 1개에 소형 엔진 2기를 묶은 것이다. 이는 큰 기체 규모와 당시 기술로는 필요한 추력을 얻기 위해 엔진 수를 늘려야 했기 때문이다. B-52는 현역 폭격기이며, 신형 엔진 4발로 교체하는 계획이 제안되고 있다.[22]

최근에는 안토노프 An-225라는 6발기가 있지만, 이는 최대이륙중량이 세계 최대인 대형기이다.[22]

제트기에서 제트 엔진의 배치 방식은 크게 외장 방식내장 방식 두 가지로 분류된다.

4. 1. 외장 방식

제트 엔진을 기체 외부에 배치하는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식이 있다.

  • 주익 하 파일런 현가 방식: 여객기와 같은 대형 항공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주익 아래에 파일론을 이용하여 엔진을 매단다.
  • 동체 외 배치 방식: 주로 소형 여객기나 비즈니스 제트기에서 사용되며, 1955년 프랑스의 쌍발 여객기 수드 카라벨이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 주익 상 배치 방식: VFW 614, 혼다제트 등에서 사용되며, Be-200과 같은 제트 수상기(飛行艇)도 물보라 흡입 방지를 위해 이 방식을 사용한다.

4. 1. 1. 주익 하 파일런 현가 방식

여객기 등 대형 항공기는 주익 아래에 파일론을 이용하여 엔진을 매다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MD-11과 같이 엔진이 3개인 항공기는 주익 아래에 2개, 동체 후부(수직꼬리날개 아래)에 1개의 엔진을 배치한다.[22]

이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장점



단점


4. 1. 2. 동체 외 배치 방식

제트 엔진을 동체 외부에 배치하는 방식은 주로 소형 여객기나 비즈니스 제트기에서 사용된다. 1955년 프랑스에서 제작된 쌍발 여객기 수드 카라벨이 이 방식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DC-9과 같은 대형 항공기에서도 이 방식을 찾아볼 수 있다.[22]

이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을 가진다.

'''장점'''

  • 주 날개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 착륙 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단점'''

  • 무게 중심이 뒤로 쏠려, 수평꼬리날개와 수직꼬리날개의 효율이 떨어진다.
  • 엔진 소음이 객실로 전달될 수 있다.
  • 드물게, 겨울철 제설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주 날개에 붙은 얼음이나 눈이 엔진으로 들어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4. 1. 3. 주익 상 배치 방식

VFW 614, 혼다제트 등에서 사용된 방식으로, 엔진을 주익 위에 배치한다. Be-200 등의 제트 수상기(飛行艇)도 수상 활주 시 엔진이 물보라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슷한 엔진 배치를 사용한다.

이 방식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항공기 중심을 기체 중심부 근처에 둘 수 있다.
  • 비행 중 주익에 발생하는 양력에 의해 날개뿌리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를 완화할 수 있다.
  • 주익 하부가 확보되므로, 착륙장치가 짧아지고 착륙장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 (저익기의 경우) 워터라인에서의 중심 위치 근처에 추력선을 배치할 수 있다.
  • 지면과 엔진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엔진으로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기 쉽다.


이 방식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 주익 상면에 엔진 나셀이 있으므로, 날개 상면의 압력 분포가 흐트러져 양력 분포가 악화된다.
  • 주익에 집중 질량이 있으므로, 주익의 플러터 특성이 악화된다.
  • 동체와 엔진 나셀 사이가 채널 플로우가 되어, 이 부분의 공력 특성 파악이 어렵다.
  • (저익기의 경우) 민항기에서 주익 근처 승객의 시야가 좁아지거나, 근처에 엔진이 있는 것에 따른 심리적 영향을 부정할 수 없다.

4. 2. 내장 방식

엔진을 기체 내부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내장 방식에는 동체 내부에 엔진을 배치하는 방식과 주익 내부에 엔진을 배치하는 방식이 있다.

4. 2. 1. 동체 내장 방식

엔진을 동체 내부에 배치하는 방식이다. 전투기공격기에서 주로 사용된다. 공기역학적으로 유리하고, 기체의 운동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엔진 정비 및 교체가 어렵고, 제트 엔진 배기 가스 배출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4. 2. 2. 주익 내장 방식

제트기에서 제트 엔진의 배치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그중 하나는 엔진을 주익 내부 또는 동체 내부에 삽입하는 내장 방식이다.

4. 3. 기타 배치 방식

외장 방식과 내장 방식의 중간적인 형태도 존재한다. B-2와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DC-10, 보잉 727 등과 같이 여러 배치 방식을 혼합한 형태도 존재한다.

5. 기타 장치

(이전 답변에서 원본 소스 및 요약 정보 부족으로 인해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추가 정보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겠습니다.)

6. 항공역학

제트기는 프로펠러 항공기와 상당히 다른 비행 특성을 보인다.

제트 항공기의 경우 ''추진 효율''(본질적으로 에너지 효율)은 엔진이 항공기 속도와 같거나 거의 같은 속도로 배기 제트를 배출할 때 가장 높다.[20][21] 공기 호흡 엔진의 추진 효율을 나타내는 정확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eta_p = \frac{2}{1 + \frac{c}{v}}

여기서 ''c''는 배기 속도이고 ''v''는 항공기 속도이다.

로켓 및 제트 엔진의 추진 효율(\eta_p)이 차량 속도/배기 속도 비율(v/c)에 따라 달라짐

7. 모티브

참조

[1] 웹사이트 Sir Frank Whittle - Jet Engine Inventor - Born In Coventry http://www.cwn.org.u[...] 2008-11-10
[2] 웹사이트 Jet Propulsion of Aircraft Part III http://www.flightglo[...] 1941-09-25
[3] 웹사이트 Coanda's Claim:The story of a jet flight in 1910, just seven years after Kitty Hawk, may be too good to be true. https://www.airspace[...] 2010-12-06
[4] 웹사이트 Lippisch Ente http://www.daviddarl[...] 2011-09-26
[5] 서적 The First Jet Pilot – The Story of German Test Pilot Erich Warsitz http://www.pen-and-s[...] Pen and Sword Books Ltd. 2009
[6] 웹사이트 Heinkel He 178 https://www.military[...]
[7] 서적 Experimental & Prototype US Air Force Jet Fighters 2008
[8] 뉴스 Frank Whittle, 89, Dies; His Jet Engine Propelled Progress https://www.nytimes.[...] 1996-08-10
[9] 웹사이트 Flight 28 August 1941 http://www.flightglo[...] 1941-08-28
[10] 웹사이트 No Airscrew Necessary... http://www.flightglo[...] 1949-10-27
[11] 서적 2006
[12] 서적 2006
[13] 서적 1996
[14] 서적 1996
[15] 서적 The World's First Turbojet Fighter – Messerschmitt Me 262 Schiffer Publishing 1990
[16] 웹사이트 Jet! When Britain Ruled the Skies https://www.bbc.co.u[...] 2023-02-17
[17] 웹사이트 The Fastest Helicopter on Earth https://spectrum.iee[...] IEEE Spectrum 2010-08-31
[18] 웹사이트 'Jetman' Yves Rossy Shows Us How to Fly His Carbon Fiber Jet Wing https://www.wired.co[...] Wired 2013-07-31
[19] 웹사이트 http://www.hq.nasa.g[...]
[20] 서적 Beschreibung der Konstruktion der Triebwerksanlagen Interflug 1968
[21] 웹사이트 Gas turbine technology http://users.encs.co[...] Rolls-Royce plc 2003
[22] 문서 軽量小型のプロペラ機(レシプロあるいはターボプロップエンジン)ではエンストの際にも最低限の滑空性能と補助翼の操作性が確保されているものが多く、複座以上の単発機が多数存在する。また、ジェット機であっても少数の乗客(最大5 - 6人程度)を乗せるVLJと呼ばれるカテゴリにおいては、近年、単発機の開発例が増えている。詳しくは、該当項目あるいはこちらを参照された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