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스 폰 오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폰 오하인(Hans von Ohain)은 독일의 항공 공학자이자 제트 엔진 개발의 선구자이다. 그는 1930년대 초반부터 제트 엔진 개발에 몰두하여, 1939년 세계 최초의 제트 추진 항공기인 Heinkel He 178의 비행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오하인은 원심 압축기와 방사형 유입 터빈을 사용하는 독창적인 설계를 시도했으며, 전후에는 미국으로 건너가 라이트-패터슨 공군 기지에서 다양한 항공 기술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가스 코어 원자로 로켓, 수직이착륙 항공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으며, 1991년 프랭크 휘틀과 함께 터보제트 엔진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항공우주공학자 - 오토 릴리엔탈
    오토 릴리엔탈은 독일의 항공 기술자이자 글라이더 조종사로, 새의 비행 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글라이더를 설계, 제작하여 2,000회 이상의 비행 기록을 세웠으며, 후대 항공 기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쳐 "비행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글라이더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 독일의 항공우주공학자 - 에른스트 하인켈
    에른스트 하인켈은 독일의 항공기 설계자이자 기업가로, 하인켈 항공기 제작소를 설립하여 세계 최초로 터보제트 엔진만으로 비행에 성공한 하인켈 He 178과 같은 혁신적인 항공기를 개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개인 수송 수단 생산으로 사업을 전환했다.
  • 페이퍼클립 작전 - V-2 로켓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장거리 탄도 미사일인 V-2 로켓은 베르너 폰 브라운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어 액체 추진제를 사용, 최대 320km 사거리와 1톤의 탄두 운반 능력을 갖췄으나, 연합국 도시 공격에 사용되며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고, 전후 미사일 및 우주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지만, 개발 과정에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이 동원되는 윤리적 문제와 군사적 효용성 논란이 있었다.
  • 페이퍼클립 작전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독일의 공학자 -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는 독일의 약사이자 화학자, 초기 화학 공학자로서 황산나트륨을 발견하고 염산 등을 합성했으며, 케미컬 가든을 최초로 관찰, 기록하고 40권의 책을 저술했다.
  • 독일의 공학자 - 루돌프 디젤
    루돌프 디젤은 압축 착화 방식의 디젤 엔진을 발명하고 상용화에 성공한 독일의 기계 공학자이자 발명가이지만, 1913년 의문의 실종으로 사망했다.
한스 폰 오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0년대의 한스 폰 오하인
1970년대의 한스 폰 오하인
본명한스 요아힘 파프스트 폰 오하인
출생1911년 12월 14일
출생지독일 제국 안할트 공국 데사우
사망1998년 3월 13일
사망지미국 플로리다주 멜버른
배우자하니 폰 오하인
자녀4명
직업항공우주 엔지니어 (제트 추진)
학력
교육 기관괴팅겐 대학교
기타 정보
수상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상 (1991년)

2. 생애

데사우에서 태어나 괴팅겐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물리학 연구소장 후고 폰 폴의 하급 보조가 되었다. 1936년 에른스트 하인켈의 요청으로 하인켈의 제조사에 들어갔다.[26]

1947년 페이퍼클립 작전으로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공군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에서 근무했다.[26] 1979년 제대 후 데이턴 대학교에 연구실을 설치하고 프랭크 휘틀과 교류했다. 1991년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상을 수상하고 1998년 플로리다주 멜버른에서 사망했다.[46]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데사우에서 태어난[26] 오하인은 1930년 댈렘(베를린 소재)에 있는 아른트 김나지움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35년 괴팅겐 대학에서 "백색광 간섭 광 릴레이"(An Interference Light Relay for White Light)라는 제목의 광학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필름에 직접 소리를 기록하는 논문으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7] 괴팅겐 대학교는 당시 항공 연구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오하인은 루트비히 프란틀의 강의를 수강했다.[28] 1933년, 아직 학생이던 그는 "프로펠러가 필요 없는 엔진"을 고안해냈다.[26]

1935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오하인은 당시 대학 물리학 연구소 소장이었던 로베르트 포흘의 조수가 되었다. 1936년, 포흘을 위해 일하는 동안 오하인은 그의 제트 엔진 버전에 대한 특허, "항공기 추진용 기류 생성 방법 및 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irstreams for Propelling Airplanes)를 등록했다.[29] 프랭크 휘틀의 축류 터빈 설계인 파워 제츠 WU와 달리, 오하인은 원심 압축기와 방사형 유입 터빈을 사용하여, 로터 주위에 환형 연소 공간을 감싸고 이들을 등을 맞대어 배치했다.

대학에서 일하는 동안, 오하인은 그의 스포츠카를 바틀스 앤 베커라는 현지 정비소에 정비하러 가곤 했다. 거기서 그는 자동차 정비사인 막스 한을 만나 500 라이히스마르크(RM)로 그의 엔진 시제품을 제작하도록 했다. 완성된 모델은 1937년 휘틀의 완전히 작동하는 엔진보다 직경이 컸지만, 훨씬 짧았다. 오하인은 시험을 위해 모델을 대학으로 가져갔지만, 휘발유 연료의 연소에 문제가 발생하여 터빈 뒤에서 대부분의 연소가 일어나고 배기덕트에서 화염이 뿜어져 나왔다. 터빈 전의 연소 부족은 엔진이 전기 모터의 지원 없이 작동할 수 없게 만들었고, 그 결과 전기 모터가 과열되었다.

정비사 막스 한과 한스 폰 오하인의 시험 엔진 주요 부품


폰 오하인에 따르면, "제트 엔진에 대한 저의 관심은 1933년경에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비행의 우아함이 피스톤 엔진/프로펠러 조합으로 인한 엄청난 진동과 소음으로 망쳐졌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저는 일정한 작업 과정, 즉 일정한 압축, 연소, 팽창이 큰 이점을 가질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따라서 저는 매우 간단한 엔진, 방사형 압축기와 방사형 터빈을 선택했습니다."

그와 막스 한이 연구소 마당에서 제작하고 시험한 모델은 연소실이 추가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포흘과 폰 오하인은 "새로운 아이디어에서 물러서지 않는" 사람으로서 하인켈에게 접근하기로 결정했다.[30]

2. 2. 제트 엔진 개발

오하인은 1933년 괴팅겐 대학교에서 공부하던 중, "프로펠러가 필요 없는 엔진"이라는 개념을 고안해냈다.[26] 1935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오하인은 대학 물리학 연구소 소장이었던 로베르트 포흘의 조수가 되었다. 1936년, 오하인은 그의 제트 엔진에 대한 특허, "항공기 추진용 기류 생성 방법 및 장치"를 등록했다.[29] 오하인은 프랭크 휘틀의 축류 터빈 설계와 달리, 원심 압축기와 방사형 유입 터빈을 사용하여 로터 주위에 환형 연소 공간을 감싸고 등을 맞대어 배치했다.

대학에서 일하는 동안, 오하인은 그의 스포츠카 정비를 위해 바틀스 앤 베커라는 현지 정비소를 방문했고, 그곳에서 자동차 정비사 막스 한을 만나 자신의 엔진 시제품 제작을 의뢰했다. 완성된 모델은 1937년 휘틀의 엔진보다 직경이 컸지만, 훨씬 짧았다. 오하인은 시험을 위해 모델을 대학으로 가져갔지만, 휘발유 연료 연소 문제로 인해 터빈 뒤에서 대부분의 연소가 일어나고 배기덕트에서 화염이 뿜어져 나왔다. 이로 인해 엔진은 전기 모터의 지원 없이는 작동할 수 없었고, 전기 모터는 과열되었다.

폰 오하인에 따르면, 제트 엔진에 대한 그의 관심은 1933년경에 시작되었다. 그는 비행의 우아함이 피스톤 엔진/프로펠러 조합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으로 망쳐졌다고 생각했다. 그는 일정한 압축, 연소, 팽창이 큰 이점을 가질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고, 방사형 압축기와 방사형 터빈을 선택했다.

1936년 2월, 포흘은 에른스트 하인켈에게 오하인의 설계와 가능성에 대해 편지를 썼다. 하인켈은 오하인과 자신의 엔지니어들 간의 회의를 주선했고, 오하인은 "차고 엔진"은 작동하지 않겠지만, 그 기반 개념은 건전하다고 주장했다. 4월에 오하인과 한은 하인켈 사에 취직했다.[31]

특별 개발 부서에서 귄더만 엔지니어와 한과 함께 일하면서, 폰 오하인은 수소 연료를 사용하여 터빈 문제와 연소실 문제를 분리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그는 기체 수소의 확산 및 연소 속도가 휘발유보다 훨씬 빠르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30]

모델의 기류 연구 결과, 두 달 만에 여러 개선 사항이 나타났다. 이에 고무된 오하인은 외부 압력원에서 공급되는 수소 가스로 작동하는 새로운 프로토타입, 하인켈-슈트랄트리브베르크 1(HeS 1)을 제작했다. 이 엔진은 대부분 판금으로 만들어졌으며, 1937년 3월에 완성되었다. 2주 후, 엔진은 수소로 작동하기 시작했지만, 고온 배기가스로 인해 금속이 타는 현상이 발생했다. 9월에는 연소실을 교체하고 처음으로 휘발유로 엔진을 작동시켰지만, 연소실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 엔진은 비행용은 아니었지만, 기본 개념이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1937년 2월, 터빈 부분이 시험대에서 작동하고 있었다. 폰 오하인에 따르면, He-S3B의 전신을 개발하고 있었고, 압축기와 터빈 사이에 연소실을 배치하려고 했지만, 한은 그것들을 앞에 배치하는 것을 제안했다.[30] HeS 3 터빈은 Heinkel He 118에서 시험 비행되었다.[30]

HeS 1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포흘-오하인 팀은 항공기용 엔진인 HeS 3 설계로 넘어갔다. 주요 차이점은 가공된 압축기 및 터빈 단계를 사용하고, 환형 연소기를 압축기와 터빈 사이의 연장된 간극에 배치하여 엔진의 단면적을 줄인 것이다.

1939년 초, He-S3A는 1939년 7월 3일 로겐틴에서 전시를 위해 He 178 항공기 동체에 장착되었다. 그러나 이 터빈은 여전히 비행하기에는 출력이 부족했다. 폰 오하인에 따르면, 압축기 디퓨저와 터빈 노즐 베인을 수정하는 다양한 조합을 실험했고, 엔진 뒤에 칼라와 분할기를 사용하여 유동을 분기시키는 작은 디퓨저가 전체 튜브를 통한 고속 유동보다 더 잘 작동한다는 것을 알았다. 변경의 최종 결과는 He-S3B였다.[30]

한스 폰 오하인의 원심 압축기/반경 유입 터빈 HeS3B


새로운 설계인 HeS 3b가 제안되었다.[31] 이는 연소기의 앞부분을 압축기 바깥쪽 가장자리 앞에 배치하여 연소기를 길게 한 것이다. 3b는 1939년 7월(일부 자료에서는 5월)에 처음 가동되었으며, Heinkel He 118 급강하 폭격기 시제품에서 공중 시험을 받았다. 원래 3b 엔진은 곧 고장났지만, He 178과 거의 동시에 두 번째 엔진이 완성 단계에 있었다. He 178은 1939년 8월 27일에 첫 비행을 하여 최초로 제트 추진 항공기가 되었다. 이 비행은 시험 조종사 에리히 바르시츠에 의해 이루어졌다. 하인켈은 1939년 5월 31일에 특허를 신청했다.[31]

Heinkel He 178


한스 폰 오하인이 Heinkel He 178의 성공적인 비행 후 건배를 합니다. 에른스트 하인켈은 이미지 왼쪽에서 잔을 들고 있습니다.


더 큰 버전인 HeS 6부터 시작하여 전체 레이아웃을 다시 배열한 HeS 8로 알려진 새로운 설계에 대한 작업이 즉시 시작되었다. 압축기와 터빈은 환형 연소실을 그 사이에 맞출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긴 대구경 드럼으로 연결되었다. 이 엔진은 Heinkel He 280 전투기에 장착될 예정이었지만, 항공기 개발이 엔진보다 훨씬 원활하게 진행되어 엔진 작업이 계속되는 동안 활공 시험에 사용해야 했다. 1941년 3월 말에 항공기용 HeS 8이 장착되었고, 4월 2일에 첫 비행을 했다. 사흘 후, 이 항공기는 나치와 RLM 관계자들에게 시연되었고, 모두 인상을 받았다. 곧 완전한 개발 자금이 지원되었다.

1942년 초, 공식적으로 109-001(HeS 001)인 HeS 8은 여전히 진전이 좋지 않았다. 한편, 공식적으로 109-006(HeS 006)인 뮬러의 HeS 30은 훨씬 더 빠르게 개발되고 있었다. 그러나 두 엔진 모두 생산 준비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였지만, 003과 004는 곧바로 사용 가능해 보였다. 1942년 초 RLM의 제트 개발 책임자인 헬무트 셸프는 두 설계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하고 하인켈에게 자신의 새로운 "애완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명령했는데, 이는 결국 Heinkel HeS 011이 되었습니다. HeS 8에 대한 작업은 상당 기간 계속되었지만, 결국 1943년 봄에 중단되었다.

폰 오하인이 직면한 어려움 중 하나는 실용적인 터보제트 엔진을 개발할 수 있는 설계 방식을 찾는 것이었다. 그의 주요 설계는 원심 압축기와 반경 유입 터빈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비실용적인 것으로 판명되어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코 생산에 들어가지 못했다.

하지만 폰 오하인은 HeS 011을 발명하면서 축류식과 원심식 설계를 결합한 표준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오늘날 대부분의 비즈니스 제트기는 물론 터보프롭과 헬리콥터에도 사용된다.[37]

2. 3.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동

오하인의 실험들은 하인켈의 공장에서 비밀리에 진행되었고, 1937년 벤치 시험에서 성과를 얻어 1939년 정식으로 제트기 He178기가 발명되었다. 그해 8월 27일 이른 아침에 첫 제트기가 비행하였으며, 오하인의 원심력 터보제트 엔진 HeS3b기가 비행기의 착륙 장치 문제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비행하여, 시험 조종사가 계획된 스피드로 가속하는 것을 막았다.

오하인은 계속 연구를 진행하여 1941년 4월 2일 처음으로 비행한 향상된 엔진 HeS8-A기를 개발하였다. 독일 최고 사령부가 이 개발 내용을 비밀에 부쳤음에도 불구하고, 오하인의 엔진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1]

1947년 미국으로 건너갔으며, 1998년 3월 13일 플로리다주 멜번에서 사망하였다.[2]

1939년 11월 1일, 에른스트 우데트, 에어하르트 밀히 등 독일항공성 및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나치) 고위 관료 앞에서 He 176, He 178의 시범 비행이 열려 인상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 자리에서 전투기 He 280의 시제기 계약이 체결되었지만, 비 나치당원인 하인켈은 냉대를 받았고 적극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다.[7]

고속 제트기의 가능성을 확신한 공군성 기술관 헬무트 쉘프와 한스 마우흐 등은 항공기 제작사인 하인켈사의 엔진 개발 및 생산 능력을 우려하여 다른 항공 엔진 제조 회사들에도 터보제트 엔진 개발을 비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이것이 후에 발주 사양 109의 축류식 터보제트 BMW 003(109/003), 유모 004(109/004)로 이어진다.[7]

이후, 융커스사에서 축류식 터보제트 기초 연구를 하던 아돌프 뮬러 팀이 하인켈사로 이직하여 109/006(HeS 30)이라는 명칭으로 개발을 계속했고, 원심식을 추진하는 오하인과 협력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7]

HeS 3b의 단순 확대판 HeS 6을 거쳐 He 280용 본격형 HeS 8은 전방 축류 압축기를 2단으로 하고 축을 연장하여 그 사이에 환형 연소기를 설치하여 외경 축소를 시도했지만, 터빈은 종전의 단일판 사류식이라는 독특한 구성을 유지했다.[7]

세계 최초의 실용 사출좌석을 장착한 시제 전투기 He 280은 1941년 4월 2일에 첫 비행을 했고, 3일 후 공개 모의 공중전에서 Fw 190을 압도하는 고속과 고상승력을 보여주었지만, 더 혁신적인 Me 262를 우선하는 국가 정책은 변하지 않았고, 정식 수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7]

하인켈은 엔진 개발 능력 부족을 절감하여 엔진 제작사인 히르트사와의 합병을 나치스에 상신하여 허가를 받고 개발에 박차를 가했지만, 여러 차례 개량에도 불구하고 HeS 8의 불안정성과 짧은 수명은 해결되지 않았고, 1943년 3월에는 He 280 계획도 총 9대로 중단되었다.[7]

오하인 팀의 난항을 우려한 쉘프는 융커스사에서 유모 004의 기본 설계를 마친 막스 벤텔레 등을 신생 하인켈-히르트사로 이직시켜 고출력 축류·원심 하이브리드 구성의 HeS 011 프로젝트에 참여시켰지만, 기술적인 설계 변경이 거듭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완성되지 못했다.[7]

2. 4. 전후 활동 및 미국으로의 이주

1947년 페이퍼클립 작전에 의해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 공군의 라이트-패터슨 공군기지에서 일하게 되었다.[26] 베르너 폰 브라운, 알렉산더 리피슈 등과 함께 페이퍼클립 작전의 가장 중요한 인물로 지목된 오하인은 1947년에 직원들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라이트 패터슨 공군 기지의 공군 연구소에 배속되었다.

1956년 공군 항공 연구소 소장이 되었고, 1975년까지 항공 추진 연구소의 수석 과학자로 재직했다.[26] 1975년에는 항공기를 포함한 미 공군의 대기권 내 비행체의 모든 연구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지위에 있었지만, 이 기간 동안 군의 요직에 있었던 사실은 비밀에 부쳐졌고, 외부적으로는 농장 경영자라고 알려졌다.[54]

라이트-패터슨에서 근무하는 동안, 오하인은 다양한 주제에 대한 개인적인 연구를 계속했다. 1960년대 초 핵연료는 유지하면서 작동 유체를 배기가스로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코어 원자로 로켓 설계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 이러한 역할에 필요한 기술은 원심분리기와 펌프를 포함한 다양한 다른 "일상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되었다. 오하인은 나중에 이러한 설계의 기본적인 질량 유량 기술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부품이 없는 매력적인 제트 엔진[38]을 만들었는데, 엔진을 통과하는 기류가 압축기와 터빈 역할을 하는 안정적인 와류를 생성했다.

질량 유량에 대한 관심은 오하인이 발전을 위한 자기유체역학(MHD)을 연구하도록 이끌었다.[39] 그는 석탄 화력 발전소의 고온 가스를 사용하여 연소실에서 배출될 때의 ''속도''에서 에너지를 추출하고, 충분히 고온을 유지하여 기존의 증기 터빈을 구동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따라서 MHD 발전기는 석탄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추출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불행히도 이 설계는 화학적으로 활성인 배기가스에도 견딜 수 있는 고온의 비자성 재료가 부족하여 건설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오하인은 다른 에너지 관련 개념도 조사했다.[40]

그는 또한 제트 엔진의 압축기에서 나온 공기를 날개의 큰 "증강된" 통풍구로 배출하여 수직이착륙 항공기의 양력을 제공하는 "제트 날개"라는 아이디어를 발명했다.[41] 고압의 공기 소량이 벤투리로 불어넣어지면, 이것이 훨씬 더 많은 양의 공기를 빨아들여 "추력 증강"을 가져온다. 이 개념은 록웰 XFV-12 실험 항공기에 사용되었지만, VTOL 항공기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단명했다. 그는 다른 여러 특허에도 참여했다.[42]

냉전하에서 오하인이 무슨 일을 했는지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고온 가스로를 이용한 원자력 비행기, 뜨는 날개를 가진 시제 수직이착륙기 XFV-12, 전자유체역학 발전(플라즈마 발전) 등은 오하인이 개발을 주도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이 실용화되지 않았다.

오하인은 WP-AFB에서 자신의 제자인 폴 베빌라쿠아의 사고방식을 수학에서 공학으로 바꾸는 데 영향을 미쳤다.[43] 이는 나중에 베빌라쿠아가 JSF F35B STOVL을 위한 롤스로이스 리프트시스템을 발명할 수 있게 했다. "학교에서는 부품을 움직이는 방법을 배웠고, 한스는 체스를 두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습니다."[44] 오하인은 또한 베빌라쿠아에게 "그 TS 선도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여주었다.[45]

1979년 제대한 오하인은 기지 인근의 데이턴 대학교에 자신의 이름을 딴 연구실을 설치하고 여생을 보냈지만, 거기서 프랭크 휘틀과 만나 평생 친분을 맺었다. 그 후 플로리다주 멜버른에 은퇴하여 1991년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상을 수상했다. 1998년 사망했다.[46]

2. 5. 은퇴 이후

페이퍼클립 작전의 주요 인물로 지목된 오하인은 1947년에 직원들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라이트 패터슨 공군 기지의 공군 연구소에 배속되었다.[54] 1956년에 동 연구소장으로 승진하였고, 1975년에는 항공기를 포함한 미 공군의 대기권 내 비행체 연구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지위에 있었지만, 군 요직에 있었다는 사실은 비밀에 부쳐졌다.[54]

냉전하에서 오하인이 무슨 일을 했는지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고온 가스로를 이용한 원자력 비행기, 시제 수직이착륙기 XFV-12, 전자유체역학 발전(플라즈마 발전, Electrohydrodynamics|EFD 발전영어) 등은 오하인이 개발을 주도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들 모두 실용화되지는 않았다.

1979년에 제대한 오하인은 기지 인근의 데이턴 대학교에 자신의 이름을 딴 연구실을 설치하고 여생을 보냈다. 거기서 프랭크 휘틀과 만나 평생 친분을 맺었다. 그 후 플로리다주 멜버른으로 은퇴하여 1991년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상을 수상했다. 1998년에 사망했다.

3. 업적

오하인은 하인켈의 공장에서 비밀리에 실험을 진행했으며, 1937년 벤치 시험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이를 바탕으로 1939년에는 제트기 He178기가 발명되었다.[1] 같은 해 8월 27일 이른 아침, 첫 제트기가 비행에 성공했다. 비록 오하인의 원심력 터보제트 엔진 HeS3b기가 장착된 비행기의 착륙 장치가 기체 안으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아 시험 조종사가 계획된 속도로 가속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전반적인 비행은 성공적이었다.[1]

오하인은 연구 개발을 지속하여 1941년 4월 2일에는 향상된 엔진 HeS8-A기를 탑재한 비행기를 처음으로 비행시켰다.[1] 그러나 독일 최고 사령부가 이러한 개발 사실을 গোপন했기 때문에, 오하인의 엔진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을 뿐이었다.[1]

오하인은 1947년 미국으로 이주하였으며, 1998년 3월 13일 플로리다주 멜번에서 생을 마감하였다.[1]

4. 수상 및 서훈

한스 폰 오하인은 경력 동안 미국 항공우주학회(AIAA) 고다드 우주항공상, 미국 공군 뛰어난 민간인 봉사상, 시스템 사령부 뛰어난 민간인 봉사상, 유진 M. 주커트 경영상, 공군 특별 공로상, 은퇴 직전 명예 표창 등 많은 공학 및 경영 분야 상을 수상했다.[47] 1984년부터 1985년까지 미국 국립 항공우주 박물관의 찰스 A. 린드버그 항공우주 역사 교수직을 역임했다.[47] 1991년 오하인과 휘틀은 터보제트 엔진에 대한 업적으로 찰스 스타크 드레이퍼 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오하인은 미국 공학한림원(NAE)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6]

1992년 오하인은 "항공우주 공학 분야의 뛰어난 공헌"으로 독일 항공우주학회로부터 루트비히 프란틀 링을 수상했다.[48] 1982년 샌디에이고 항공우주 박물관의 국제 항공우주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49] 1990년에는 미국 항공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50]

참조

[1] 웹사이트 Hans Joachim Pabst von Ohain - German designer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23-12-10
[2] 서적 Genesis of the Jet Airlife Publishing 1995
[3] 서적 Hans von Ohain: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4]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Jet Engine? https://www.thoughtc[...]
[5] Youtube The Father of the Jet Engine - Hans Von Ohain https://www.youtube.[...] 2023-11-24
[6] 웹사이트 Hans von Ohain and the Invention of the Jet Engine {{!}} SciHi Blog http://scihi.org/han[...] 2023-11-24
[7] 웹사이트 Hans von Ohain – The Other Father of Jet Engines and the Gas Turbine {{!}} Turbomachinery blog https://blog.softinw[...] 2023-11-24
[8] 웹사이트 The Converging Paths of Whittle and von Ohain https://www.airandsp[...] 2023-11-24
[9] 서적 Hans von Ohain: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10] 서적 Hans von Ohain: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11] 웹사이트 Draper Prize for Engineering http://www.draperpri[...] draperprize.org
[12] 서적 hans von Ohain –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13] 서적 Hans von Ohain: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14] 웹사이트 The Converging Paths of Whittle and von Ohain https://www.airforce[...]
[15]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Jet Engine? https://www.thoughtc[...]
[16] 서적 Hans von Ohain: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17] 서적 1999
[18] 서적 Thehe Me 262 Stormbird: From the Pilots Who Flew, Fought, and Survived It Voyageur Press 2012-05-15
[19] 웹사이트 The Day Germany's First Jet Fighter Soared into History https://www.smithson[...]
[20] 웹사이트 Jumo 004B Engine https://airandspace.[...] 2024-07-12
[21] 웹사이트 Design Analysis of BMW 003 Turbojet http://legendsinthei[...] 2024-07-12
[22] 서적 Experimental & Prototype US Air Force Jet Fighters 2008
[23] 뉴스 Frank Whittle, 89, Dies; His Jet Engine Propelled Progress https://www.nytimes.[...] 1996-08-10
[24] 서적 2009
[25] 웹사이트 1991 Recipients of the Charles Stark Draper Prize https://www.nae.edu/[...]
[26] 웹사이트 von Ohain, Hans Joachim Pabst Scientist https://www.national[...] 2020-08-02
[27] 웹사이트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vibrations into light fluctuations http://www.dpma.de/p[...] Deutsches Patent- und Markenamt 2024-07-05
[28] 서적 Genesis N + 1: The origins of the Turbo-Jet revolution 2010-08-01
[29] 서적 Hans von Ohain: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30] 서적 The First Jet Pilot: The Story of German Test Pilot Erich Warsitz Pen and Sword aviation 2008
[31] 웹사이트 This collection documents Hans von Ohain's professional career in propulsion. https://airandspace.[...] 2024-07
[32] 웹사이트 The Jet Engine : The Inventions of the Jet Engine | Bartleby https://www.bartleby[...]
[33] 서적 hans von Ohain –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2001
[34] 웹사이트 M250 turboshaft https://www.rolls-ro[...]
[35] 웹사이트 PT6A Engine | Pratt & Whitney https://www.pwc.ca/e[...] 2023-04-14
[36] 뉴스 Frank Whittle, 89, Dies; His Jet Engine Propelled Progress https://www.nytimes.[...] 1996-08-10
[37] 웹사이트 DLR Blogs https://www.dlr.de/b[...] 2014-08-29
[38] 특허 Hot gas flow generator with no moving parts http://www.patentsto[...] United States Patent 4689950 1987-09-01
[39] 서적 Memorial Tributes http://www.nap.edu/o[...]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40] 특허 Two component electro-fluid-dynamic power generator employing contact ionization http://www.freepaten[...] United States Patent 3465180 1969-09-02
[41] 특허 Jet pump or Thrust augmentor http://www.freepaten[...] United States Patent 3525474 1970-08-25
[42] 웹사이트 List of patents by Hans von Ohain http://www.patentsto[...]
[43] 웹사이트 Bevilaqua interview http://ing.dk/artike[...] Engineering newspaper
[44] 웹사이트 LM Video http://ing.dk/artike[...] Engineering newspaper
[45] 웹사이트 The man with the fan http://www.designnew[...] Design News 2004-02-22
[46] 서적 Hans von Ohain: Elegance in Flight American Institute for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Inc.
[47] 서적 The airplane, a history of its technology https://books.google[...] AIAA
[48] 웹사이트 Auszeichnung - Ludwig-Prandtl-Ring https://www.dglr.de/[...] 1992
[49] 서적 These We Honor: The International Aerospace Hall of Fame Donning Co. Publishers
[50] 웹사이트 Enshrinee Hans Von Ohain https://nationalavia[...] National Aviation Hall of Fame
[51] 웹사이트 Hans von Ohain https://www.centenni[...]
[52] 뉴스 Hans Von Ohain 1998-04-06
[53] 웹사이트 Newcomer Family Obituaries - Hans Christopher von Ohain 1989 - 2022 https://www.newcomer[...]
[54] 간행물 航空情報 197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