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기갑사단 (독일 연방방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기갑사단은 1956년 7월 1일 창설된 독일 연방방위군의 기갑사단이다. 냉전 시대에는 북부군집단 예하 제1군단에 배속되어 중부유럽 연합군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기갑부대로 재편되었다. 인도주의적 작전으로 1962년 함부르크 침수, 2002년 동부 독일 침수 등에 투입되었고, 발칸반도,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평화 유지 작전을 수행했다. 2013년 제13기갑척탄병사단 해산으로 제41기갑척탄병여단의 지휘권을 이양받았다. 현재는 제9기갑교도여단, 제21기갑여단, 제41기갑척탄병여단, 제43기계화여단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연방방위군의 기갑사단 - 제10기갑사단 (독일 연방방위군)
    제10기갑사단은 1959년 창설된 독일 연방군의 기갑사단으로, 냉전 시대 기갑척탄병사단에서 냉전 종식 후 긴급 전개 부대로, 현재는 산악전 부대와 독불여단을 예하에 두고 다국적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한다.
  • 1956년 설립 - 일본 기상청
    일본 기상청은 일본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기상 관측, 예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화산 감시 등을 담당하며, 1872년 설립 이후 1956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 2001년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소속 변경, 2020년 본부 이전 후 전국 관측망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 제공 및 국민 안전과 사회 경제 활동에 기여한다.
  • 1956년 설립 - 아리마 기념
    아리마 기념은 팬 투표로 출전마를 선정하는 일본 중앙경마의 최고 권위 경주 중 하나로,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개최되며 국제 경주로 지정되어 있고 일본 경마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1기갑사단 (독일 연방방위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1기갑사단 휘장
제1기갑사단 휘장
부대 명칭제1기갑사단
원어 명칭1. Panzerdivision
별칭"Die Erste" (최고)
"The first one" (첫 번째)
표어"Man drup - man to!" (대략: 가자! 해보자!)
표어 (원어)Man drup - man to! (저지 독일어)
창설일1956년 7월 1일
국가
군 종류육군
부대 종류기갑
병력 규모19,000명
주둔지올덴부르크 (올덴부르크)
지휘 구조
소속독일 육군
군단육군
전투 및 작전
참전코소보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현재)
지휘관
주요 지휘관장군 헤닝 폰 온다르차, COMAFCENT 1991–1994
장군 헬게 한센, COMAFCENT 1994–1996
장군 볼프-디터 랑헬트, COMJFC-B 2010–2012
현재 지휘관소장 하이코 휘브너
추가 정보
웹사이트제1기갑사단 웹사이트
예하 부대제43기계화여단

2. 역사

연방 육군이 공식적으로 창설된 1956년 7월 1일에 제1기갑사단이 창설되었다. 처음에는 제1척탄병사단으로 불렸으나, 1981년에 완전 기갑 부대로 개편되었다.

초기에는 기갑척탄병 부대로 편성되었고, 냉전 시대부터 제1군단이 제1독일-네덜란드 군단으로 재편성되는 1995년 8월 30일까지 중부유럽 연합군 북부군집단의 일원이었다.

제1기갑사단은 발칸반도,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평화 유지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1962년 함부르크 침수와 2002년 동부 독일 침수 등 재해 복구에도 투입되어 인도주의적 작전을 수행하였다.

1994년, 제1기갑사단은 제2방위관구 사령부와 통합되어 제1기갑사단/제2방위관구 사령부로 재편되었으나, 2001년에 통합이 중단되었다. 2013년에는 제13기갑척탄병사단 해산으로 제41기갑척탄병여단이 예하 부대로 추가 편성되었다.

2019년 4월, 사단 본부는 호엔펠스 훈련장에서 열린 "연합 정신 X" 훈련에서 최고 지휘부 역할을 수행했으며, 15개국에서 5,630명이 참가했다.[4][5][6]

2. 1. 창설 초기 (1956년 ~ 1980년대)

연방 육군이 공식적으로 창설된 1956년 7월 1일에 제1척탄병사단으로 편성되었다. 1980년대에 재편성되어 1981년에 완전 기갑 부대로 개편되었다.

1956년 7월 1일, 국경 경비대 북부 사령부 예하 제1엽병사단으로 하노버에 사령부를 두었다. 기간 부대는 다음과 같았다.

  • A1 전투단 (하노버): 제1, 제21척탄병대대
  • B1 전투단 (함부르크): 제11, 제31척탄병대대
  • 제1포병연대
  • 사단 직할 부대: 제1통신대대, 제1전차대대, 제5정찰대대, 제1공병대대, 제1방공대대


1957년, 사단은 NATO에 배속되었다. 1958년, B1 전투단은 B6 전투단으로 개편되어 제6기갑척탄병사단의 모체가 되었다.

1959년 7월 1일, 육군 구조 개혁으로 사단명이 제1기갑척탄병사단으로 바뀌었다. A1 전투단은 제2기갑척탄병여단이 되었다. 이후 3개 여단 체제로 개편되었다.

  • 제1기갑척탄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1포병연대
  • 직할 부대: 제1통신대대, 제1방공대대, 제1기갑정찰대대, 제7포병대대, 제1보급중대, 제1위생대대, 제410정비대대, 제1군악대 (1960년 배치)


이 기간 동안 제1기갑사단은 제1군단의 일부였으며, 이는 다시 NATO 북부군집단, 유럽 중부 연합군의 일부였다.

제1기갑사단은 함부르크 홍수, 1970년대 북독일의 대규모 산불, 2002년 동독 홍수와 같은 대규모 자연 재해 동안 민간 기관을 지원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2. 2. 냉전 종식 이후 (1990년대 ~ 현재)

연방 육군이 1956년 7월 1일에 공식적으로 창설되면서 편성되었다. 처음에는 기갑척탄병 부대로 편성되었으나, 1981년에 완전 기갑 부대로 재편성되었다. 냉전 시대부터 제1군단이 제1독일-네덜란드 군단으로 재편성되는 1995년 8월 30일까지 중부유럽 연합군의 북부군집단의 일원이었다.

1962년 함부르크 침수와 2002년 동부 독일 침수 재해에 투입되어 인도주의적 작전을 수행하였다.

1994년에 부대 통합이 시작되어, 제1기갑사단은 제2방위관구 사령부와 통합되어 제1기갑사단/제2방위관구 사령부로 재편되었다. 야전군과 향토방위군을 합쳐 병력은 22,000명까지 확대되었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제2 및 제3기갑여단은 해산되었다. 2001년에 통합은 중단되었고, 제1방위관구(연안 방위)가 조직되어 제2방위관구의 임무를 인계받았다.

2001년, 사단은 코블렌츠의 육군 지휘사령부 예하로 들어갔다. 2007년 말에는 제1기갑척탄병여단과 제9기갑교도여단의 일부가 해산되었다.

2013년 6월 28일, 제13기갑척탄병사단이 해산되면서, 제41기갑척탄병여단의 지휘권이 사단으로 이양되어 예하 부대로 추가 편성되었다.

2019년 4월, 사단 본부는 바이에른주 호엔펠스 훈련장에서 열린 "연합 정신 X" 훈련에서 최고 지휘부(HICON) 역할을 수행했다.[4] 이 훈련에는 제21기갑여단, 리투아니아 아이언 울프 여단 및 예하 부대가 참여했으며, 15개국에서 5,630명이 참가했다.[5][6]

3. 편성

독일 연방방위군 제1기갑사단 편성표


제1 기갑사단 조직 2023 (네덜란드 부대 통합)

  • '''제1 기갑사단''' (1. Panzerdivision), 올덴부르크[1]
  • *
    제1 기갑사단 참모 및 통신 중대, 올덴부르크
  • *
    '''제9 기갑교도여단''' (Panzerlehrbrigade 9), 뮌스터
  • *
    '''제21 기갑여단''' (Panzerbrigade 21), 아우구스트도르프
  • *
    '''제41 기갑척탄병여단''' (Panzergrenadierbrigade 41), 노이브란덴부르크
  • *
    '''제43 기계화여단''' (43 Gemechaniseerde Brigade), 하벨테
  • *
    ''제1 작전 지원 대대'' (Unterstützungsbataillon Einsatz 1), 올덴부르크 (예비 부대)
  • *
    제325 포병 교도 대대 (Artillerielehrbataillon 325), 뮌스터
  • *
    제610 통신 대대 (Fernmeldebataillon 610), 프렌츠라우 (NATO의 다국적 군단 북동부에 작전 배속됨)
  • *
    ''제901 중공병 대대'' (Schweres Pionierbataillon 901), 하벨베르크 (예비 부대)


제1기갑사단은 2010년 후반기에 재편성되었으며, 제3후방지원대대와 공병 부대는 개입 부대로 지정되었다.

부대주둔지
사단 사령부 중대하노버
제9기갑교도여단뮌스터
여단 사령부 중대뮌스터
제33전차대대노이슈타트
제93전차교도대대뮌스터
제92기갑척탄병교도대대뮌스터
제325기갑포병대대뮌스터
제141후방지원대대노이슈타트
제90정찰중대뮌스터
제90기갑공병중대뮌스터
제21기갑여단아우구스트도르프
여단 사령부 중대아우구스트도르프
제203전차대대아우구스트도르프
제212기갑척탄병대대아우구스트도르프
제215기갑포병대대아우구스트도르프
제7후방지원대대운나
제210정찰중대아우구스트도르프
제200기갑공병중대아우구스트도르프
제1통신연대로텐부르크
제1군악대하노버
제3정찰교도대대뤼네부르크
제3후방지원대대로텐부르크
제6방공교육연대뤼티엔부르크
제7특수무기방호대대헥스터
제110특수무기방호중대존트호펜
제100포병연대뮐하우젠
제100공병연대멘덴
제610방공교육중대팡커


4. 주요 임무

본 사단의 기본적인 임무는 독일의 국제적 의무를 이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사단은 북대서양 조약 기구유럽 연합의 하부 조직인 나토 신속 대응군 및 유럽 연합 전투단에 제공·배치된다. 이 외에도 제1독일-네덜란드 군단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육군 지휘 사령부(:de:Heeresführungskommando)의 지휘하에 활동하기도 한다.

사단은 임무에 대응하기 위해 훈련을 감독하며, 대규모 재해 대처 및 예비역 병력 제공도 담당한다. 다국간 군사 작전을 위해 평화 유지 활동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부대는 최적화되어 있으며, 양질의 장비와 물자를 갖추어 기동성이 높은 장갑차량 및 화력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 재해 구조


  • 1962년 1962년 함부르크 홍수로 함부르크에 재해 출동 (:de:Sturmflut 1962)
  • 1975년 8월 뤼네부르거 하이데 화재 (:de:Brand in der Lüneburger Heide)
  • 1978년부터 1979년 겨울의 눈 피해
  • 오데르강 홍수 (1997년) (:de:Oderhochwasser 1997)
  • 엘베강 홍수 (2002년) (:de:Elbehochwasser 2002)


; 국외 파병

사단은 지금까지 캄보디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아프가니스탄쿠웨이트에 병사를 파병했다. 국외 임무에 통산 7,650명 이상을 파병했으며, 제10차 SFOR/KFOR, 제7차 ISAF/카불, 제3차 ISAF/쿤두즈, 2004년 11월부터 2005년 5월까지의 항구적 자유 작전이 있다. 제1기갑사단은 선도 사단의 역할을 담당하며, 파병 부대의 준비와 전개 전 훈련을 의무화하고 있다.

5. 역대 사단장

성명착임이임
1빌리 만테이 준장1956년 7월 1일1957년 3월 31일
2파울 라이헬트 소장1957년 4월 1일1959년 3월 31일
3부르크하르트 뮐러-힐레브란트 소장1959년 4월 1일1961년 3월 15일
4빌헬름 마이어-데트링 소장1961년 3월 16일1963년 9월 30일
5안톤 데틀레프 폰 플라토 소장1963년 10월 1일1966년 9월 30일
6클라우스 슈베르트 소장1966년 10월 1일1970년 3월 31일
7호르스트 힐데브란트 소장1970년 4월 1일1972년 12월 14일
8한스-요아힘 뢰저 소장1972년 12월 15일1974년 9월 30일
9빌헬름 가르켄 소장1974년 10월 1일1977년 9월 30일
10크리스티안 쉴레만 소장1977년 10월 1일1979년 9월 30일
11하인츠 카슈 소장1979년 10월 1일1983년 3월 31일
12헤닝 폰 온드라차 소장1983년 4월 1일1985년 4월 30일
13헬게 한센 소장1985년 5월 1일1987년 9월 30일
14하르트무트 베렌트 소장1987년 10월 1일1991년 3월 31일
15에른스트 리시나 소장1991년 4월 1일1994년 3월 31일
16하르트무트 베렌트 소장1994년 4월 1일1994년 9월
17게르트 슐체-론호프 소장1994년 10월1996년 3월
18크리스티안 헬비히 소장1996년 4월1999년
19호르스트 푀르스터 소장2000년2002년 9월 30일
20카를 아커만 소장2002년 10월 1일2005년
21볼프-디터 랑엘트 소장2005년2008년 12월 18일
22마르쿠스 크네이프 소장2008년 12월 19일2012년 5월 31일
23카르스텐 야콥슨 소장2012년 6월 1일2014년 5월 28일
24요한 랑에네거 소장2014년 5월 28일


참조

[1] 웹사이트 1. Panzerdivision https://www.bundeswe[...] 2024-10-09
[2] 웹사이트 Starkes Rückgrat: Schwere Kräfte des Heeres https://www.bundeswe[...] 2023-03-30
[3] 웹사이트 43. Mechanisierte Brigade https://www.bundeswe[...] 2024-01-04
[4] 뉴스 Germany's 1st Armored Division Spearheads Allied Spirit X https://wwwtook.army[...] Sgt. Christopher Stewart 2019-04-08
[5] 웹사이트 Exercise brings American firepower to European partners https://www.army.mil[...] 2019-10-08
[6] 웹사이트 Intel team proves its value in multinational exercise https://www.army.mil[...] 2019-04-26
[7] 뉴스 Combat advisor teams sharpen skills in multinational exercise https://www.army.mil[...] 2019-05-01
[8] 문서 A [[RIC-U]] might be used by a coalition partner to encrypt their individual networks, when interoperating with a US Army voice network.
[9] 웹사이트 3rd SFAB and Kurdish Peshmerga work side by side to defeat threats https://www.army.mil[...] 2020-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