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전구지원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전구지원사령부는 미국 육군의 사령부로, 1950년 10월 4일 제1군수사령부로 창설되었다. 냉전 시기에는 프랑스에 배치되어 베를린 위기에 대응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주월 미군에 대한 군수 지원을 총괄했다. 1972년 제1군단 지원 사령부로 재지정되어 포트 브래그에 주둔했으며, 이후 걸프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다. 현재는 미국 중부사령부 작전 지역 내에서 육군, 합동군, 다국적군에 대한 작전 지원을 제공하며, 본부는 켄터키주 포트 녹스에 위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4수송사령부
    제4수송사령부는 1942년 창설되어 여러 전쟁에 참전하며 군 병력과 물자 수송 임무를 수행한 미국의 군 수송 부대로, 대한민국 국군 지원, 주독 미군 군수 지원 등의 활동을 수행했으며, 국군 부대 최초로 해군 유튜브 채널에서 '스트리머' 칭호를 받기도 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는 남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군사 원조를 총괄하기 위해 1962년 창설된 미국 국방부의 통합 사령부로, 이후 주월 미군에 대한 군사 정책, 작전 및 지원을 담당하다 1973년 미군 철수와 함께 해체되었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22지원사령부
    제22지원사령부는 1950년 창설되어 걸프 전쟁에서 다국적군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현재 대한민국 육군에 예속되어 전시에는 미 육군 제1군단의 작전통제를 받는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4원정지원사령부
    제4원정지원사령부는 대한민국 국군의 해외 파병 부대에 대한 군수, 수송, 정비, 의료 지원 등을 담당하는 부대로, 전시 작전 지속 지원, 해외 파병 부대 지원, 군수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 켄터키주 - 에이브러햄 링컨
    에이브러햄 링컨은 미국의 제16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승리와 노예 해방 선언을 통해 노예 제도를 폐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독학으로 변호사가 되어 정치 활동을 하다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재임 중 암살당했다.
  • 켄터키주 - 존 뷰퍼드
    존 뷰퍼드는 남북 전쟁 당시 북군 기병대 장군으로서 게티즈버그 전투에서 전략적 요충지를 방어하여 북군 승리에 기여했으며, 탁월한 군사적 능력과 리더십으로 칭송받았다.
제1전구지원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1전구지원사령부 견장
제1전구지원사령부 견장
창설일1950년
종류전구지원사령부
명령 체계미국 중부 육군
주둔지켄터키주 포트 녹스
전방본부, 캠프 아리프잔, 쿠웨이트
표어First Team (최고의 팀)
마스코트SSG Jack "Huck" Blackjack
식별 기호[[파일:1SustainCmdDUI.jpg|100px|center]]
식별 기호 설명부대 표식
식별 기호 2[[파일:1_TSC_flash.png|125px|center]]
식별 기호 2 설명이전 부대 베레모 플래시
현재 사령관소장 에릭 P. 셜리

2. 역사

1950년 10월, 조지아주 맥퍼슨 요새에서 계획 본부로 창설되었다.[3]

1961년 베를린 위기 당시, 신설 부대는 프랑스로 배치되어 서부 및 남서부 프랑스에 있는 7개의 군수기지 및 지역 항만 운영을 감독하는 군수 지원 사령부를 조직했다. 1962년 8월 11일, 미국으로 복귀하여 텍사스주 후드 요새의 제3군단으로 재배치되어 훈련을 재개하고 광범위한 군수 임무에 참여했다.[3]

1965년부터 1970년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주월 미군에게 전투급지원을 제공하였다. 1961년 베를린 위기 당시 프랑스에 배치되어 유럽 전구군수지원사령부의 기지군수기지사령부 역할을 맡았던 경험과, 한국 전쟁의 교훈은 중앙 집중화된 병참 조직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1983년 유겐트 퓨리 작전 지원을 위해 그레나다에 전개하였고,[5] 1989년 미국의 파나마 침공 ("정당한 명분 작전"),[5] 1990년부터 1991년 3~4월까지 걸프 전쟁 ("사막의 방패/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여했다.[5] 1992년 8월에는 Joint Task Force Andrew를 통해 허리케인 앤드루로 초토화된 남부 플로리다 지원, 1993년 소말리아에서 국제 연합의 노력을 지원하는 희망 회복 작전,[5] 1994년 민주주의 옹호 작전을 통한 아이티 지원,[5] 1999년 Provide Refuge 등 여러 작전에 투입되었다.

2006년에는 미국 중부 육군 예하 제1전구지원사령부로 재지정되었다. 2004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0월 27일까지 이라크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이라크에 전개하였다.[15]

2. 1. 창설과 냉전

1950년 10월 4일 포트 맥퍼슨에서 ''제1군수사령부''로 창설되었다. 이후 포트 브래그로 이주하였다.

1958년 7월 1일, 전략육군단(SAC) 부대로 지정되었다.

1961년 10월 19일, 베를린 위기가 일어나자, 위기 대응을 위한 증원 부대로서 프랑스 푸아티에에 전진 배치되었다. 사령부는 미국 유럽 육군 COMZ(TASCOMEUR의 전신)의 기지군수기지사령부 역할을 맡아 프랑스 서부와 남서부에 퍼져 있는 7개 야전창의 관리와 지역 항만의 운영을 맡았다. 위기가 지나간 뒤, 1962년 8월 11일에 미국 본토의 텍사스주 포트 후드로 귀환하였고 제3(III)군단에 전속되었다.

2. 2. 베트남 전쟁

1965년 4월 1일, 제1병참사령부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는 모든 주월 미군에게 전투급지원을 제공하는 전구급 군수사령부로 지정되어 주월 미국 육군 예하부대로서 베트남 공화국 롱빈에 배치되었다.[3] 5년 동안, 수개의 지원사령부, 여단, 단을 지휘하였고, 1970년 12월 7일에 철수하였다.[4]

1961년 베를린 위기 당시 프랑스에 배치되어 유럽 전구군수지원사령부의 기지군수기지사령부 역할을 맡았던 경험과, 한국 전쟁의 교훈은 중앙 집중화된 병참 조직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1962년 초, 폴 D. 하킨스 중장은 남베트남에 중앙 집중화된 미국의 병참 조직이 필요하다고 예견했지만, 당시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1964년 8월, 베트남 군사 원조 사령부(MACV) J-4(병참)는 남베트남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병참 사령부의 필요성을 다시 제기했다. 1965년 1월, 미국 국방 장관 로버트 맥나마라는 특별 대표를 남베트남에 파견했고, 4일간의 회의 후 초기 병력 350명으로 구성된 병참 사령부 설립을 권고했다. 1965년 3월, 로버트 W. 듀크 대령이 남베트남으로 이동하여 기획 그룹을 지휘했고, 4월 1일 제1병참사령부가 사이공에서 발족되었다.[3]

제1병참사령부는 미국 공군 또는 해군에 특유한 것을 제외한 남베트남의 모든 병참 지원을 책임졌다. 여기에는 조달, 의료, 건설, 공병, 재정 및 회계가 포함되었으며, 미국 육군 베트남(USARV)이 유지한 통신, 항공 및 군사 경찰 지원은 제외되었다.[3]

제1병참사령부는 두 개의 주요 기지 창고와 5개의 지원 사령부를 기반으로 군수 지원 계획을 수립했다. 사이공 창고는 붕타우 및 껀터 지원 사령부를, 캄란 만 창고는 냐짱, 퀴논다낭 지원 사령부를 지원하도록 계획되었다. 그러나 미국 해병대다낭 상륙으로 해군이 제1군단 지역의 군수 작전을 담당하게 되면서 다낭 지원 사령부는 제외되었다. 또한, 메콩 삼각주 지역의 작전 규모가 예상보다 작아 껀터 지원 사령부는 활성화되지 않았다.[3]

1965년 7월, 엔지니어 여단이 남베트남에 배치되면서 엔지니어 건설 기능이 사령부에서 엔지니어 여단으로 이관되었다. 제44의무여단은 1966년 5월에 작전을 시작하여 사령부의 의료 서비스 및 보급 기능을 인수했다.[3] 1968년부터 1970년까지 제1군단 지역의 군수 기능도 점차 육군으로 이관되었다.[3]

2. 2. 1. 베트남 전쟁 당시 조직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 군사원조사령부 예하의 주월 미군에 대한 군수 지원을 총괄한 주요 지원 사령부는 다음과 같다.

사령부위치기간비고
퀴논 지원사령부 (Support Command, Qui Nhơn영어)퀴논1965년 11월 6일 ~ 1972년 4월 30일
나뜨랑 지원사령부나뜨랑1965년 11월 15일 ~ 1966년 7월 1일깜란만 지원사령부에 통합
다낭 지원사령부 (Support Command, Da Nang영어)다낭1968년 2월 25일 ~ 1972년 4월 15일
붕따우 지원사령부붕따우1965년 11월 15일 ~ 1966년 6월 1일,
1969년 4월 1일 ~ 1970년 2월 28일
사이공 지원사령부에 통합
사이공 지원사령부 (Support Command, Saigon영어)사이공1966년 4월 10일 ~ 1972년 6월 16일
캄란만 지원사령부 (Support Command, Cam Ranh Bay영어)캄란만1966년 5월 16일 ~ 1972년 6월 29일
제4수송사령부사이공1965년 ~ 1972년
제5수송사령부 (터미널)1966년 ~ 1972년
제13지원여단1965년 8월 11일 ~ 197?년
제15지원여단1966년 7월 1일 ~ 1967년 10월 20일,
1968년 9월 21일 ~ 1973년 3월 21일



이 외에도 제44의무여단, 제14재고통제소, 제524군사정보분견대, 제182병기분견대, 제533폭발물분견대 등이 있었다.

2. 3. 냉전 이후

1983년 10월, 유겐트 퓨리 작전 지원을 위해 그레나다에 전개하였다.[5] 1989년 미국의 파나마 침공 ("정당한 명분 작전")에 참여했다.[5] 1990년부터 1991년 3~4월까지 걸프 전쟁 ("사막의 방패/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여했다.[5] 1992년 8월에는 Joint Task Force Andrew를 통해 허리케인 앤드루로 초토화된 남부 플로리다 지원, 1993년 소말리아에서 국제 연합의 노력을 지원하는 희망 회복 작전,[5] 1994년 민주주의 옹호 작전을 통한 아이티 지원,[5] 1999년 Provide Refuge 등 여러 작전에 투입되었다.

2. 4. 테러와의 전쟁

2004년, 조직 개편에 따라 제18공수군단의 군단 의무대가 제44의무여단으로 전속되었다. 2006년에는 미국 중부 육군 예하 제1전구지원사령부로 재지정되었다. 한편, 사령부는 2004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0월 27일까지 이라크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이라크에 전개하였다.[15]

3. 현재 역할 및 조직

제1전구지원사령부(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TSC)는 미국 중부 사령부(USCENTCOM) 작전 지역 내에서 육군, 합동군, 범정부기관, 다국적군에 작전 수준의 군수 지원을 제공한다.[1] 또한 전구(戰區)를 재건하고, 통합 육상 작전을 수행하며, 전구 안보 협력을 수행하여 사령관의 지시를 지원한다.[1]

사령부는 켄터키주 포트 녹스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쿠웨이트에 전방 지휘소를 운영하고 있다.[1]

제1전구지원사령부는 주 지휘소와 전방 지휘소로 나뉘어 임무를 수행한다. 주 지휘소는 포트 브래그에 있고, 전방 지휘소는 쿠웨이트에 있다.

3. 1. 현재 예하 부대


  • 특수병력대대
  • 제14인적자원지원센터 - 포트 브래그
  • 제18재무관리지원센터 - 포트 브래그
  • 제316원정지원사령부 (OPCON) (육군 정규군만)
  • 제160통신여단 - 쿠웨이트, 캠프 아리프잔
  • 제651지역지원단
  • 전술통제(TACON) 부대
  • * 제595수송여단
  • * 제164병참단
  • * 해군원정군수지원전단 (전방) - 바레인 해군 지원시설
  • * TF 시나이, 제1지원대대 - 시나이반도

4. 역대 지휘관

사진계급이름취임일퇴임일비고
대령로버트 W. 듀크1965년 4월 1일1966년 1월 1일
소장찰스 W. 아이플러1966년 1월 1일1967년 6월 12일
소장쉘턴 E. 롤리스1967년 6월 12일1967년 8월 11일
소장토마스 H. 스콧 주니어1967년 8월 11일1968년 8월 1일
소장조셉 M. 하이저 주니어1968년 8월 1일1969년 8월 22일
준장휴 A. 리체슨1969년 8월 22일1969년 9월 1일
소장월터 J. 울와인1969년 9월 1일1970년 6월 26일
준장케빈 A. 레너드2006년 4월 18일2008년 8월 28일
소장제임스 E. 로저스2008년 8월 28일2010년 7월 15일
소장케네스 S. 도드2010년 7월 15일2012년 7월 2일
소장커트 J. 스타인2012년 7월 12일2014년 1월 31일
소장다렐 K. 윌리엄스2014년 1월 31일2015년 8월 3일
소장폴 C. 헐리 주니어2015년 8월 3일2017년 7월 2일
소장플렘 B. 워커 주니어2017년 7월 2일2019년 7월 2일
소장존 P. 설리번2019년 7월 2일2021년 7월 13일
소장마이클 M. 러셀 시니어2021년 7월 13일2023년 6월 23일
소장에릭 P. 셜리2023년 6월 23일현재


참조

[1] 뉴스 1st TSC Organization Day https://www.1tsc.arm[...] 2022-08-22
[2] 웹사이트 1st TSC welcomes new commanding general https://www.army.mil[...] 2023-06-27
[3] 서적 Vietnam Studies Logistic Support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4] 서적 The United States Army in Vietnam MACV: The Joint Command in the Years of Withdrawal, 1968-1973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5] 웹사이트 1st TSC Homepage https://www.1tsc.arm[...]
[6] 웹사이트 18th Financial Management Support Center https://www.1tsc.arm[...] U.S. Army 2022-11-10
[7] 웹사이트 14th Human Resources Sustainment Center https://www.1tsc.arm[...] U.S. Army 2022-11-10
[8] 웹사이트 1st TSC STB https://www.1tsc.arm[...] U.S. Army 2021-01-25
[9]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www.1tsc.arm[...] U.S. Army 2022-11-10
[10] 웹사이트 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https://www.1tsc.arm[...] U.S. Army 2022-11-10
[11] 웹사이트 Permanent Order 222-02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6-10
[12] 웹사이트 About the 1st TSC http://www.bragg.arm[...]
[13] 웹사이트 1st TSC History https://www.1tsc.arm[...] U.S. Army 2021-01-25
[14] 웹사이트 1st TSC About https://www.1tsc.arm[...] U.S. Army 2021-01-25
[15] 웹인용 'Super Group' inactivates as part of Army transformation https://www.dvidshub[...] 1st Corps Support Command Public Affair 2017-12-19
[16] 웹인용 PERMANENT ORDERS 222-0 https://history.army[...] 미국 육군 인적자원사령부 2019-05-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