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는 2018년에 개최되었으며, 윤재호 감독의 《뷰티풀 데이즈》가 개막작으로 상영되었다. 주요 섹션으로는 갈라 프레젠테이션, 아시아 영화의 창, 뉴 커런츠, 한국 영화의 오늘(파노라마, 비전), 한국 영화 회고전, 월드 시네마, 플래시 포워드, 와이드 앵글, 오픈 시네마, 특별 기획 프로그램, 미드나잇 패션, 부산 클래식 등이 있었다. 폐막작은 원화평 감독의 《엽문 외전》이었으며, 뉴 커런츠상은 《폭설》과 《호흡》, 지석상은 《로나, 아짐의 어머니》와 《아담의 갈비뼈》, 넷팩상은 《벌새》가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영화제 - 제75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2018년 베네치아에서 개최된 제75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기예르모 델 토로 심사위원장 아래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로마》가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며, 다양한 영화를 소개하고 영화인들의 업적을 기린 영화 축제이다.
  • 2018년 영화제 - 2018년 칸 영화제
    2018년 칸 영화제는 케이트 블란쳇이 심사위원장을 맡고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어느 가족》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으며, 넷플릭스 영화 배제 논란, 라르스 폰 트리에 감독의 복귀, 영화계 내 성 평등 요구 시위 등 여러 이슈가 있었던 프랑스 칸에서 개최된 영화제이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2021년 부산에서 열린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여러 국가와 장르의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의 위상을 높였으며, '온 스크린' 섹션에서 OTT 드라마 시리즈를 선보였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2014년에 개최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섹션을 통해 세계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 신인 감독을 발굴하며, 여러 부문의 상을 수여하고, 정진우 감독 회고전과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 상영 등으로 관객의 호응과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영화 축제이다.
  • 2018년 10월 -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
    고양 저유소 유증기 폭발 사고는 2018년 10월 7일에 발생하여 휘발유 탱크 폭발 및 화재로 약 43억 5천만 원의 재산 피해를 냈으며, 유독 가스로 인해 수도권 일대에 대기 오염을 유발했다.
  • 2018년 10월 -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후보가 페르난두 아다지 후보를 꺾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 탄핵 이후의 정치적 혼란과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등을 배경으로 치러졌다.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
기본 정보
공식 포스터
축제명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
영어명23r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개최 장소부산 시네마 센터
설립1995년
주최김남길, 한지민
날짜개막: 2018년 10월 4일
연혁부산국제영화제
이전22회
다음24회
개막작 및 폐막작
개막작뷰티풀 데이즈
폐막작엽문 외전

2. 주요 섹션

2. 1. 개막작

개막작은 윤재호 감독의 뷰티풀 데이즈이다.

2. 2. 갈라 프레젠테이션

갈라 프레젠테이션은 세계적인 거장 감독들의 신작이나 화제작을 소개하는 섹션이다. 츠카모토 신야의 《킬링》, 관금붕의 《초연》, 장률의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가 상영되었다.

2. 3. 아시아 영화의 창

'''아시아 영화의 창''' 섹션은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영화들을 소개하며, 폭넓은 아시아 영화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섹션이다.

  • 자파르 파나히 감독의 《3 페이스》
  • 잉량 감독의 《가족여행》
  • 브릴란테 멘도자 감독의 《알파》
  •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의 《아사코 I & II》
  • 아소카 한다가마 감독의 ''Asandhimitta''
  • 지아장커 감독의 《강산, 안녕》
  • 데바시스 마키자 감독의 ''Bhonsle''
  • 리마 다스 감독의 《벌벌 캔 싱》
  • 나딘 라바키 감독의 《가버나움》
  • 제제 타카히사 감독의 《국화와 단두대》
  • 호위딩 감독의 ''Cities of Last Things''
  • 마이크 드 레온 감독의 ''Citizen Jake''
  • 요시다 케이스케 감독의 ''Come On Irene''
  • 케이 치카우라 감독의 ''Complicity''
  • 시라이시 카즈야 감독의 ''Dare to Stop Us''
  • 수다데 카단 감독의 ''The Day I Lost My Shadow''
  • 맥쉬, 쉬즈옌 감독의 ''Dear Ex''
  • 다니엘 휘 감독의 ''Demons''
  • 송원 감독의
  • 알렉 피규라시온 감독의 ''The Eternity Between Seconds''
  • 오모리 타츠시 감독의 《매일 좋은 날》
  • 자히르 오마르 감독의 《플라이 바이 나이트》
  • 라쉬드 말리코프 감독의 ''Fortitude''
  • 아딜칸 에르자노프 감독의 《세상의 무관심》
  • 황보 감독의 《섬 (2018년 영화)》
  • 완마 차이단 감독의 《진파》
  • 브릴란테 멘도자, 라브 디아즈, 키들랏 타히믹 감독의 ''Lakbayan (Journey)''
  • 아미르 나데리 감독의 ''Magic Lantern''
  • 후카다 코지 감독의 ''The Man From the Sea''
  • 푸티퐁 아룬펜 감독의 《만타 레이》
  • 난디타 다스 감독의 《만토
  • 가린 누그로호 감독의 《내 몸의 기억》
  • 양핑다오 감독의 ''My Dear Friend''
  • 푸앙소이 악선사왕 감독의 ''Nakorn-Sawan''
  • 다르 가이 감독의 《남데브 바우: 침묵을 찾아서》
  • 미노리카와 오사무 감독의 ''No Matter How Much My Mom Hates Me''
  • 요시다 야스히로 감독의 ''Our Departures''
  • 장 웨이 감독의 ''The Rib''
  • 잠쉬드 마흐무디 감독의 《로나, 아짐의 어머니》
  • 하르딕 메타 감독의 ''Round Figure''
  • 라지쿠마르 히라니 감독의 《산주
  • 헝추슈안 감독의 ''The Scoundrels''
  • 파르캇 샤리포브 감독의 ''The Secret of a Leader''
  • 장이머우 감독의 《그림자 (2018년 영화)》
  • 치토 S. 로뇨 감독의 《시그널 록》
  • 누하쉬 후마윤, 사이드 아흐메드 샤우키 외 9명 감독의 ''Sincerely Yours, Dhaka''
  • 카말 타브리지 감독의 ''Sly''
  • 아이벡 다이르베코프 감독의 ''The Song of the Tree''
  • 하야카와 치에, 키노시타 유스케, 츠노 메구미, 후지무라 아키요, 이시카와 케이 감독의 ''Ten Years Japan''
  • 르카 수미 실란가산, 리나 B. 초우, 포-순 루, 페이-주 셰, 켁 홧 라우 감독의 ''Ten Years Taiwan''
  • 아디티야 아사랏, 위싯 사사나티엥, 찰라야논 시리폴,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의 《텐 이어스 태국》
  • 밧-암갈란 르가바자브, 이안 알라디스 감독의 ''They Sing up on the Hill''
  • 애쉬 메이페어 감독의 《세 번째 부인》
  • 라히 아닐 브라베, 아데쉬 프라사드 감독의 《툼바드》
  • 가와세 나오미 감독의 《비전 (2018년 영화)
  • 프라빈 모르찰레 감독의 ''Widow of Silence''
  • 드웨인 발타자르 감독의 ''With All My Hypothalamus''
  • 차이밍량 감독의 《당신의 얼굴》
  • 산조이 나그 감독의 《진심으로 당신을》
  • 라비 바르와니 감독의 《치유를 위한 마이의 27단계》

2. 4. 뉴 커런츠

뉴 커런츠는 아시아 영화의 미래를 이끌 신인 감독들의 경쟁 섹션이다.

  • 내 아버지들의 집 - 수바 시바쿠마란
  • 여명 - 히로세 나나코
  • 사라지는 날들 - 주신
  • 폭설 - 추이시웨이
  • 붉은 남근 - 타쉬 겔트쉔
  • 호흡 - 권만기
  • 골드 러너 - 투라즈 아슬라니
  • 벌새 - 김보라
  • 호텔 오로라 - 베크잣 피르마토프
  • 선희와 슬기 - 박영주

2. 5. 한국영화의 오늘 - 파노라마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한국영화의 오늘 - 파노라마' 섹션은 한국 상업 영화의 현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섹션이다. 이 섹션에서는 다양한 작품들이 소개되었는데, 김용화 감독의 《신과함께-인과 연》, 이해영 감독의 《독전》, 이창동 감독의 《버닝》, 황동혁 감독의 《남한산성》, 홍상수 감독의 《풀잎들》, 민규동 감독의 《허스토리》, 김지운 감독의 《인랑》, 김태용 감독의 《꼭두 이야기》, 최현영 감독의 《막다른 골목의 추억》, 하윤재 감독의 《카센타》, 조성규 감독의 《늦여름》, 강동헌 감독의 《기도하는 남자》, 신아가와 이상철 감독의 《속물들》, 윤종빈 감독의 《공작》, 김정식 감독의 《돌멩이》, 이준익 감독의 《변산》, 박훈정 감독의 《마녀》 등이 상영되었다.

2. 6. 한국영화의 오늘 - 비전

한국영화의 오늘 - 비전 섹션에서는 한국 독립 영화의 현재와 미래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작품들이 소개되었다. 이 섹션에는 김무영 감독의 밤빛, 이옥섭 감독의 메기, 안주영 감독의 보희와 녹양, 한가람 감독의 아워 바디, 김진유 감독의 나는보리, 김영남 감독의 오리의 웃음, 김유리 감독의 영하의 바람, 차성덕 감독의 영주, 김준식 감독의 계절과 계절 사이, 박현용 감독의 멀리가지마라 등이 포함되었다.

2. 7. 한국영화회고전

1980년대 한국 영화 리얼리즘을 이끈 이장호 감독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다. 대표작으로는 바람 불어 좋은 날, 어둠의 자식들, 바보 선언, 어우동, 시선, 별들의 고향, 나그네는 길에서도 쉬지 않는다, 과부춤 등이 있다.

2. 8. 월드 시네마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월드 시네마' 섹션에서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이 섹션에는 알바로 브레히너의 《12년의 밤》, 루이스 오르테가의 《엔젤》, 스테판 브리제의 《앳 워》, 에단 코언, 조엘 코언 형제의 《카우보이의 노래》, 치로 구에라, 크리스티나 갈레고의 《길 위의 새들》, 랜스 데일리의 《블랙 47》, 에단 호크의 《블레이즈》, 알리 아바시의 《경계선》, 훌리오 에르난데스 코르동의 《내게 총을 줘》, 마리오 마르토네의 《카프리 레볼루션》, 이고르 볼로신의 《셀라》, 가스파 노에의 《클라이맥스》, 다비드 오엘호펜의 《클로즈 에너미》, 파벨 포리코브스키의 《콜드 워》, 나단 젤너, 데이비드 젤너 형제의 《댐즐》, 하갈 벤-애셔의 《여자 사형수 이야기》, 마테오 가로네의 《도그맨》, 펠리페 바르보사, 클라라 린하르트의 《일요일》, 세르게이 로즈니차의 《돈바스》, 아쉬가르 파라디의 《누구나 아는 비밀》, 데니 아르캉의 《미제국의 추락》, 데이미언 셔젤의 《퍼스트맨》, 알리체 로르와커의 《행복한 라짜로》, 클레어 드니의 《하이 라이프》, 킴 누옌의 《벌새 프로젝트》, 라드 주드의 《나는 야만의 역사로 거슬러가도 상관하지 않는다》, 장 뤽 고다르의 《이미지 북》, 율리히 쿨러의 《인 마이 룸》, 요르고스 파노우소폴로스의 《우는 법을 모르는 자들의 땅》, 예스퍼 갠스란트의 《지미》, 사라 코랑겔로의 《킨더가튼 티처》, 발트빈 조포니아손의 《렛 미 폴》, 파올로 소렌티노의 《그때 그들》, 구스타보 피지의 《러블링》, 엠마누엘 무레의 《마드모아젤》, 테리 길리엄의 《돈키호테를 죽인 남자》, 아리 알렉산더 에르지스 마그누손의 《미켈》, 마우고시카 슈모프스카의 《얼굴》, 플로리안 헨켈 폰 도너스마르크의 《작가 미상》, 올리비에 아사야스의 《논픽션》, 카를로스 레이가다스의 《우리의 시간》, 알폰소 쿠아론의 《로마》, 자밀 X.T. 쿠베카의 《피부에 스며드는 겨울》, 자크 오디아드의 《시스터스 브라더스》, 크리스토프 오노레의 《쏘리 엔젤》, 사이몬 펠로우스의 《스틸 컨트리》, 라즐로 네메스의 《선셋》, 피에르 살바도리의 《트러블 위드 유》, 누리 빌게 제일란의 《야생 배나무》, 베네딕트 얼링슨의 《어느 여자의 전쟁》 등이 상영되었다.

2. 9. 플래시 포워드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 플래시 포워드 섹션에서는 새로운 영화적 시각과 스타일을 선보이는 신진 감독들의 작품을 선보였다. 이 섹션에는 곤잘로 토발의 《피고인 돌로레스》, 안드레아스 골드스타인의 《아담과 에블린》, 마르쿠스 슐레진저의 《안젤로》, 아르만도 보의 《애니멀》, 지에드르 비노리우트의 《차가운 숨결》, 릴라 아빌레스의 《메이드》, 라스머스 클로스터 브로의 《커터헤드》, 앤드루 훌미의 《데빌 아웃사이드》, 라이언 토힐과 앤디 토힐의 《죽은 자를 찾아서》, 엘레나 트라페의 《마음의 거리》, 아르투로 인팬트의 《셀레스테 가르시아의 특별한 여행》, 카멜 윈터스의 《나비처럼 날아서》, 아그니에슈카 스모친스카의 《낯선 여행》, 키스 베어맨의 《작은 거인들》, 루카스 돈트의 《걸》, 마틴 터크의 《운수 좋은 날》, 무니카 시멧츠의 《나의 작은 동무》, 파올로 주카의 《달을 사 버린 남자》, 나타샤 메르쿨로바와 알렉세이 추포프의 《모두를 놀라게 한 남자》, 알론소 루이즈팔라시오스의 《박물관 도적단》, 기욤 세네즈의 《우리의 투쟁》, 엘사 아미엘의 《펄》, 와누리 카히우의 《라피키, 친구》, 클레르 뷔르게의 《진정한 사랑》, 발레리오 미엘리의 《기억하니?》, 카글라 젠키르치와 기욤 지오바네티의 《시벨》, 메리엠 벰’바레크의 《소피아》, 루지에 루스의 《카메라를 든 소녀》, 니콜라우스 레이트너의 《담배 가게의 프로이트》, 마리 몽쥬의 《트리트 미 라이크 파이어》, 라우라 루체티의 《트윈 플라워》, 모친 베스리의 《얼전트》, 르네 엘러의 《위》, 레티치아 라마르티레의 《영원히 젊고 아름다워라》, 미셀 아비아드의 《여자의 비애》등 다양한 작품들이 포함되었다.

2. 10. 와이드 앵글

화씨 11/9 - 마이클 무어

라스트 씬 - 박배일

고든과 파디 - 린다 함벡

연변소년 - 웨이슈준

집 보러 왔어요 - 니콜 미도리 우드퍼드

미래의 미라이 - 호소다 마모루

마녀 사냥꾼 - 라스코 밀리코비치

화해의 조건 - 빙 리우

타워 - 매츠 그로루드

소년이란 이름의 남자들 - 앤드류 스테픈 리

암흑 속의 수영 - 수프리요 센

고장난 보청기 - 디몬 존

서식지 - 홍의정

시험지를 찾아라! - 쇼키 린

다운 - 이우수

분무기 - 오은영

위태로워야 했던 건 오직 우리뿐 - 한유원

파란 새우 - 치지

폴란드로 간 아이들 - 추상미

황금 - 리용차오

오버 데어 - 장민승

렌항을 위하여 - 루이 왕 핑

달 밝은 밤에, 타티니 - 아비나쉬 비크람 샤하

내가 숨쉬는 공기 - 아이잔 카심벡

이별시 - 엑타 미탈

전쟁의 기억 - 마르코 벨로치오

춘분 - 석진혁

릴리와 동물 친구들 - 요아킴 마사넥

군대 - 박경근

풀뿌리들의 노래 - 유다 쿠르니아완

BNK48: 소녀는 울지 않는다 - 나와폰 탐롱라타라닛

신들의 땅 - 케빈 피아몬테

캣데이 애프터눈 - 권성모

민혁이 동생 승혁이 - 김덕근

좁은 문 - 김윤미

아프리카에도 배추가 자라나 - 이나연

무기력한 하루 - 쉬지엔샹

화성 가는 길 - 조지훈

무녀도 - 안재훈

나의 노래: 메아리 - 정일건

다음에 만날 때까지 - 폴리 황

어린이는 오늘도 - 사라 몸타지안 외 2명

기억과 망각 - 제임스 T. 홍

크로싱 비욘드 - 이승준

광화 - 촛불로 역사를 피우다 - 넝쿨

씨클린, 코코, 꼬마 코뿔소의 모험 - 야니크 하스트럽

치-타운 - 닉 부다빈

화염 속의 세상 - 로로베르토 미네르비니

만델라와 동지를 거부한 국가 - 니콜라 샹포 외 1명

선물 - 아디티야 아메드

섹스, 공포, 햄버거 - 엘다르 시바노프

가상현실 - 하리얄리 데사이

치킨 파이터즈 - 고현지

백만 년 - 산 다넥

눈의 마음: 이후 - 김소영

김군 - 강상우

푸난 - 데니스 도

마지막 주문 - 조지 빌라누에바 알론소

바다 저 편에 - 김시진

스트레인저 - 김유준

엄마와 딸과 악몽 - 린 두옹

꼬마 누레 - 애시쉬 판디

얼룩진 마음 - 눈타낫 두앙티사른

반신반의 - 박찬경

태어나 줘서 고마워! - 엔젤 수 외 1명

녹차의 중력 - 정성일

백두 번째 구름 - 정성일

기억의 전쟁 - 이길보라

마왕의 딸 이리샤 - 장형윤

오키나와의 소년병 - 미카미 치에 외 1명

커밍 아웃 - 드니 페로

눈물 - 오성호

사령혼: 죽은 넋 - 왕빙

브루스 리와 무법자 - 유스트 반데브루크

재판 - 세르게이 로즈니차

슈퍼 동자승 - 세낭 기암조 타망

어느 여름 밤 - 야쉬 사완트

문을 열면 - 잠양 잠쇼 왕척

내가 모른 척한 것 - 한혜성

리틀보이 12725 - 김지곤

몽키매직 - 마시하이

중국의 자화상 - 왕 샤오슈아이

디어 마이 지니어스 - 구윤주

방문 - 명소희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주 전장(戰場) - 미키 데자키 이 영화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부정하고 있어, 역사 왜곡 논란의 중심에 있다.

도쿄 21st 옥토버 - 오쿠야마 히로시

저기 저 아래 - 쩡판 양

비밀 편지 - 아니사 사비리

린 다 케브라다 이야기 - 키코 고이프만 외 1명

18세가 되면 - 호 차오 티

이 모든 것들 - 찰스 윌리엄스

2. 10. 1. 한국 단편 경쟁


  • 바다 너머 - 김시진 (대한민국)
  • 고양이의 오후 - 권성모 (대한민국)
  • 닭싸움 - 고현지 (대한민국)
  • 아프리카에도 배추가 자라나요? - 이나연 (대한민국)
  • 다운 - 이우수 (대한민국)
  • 서식지 - 홍의정 (대한민국)
  • 나의 작은 형, 승혁 - 김덕근 (대한민국)
  • 좁은 문 - 김윤미 (대한민국)
  • 오직 우리 모두 - 한유원 (대한민국)
  • 그녀에게 가는 길 - 조지훈 (대한민국)
  • 춘분 - 석진혁 (대한민국)
  • 낯선 사람 - 김유준 (대한민국)
  • 눈물 - 오승호 (대한민국)
  • 물보라 - 오은영 (대한민국)

2. 10. 2. 아시아 단편 경쟁


  • 렌항을 위하여/为任航举杯중국어 - 레이 위안빈(Yuan Bin Lei) (싱가포르/중국 마카오)
  • 백만 년/មួយលានឆ្នាំkm - 산 다네치(SAN Danech) (캄보디아)
  • 공기/Ауаkk - 아이자나 카심베크(Aizhana Kassymbek) (카자흐스탄)
  • 종이 쫓기/追考卷중국어 - 린 쇼키(Shoki Lin) (싱가포르)
  • 금/金중국어 - 리 용차오(Yong Chao LEE) (대만/미얀마)
  • 푸른 빛 가운데에서/兰色的虾중국어 - 치 지(QI Ji) (중국)
  • 오늘 밤 달은 밝다/आज रात चन्द्रमा उज्यालो छne - 아비나쉬 비크람 샤 (네팔/미얀마)
  • 어머니, 딸, 꿈/MẸ, CON GÁI VÀ NHỮNG GIẤC MƠvi - 린 듀엉(Linh Duong) (베트남)
  • 누레/नूरीhi - 아시쉬 판데이(Ashish Pandey) (인도)
  • 유사성/सादृश्यhi - 하리얄리 데사이(Hariyali DESAI) (인도)
  • 얼룩/รอยเปื้อนth - 눈타낫 두앙티산(Nuntanat Duangtisarn) (태국)
  • 도쿄 21일 10월/東京10月21日일본어 - 오쿠야마 히로시(OKUYAMA Hiroshi) (일본)
  • 공백/空중국어 - 쉬 지안상(XU Jianshang) (중국)
  • 끊어진 파도/කැඩිච්ච රළsi - 디몬 존(Dimon John) (스리랑카)

2. 10. 3. 단편 쇼케이스


  • A Cold Summer Night영어 - 야쉬 사완트(Yash SAWANT) (인도)
  • A Gift영어 - 아디티아 아흐마드(Aditya Ahmad) (인도네시아)
  • All These Creatures영어 - 찰스 윌리엄스(Charles WILLIAMS) (호주)
  • 믿거나 말거나한국어 - 박찬경 (한국)
  • The Crying of Tanbur영어 - 아니사 사비리(Anisa Sabiri) (타지키스탄)
  • Down There영어 - 양정판(YANG Zhengfan) (중국/프랑스)
  • The Fight영어 - 마르코 벨로키오 (이탈리아)
  • Heart of Snow: afterlife영어 - 김소영 (한국)
  • Last Order영어 - 조지 빌라누에바 알론소(Joji Villanueva Alonso) (필리핀/싱가포르)
  • Manila is Full of Men Named Boy영어 - 앤드류 스티븐 리(Andrew Stephen LEE) (필리핀/미국)
  • ON THE BORDER영어 - 웨이 슈준(WEI Shujun) (중국)
  • The Open Door영어 - 자미앙 잠초 왕추크 (부탄/영국)
  • Over There영어 - 장민승 (한국)
  • Permanent Resident영어 - 니콜 미도리 우드포드(Nicole Midori WOODFORD) (싱가포르)
  • Sex, Fear, and Hamburgers영어 - 엘다르 시바노프(Eldar SHIBANOV) (카자흐스탄)
  • Supermonk영어 - 셰낭 걈조 타망(Shenang Gyamjo TAMANG) (대만/네팔)
  • Till Next Time영어 - 폴리 황 츠지아(Paulie HUANG Chih Chia) (대만)

2. 10. 4. 다큐멘터리 경쟁


  • 기억의 전쟁한국어 - 이길보라 (대한민국)
  • ARMY - 박경근 (대한민국)
  • 김군 - 강상우 (대한민국)
  • Opening Closing Forgetting영어 - 제임스 T. 홍(대만)
  • Our Happy Birth Day영어 - 수 엔젤, 첸 미미 (대만)
  • Re-sound한국어 - 정일건 (대한민국)
  • 주전장: 위안부 문제의 격전지영어 - 데자키 미키 (미국/일본)
  • The Song of Grassroots영어 - 유다 쿠르니아완 (인도네시아)
  • 낯선 자들한국어 - 명소희 (대한민국)
  • 어둠 속을 헤엄쳐영어 - 수프리요 센 (인도)
  • 알려지지 않은 알려짐한국어 - 한혜성 (대한민국)

2. 10. 5. 다큐멘터리 쇼케이스


  • Absence영어 - 엑타 미탈 (인도)
  • BNK48: Girls Don′t Cry영어 - 나와폴 탐롱라타나릿 (태국)
  • Boy Soldiers: The Secret War in Okinawa영어 - 미카미 치에, 오야 하나요 (일본)
  • Bruce Lee and the Outlaw영어 - 조스트 반데부르그 (영국/네덜란드/체코)
  • Chi-Town영어 - 닉 부다빈 (미국)
  • 폴란드로 간 아이들 - 추상미 (한국)
  • Chinese Portrait중국어 - 왕 샤오슈아이 (중국/홍콩)
  • 구름, 앙코르 - 정성일 (한국)
  • 크로싱 비욘드 - 이승준 (한국)
  • 데드 소울즈 - 왕빙 (프랑스/스위스)
  • 디어 마이 지니어스 - 구윤주 (한국)
  • 화씨 11/9 - 마이클 무어 (미국)
  • 차의 중력 - 정성일 (한국)
  • Land of the Gods영어 - 케빈 피아몬테 (필리핀)
  • 라스트 씬 - 박배일 (한국)
  • 촛불을 켜고 역사를 쓰다 - 촛불 혁명한국어 - 넝쿨 (한국)
  • Littleboy 12725영어 - 김지곤 (한국)
  • Minding the Gap영어 - 류 빙 (미국)
  • Out프랑스어 - 드니 파로 (프랑스)
  • The State Against Mandela and the Others영어 - 니콜라스 샹포, 질 포르트 (프랑스/남아프리카 공화국)
  • 트레니 팹 - 키코 고이프만, 클라우디아 프리실라 (브라질)
  • The Trial영어 - 세르게이 로즈니차 (네덜란드)
  • Turning 18중국어 - 허차오디 (대만)
  • 세상이 불타면 너는 무엇을 할 거니? - 로베르토 미네르비니 (이탈리아/미국/프랑스)

2. 10. 6. 시네키즈

야니크 하스트럽의 씨클린, 코코, 꼬마 코뿔소의 모험/Cirkeline, Coco og det vilde næsehornda, 린다 함벡의 고든과 패디, 요아킴 마사넥의 릴리와 동물 친구들/Liliane Susewind - Ein tierisches Abenteuerde, 사라 몸타지안, 예사헬 뉴턴, 마페르 아가히의 어린이는 오늘도/Once in a Child′s Life영어, 라스코 밀리코비치의 마녀 사냥꾼/Zlogonjesr

2. 10. 7. 애니메이션 쇼케이스


  • 푸난/Funan프랑스어 - 드니 도 (프랑스/벨기에/룩셈부르크)
  • 이레샤: 요정왕의 딸/이레샤: 요정왕의 딸한국어 - 장형윤 (대한민국)
  • 미라이 - 호소다 마모루 (일본)
  • 몽키 매직 - 마 시하이 (중국)
  • 무녀도 - 안재훈 (대한민국)
  • 더 타워 - 마츠 그로루드 (노르웨이/프랑스/스웨덴)

2. 11. 오픈 시네마

오픈 시네마는 대중성과 작품성을 겸비한 영화들을 야외 상영하는 섹션이다. 상영작은 다음과 같다.

2. 12. 특별기획 프로그램

필리핀 영화 100주년을 기념하여 필리핀 영화 특별전이 개최된다. 이 특별전에서는 치토 S. 로노의 《70년대》, 람베르토 V. 에벨라나의 《필리핀 예술가의 초상》, 에디 로메로의 《그때 우리는》, 페르난도 포 주니어의 《대장장이 플라비오》, 리노 브로카의 《카인과 아벨》, 렘렘튼 시에가 수아솔라의 《엘류테리아의 꿈》, 이스마엘 베르날의 《기적》, 마리로 디아즈-아바야의 《모랄》, 마이크 드 레온의 《3세계 영웅》, 마리오 오하라의 《신이 부재한 3년》이 상영된다.

2. 13. 미드나잇 패션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미드나잇 패션 섹션은 심야 상영을 통해 스릴러, 공포, 액션 등 장르 영화의 쾌감을 선사하는 섹션이다. 이 섹션에서는 조 페나의 《아틱》, 요아브 파즈와 도론 파즈의 《골렘》, 데이빗 고든 그린의 《할로윈》, 라스 폰 트리에의 《그 남자가 그린 집》, 롭 헤이던의 《이사벨》, 저스틴 맥코넬의 《영혼의 사투》, 지미 헨더슨의 《더 프레이》, 크리스토퍼 부의 《미결처리반4: 순수의 배신》, 콜린 미니한의 《죽어도 살아야 한다》 등이 상영되었다.

2. 14. 부산 클래식

부산 클래식은 영화사의 걸작들을 다시 스크린으로 만나는 섹션이다. 이 섹션에서는 밀로스 포만의 《블랙 피터》, 천카이거의 《패왕별희》, 호금전의 《영춘각지풍파》, 송 라브렌티의 《고려사람》 및 《바둘의 땅》, 라지쿠마르 히라니의 《문나 형님, 의대에 가다》, 오손 웰즈의 《바람의 저편》, 파올로 타비아니와 비토리오 타비아니의 《빠드레 빠드로네》, 레스트 제임스 페리에스의 《레카바》, 처드 송스리의 《상처》, 잉그마르 베르히만의 《제7의 봉인》, 최국인의 《용의 해》가 상영되었다.

2. 15. 폐막작

원화평이 감독한 엽문 외전이 폐막작으로 선정되었다.

3. 수상


  • '''뉴 커런츠상'''
  • *''클린 업'' - 권만기 (대한민국)[3][4][5]
  • *''SAVAGE'' - 추이 시 웨이(중국)
  • '''BIFF 메세나상'''
  • *''ARMY'' - 박 켈빈 (대한민국)
  • *''Opening Closing Forgetting'' - 제임스 T. 홍 (대만)
  • '''심사위원 특별언급''': ''A War of Memories'' - 이보라 (대한민국)
  • '''손제상'''
  • *''고양이의 오후'' - 권성모 (대한민국)
  • *''NOOREH'' - 아시시 판데이 (인도)
  • '''올해의 배우상'''
  • *최희서 - ''얼굴'' (대한민국)
  • *이주영 - ''메기'' (대한민국)
  • '''국제영화평론가협회상'''
  • *''붉은 팔루스'' - 타시 걀첸 (부탄/독일/네팔)
  • '''넷팩상'''
  • *''벌새'' - 김보라 (대한민국)
  • '''김지석상'''
  • *''The Rib'' - 장 웨이 (중국)
  • *''로나, 아짐의 어머니'' - 잠시드 마흐무디 (아프가니스탄/이란)
  • '''시민평론가상'''
  • *''메기'' - 이옥섭 (대한민국)
  • '''부산 씨네필상'''
  • *''브루스 리 앤 더 아웃로'' - 조스트 반데브루그 (영국/네덜란드/체코)
  • '''DGK상'''
  • *''보리'' - 김진유 (대한민국)
  • *''영하의 바람'' - 김유리 (대한민국)
  • '''CGV 아트하우스상'''
  • *''메기'' - 이옥섭 (대한민국)
  • '''KBS 독립영화상'''
  • *''메기'' - 이옥섭 (대한민국)
  • '''KTH상'''
  • *''클린 업'' - 권만기 (대한민국)
  • *''어른도감'' - 안주영 (대한민국)
  •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
  • *사카모토 류이치 (일본)[6]
  • '''한국 영화 공헌상'''
  • *마틴 테루안 (프랑스)
  • *장-마르크 테루안 (프랑스)

3. 1. 뉴 커런츠상

추이시웨이의 《폭설》과 권만기의 《호흡》이 뉴 커런츠상을 수상했다.

3. 2. 지석상

잠쉬드 마흐무디의 《로나, 아짐의 어머니》, 장 웨이의 《아담의 갈비뼈》가 지석상을 수상했다.

3. 3. 선재상

권성모의 캣데이 애프터눈과 애시쉬 판디의 꼬마 누레가 선재상을 수상했다.

3. 4. 넷팩상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김보라의 벌새가 넷팩상을 수상했다.

3. 5. 국제영화평론가 협회상

타쉬 겔트쉔의 붉은 남근이 수상하였다.

3. 6. KNN 관객상

김보라의 벌새가 KNN 관객상을 수상했다.

3. 7. 올해의 배우상

메기의 이주영과 아워 바디최희서가 올해의 배우상을 수상했다.

3. 8. 비프 메세나상

제임스 T. 홍의 리치 포 더 스카이/Reach for the SKY영어박경근의 솔져스 메모토스/A Soldiers Mementos영어가 수상하였다.

3. 8. 1. 비프메세나상 특별언급

기억의 전쟁 - 이길보라

3. 9. 한국영화감독조합상- 감독상

나는보리의 김진유와 영하의 바람의 김유리가 한국영화감독조합상- 감독상을 수상했다.

3. 10. BNK부산은행상

나의 작은 동무 - 무니카 시멧츠

3. 11. 시민평론가상

이옥섭메기가 시민평론가상을 수상했다.

3. 12. 부산시네필상

유스트 반데브루크의 브루스 리와 무법자가 수상하였다.

3. 13. KTH상

권만기 감독의 《호흡》과 안주영 감독의 《보희와 녹양》이 KTH상을 수상했다.

3. 14. KBS독립영화상

이옥섭메기가 KBS독립영화상을 수상했다.

3. 15. CGV 아트하우스상

이옥섭메기가 수상하였다.

3. 16. 공로상

홍영철이 수상하였다.

3. 17.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

류이치 사카모토가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을 수상했다.

3. 18. 한국영화공로상

마르틴 떼루안느와 장 마르끄 떼루안느가 수상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Busan: North Korean Defector Drama ''Beautiful Days'' to Open Festival https://www.hollywoo[...] 2018-09-03
[2] 웹사이트 23r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Vision's Night Award Announcement http://biff.kr/eng/a[...] 2018-09-12
[3] 웹사이트 23rd Busan film festival closes with new task of staying relevant http://english.yonha[...] 2018-10-13
[4] 웹사이트 Busan: 'Clean Up,' 'Savage' Share New Currents Prizes https://www.hollywoo[...] 2018-10-13
[5] 웹사이트 23r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Vision's Night Award Announcement http://www.biff.kr/e[...] 2018-10-13
[6] 웹사이트 Busan: Ryuichi Sakamoto Named Asian Filmmaker of the Year https://www.hollywoo[...] 2018-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