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5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5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으로, 1953년 4월 21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중에 강원도 설악산 부근에서 창설되었다. 1·21 사태 당시 사단 관할 지역에서 무장 공비 침투 사건이 있었고, 1974년에는 제1땅굴을 발견했다. 사단은 제70, 71, 72 보병여단과 포병여단으로 구성되며, 2020년 12월 예하 연대가 여단으로 승격되었고, 2023년 12월에는 신병교육대대가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주시 소재의 관공서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양주시 소재의 관공서 - 양주경찰서
    양주경찰서는 경기도 양주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경찰서로, 2003년 12월 의정부경찰서에서 분리되어 현재 양주시 평화로에 위치하며 1개의 지구대와 8개의 파출소를 관할한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7보병사단 "이기자부대"는 1953년 창설되어 강원도 화천군 일대 수색 및 경계를 주 임무로 수행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101경비대대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2022년 국방개혁 2.0으로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25보병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제25보병사단
원어 명칭第二十五步兵師團
제25보병사단 휘장
휘장
창설일1953년 4월 21일
병과보병
종류사단
상급 부대제1군단
주둔지경기도 양주시
별칭비룡부대(飛龍部隊)
표어천하무적 상승 비룡, 단결 견적필살
군가25사단가
참전한국전쟁
현재 지휘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고태남
현재 지휘관 직책사단장
위치 정보

2. 역사

한국전쟁 휴전 협정이 진행 중이던 1953년 4월 21일, 강원도 설악산 부근에서 창설되었다. 전쟁 막바지에 창설되어 한국전쟁 당시의 실질적인 전과는 없다.

창설 이후 총 9차례의 부대 이동을 거쳐 1964년 3월 15일부터 현재의 위치에 주둔하기 시작했다. 휴전 이후 36차례의 대간첩 작전을 수행하였다.

주요 사건으로는 1968년 1월 21일, 김신조 등 북한 무장 공비가 침투한 1.21 침투 사건 당시 이들의 침투 경로가 사단 관할 지역 내에 있었던 점, 1974년 11월 15일 경기도 연천군에서 제1땅굴을 발견한 것, 그리고 1979년 인민군 상사의 귀순을 유도한 사례 등이 있다.

2020년 12월 1일에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예하 연대들이 여단으로 승격되었으며, 2023년 12월에는 입영 자원 감소 추세에 따라 1군단 예하의 다른 사단들과 함께 신병교육대대가 해체되었다.[35]

2. 1. 창설

한국전쟁 휴전 협정이 진행 중이던 1953년 4월 21일, 강원도 설악산 부근에서 제22보병사단과 같은 날 16번째로 창설되었다. 한국전쟁 막바지에 창설되었기 때문에 실제 전쟁에서의 전과는 없다.

같은 해 5월 15일, 양양군 대포리 비행장(현 속초시 대포동)에서 사단기 수여식이 거행되었으며, 초대 사단장은 문용채 대령[3]이었다. 창설 직후인 1953년 7월 7일에는 제70연대가 제21사단 제63연대의 진지를 인수했으며, 7월 13일에는 포병 제217대대 및 제632대대가 서울 청파동에서 양구로 이동하여 미군 제40사단에 배속되었다.

이후 총 9차례의 부대 이동을 거쳐 1964년 3월 15일부터 현재 위치에 주둔하게 되었다.

2. 2. 한국전쟁 이후

한국전쟁 휴전 협정이 진행 중이던 1953년 4월 21일 강원도 설악산 부근 영양에서 제22보병사단과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창설되었다. 초대 사단장은 문용채 대령[3]이었으며, 같은 해 5월 15일 양양군 대포리 비행장(현 속초시 대포동)에서 사단기 수여식이 거행되었다. 한국전쟁이 거의 끝나갈 무렵 창설되었기 때문에 실제 전쟁에서의 전과는 거의 없다.

1953년 7월 7일, 제70연대가 제21사단 제63연대의 진지를 인수했으며, 7월 13일에는 포병 제217대대 및 제632대대가 서울 청파동에서 양구로 이동하여 미군 제40사단에 배속되었다.

휴전 이후에는 총 36차례의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다. 총 9차례의 부대 이동을 거쳐 1964년 3월 15일부터 현재의 위치에 주둔하게 되었다.

1968년 1월 21일, 김신조를 포함한 북한 무장 공비 30여 명이 대통령 관저 습격을 목표로 침투한 1.21 침투 사건 당시, 이들의 침투 경로는 제25보병사단의 관할 구역 내에 있었다. 이는 당시 군 경계 태세의 허점을 드러낸 사건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1974년 11월 15일,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포춘리에서 북한이 남침을 위해 판 제1땅굴을 발견하였다. 이는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 위협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79년에는 인민군 제3사단 민경대대 소속 안찬일 상사의 귀순을 유도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1991년 말, 제1땅굴 인근인 백학면 구미리에서 한 민간단체가 '제5땅굴'(통칭 '연천 땅굴')로 추정되는 것을 발견했을 때 조사에 참여했으나, 2000년에 이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동굴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4][5].

2012년에는 한국야쿠르트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6].

2020년 12월 1일, 국방개혁 2.0 계획에 따라 사단 예하의 보병 연대들이 여단으로 승격 및 개편되었다.

2023년 12월, 지속적인 입영 자원 감소 추세에 따라 1군단 예하 사단인 제1보병사단, 제9보병사단과 함께 제25보병사단의 신병교육대대가 해체되었다.[35]

3. 편성


  • 사단 본부[1][2]
  • * 본부대
  • * 정보대
  • * 방공대
  • * 수색대대
  • * 공병대대
  • * 전차대대
  • * 정보통신대대
  • * 군수지원대대
  • * 군사경찰대
  • * 의무대대
  • * 화생방대대
  • 제70보병여단 (K808 장갑차 장비)[36]
  • * 여단본부
  • * 제1대대 "만월봉"
  • * 제2대대 "무건봉"
  • * 제3대대 "국사봉"
  • * 군수지원대대
  • 제71보병여단 (K808 장갑차 장비)
  • * 여단본부
  • * 제1대대 "감악산"
  • * 제2대대 "설마리"
  • * 제3대대 "상승"
  • * 군수지원대대
  • 제72보병여단 (K808 장갑차 장비)
  • * 여단본부
  • * 제1대대 "용바위"
  • * 제2대대 "비룡"
  • * 제3대대 "파평산"
  • * 군수지원대대
  • 포병여단 (K9 자주포 장비)
  • * 여단본부
  • * 제206포병대대 "청룡"
  • * 제213포병대대 "천둥"
  • * 제217포병대대 "번개"
  • * 제632포병대대 "왕포"


1950년대 제25보병사단 병사들.


전투 훈련 중인 제25보병사단 병사들 (총열에 MILES 훈련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4. 역대 사단장

wikitext

성명계급재임 기간출신 학교 · 기수전직후임비고
1문용채대령1954.4.19 - ?봉천 5기[7]제16연대장
2유해준[8]1956 - 1957.7군영 1기남부지구 경비사령관보병학교장
3장호진준장1957.7 - 1957.8[9]육군대학 입학
4서종철준장1957.8 - 1959.7.25[10][11]경비 1기제31사단장제1군 참모장
5최영규1959.7.25 - 1959.12.3[12]제3항만 사령관육군본부 부속소속 L-19 항공기 월북 사건으로 해임[13]
6오창근1959.12.3 - 1961?경비 1기[14]1군 기획참모 부장[15]
7김재명1961 - 1963육사 2기제30사단장제3군관구 사령관
8이승우[16]준장1963 - 1965?육사 8기문교부 차관?
9곽철종[17]준장1965 - 1966.5육사 4기제32사단장제6군관구 부사령관
10장호강1966.5 - 1967.12육사 8기 특제38사단장군수기지사령부 부사령관
11손장래1967? - 1969?육사 9기제30사단장합동참모본부 전략기획국장
12김용휴1969? - 1973.8육사 7기주월 부사령관제6군단
...
19김영규[18]1978 - 1980갑종 4기?동해 경비사령관
20김기택[19]1980 - 1981육사 11기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제1군 참모장
21?1981 - ???
22이대희[20]? - 1985.5육사 15기?육군본부 인사참모부장[21]하나회 회원
23임복진1985.5 - 1987육사 17기[22]?전투병과학교장
24장성1987 - 1988육사 18기국방부 투자사업조정관육군본부 정책기획실장[23]김대중 정부 국방부 장관 역임
25김무웅1988 - 1992?육사 20기?한미 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24]하나회 회원
26유효일1992? - 1993?육사 22기수도포병여단육군대학 총장[25]하나회 회원
27박영익? - ?육사 23기제7군단 작전참모국방부 획득개발국장
28임창규1995? - 1996.4??예비역
29서종표1996.4 - 1999.4육사 25기수도포병여단육군본부 감찰관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30?1999.4 - 2000
31조재토2000 - 2002.4학군 9기제3군 군수처장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26]
32이광동[27]2002.4 - 2004.6육사 30기제2군 작전처장제3군 부사령관
33?2004.6 - 2006.5
34임응순2006.5 - 2008.4육사 33기?정보사령관[28]
35김종출2008.4 - 2010.6.30육사 35기?제3군 참모장[29]
36신동만2010.6.30[30] - 2012.5삼사 14기한미연합군사령부 지상군계획과장[31]육군포병학교 교장
37변재선2012.5 - 2014.5육사 39기수도군단 참모장육군본부 정보화기획실장[32]
38서욱2014.4 - 2015.11.2육사 41기제93연대장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문재인 정부 국방부 장관 역임
39안영호2015.11.2[33] - 2017.9육사 42기국방부 전비태세검열단 부단장제1군단
40정찬환2017.9 - 2019.5육사 44기제3군 군수처장육군 군수사령부 참모장
41고태남2019.5 - 2021.5육사 46기지상작전사령부 군사지원참모부장육군인사사령관
42고현석2021.6 - 2022.6학사 29기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전력계획차장제7기동군단


5. 사단 마크 (부대 표지)

현재 사용되는 부대 마크는 25사단을 의미하는 숫자 25를 각지게 표현한 것이다. 흰색 테두리에 평화를 나타내는 녹색으로 칠해진 아래를 향한 오각형 안에, 한민족을 나타내는 흰색으로 숫자 25가 적혀 있다. 오각형은 화랑 정신(인, 의, 예, 지, 신 또는 충효용의신)을, 숫자는 부대 번호를 의미한다. 바탕의 녹색은 평화와 이상을, 흰색은 백의민족의 순결과 단일성을, 외곽선(흰색 테두리)은 철통 같은 방어진을 상징한다. 이 마크는 1960년 11월 29일, 당시 사단장이었던 김재명 소장이 25cm 정오각형을 기준으로 이전 마크를 수정하여 제정한 것이다.

1970년대 이전에 사용되었던 부대 마크는 현재와 다른 모습이었다. 흰색 테두리가 없었으며, 용처럼 생긴(혹은 각 3개의 돌기가 달린) 숫자 2와 5 사이에 전우애를 상징하는 붉은색 하트가 있었다[34]. 이 초기 마크는 1953년 5월 11일에 제정되었는데, 전체적인 형태는 당시 사단장 문용채 준장이, 하트 마크는 그의 부인이 제안한 것이었다.

6. 사단가

우리는 감악산

기상받은 민족의 방패

언제나 무쇠같이

타오르는 왕성한 투지

줄기찬 사기속에

이룩된다 자유와 평화

우리들 가는곳에

휘날리는 승리의 깃발

(후렴)

아~ 아~ 여기한데 뭉친

대한의 간성 25사단

아~ 아~ 여기한데 뭉친

대한의 간성 25사단

참조

[1] 웹사이트 '보병사단 기동화 첫 걸음', K808 차륜형장갑차 양산 시작 https://www.sedaily.[...] 2018-09-10
[2] 웹사이트 2019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군부대) 운영단체-교육시설 목록 https://www.mcst.go.[...] Republic of Korea Army (ROKA) 2022-05-19
[3] 뉴스 李承晩大統領 飛竜部隊旗授与(“이승만 대통령 비룡부대기 수여”) http://www.bluetoday[...] 2016-04-03
[4] 뉴스 「漣川トンネルは、北韓版第5トンネル」動画公開(“"연천 땅굴은 북한이 판 5땅굴" 동영상 공개”) http://www.newdaily.[...] 2016-04-03
[5] 문서 땅굴에 대한 국방부의 거짓 해명(정지용의 글) http://systemclub.ne[...]
[6] 뉴스 韓国ヤクルト・飛竜部隊「35年の縁」(“한국야쿠르트·비룡부대 '35년 인연' ”) http://stock.hankyun[...] 2016-06-13
[7] 문서 朴承煥と朴正煕 http://www.chogabje.[...] 趙甲濟ドットコム
[8] 웹사이트 兪海濬 https://dangjin.gran[...] 2024-09-27
[9] 뉴스 師團長級異動 http://www.busan.com[...] 2019-10-24
[10] 뉴스 將星級 15名 異動 http://www.busan.com[...] 2019-10-24
[11] 뉴스 師團長級人事異動 http://www.busan.com[...] 2021-09-14
[12] 뉴스 陸軍人事 http://www.busan.com[...] 2019-10-24
[13] 뉴스 師団長不在時の事(''師團長 없을때의 일'') http://www.busan.com[...] 2019-10-24
[14] 웹사이트 陸軍少将呉昌根 https://dnc.go.kr/_p[...] 国立大田顕忠院 2021-09-07
[15] 뉴스 師團長級六名異動 http://www.busan.com[...] 2021-09-07
[16] 문서 李承雨 http://www.dnc.go.kr[...] 大田顕忠院
[17] 문서 郭哲鍾 http://www.dnc.go.kr[...] 大田顕忠院
[18] 문서 金英圭 http://dnc.go.kr/_pr[...] 大田顕忠院
[19] 문서 金基宅 http://dnc.go.kr/_pr[...] 大田顕忠院
[20] 뉴스 12.12軍事反乱 主導軍内私組織 ハナフェ 2(''12.12군사반란 주도 軍內私組織 하나회 2'') http://c.hani.co.kr/[...] 2016-04-16
[21] 뉴스 正史になってしまった国防委会食事件(''正史가 되어버린 國防委 會食사건'') http://www.pressian.[...] 2016-04-16
[22] 뉴스 月曜インタビュー(林福鎭議員)(''월요인터뷰(임복진의원)'') http://www.namdonews[...] 2016-04-16
[23] 문서 緊急企画委員会 http://14cwd.pa.go.k[...]
[24] 문서 "<유비무환> :\"땅굴\" !확인해볼길 업나?" http://donggoya.net/[...]
[25] 뉴스 「光州」鎮圧した国防部次官、すぐに解任せよ('' '광주' 진압한 국방부 차관 즉시 해임하라'') http://news.donga.co[...] 2016-04-16
[26] 문서 보도자료 https://webcache.goo[...]
[27] 뉴스 軍人共済会、金融・建設・管理・企画選出(''군인공제회, 금융ㆍ건설ㆍ관리ㆍ기획이사 선출'') http://www.thebell.c[...] 2016-04-16
[28] 뉴스 閣僚軍将校の人事 仏教徒8人の昇進発令(''장관급 軍장교 인사 불자 8명 승진 발령'') http://www.ibulgyo.c[...] 2016-05-20
[29] 뉴스 陸軍中央捜査団長にキム・ジョンチュル少将(''육군 중앙수사단장에 김종출 소장'') http://www.hani.co.k[...] 2016-04-18
[30] 뉴스 洪城高28期 シン・ドンマン少将 25師団長就任(''홍성고 28회 신동만 소장 25사단장 취임'') http://www.hsnews.co[...] 2016-04-03
[31] 뉴스 シン・ドンマン、イム・サンス氏准将進級決定(''신동만·임상수 씨 준장 진급 결정'') http://www.charmnews[...] 2016-04-16
[32] 뉴스 ピョン・チェソン陸軍室長「C4I高度化とTICN稼働準備拍車 」(''변재선 육군 실장 "C4I 고도화와 TICN 가동 준비 박차"'') http://www.etnews.co[...] 2016-04-16
[33] 뉴스 第25師団長就任祝い米 南面事務所に転送(''제25사단장 취임 축하 쌀 남면사무소에 전달'') http://www.kyeonggi.[...] 2016-04-16
[34] 문서 旧部隊章の写真 http://m.blog.naver.[...]
[35] 뉴스 '[빈터 된 군부대] ① 1사단·9사단·25사단 신교대도 문 닫았다' https://www.yna.co.k[...] 2024-06-01
[36] 문서 사단의 예비 여단으로 GOP 경계 작전을 하지 않지만, 여단 정보중대(구 연대 수색중대)에서 GP 경계 작전을 수행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