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보병여단 (캐나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5보병여단 (캐나다)은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이후 캐나다 정부가 창설한 부대이다. 이 여단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로열 캐나다 연대, 로열 22e 연대의 제2대대를 주축으로 기갑, 포병, 공병, 통신, 병기, 의무, 수송 부대를 포함하여 편성되었다. 1951년 한국에 배치되어 가평 전투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며, 전쟁 기간 동안 부대 교체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25 전쟁에 참전한 여단 - 튀르키예 여단
튀르키예 여단은 1950년 한국 전쟁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파병된 튀르키예군의 여단급 전투 부대로, 국제 연합군 사령부의 지휘하에 북한 및 중화인민공화국군과 맞서 싸우며 대한민국의 재건을 지원하고 한미 동맹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주한 영연방군 -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
영연방 한국전 참전 기념비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영연방 4개국 참전 용사 21,000명의 용기와 희생을 기리기 위해 부산 UN기념공원에 세워진 3.6m 높이의 검은색 화강암 기념물이다. - 주한 영연방군 - 제27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은 영국 육군의 여단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한국 전쟁에서 부산 교두보 전투와 인천 상륙 작전에 참가하고 가평 전투와 글로스터 고지 전투에서 중공군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1951년 4월 27일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개칭되었다.
제25보병여단 (캐나다)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이름 | 제25캐나다보병여단 |
원어 이름 | 25th Canadian Infantry Brigade |
활동 기간 | 1951년-1955년 |
국가 | 캐나다 |
소속 | 주한 영연방군 |
병과 | 보병 |
규모 | 여단 |
명령 체계 | 캐나다 육군 |
별명 | 해당 없음 |
후원자 | 해당 없음 |
좌우명 | 해당 없음 |
색상 | 해당 없음 |
행진곡 | 해당 없음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장비 | 해당 없음 |
기념일 | 해당 없음 |
훈장 | 해당 없음 |
전투 훈장 | 한국 1951–1955 |
해체 | 6.25 전쟁 종료 후, 1955년에 해체됨 |
주목할 만한 지휘관 | 준장 존 메러디스 로킹엄 준장 M.P. Bogart 준장 장 빅토르 알라르 |
조직 | |
규모 | 3개 보병 대대, 2개 기갑 중대 |
지휘 구조 | 영연방 제1사단 |
참전 | |
전투 | 6.25 전쟁 가평 전투 |
2. 창설 배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950년 6월 25일 남쪽 이웃 국가인 대한민국을 침공하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회원국들에게 무력 공격을 격퇴하고 이 지역의 국제 평화와 안보를 회복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대한민국에 제공하도록 승인했다.[3] 미국은 즉각적인 군사 지원을 한국에 보냈지만, 캐나다는 초기에는 지상군 파병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비록 세 척의 캐나다 왕립 해군 구축함이 작전 기간 대부분 동안 주둔했지만) 1950년 8월 7일,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육군 특별 부대" 창설을 승인했다.[3]
2. 1. 부대 구성
준장 J.M. 록킹엄이 지휘하는 제25캐나다보병여단은 캐나다 상비군 보병 연대인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PPCLI), 로열 캐나다 연대(RCR), 로열 22e 연대(R22eR)의 제2대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이 외에도 로어드 스트래스콘 기병대 (로열 캐나다인) (제2 기갑 연대) C 기갑대대, 로열 캐나다 기마 포병대 제2 포병 연대, 로열 캐나다 공병대 제57 독립 야전 중대, 로열 캐나다 통신대 제25 캐나다 보병 여단 신호대, 로열 캐나다 병기대 제25 캐나다 보병 여단 병기 중대, 로열 캐나다 육군 의무대 제25 캐나다 야전 구급대, 로열 캐나다 육군 수송대 제54 캐나다 수송 중대 및 제38 캐나다 이동 구급 중대 등 다양한 지원 부대가 포함되어 여단의 전투 능력을 강화하였다.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제2대대는 1950년에 배치되었고, 여단은 1951년에 한국에 배치되었다.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부대가 교체되었다. 한국 전쟁 참전 용사 협회(KVA)는 휴전 전후의 캐나다 부대 전체 목록을 유지하고 있다.
3. 한국 전쟁 참전
인천 상륙 작전의 엄청난 성공으로 인해, 프린세스 패트리샤의 제2대대만 초기에 요코하마로 보내졌고, 그 후 한국으로 파견되었다. 그러나 수송선이 일본에 도착했을 때 상황은 상당히 바뀌어 있었다. 중공군은 북한을 돕기 위해 상당한 병력을 파견하여 유엔군을 남한으로 밀어냈다.[4] 그 결과, PPCLI는 2월 중순에 서울 근처의 최전선으로 직접 보내졌다. 북한군 및 중공군과의 첫 교전은 그 달 말에 이루어졌다. 3월 초, 유엔군은 중공군에 대한 반격을 시작했고, 캐나다군은 38선 근처의 가평 계곡으로 이동했다.[5]
==== 주요 작전 ====
1951년 4월, 중국 인민해방군은 서울을 재탈환하기 위해 한국 전선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미국과 대한민국 군대는 빠르게 후퇴하기 시작했고, 캐나다와 호주군은 가평 계곡을 사수하여 중국군이 한국의 유엔군을 압도하는 것을 막았다.
==== 가평 전투 ====
1951년 4월, 중국 인민해방군은 서울을 재탈환하기 위해 한국 전선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미국과 대한민국 군대는 빠르게 후퇴하기 시작했고, 캐나다와 호주군은 가평 계곡을 사수하여 중국군이 한국의 유엔군을 압도하는 것을 막았다.
3. 1. 주요 작전
1951년 4월, 중국 인민해방군은 서울을 재탈환하기 위해 한국 전선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미국과 대한민국 군대는 빠르게 후퇴하기 시작했고, 캐나다와 호주군은 가평 계곡을 사수하여 중국군이 한국의 유엔군을 압도하는 것을 막았다.3. 1. 1. 가평 전투
1951년 4월, 중국 인민해방군은 서울을 재탈환하기 위해 한국 전선에서 대규모 공세를 시작했다. 미국과 대한민국 군대는 빠르게 후퇴하기 시작했고, 캐나다와 호주군은 가평 계곡을 사수하여 중국군이 한국의 유엔군을 압도하는 것을 막았다.4. 부대 목록
- 제25캐나다보병여단 본부
- 로열 캐나다 연대 제2대대
-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제2대대
- 로열 22e 연대 제2대대
- 로어드 스트래스콘 기병대 (로열 캐나다인) (제2 기갑 연대) C 기갑대대
- 로열 캐나다 기마 포병대 제2 포병 연대
- 로열 캐나다 공병대 제57 독립 야전 중대
- 제25 캐나다 보병 여단 신호대
- 제25 캐나다 보병 여단 병기 중대
- 제25 캐나다 야전 구급대
- 제54 캐나다 수송 중대 및 제38 캐나다 이동 구급 중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제2대대는 1950년에 배치되었다. 여단은 1951년에 한국 전쟁에 배치되었으며, 위에 나열된 부대로 구성되었다.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부대가 교체되었다. 한국 전쟁 참전 용사 협회(KVA)는 휴전 전후의 캐나다 부대 전체 목록을 유지하고 있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War Educator: Topics - National Archives Records - RIP 103
http://www.koreanwar[...]
[2]
서적
Zuehlke 2001, p. 177
[3]
웹사이트
Canada's Involvement in the Korean War
http://www.korean-wa[...]
2009-04-21
[4]
서적
Zuehlke 2001, p. 178
[5]
서적
Zuehlke 2001, p. 179
[6]
웹사이트
Canadian Army
https://web.archive.[...]
2012-07-21
[7]
서적
Zuehlke 2001, p. 1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