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9병기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9병기여단은 미국 육군의 병기 부대로, 1943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냉전 시기 유럽 주둔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유럽 전선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에는 제8군을 지원했다. 냉전 시기에는 핵무기와 화학 무기 관리를 담당했으며, 1992년 해산 후 1994년 재창설되어 교육 훈련 부대로 임무를 전환했다. 현재는 버지니아주 포트 리에 주둔하며, 병기 관련 교육 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해체된 단체 - 제7군단 (미국)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걸프 전쟁까지 참전한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서독 방어, 이라크군 격파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나 냉전 종식 후 해체되었다.
  • 1992년 해체된 단체 -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한미 제1군단은 1971년 창설되어 대한민국 육군과 미국 육군의 연합 지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운영되었으나, 1992년 서부전선 방위 임무를 이양하고 해체되었다.
  • 미국 육군의 훈련여단 - 제199보병여단
    제199보병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육군의 보병 여단으로, 기병 부대로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조지아주 포트 무어에서 훈련 부대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미래의 군 지휘관과 전투원을 양성하고 있다.
  • 미국 육군의 훈련여단 - 공수레인저훈련여단
    공수레인저훈련여단은 미국 육군 특수 훈련 부대로, 레인저 및 공수 훈련을 담당하며, 레인저 중대 양성을 위해 창설되어 레인저 훈련 사령부, 레인저부로 개편된 후 1987년 레인저 훈련여단으로 확장되었다.
제59병기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59병기여단 어깨 소매 휘장
제59병기여단 어깨 소매 휘장
창설일1955년
해체일1992년
재창설일1994년
국가미국
군종병기대
주둔지포트 그레그-애덤스, 버지니아
웹사이트goordance
현재 지휘관대령 엘드레드 K. 람타할
주임원사주임원사 조지 카마레나
부대 표장
역사
활동 기간1955년–1992년
1994년 – 현재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6.25 전쟁
표어
표어Power to Spare

2. 역사

제59병기여단은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유럽 전선에 참전하였고, 이후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여 미 제8군을 지원하였다.[1] 전쟁 후에는 독일에 주둔하며 냉전 시기 NATO 동맹국에 대한 탄약 지원, 특히 특수탄약(핵무기 등) 관리 임무를 수행했으며, 여러 차례 부대 개편을 거쳤다.[1][2][3] 독일의 재통일과 냉전 종식 이후 유럽 내 핵 및 화학무기 철수 임무를 완수한 뒤 1992년 해체되었다.[1] 1994년 미국 본토에서 재창설되어 현재는 버지니아주 리 군사기지에서 미국 육군 병기학교의 교육훈련 지원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1]

2. 1. 창설과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 1945년)

1943년 루이지애나주 캠프 리빙스턴에서 제331병기대대로 창설되었다. 같은 해, 제59병기단으로 확대 개편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럽 전선에 투입되어 중앙 유럽과 라인란트 전역에 참전하였다.

2. 2. 한국 전쟁 참전 (1950년 ~ 1951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59병기여단은 1950년 8월부터 1951년 11월 10일까지 활약한 제8046부대 병기야전단의 뒤를 이어 제8군의 지원부대로서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1]

2. 3. 냉전 시기 유럽 주둔 (1955년 ~ 1992년)

1955년 독일에서 제71병기대대로 창설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는데, 1959년에는 고등무기지원사령부(AWSCOM), 1962년 3월 24일에는 특수탄약지원사령부(SASCOM), 1972년 10월에는 특수탄약지원여단(SAS Bde)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7년 8월 22일, 본부 및 본부대대에 2개의 병기대대와 5개의 포병단을 예하에 둔 제59병기여단으로 최종 개편되었다.

여단은 미국 유럽 육군과 제7군의 탄약 담당 부대로서, 예하 부대들은 독일네덜란드의 35개 도시에 분산되어 주둔하며 유럽 대륙의 NATO 회원국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핵무기와 화학무기의 관리 및 지원이 주요 임무였다. 1969년 4월 25일에는 유럽 전구군지원사령부(TASCOMEUR)로 소속이 변경되기도 했다.

1976년 6월 기준으로 여단의 주요 부대 및 주둔지는 다음과 같았다.[2] 1978년 10월에는 제5미국 육군 포병단이 여단으로 재편성되어 모든 방공 부대를 포함하게 되었다.[3]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의 관리 부대는 이탈리아 비첸차의 카세르마 에데를레에 위치한 남유럽 전술군(SETAF)에서 관리했다.

부대위치비고
제59병기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후스터회-카세르네, 피르마젠스
제3미국 육군 병기대대후스터회-카세르네, 피르마젠스극장 지원 대대
제72병기대대 휘장
제72미국 육군 병기대대
육군 창고, 미샤우탄약 담당
제197병기대대 휘장
제197미국 육군 병기대대
피쉬바흐-카세르네, 피쉬바흐탄약 담당
제5미국 육군 포병단 휘장
제5미국 육군 포병단[4]
스퇴커부쉬-카세르네, 뷔렌1978년 모든 방공 포병단으로 재편성
제294포병단 휘장
제294포병단[5]
브리젠-카세르네, 플렌스부르크LANDJUT 지원
제512미국 육군 포병단 휘장
제512미국 육군 포병단[6]
프린츠-오이겐-카세르네, 귄츠부르크(GE) 제2군단 지원
제552미국 육군 포병단 휘장
제552미국 육군 포병단[9]
뮐렌베르크-카세르네, 죄겔(GE) 제1군단 및 (NL) 제1군단 지원
제557미국 육군 포병단 휘장
제557미국 육군 포병단[10]
아르탈카세르네, 헤르본젤바흐(GE) 제3군단 지원
제570미국 육군 포병단 휘장
제570미국 육군 포병단[12]
심슨 병영(영국), 뮌스터(BR) 제1군단 및 (BE) 제1군단 지원
제528미국 육군 포병단[13]Çakmakli HQ 단지(터키)SETAF 관리, (TR) 육군 포병 및 방공 지원
제558미국 육군 포병단[14]엘레프시스(그리스)SETAF 관리, (GR) 육군 포병 및 그리스 공군 지원
제559미국 육군 포병단[15]카세르마 에데를레, 비첸차(이탈리아)SETAF 관리, (IT) 야전 포병 및 방공 지원



독일의 재통일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붕괴로 냉전이 종식되면서 여단의 역할에도 변화가 생겼다. 1992년 6월, 여단은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를 포함한 유럽 전역에서 미국의 핵무기 및 화학무기를 철수시키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는 전략 무기 감축 협상(SALT), 전략 무기 감축 조약(START),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조약) 등 군축 협정에 따른 조치였으며, 화학무기 제거 작전인 Operation Steel Box 및 Operation Golden Python도 포함되었다. 이 임무는 남유럽 전술군(SETAF)의 관할 하에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1] 이러한 활동은 냉전 시대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유럽의 평화 정착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모든 핵 및 화학 무기 제거 임무를 완수한 후, 제59병기여단은 1992년 10월 15일, 미국 유럽 육군 및 제7군 본부의 영구 명령 제129-3호에 따라 해산되었다.

2. 4. 미국 본토 재배치 및 교육훈련 임무 전환 (1994년 ~ 현재)

1992년 유럽 지역 내 미국 육군의 핵무기 및 화학무기 제거 임무(Operation Steel Box, Operation Golden Python 등)를 완료하고 해체되었던 제59병기여단은 1994년 10월 1일 앨라배마주의 레드스톤 실험장에서 재창설되었다.[1] 재창설된 여단은 병기 미사일 및 탄약 센터 및 학교(OMMCS)를 행정적으로 지원하는 학교 여단 임무를 맡았다.[1] OMMCS는 2002년 10월 3일에 병기탄약전기정비학교(OMEMS)로 개편되었다.[1] 2011년, 미국 육군의 모든 병기 교육훈련 과정이 버지니아주 리 군사기지의 미국 육군 병기학교로 통합되면서 제59병기여단 또한 리 군사기지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병기학교의 교육훈련을 지원하고 있다.[1]

3. 부대

제59병기여단의 전신은 1955년 독일에서 창설된 제71병기대대이다. 이 부대는 1959년 첨단 무기 지원 사령부(AWSCOM)로 개편되었고, 1962년 3월 24일에는 특수 탄약 지원 사령부(SASCOM)로 다시 개칭되었다. 1972년 10월, 특수 탄약 지원 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이후 현재의 제59병기여단으로 개편되었다.[1]

1978년 10월, 제5미국 육군 포병단이 제59병기여단으로 재편성되면서 모든 방공 부대가 여단 예하로 편입되었다.[3] 당시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에 주둔한 관리 부대는 이탈리아 비첸차의 카세르마 에데를레에 위치한 남유럽 전술군(SETAF)의 지휘를 받았다.

냉전 종식 후, 제59병기여단은 SALT, START, INF 조약 등에 따라 유럽 지역에 배치되었던 미국 육군의 모든 핵무기와 Operation Steel Box 및 Operation Golden Python을 통해 화학 무기를 성공적으로 제거하는 임무를 완수하고 1992년 6월 해체되었다. 이 과정은 SETAF의 관할 하에 이루어졌다.[1]

이후 여단은 1994년 앨라배마 주 레드스톤 조병창에서 재창설되어, 병기 미사일 및 탄약 센터 및 학교(OMMCS)를 행정적으로 지원하는 학교 여단의 임무를 이어받았다. 2011년에는 버지니아 주 리 군사기지로 이전하였고, OMMCS는 미국 육군 병기 병과 및 학교로 통합되었다.[1]

3. 1. 현재 (2023년 기준)


  • 제16병기대대, 버지니아 주 포트 리
  • 제832병기대대, 버지니아 주 포트 리
  • 제73병기대대, 플로리다 주 이글린 공군기지
  • * 포트 실 병기훈련분견대, 오클라호마 주
  • * 포트 고든 병기훈련분견대, 미주리 주
  • 미국 해병대 분견대

3. 2. 과거 (1976년 6월 기준)

1976년 6월, 제59병기여단 부대는 서독네덜란드의 여러 지역에 주둔하고 있었다:[2]

부대위치비고
제59병기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후스터회-카세르네, 피르마젠스
미국 육군 허가 조치 링크 분견대후스터회-카세르네, 피르마젠스
제563병기중대(정비)(일반 보급)캠프 피에리, 비스바덴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579병기중대 (일반 정비)넬슨 병영, 노이울름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165신호중대후스터회-카세르네, 피르마젠스
제41병기중대 (탄약 일반)카이저슬라우테른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22항공분견대후스터회-카세르네, 피르마젠스
제3병기대대
제3병기대대(전구 지원)
제3병기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후스터회-카세르네, 피르마젠스이전에는 1977년부터 1991년까지 전구지원대대 특별부대
제9병기중대(특수 탄약)(전구 지원, DS/GS)미사우 육군창제72병기대대에서 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164헌병중대(물리적 보안)미사우 탄약창제72병기대대에서 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330병기중대(화학 탄약)제59기지 클라우젠, 행정 본부 뮌히바일러 카세르네작전 강철 상자 및 작전 황금 파이썬
제110헌병중대(물리적 보안)제59기지 클라우젠, 행정 본부 뮌히바일러 카세르네작전 강철 상자 및 작전 황금 파이썬
제41병기중대 (탄약 일반)라인 병기 병영 카이저슬라우테른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41병기 분견대(일반 탄약 및 랜스 유도탄)피쉬바흐 육군창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563병기중대(정비)(일반 보급)캠프 피에리, 비스바덴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579병기중대 (일반 정비)넬슨 병영, 노이울름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4병기중대(GM 정비)육군 창고, 미사우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72병기대대(탄약)
제72병기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육군 창고, 미사우
제4병기중대(GM 정비)육군 창고, 미사우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6헌병중대(물리적 보안)NATO 111, 뮌스터-디부르크(무나) 카세르네
제9병기중대(특수 탄약)(전구 지원, DS/GS)육군 창고, 미사우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164헌병중대(물리적 보안)NATO 104, 탄약 창고, 미사우제3병기대대로 재배치
제545병기중대(정비)NATO 111, 뮌스터-디부르크(무나) 카세르네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619병기중대(특수 탄약)(Dep Spt)탄약 창고, 크리크스펠트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558헌병중대(물리적 보안)탄약 창고, 크리크스펠트
제197병기대대(탄약)
제197병기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피쉬바흐-카세르네, 피쉬바흐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64병기중대(특수 탄약)(DS/GS)피쉬바흐 카세르네, 피쉬바흐제9병기중대의 전구 지원 임무 대체
제165헌병중대(물리적 보안)피쉬바흐 카세르네, 피쉬바흐
제525병기중대(특수 탄약)(Dep Spt)병기 지역, 지겔스바흐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556헌병중대(물리적 보안)병기 지역, 지겔스바흐
제5포병단(Wh Spt)[4]
제5포병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스퇴커부쉬-카세르네, 뷔렌1962년 7월 22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활성화됨. 1978년 모든 방공 포병단으로 재편성됨. 스퇴커부쉬-카세르네는 독일 영토에 있는 벨기에 호스트 국가 병영(카세르네 코르테마르크)으로 네덜란드 군대가 경비했다. 1988년 10월 15일 독일에서 비활성화됨
제27병기중대(특수 탄약)(GS)스퇴커부쉬-카세르네, 뷔렌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4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카세르네 후트훌스트, 베를1978년 제570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지원 부대: 제3(BE) 포병 연대(랜스 및 155 mm, 203 mm)
제33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카세르네 무르슬레데, 쾰른-델브뤼크1978년 제570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지원 부대: (BE) 포병 사령부, 쾰른-바이덴
제43방공파견대 (Msl Wh Spt)캠프 보다르, 뒤렌-드로페1978년 제5포병단과 함께 남음. 지원 부대: 벨기에 나이키 대대(13e Wing Missiles), 니데겐, 베트부르크, 오이르스, 블랑켄하임의 4개 팀
제66방공파견대 (Msl Wh Spt)헤르초크-요한-폰-클레베-카세르네, 조스트-뷔케1978년 제5포병단과 함께 남음. 지원 부대: 독일 나이키 대대(FlaRakBtl 21), 뫼네제-에흐트로프, 바렌도르프, 홀츠비케데, 다텔른의 4개 팀
제85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젤프칸트-카세르네, 가일렌키르헨1978년 제557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지원 부대: (GE) 퍼싱 I A
제507방공파견대 (Msl Wh Spt)캠프 힌스베크, 그레프라트 (새 이름: 네테탈)1978년 제5포병단과 함께 남음. 지원 부대: 벨기에 나이키 대대(9e Wing Missiles), 그레프라트, 라스펠트, 그레펜브로이히, 크산텐의 4개 팀
제508방공파견대 (Msl Wh Spt)한도르프 카세르네, 뮌스터-한도르프1978년 제5포병단과 함께 남음. 지원 부대: 2개 네덜란드 나이키 대대(1 Groep Geleide Wapens (GGW), 2 GGW), 한도르프, 슈렘베크, 바트 에센, 브람셰-헤제페의 4개 팀
제294포병단(Wh Spt)[5]
제294포병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브리젠-카세르네, 플렌스부르크1966년 5월 1일 독일에서 활성화됨. 지원 부대: LANDJUT. 1992년 6월 15일 독일에서 비활성화됨
제99병기파견대 (Wh Spt)플렌스부르크
제13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릴리엔크론-카세르네, 켈링후젠SAS 켈링후젠. 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지원 부대: (GE) 제6기갑척탄병사단, 노이뮌스터
제51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프라이헤르-폰-프리치-카세르네, 이체호지원 부대: (GE) RakArtBtl 650 (랜스). 아델하이트에서 제51방공파견대로 재편성됨(제5포병단)
제75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프라이헤르-폰-프리치-카세르네, 이체호지원 부대: (GE) RakArtBtl 650 (랜스), 1963 - 1975
제512포병단(Wh Spt)[6]
제512포병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프린츠-오이겐-카세르네, 귄츠부르크1962년 3월 24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활성화됨. 지원 부대: (GE) 제2군단, 울름. 1992년 6월 15일 독일에서 비활성화됨.
제510병기중대(특수 탄약)(GS)귄츠부르크 (SAS 리트하임)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2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게네랄오버스트-폰-프리치-카세르네, 풀렌도르프지원 부대: 제10(GE) 기갑사단, 지크마링겐, (GE) RakArtBtl 102, 풀렌도르프
제24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게네랄펠트마르샬-폰-레프-카세르네, 란츠베르크지원 부대: 제1(GE) 산악 사단,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GebRakArtBtl 82, 란츠베르크; (GE) 퍼싱 I A
제36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게네랄-폰-슈토이벤-카세르네, 헤마우지원 부대: (GE) 제4기갑척탄병사단, 레겐스부르크, (GE) RakArtBtl 42, 헤마우
제74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공군 기지, 레히펠트지원 부대: (GE) 미사일 비행단, 자르부르크-카세르네, 란츠베르크 (퍼싱 I A)
제82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공군 기지, 레히펠트, 1969년 라거레히펠트(오버마이팅겐)1975년 제82방공파견대와 제74야전포병파견대가 합병됨
제84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에버하르트-핀크-카세르네, 그로셍스팅겐지원 부대: 제2(GE) 포병 사령부, RakArtBtl 250, 그로셍스팅겐
제552포병단(Wh Spt)[9]
제552포병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뮐렌베르크-카세르네, 죄겔1959년 10월 20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활성화됨. 지원 부대: 제1(GE) 군단, 뮌스터 및 제1(NL) 군단, 아펠도른(네덜란드). 1992년 6월 15일 독일에서 비활성화됨.
제162병기중대(특수 탄약)(GS)뮐렌베르크-카세르네, 죄겔 (SAS 란)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1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쉴-카세르네, 베젤지원 부대: 제1(GE) 포병 사령부, RakArtBtl 150, 베젤 (랜스). 제59병기여단 *TACOPS* 챔피언 1988
제5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뒨젠지원 부대: 제11(GE) 기갑척탄병사단, 올덴부르크, ArtRgt 11, RakArtBtl 112, 델멘호르스트-아델하이트
제8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요한 포스트 카세르네, 스테인베이크, 네덜란드지원 부대: 제109(NL) 야전 포병 대대(어네스트 존), 제129(NL) 야전 포병 대대(랜스)
제23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토넷 카세르네, '트 하르데, 네덜란드지원 부대: 제19(NL) 야전 포병 대대(M110), 제107(NL) 야전 포병 대대(M107)
제25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니더작센-카세르네, 바르메 (되르페르덴)지원 부대: 제3(GE) 기갑사단, 북스테후데, 제3(GE) ArtRgt, 슈타데, RakArtBtl 32, 되르페르덴
제32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클라우제비츠-카세르네, 니엔부르크지원 부대: 제1(GE) 기갑사단, 하노버, 제1(GE) ArtRgt, 하노버, RakArtBtl 12, 니엔부르크
제35방공파견대 (Msl Wh Spt)벵어란트-카세르네, 호헨키르헨1978년 제5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지원 부대: 독일 나이키 대대(FlaRakBtl 26), 메뎀스, 로덴키르헨, 비스무어, 도르눔의 4개 팀
제42방공파견대 (Msl Wh Spt)휠스마이어-카세르네, 반스토르프1978년 제5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지원 부대: 독일 나이키 대대(FlaRakBtl 25), 슈베링하우젠, 바겐펠트, 로네(올덴부르크), 가렐의 4개 팀
제51방공파견대 (Msl Wh Spt)펠트벨-릴리엔탈-카세르네, 아델하이트1978년 제5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이체호의 제51야전포병파견대에서 재편성됨. 지원 부대: 독일 나이키 대대(FlaRakBtl 24), 엘스플레트, 간더케세, 에데베흐트-베스터셰프스, 시케-리슈테트의 4개 팀
제81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세인트 바바라 카세르네, 뒬멘지원 부대: 제7(GE) 기갑사단, 운나, 제7(GE) ArtRgt, 뒬멘, RakArtBtl 72, 부퍼탈
제557포병단(Wh Spt)[10]
제557포병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아르탈카세르네, 헤르본1965년 12월 23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활성화됨. 지원 부대: 제3(GE) 군단, 코블렌츠. 1992년 6월 15일 독일에서 비활성화됨.
제96병기중대(특수 탄약)(GS)아르탈카세르네, 헤르본저장 시설은 벨러스도르프에 위치해 있었다. 저장 시설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격리되어 있었다. 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3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잘름-카세르네, 필립스부르크지원 부대: 제12(GE) 기갑사단, 바이트쇠흐하임, 제12(GE) ArtRgt, 타우버비쇼프스하임, RakArtBtl 122, 필립스부르크
제7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하르트베르크 카세르네, 트라이자 (새 이름: 슈발름슈타트)[11]지원 부대: 제2(GE) 기갑척탄병사단, 카셀, 제2(GE) ArtRgt, 마르부르크, RakArtBtl 22, 트라이자
제30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폰 슈토이벤 병영, 기센지원 부대: 제5(GE) 기갑사단, 디츠, 제5(GE) ArtRgt, 디츠, RakArtBtl 52, 기센
제52방공파견대 (Msl Wh Spt)지거란트-카세르네, 부르바흐1978년 제5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지원 부대: 독일 나이키 대대(FlaRakBtlt 22), 리퍼회, 레네슈타트-외딩겐, 발트브뢸, 마리엔하이데의 4개 팀
제83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베스터발트-카세르네, 몬타바우어지원 부대: 제3(GE) 포병 사령부, RakArtBtl 350 랜스), 몬타바우어
제501방공파견대 (Msl Wh Spt)니더-카세르네, 킬리안슈테텐 (새 이름: 쇤네크)1978년 제5포병단으로 재배치됨. 지원 부대: 독일 나이키 대대(FlaRakBtl 23), 킬리안슈테텐, 리히, 베스터부르크, 케멜의 4개 팀
제570포병단(Wh Spt)[12]
제570포병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심슨 병영(영국), 뮌스터1964년 2월 24일 오클라호마주 포트 실에서 활성화됨. 지원 부대: 제1(BR) 군단, 빌레펠트 및 제1(BE) 군단, 쾰른-바이덴. 1992년 6월 15일 독일에서 비활성화됨.
제583병기중대(특수 탄약)(GS)심슨 병영(영국), 뮌스터 (SAS 텔크테-실하이데)독일의 10개 주요 핵 저장 시설 중 하나
제15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바커 병영(영국), 파더보른지원 부대: 제5(BR) 중연대, 제24(BR) Msl 연대, 파더보른(155mm 포병). 제15야전포병파견대는 1960년부터 1966년까지 빌링겐에 주둔했다(제576포병단)
제22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뎀시 병영 (영국), 제넬라거 (슐로스 노이하우스)지원 부대: 제39(BR) Fld 연대, 제39(BR) Msl 연대, 제넬라거(203mm 핵)
제69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페닌슐라 병영(영국), 헤머지원 부대: 제50(BR) Msl 연대(랜스), 멘덴; 캐나다 왕립 포병 1960 - 1967
제81야전포병파견대 (Msl Wh Spt) (HJ)뒬멘
제509방공파견대 (Msl Wh Spt)푀르덴


4. 문장

제59병기여단의 문장은 부대를 나타내는 공식적인 상징 체계로, 크게 부대 마크와 부대 휘장으로 구성된다. 이들 문장은 부대의 정체성, 역사, 임무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특히 한국에서의 활동과 연관된 상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각 문장의 세부적인 디자인과 상징적 의미는 하위 항목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4. 1. 부대 마크 (Shoulder sleeve insignia)

폭 6.4cm인 방패 모양이며, 전체 높이는 7.6cm이다. 가장자리는 0.32cm 두께의 노란색 테두리가 있는 진홍색 바탕이다. 위쪽 중앙에는 작은 노란색 원반이 있고, 그 아래에는 두 개의 대포 포신이 아래쪽에서 연결되어 V자 형태를 이룬다. 이 포신 위에는 가장자리가 조개 껍질 모양인 흰색 원반이 놓여 있으며, 이 원반에는 아홉 개의 불꽃 혀가 그려져 있다.

  • 상징:
  • 진홍색과 노란색: 병기에서 사용하는 공식 색상이다.
  • 대포 포신: 무기를 상징한다.
  • 중앙의 노란색 원반: 탄약 또는 포탄을 의미한다.
  • 불꽃: 병기 수리 임무를 나타낸다.
  • 흰색 부분: 연기를 암시하며 폭발물을 연상시킨다.
  • V자형 대포 포신과 아홉 개의 불꽃 혀: V는 로마 숫자 5를, 아홉 개의 불꽃은 숫자 9를 의미하여 부대 번호 59를 나타낸다.

  • 배경: 이 부대 마크는 1980년 4월 18일에 미국 육군 문장학 연구소(The Institute of Heraldry)에 의해 승인되었다. (TIOH 도면 번호 A-1-655)

4. 2. 부대 휘장 (Distinctive unit insignia)

금색 금속과 에나멜로 만들어진 휘장으로, 높이는 약 3.17cm이다. 휘장 중앙에는 금색으로 윤곽이 잡힌 비늘과 왼쪽에 5개의 발톱을 가진 붉은 의 앞다리가 팔꿈치를 구부린 채 묘사되어 있다. 용의 오른쪽 어깨에는 붉고 푸른색의 태극 문양이 놓여져 있다. 용의 다리 뒤 중앙에는 어깨에서 발톱까지 이어지는 파란색 아치 사이에 "여유로운 힘"이라는 금색 글자가 새겨져 있다. 휘장 밑부분에는 용의 발톱과 어깨에서 끝나는 물결 모양의 파란색 띠와 붉은 뾰족한 지붕을 가진 금색 성탑이 있다.

휘장의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 진홍색과 금색: 병기 병과를 상징하는 고유 색상이다.
  • 성탑과 물결 모양 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부대가 참전했던 중앙 유럽 및 라인란트 전역을 나타낸다. 성탑의 일반적인 형태는 병기 및 군수 물자를 암시하기도 한다.
  • 용의 다리: 한국 전통 유물에서 볼 수 있는 용의 모습을 차용한 디자인으로, 한국과의 깊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 5개의 발톱: 한국 전쟁에서의 혁혁한 공적을 인정받아 수여된 공적 훈장을 의미한다.
  • 태극 문양: 한국 전쟁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받은 부대 표창을 상징한다.


이 부대 휘장은 본래 1969년 5월 12일에 제59병기단(59th Ordnance Group)의 휘장으로 처음 승인되었다. 이후 부대가 제59병기여단으로 개편됨에 따라, 1978년 3월 8일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5. 기록

제59병기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 미국 루이지애나주의 캠프 리빙스턴에서 제331병기대대로 처음 구상되어 창설되었다. 같은 해 제59병기단으로 확장되어 유럽 전선에 투입, 중앙 유럽과 라인란트 전역에 참가하였다.

한국 전쟁 발발 이후에는 1950년 8월부터 활동한 제8046부대 병기야전단의 임무를 이어받아, 1951년 11월 10일부터 미국 제8군 예하 지원 부대로서 참전하였다.

전후 냉전 시기인 1962년 독일에서 미국 유럽 육군제7군 소속 탄약 담당 부대로 재소집되었고, 1969년 4월 25일 유럽 전구군지원사령부(TASCOMEUR)로 전속되었다. 1977년 8월 22일에는 예하에 2개 병기대대와 5개 포병단을 둔 제59병기여단으로 최종 개편되었다. 이 시기 여단은 독일네덜란드의 35개 도시에 분산 주둔하며 NATO 회원국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한편, 1955년 독일에서 창설된 제71병기대대는 여러 차례 개편(첨단 무기 지원 사령부(AWSCOM), 특수 탄약 지원 사령부(SASCOM), 특수 탄약 지원 여단)을 거쳐 제59병기여단으로 통합되었다.

냉전이 종식되면서 여단은 이탈리아, 그리스, 터키를 포함한 유럽 전역에서 미국 육군의 모든 핵무기(INF 조약 관련 포함)와 화학무기(Operation Steel Box, Operation Golden Python)를 제거하는 임무를 완수한 뒤, 1992년 10월 15일 미국 유럽 육군 및 제7군 본부의 영구 명령 제129-3호에 따라 해산되었다.[1][2][3][4][5][6][7][8][9][10][11][12][13][14][15]

1994년 10월 1일, 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조병창에서 교육 지원 임무를 위해 재창설되어 병기 미사일 및 탄약 센터 및 학교(OMMCS)를 행정적으로 지원했다. OMMCS는 2002년 10월 3일 병기탄약전기정비학교(OMEMS)로 개편되었다. 2011년, 모든 병기 교육훈련 과정이 버지니아주 포트 리의 미국 육군 병기 학교로 통합됨에 따라 제59병기여단 역시 포트 리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1]

5. 1. 소속

제59병기여단은 창설 이후 시대적 상황과 임무 변화에 따라 여러 상위 부대에 소속되어 활동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에는 제8군의 지원 부대로서 참전하였으며, 이후 냉전 시기에는 유럽에 주둔하며 NATO 회원국을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냉전 종식 후 잠시 해산되었으나, 교육 부대로서의 임무를 부여받아 재창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요 소속 변경 내역은 다음과 같다.

기간상위 부대비고
1951년 11월 10일 ~ 1952년제8군한국 전쟁 참전 지원 (제8046부대 병기야전단 임무 승계)
1962년 ~ 1969년 4월 24일미국 유럽 육군독일에서 제7군의 탄약 담당 부대로 소집
1969년 4월 25일 ~ 1992년 10월 15일유럽 전구군지원사령부1977년 8월 22일 여단으로 개편, NATO 회원국 지원, 냉전 종식 후 해산
1994년 10월 1일 ~ 현재훈련교리사령부앨라배마주 레드스톤 실험장에서 재창설, 병기 미사일 및 탄약 센터 및 학교(OMMCS) 지원 교육 부대로 지정[1]



1994년 재창설 이후 제59병기여단은 병기 미사일 및 탄약 센터 및 학교(OMMCS)를 행정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맡았다. 2011년, 모든 병기대의 교육훈련과정이 버지니아주 리 요새의 미국 육군 병기 학교로 통합됨에 따라 제59병기여단 또한 리 요새로 이전하여 현재까지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1]

5. 2. 전역

wikitext

스트리머 그림스트리머 이름내역
제2차 세계 대전 전역 스트리머
제2차 세계 대전
중앙유럽 전역
중앙유럽 전역
라인란트 전역
라인란트 전역
한국 전쟁 전역 스트리머
한국 전쟁UN 하계-추계 공세
제2차 한국 동계
1952년 한국 하계-추계
제3차 한국 동계
1952년 한국 하계


참조

[1] 웹사이트 59th Ordnance Brigade/Brigade history 1962 - 1992 https://usarmygerman[...]
[2] 웹사이트 USAREUR/Seventh Army STATION LIST, 1 June 1976 http://www.usarmyger[...] U.S. Army in Germany: 59th Ordnance Brigade
[3] 웹사이트 5-Arty http://www.goerigk-j[...] null
[4] 웹사이트 5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5] 웹사이트 294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6] 웹사이트 512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7] 웹사이트 514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8] 웹사이트 548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9] 웹사이트 552nd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10] 웹사이트 557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11] 웹사이트 previoUnited States Harthberg Kaserne http://www.schwalmst[...] 2015-06-09
[12] 웹사이트 570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13] 웹사이트 528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14] 웹사이트 558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15] 웹사이트 559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16] 웹사이트 576th USAAG/59th Ordnance Brigade https://usarmygerman[...]
[17] 간행물 A Look Back ... at the 59th Ordnance Brigade http://www.usarmyger[...] 1992
[18] 웹인용 59th Ordnance Brigade http://tioh.army.mil[...] 문장학 연구소 2017-02-07
[19] 웹인용 previoUnited States Harthberg Kaserne http://www.schwalmst[...] 2017-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