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스트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한 도시로, 836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다. 한자 동맹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나 30년 전쟁으로 인구가 감소했고, 중세 시대에 건립된 교회와 성 등 여러 건축물이 남아있다. 1444년부터 1449년까지 쾰른 주교구로부터 정치적 자치권을 확보했으며, 1609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 편입되었다. 조스트는 19세기 루르 지역의 산업화 영향을 받지 않았고, 20세기 초에는 표현주의의 중심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공습을 받았지만, 전후에는 난민 수용을 위한 주택지를 조성했다. 현재는 다양한 축제와 역사적인 건축물, 특산품으로 유명하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도시 - 슈톨베르크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슈톨베르크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있는 도시로, 과거 황동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콘터간 생산 문제와 환경 오염, 극우 단체 활동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는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도시 - 클레베
클레베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 위치한 도시로, 라인강 근처에 있으며, 과거 클레베 공국의 수도였고, 슈바넨부르크 성을 비롯한 역사적 건축물과 볼거리가 많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되었고, 현재는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이 시의회를 주도한다.
조스트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좌표 | 북위 51° 34′ 16″ 동경 8° 06′ 33″ |
국가 | 독일 |
주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
행정 구역 | 아른스베르크 현 |
군 | 조스트 군 (크라이스) |
면적 | 85.81 km² |
고도 | 90 m |
우편 번호 | 59494 |
지역 번호 | 02921 |
자동차 번호판 | SO |
지방 자치체 코드 | 05 9 74 040 |
하위 행정 구역 | 19개 구역 |
웹사이트 | 조스트 시 공식 웹사이트 |
시장 | 에크하르트 루테마이어 |
시장 임기 | 2020–2025 |
소속 정당 | CDU |
지리 | |
특징 | 조스터 뵈르데에 위치 |
인구 | |
인구 | 48,575명 (최신 정보에 따름) |
인구 밀도 | 566 명/km² |
기타 | |
방언 | 베스트팔렌 방언 |
2. 역사
한자 동맹에 가입했던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나, 30년 전쟁으로 인해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중세 시대에 건립된 교회, 성 등의 건축물들이 남아있다.
13세기 노르웨이의 Þiðrekssaga는 고트 왕 테오도리크 대왕에 대한 이야기로, 조스트(Susat)를 아틸라의 훈족 제국의 수도로 언급하고 있으나, 아틸라 수도의 실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
1531년 필리프 멜란히톤을 통해 종교 개혁이 일어났다. 1661년 쾰른 대주교령에서의 밀렵에 대한 벌로, 종교 개혁 이후 중단되었던 비젠 교회에서 베르를로 성모상이 옮겨졌다. 19세기 초 세속화로 여러 수도원이 폐지되었다.
1570년부터 1616년까지 마녀 사냥 시대에는 적어도 67건의 마녀 재판이 열렸으며, 1585년부터 1586년 사이에 조스트에서 벌어진 대규모 마녀 사냥으로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 2013년 2월 27일 조스트 시의회는 마녀 사냥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시켰다.
나폴레옹 시대인 1809년, 조스트는 주변 지역 토지를 잃었다. 19세기 초 조스트 인구는 증가하여 베스트팔렌의 대도시 중 하나로 꼽혔으나, 경제적 연결에서 뒤처졌다. 1817년 군청 소재지로 승격되고 1849년 철도가 개통되었음에도 경제적 쇠퇴는 계속되었다.
19세기 말경 경제 상황이 개선되었다. 화물역을 통해 일자리가 생겨났고, 식품 및 철 가공 분야의 중소기업이 발전했다. 1920년대에는 브루노 파울이 바우하우스 양식으로 3개의 저택을 지었다. 1930년대 나치는 조스트를 국가 문화재로 만들려 했으나 실패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조스트는 연합군의 폭격 목표가 되었는데, 이는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조차장 중 하나와 전쟁 수행에 중요한 축전지 공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역사적인 중심 시가지의 60%가 손상되었지만, 일부가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이 보존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도시의 면적과 인구는 단기간에 상당히 증가했다. 실레지아로부터의 난민을 수용하기 위해, 시의 남동부에 당시 연방 최대의 주택지가 조성되었다. 조스트는 수십 년 동안 캐나다군, 벨기에군 부대가 주둔하는 군 주둔지였다.
1970년대에 완공된 아우토반 44호선의 2개 인터체인지와 대학교 설립은 현재 조스트의 경제적 성공과 루르 지방 동부로 통근하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베드타운으로 발전하는 기반이 되었다.
1991년 암거를 흐르는 조스트바흐의 재개방이 이루어졌다. 최초의 재자연화는 1997년/1998년에 이루어졌으며, 이후 다른 구간에서도 개방이 이루어졌다.
2. 1. 초기 역사
836년 문헌에 조스트가 처음 등장했으며, 1444년부터 1449년까지는 신성 로마 제국의 쾰른 주교구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운 정치 구역을 형성했다.[2] 비옥한 토양 덕분에 조스트 주변 지역은 마을이 처음 언급되기 훨씬 전부터 정착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지며, 최근 발굴 조사에서 4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다.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조스트는 상당히 성장하여 약 10,000명의 시민을 보유한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1609년까지 한자 동맹의 중요한 구성원이었다.1444년에서 1449년 사이에 조스트는 쾰른 대주교로부터 해방되었으나(소위 조스트 분쟁)[2], 이는 피로스의 승리로 판명되어 무역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 1609년 클레페의 마지막 공작이 사망했을 때 조스트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 편입되었다.
30년 전쟁 동안과 이후에 조스트는 인구와 영향력 모두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 1756년에는 3,600명의 시민만 남았다. 1817년 조스트 지구가 창설되면서 다시 영향력이 커지기 시작했으나, 19세기 루르 지역의 산업화는 조스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나치당에 의한 정치적 경계 재조정으로 조스트는 가우 베스트팔렌-남부에 배치되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폴란드, 프랑스, 벨기에 및 영국 전쟁 포로를 위한 스탈라크 VI-E 전쟁 포로 수용소가 운영되었다.[5]
1969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시정촌 재편에 따라, 구 조스트시는 이전까지 독립된 자치체였던 18개 촌락과 합병했다. 이 촌락들은 이전부터 조스트시와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조스트시의 핵심 시 구역을 제외한 행정상의 시 구역은 다음과 같다.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조스트의 첫 번째 문헌 기록은 836년에 ''villa Sosat''로 기술되어 있다.[18] 현재 시역에서는 신석기 시대 이후 모든 시대의 정주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18] 시 중심부의 고고학 조사를 통해 1990년대 초에 토루 자취가 발견되었다. 석기 시대의 흔적 중에는 히딩젠 근교의 석실이 있다.
조스트는 도르트문트, 베를, 엘비테와 같은 도시와 마찬가지로, 북쪽의 수많은 수원과 헬베크 교역로의 혜택을 받은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이다. 조스트 옥토의 비옥한 풍토, 비교적 건조한 기후, 풍부한 물은 항상 정착에 적합한 땅이었다. 인근의 염천에 의해 오래전부터 이루어졌던 제염은 중세에 이 도시의 중요한 경제적 요인이 되었다.
2. 2. 중세 시대
836년 문헌에 처음으로 등장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한자 동맹에 가입한 주요 도시 가운데 하나였다. 13세기 노르웨이의 Þiðrekssaga는 고트 왕 테오도리크 대왕에 대한 일련의 이야기로, 조스트(Susat으로 불림)를 아틸라(?–453)의 훈족 제국의 수도로 명시하고 있으나, 아틸라 수도의 실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비옥한 토양 덕분에 조스트 주변 지역은 마을이 836년 처음 언급되기 훨씬 전부터 정착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여겨지며, 최근 발굴 조사에서 4000년 이상 거슬러 올라가는 거주 흔적이 발견되었다.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조스트는 상당히 성장하여 약 10,000명의 시민을 보유한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큰 도시 중 하나가 되었으며, 1609년까지 한자 동맹의 중요한 구성원이었다.
이란 학자 모하마드 카즈비니(1203-1283)가 저술한 지리서 《Atar Al-Belad》에서 조스트는 소금 생산으로 묘사되었으며 "슬라브 국가"로 언급되었다. "소금 샘이 있는데 주변에서는 소금을 찾을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소금을 만들 때는 샘에서 물을 가져와 솥에 채우고 돌로 만든 가마에 넣고 그 아래에 큰 불을 지펴 걸쭉하고 탁한 액체로 만듭니다. 그런 다음 식혀서 단단한 흰 소금을 남깁니다. 이런 방식으로 모든 흰 소금이 슬라브 국가에서 생산됩니다."
1444년에서 1449년 사이에 조스트 분쟁을 통해 쾰른 대주교로부터 해방되었으며, 클레페 공작과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이는 피로스의 승리로, 조스트는 무역의 많은 부분을 잃고 1609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 편입되었다.
독일 지역에서 존재가 증명된 최초의 도시법인 "조스트 도시법"은 쿠하우트 및 샬러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조스트 도시법은 롬바르디아의 도시법을 모델로 제정된 것으로 보이며, 콜바흐를 비롯한 주변의 많은 도시에 적용되었다. 특히 조스트 상인이 건설에 참여한 뤼베크에서는 조스트 도시법을 수정한 뤼베크 도시법이 사용되었고, 이것이 발트해 지역에 전파되었다.[20][21]
빌헬름 폰 홀란트는 독일 왕으로서 1252년에 조스트의 보호를 보장하고 광범위한 교역 특권을 부여했다.[22]
조스트는 중세의 가장 중요한 교역 도시 중 하나였으며, 도르트문트, 뮌스터, 오스나브뤼크와 함께 베스트팔렌의 한자 도시 중에서 주요 도시의 지위를 차지했다.[23] 조스트가 관할하는 도시의 마지막 지방 한자 회의는 1604년에 개최되었고, 조스트는 1608년에 뤼베크에서 개최된 마지막 한자 총회에 참석했다. 1669년의 마지막 한자 회의에서는 이미 한자의 쇠퇴가 분명해 조스트는 여기에 참가하지 않았다.[24]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조스트도 중세 후기에는 쾰른 대주교의 간섭에 맞서 자치권을 관철했다. 1225년에 조스트 주민은 대주교의 새로운 성을 무력으로 파괴했고, 자치권을 지키기 위해 15세기에 클레페 공 요한 1세의 보호를 받았다. 조스트의 페데(1444년 - 1449년)에서의 승리는 "피로스의 승리"였다. 조스트는 상업 도시로서의 권력과 영향력을 잃고 점차 농민 도시로 변화해갔다.[25]
독일의 "중세 도시와 농촌의 서민에게 공동 목욕탕은 술집과 마찬가지로 공동 생활의 중요한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고 하지만 "존재하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공동 목욕탕의 기록은 조스트의 것(1130~50)으로" 있다.[26]
2. 3. 근세 시대
1444년부터 1449년까지 조스트는 쾰른 대주교로부터 독립했다. (조스트 분쟁) 베스트팔렌의 수도 지위를 잃은 조스트는 클레페 공작령과 동맹을 맺었으나, 무역에서 큰 손실을 보았다. 1609년 클레페의 마지막 공작이 사망하면서 조스트는 브란덴부르크에 편입되었다.[3]1531년 필리프 멜란히톤을 통해 종교 개혁이 일어났다. 1661년 쾰른 대주교령에서의 밀렵에 대한 벌로, 종교 개혁 이후 중단되었던 비젠 교회에서 베르를로 성모상이 옮겨졌다. 19세기 초 세속화로 여러 수도원이 폐지되었다.
1570년부터 1616년까지 마녀 사냥 시대에는 적어도 67건의 마녀 재판이 열렸다. 1585년부터 1586년 사이에 조스트에서 벌어진 대규모 마녀 사냥으로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 2013년 2월 27일 조스트 시의회는 마녀 사냥 희생자들의 명예를 회복시켰다.
나폴레옹 시대인 1809년, 조스트는 주변 지역 토지를 잃었다. 19세기 초 조스트 인구는 증가하여 베스트팔렌의 대도시 중 하나로 꼽혔다. 1843년 조스트 인구는 8,750명으로 도르트문트를 넘어섰지만, 19세기 경제적 연결에서 뒤처졌다. 1817년 군청 소재지로 승격되고 1849년 철도가 개통되었음에도 경제적 쇠퇴는 계속되었다.
19세기 말경 경제 상황이 개선되었다. 화물역을 통해 일자리가 생겨났고, 식품 및 철 가공 분야의 중소기업이 발전했다. 1920년대에는 브루노 파울이 바우하우스 양식으로 3개의 저택을 지었다. 1930년대 나치는 조스트를 국가 문화재로 만들려 했으나 실패했다.
2. 4. 근현대
19세기 초 조스트는 인구가 약 5,000명에서 8,000명으로 증가하여 뮌스터, 파더보른, 이저론, 민덴에 이어 베스트팔렌의 대도시로 손꼽혔다.[30] 1843년 조스트의 인구는 8,750명으로 7,650명의 도르트문트를 능가했다. 그러나 조스트는 19세기의 경제적 연계에 뒤쳐졌다. 교회, 시청의 중세 건축 부분, 10개의 시문(市門) 중 9개 등 중요한 중세 건축 문화재가 19세기 전반에 철거되었다.[30] 1817년 군청 소재지로 승격되고 1849년 철도가 개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쇠퇴는 개선되지 않았다. 1897년 하수도망 건설과 함께, 시 중심부를 흐르던 조스트바흐는 약 1.50 - 1.80m 깊이로 파여졌고, 일부에는 석재 도랑이 설치되었다. 많은 부분에 덮개가 설치되어 도시 경관에서 사라졌다.19세기 말경 경제 상황은 개선되었다. 화물역을 통해 점차 일자리가 창출되었고(최성기에는 약 2000명의 일자리가 있었다), 식품(제당 공장) 및 철 가공 분야의 중소기업이 발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초 조스트는 한적한 지방 도시였고, 성벽을 넘어 성장하지 못했지만, 그 낭만적인 분위기 때문에 베스트팔렌 표현주의의 중심지가 되었다. 근대 건축에서 중요한 것은 1920년대에 건축가 브루노 파울이 지은 3개의 저택이다. 이 중 가장 작은 저택(플랑게 저택)에는 2011년까지 군립 문서관이 입주해 있었다.

1930년대, 나치는 중세 분위기를 가진 조스트를 국가 문화재로 만들려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나치 시대의 조스트는 "독일의 중세 도시"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조스트는 여러 번 연합국의 폭격 목표가 되었다. 이는 당시 (루르 지방에서 작센 및 실레지아로의 화물 교통을 제어하는) 독일에서 가장 중요한 조차장 중 하나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시내에는 전쟁 수행에 중요한 아크 하겐사의 축전지 공장이 있었다. 역과 공장 사이의 쐐기형 주요 폭격 목표 외에도 역사적인 중심 시가지의 60%가 손상되었지만, 일부가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이 보존되었다. 조차장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축소되었지만, 현대적인 형태로 재건되었다. 그러나 이후 사용이 중단되어 철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도시의 면적과 인구는 단기간에 상당히 증가했다. 실레지아(특히 Kłodzko|크워츠코pl 지역)로부터의 난민을 수용하기 위해, 시의 남동부에 당시 연방 최대의 주택지가 조성되었다. 조스트는 수십 년 동안 군의 주둔지였다. 처음에는 캐나다군, 그 다음은 벨기에군 부대가 주둔했다. 조스트는 벨기에군에게 독일에서 3번째로 큰 주둔지였다. 시내에는 주변 촌락의 주둔지에 근무하는 영국 군인의 가족들도 많이 살았다.
1970년대에 완공된 아우토반 44호선의 2개 인터체인지와 대학교 설립은 현재 조스트의 경제적 성공과 루르 지방 동부로 통근하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베드타운으로 발전하는 기반이 되었다. 1991년 암거를 흐르는 조스트바흐의 재개방이 이루어졌다. 이는 몇몇 지점에서 갑작스러운 붕괴 위험이 있었기 때문이다. 예산 부족으로 인해 필요한 조치가 여러 번 연기되었다. 최초의 재자연화는 1997년/1998년에 이루어졌으며, 170m 구간이었다. 이후 다른 구간에서도 개방이 이루어졌다. 2010년 코르크의 타이히스뮐레 뒤와 비젠 거리 모퉁이에서, 레일바흐의 발부르거 거리까지 마지막이자 가장 긴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었다.
3. 지리
조스트는 헬베크 도로를 따라 위치하며, 립슈타트에서 남서쪽으로 약 23km, 도르트문트에서 동쪽으로 약 50km, 파더보른에서 서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다.
조스트는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리페탈, 바트자센도르프, 뫼네제, 엔세, 베를, 벨버와 접하고 있다.
시역 면적은 8581.6ha이다. 시내 중심부(마르크트 거리) 좌표는 북위 51도 34분 23초, 동경 8도 6분 24초이다. 남북 최대 폭은 11.5km, 동서 최대 폭은 13km이다. 시내 최저 지점은 테닝젠 지구의 슈레데와 연방 도로 B475호선 사이의 "함머 란트"(해발 73m)이며, 최고 지점은 베르게데 지구(해발 219m)이다. 시역의 고도 차이는 146m이다.[15]
3. 1. 위치
헬베크 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으며, 립슈타트에서 남서쪽으로 약 23km, 도르트문트에서 동쪽으로 약 50km, 파더보른에서 서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다.3. 2. 주변 지역
조스트는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리페탈, 바트자센도르프, 뫼네제, 엔세, 베를, 벨버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3. 3. 도시 구성
시역 면적은 8581.6ha이다. 조스트 시내의 마르크트 거리 중심부 좌표는 북위 51도 34분 23초, 동경 8도 6분 24초이다. 남북 최대 폭은 11.5km, 동서 최대 폭은 13km이다. 시내 최저 지점은 테닝젠 지구의 슈레데와 연방 도로 B475호선 사이의 "함머 란트"이며, 최고 지점은 베르게데 지구의 해발 219m 지점이다. 시역의 고도 차이는 146m이다.[15]조스트는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리페탈, 바트자센도르프, 메네제, 엔세, 베를, 베르바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1969년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시정촌 재편에 따라, 구 조스트시는 같은 해 7월 1일에 이전까지 독립된 자치체였던 18개 촌락과 합병했다. 이 촌락들은 이전부터 조스트시와 긴밀한 관계에 있었다. 령방상의 관점에서, 조스트시는 다른 30개 촌락과 함께 중세부터 1809년까지 조스트 지역에 속해 있었다. 이들 시 구역에서의 신앙은 조스트시 시민과 마찬가지로 복음주의가 다수였다. 지형상 조스트 시 구역 일부는 조스트 비옥지, 그 외는 하르에 속한다. 모든 취락이 행정상의 시 구역이 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스트 북쪽에 위치한 엘링젠은 행정상의 시 구역이 아니다. 시정촌 합병으로 조스트시의 면적은 1969년 7월 1일에 28km2에서 약 86km2로, 인구는 35,511명에서 40,320명으로 각각 증가했다.[16] 2008년 인구는 약 48,000명으로, 이 중 40,660명(84.7%)이 핵심 시 구역에, 7,340명(15.3%)이 주변 시 구역에 살고 있었다.[15] 토루 내 본래 시가지 인구는 6,532명으로, 전체 시민의 약 13.6%였다.[15]
조스트시의 핵심 시 구역을 제외한 행정상의 시 구역은 다음과 같다.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지명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ingsen"은 조스트 근교 전역에 특징적인 어미이다. 이것은 원래 명칭 "-inghausen"을 단축한 것이다.
본시의 역사적 구성은 6개의 "호펜"을 가진 본래 도시와 "베르데"라고 불리는 주변 지구로 이루어져 있었다. 베르데를 구성했던 촌락 중 일부는 1969년/1974년 지역 재편에 의해 벰베르와 바트 자센도르프에 합병되었다. 조스트시는 1969년부터 중핵 시가지와 18개 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한때 교회 취락이었던 오스텐넨과 마이닝젠이 포함되어 있다.[30] 소 마을 파라디제도 본시에 합병되었다. 이 지구의 구 수도원은 일부 복원이 이루어졌다. 파라디제 수도원은 이 도시의 역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림멜스하우젠의 『심플리치시무스』에 의해 문학사에도 그 이름을 새기고 있다.
4. 문화
조스트 시립 홀에서는 독일 순회 극단의 공연, 콘서트, 뮤지컬, 오페라, 오페레타, 어린이 연극, 발레 등 다양한 공연이 정기적으로 열린다.[38] 유럽 최대의 영어 연극 순회 극단인 "화이트 호스 시어터"는 조스트에 본거지를 두고 교육적 목적의 공연을 주로 한다.[39]
문화의 집 "알터 슐라흐트호프"는 구 시립 축산장 부지에 있으며, 콘서트, 카바레, 낭독, 스포츠, 견본시 등에 이용된다.[40] 부속 영화관에서는 영화 예술 프로그램을 상영한다.[41]
4. 1. 건축물
조스트에는 수많은 역사적인 건물과 명소가 있으며, 많은 중세 교회들은 이 지역 특유의 녹색 사암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960년, 쾰른 대주교 브루노 1세는 트로예스에서 성 파트로클리의 유물을 조스트로 옮겼다. 964년부터 유물은 성직자 교회인 ''성 파트로클리 돔''(St. Patroclus "대성당")에 보관되었으며, 이는 로마네스크 건축의 훌륭한 예시이다.[37]
이 성당은 현지 녹색 사암으로 만들어진 초기 중세 로마네스크 건축의 한 예이다. 거대한 사각형 종탑이나 첨탑은 구시가지 중심에서 솟아오르며 조스터 뵈르데의 랜드마크로, 수 킬로미터 밖에서도 볼 수 있다.

토루를 가진 오래된 시벽은 현재 3/4가 보존되어 있다. 1/4은 철도 건설로 인해 사라졌다. 현존하는 부분은 내 토루라고 불리는 것뿐이다. 바깥쪽 토루는 1586년에 군사 전략상의 이유로 철거되었다. 한때 10곳이 있던 시문(8곳이 주요 문, 2곳은 옆문이었다) 중 안쪽의 오스트호펜 문만이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으며, 현재는 시립 박물관이 입주해 있다. 식수된 토루는 인접한 공원풍의 「그레프테」(해자)와 함께 완전히 걸어서 통행이 가능하며, 카텐 탑 등 산책에 적합하다.
「그로세 타이히」도 주목할 만하다. 이 연못은 염분을 포함한 수원이 많아 결빙되지 않는다.
조스트 구시가지는 대부분 총 600동이 보호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35] 오래된 가옥 중 일부는 종종 녹색 사암 벽으로 둘러싸인 폭이 몇 미터밖에 되지 않는 좁은 거리에 면해 있다. 많은 오래된 목조 건축물은 방의 높이가 2미터보다 훨씬 낮았다. 이 때문에 수리할 때 적어도 1층 부분은 충분한 높이의 천장을 확보하도록 개축할 필요가 있었다. 조스트가 반드시 목조 건축의 도시였던 것은 아니다. 15세기부터의 경제적 쇠퇴 시대에 처음으로 석조 건축이 저렴한 목조 건축으로 개축되었다. 이를 위해 필요한 목재는 쉽게 입수할 수 있었다. 트리어 대주교이자 쾰른 관재인이었던 Kuno II. von Falkenstein|쿠노 2세 폰 팔켄슈타인de이 이 도시에 아른스베르크 숲의 목재 사용권을 부여했기 때문이다. 이 권리는 400년 이상 유효했다.[36] 내시가지에 많은 정원이 있는 것도 조스트의 특징이다.
많은 보호 문화재로 지정된 건축물 중 특기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다.
- 「부르크호프」거리의 역사를 소개하는 부르크호프 박물관
- 바로크 양식의 시청사
- 「하우스 투어 로제」 또는 「프라이리히라트=하우스」. 시인 페르디난트 프라이리히라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필그림=하우스」.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오래된 여관으로, 한때 야코프 순례로 향하는 순례자의 숙소였다.
- 「쭘 빌덴 만」. 이중 박공 목조 건축


구시가지에는 10채의 대 교회와 28채의 예배당이 예술사적으로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모든 교회는 앙레히테에서 채석된 현지 녹색 사암으로 지어졌다. 이들 종교 건축물 중 6채가 할렌키르헤이다.
- 성 페트리 교회("알데 케르케")는 780년경에 세워져 베스트팔렌에서 최초로 설립된 교회이다. 현재 건물의 로마네스크 양식 부분은 1150년부터 건설되었다. 1230년부터 큰 2층 회랑을 갖춘 할렌키르헤로 개축되었다. 이 교회는 과거 최초의 궁전(후에 "호에스 호스피탈"로 불림)에 연결되어 있었으며, 현재에도 건물 근처에서 그 벽의 흔적("비테킨츠마우어")을 볼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폭격을 받은 후, 1950년대에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개신교 성 페트리-파울리 교회가 예배에 사용하고 있다.
- 성 파트로클리 성당은 페트리 교회에서 10m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이 가톨릭 수석 사제구 교회는 954년에 참사회 교회로 창설되었다. 이 바실리카는 "베스트팔렌의 로마네스크의 정수"로 여겨진다. Kirchturm|교회 탑de과 Westwerk|베스트베르크de는 특히 기념비적인 작품이며, 그 상층부에는 성당 박물관이 있다.
- 2랑식 니콜라이 예배당은 성당 바로 옆, 내진의 남동쪽에 위치해 있다.
- 비젠 교회, 정확히는 성 마리아 추어 비제 교회는 14세기에 창설되었다. 이 교회는 독일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딕 양식의 할렌키르헤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교회 조직은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성 게오르크 교회와 융합되었다.
- "호에 교회"라고 불리는 (정확히는 성 마리아 추어 헤에 교회) 교회는 1180년부터 건설되었으며, 베스트팔렌에서 가장 오래된 할렌키르헤 중 하나이다. 내부의 일부를 그리스 또는 비잔틴 예술가가 완성한 중세풍 벽화, 그리고 다른 곳에서는 고틀란드 섬에서만 볼 수 있는 샤이벤크로이츠가, 중세 시대 이 도시의 광범위한 교역을 말해준다.
- 성 파울리 교회는 1229년에 처음 기록되었다. 원래 로마네스크 교회에서 고딕 양식의 할렌키르헤로 개축은 1350년경부터 이루어졌다. 성 파울리 교회 조직은 1972년에 성 페트리 교회와 통합되었다.
- 구 성 토메 교회는 아마도, 과거 옆에 존재했던 주교의 (두 번째) 궁전과 관련하여 건설된 것으로, 1890년부터 개혁교회에 속했다. 외관상, 탑의 슬레이트 지붕이 눈에 띈다. 교회 내부는 방문객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삼랑식 홀에는 회반죽이 칠해지지 않았으며, 바닥도 매끄러운 코팅이 되어 있지 않다. 흙더미에서도 보이는 교회의 내진 부분에는, 아마도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고딕 양식으로 테두리된 창문이 설치되어 있다.
- 중세 시대 프란치스코회 수도원 교회였던 신 성 토메 교회는 1259년부터 존재하는 고딕 양식의 할렌키르헤이다.
- 브룬슈타인 예배당은 아마도 12세기에 건설되었으며, 14세기에 고딕 양식으로 개축되었다. 이 교회는 1552년부터 1890년까지 개혁교회 조직이 사용했다. 1662년에 볼트가 붕괴되어, 나무 지붕으로 개축되었다. 이 문화재 건축은 2004년부터 종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철거된 교회로는 성 게오르크 교회(1823년 해체), 도미니코회 성 십자가 교회(1820년 해체), 발부르기스 교회(1879년 해체), 많은 예배당이 있다. 이들 교회의 비품은 일부가 조스트와 주변 지역의 다른 교회에 소장되어 있다.




- 가톨릭 성십자가 교구 교회는 1960년대에, 전후 중요한 교회 건축가 루돌프 슈바르츠의 설계에 따라 건설되었다.
4. 2. 축제
만성절 다음 첫 번째 수요일에 시작하여 5일 동안 열리는 만성절 축제는 유럽에서 가장 큰 구시가지 축제이며[6], 2023년에 685회째를 맞이했다.[7]
- 필립스 에센: 이 행사는 해당 종류의 행사 중 가장 오래된 행사이다. 시의회는 매년 공식적으로 초청한 손님과 함께 역사적인 부르크호프에서 연다.
- 시민 사격 축제: 성 요한 축일 (6월 24일) 다음 첫 번째 토요일에 개최된다. 중세 후기에 기원을 둔 조스트 시민 사격 협회가 주최한다. 축제의 시작은 전통적인 "비펜 인 덴 그로센 타이히"이다. 이는 두 명의 저명한 조스트 시민과 한 명의 사격 형제단 회원이 연못 안의 시소에서 위아래로 흔들리는 것이다. 금요일 밤에는 시립 홀에서 통금을 알리는 나팔이 불린다. 사격 토요일에는 마르크트 광장에서 식사가 열리고, 이어서 시청 앞에서 대규모 퍼레이드가 진행된다. 일요일 아침에는 부르크호프 박물관에서 사령관이 손님과 사격 형제단과 함께 새로운 국왕 부부를 위한 리셉션을 개최한다.[42]
- 베르데타크(시 축제): 5월 또는 6월에 개최되는 조스트 최대의 시 축제이다. 쇼핑을 할 수 있는 일요일과 고물상 외에도, 내용이 알찬 음악과 쇼의 오락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매년 베르데타크에서 베르데의 여왕이 임명되어, 사교 행사 및 관광 행사에서 시장과 함께 본시를 대표한다.[43]
- 5월의 댄스: 매년 4월 30일에 시의 중심부에서 "5월의 댄스"가 개최된다. 모든 시민이 초대된다.
- 크나이펜페스트(직역하면 선술집 축제): 2001년부터 매년 3월에, 25개 이상의 매장에서 라이브 연주가 열린다.
- 캠퍼스 서머 나이트: 7월, 학기 말 방학 초에 캠퍼스 서머 나이트가 개최된다. 전문 대학 졸업생은 이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학교를 떠나게 된다.
- 남부 베스트팔렌 전문 대학의 커리어 데이: 매년 봄, 학기 시작에 많은 기업(2011년에는 약 120개사)의 대표가 조스트 캠퍼스에 모여, 전문 대학 졸업생 및 기타 관심 있는 사람 및 게스트에게 회사의 정보, 실무, 계약 협상, 직업을 소개한다. 연방 및 주 총리 및 대의원 및 독일 기술자 협회 회장이 이 엔지니어를 위한 리크루트 이벤트를 지원하고 있다.[44]
- 만성 교회 축제: 2012년 11월에 제675회 만성 교회 축제가 개최되었다. 이는 유럽 최대의 구시가지 교회 축제(기네스북에는 유럽 최대의 내 시가지 교회 축제로 등록되어 있다)로, 중세 도시의 핵심부 대부분이 행사장이 된다. 만성절 다음 수요일에 시작하여 5일간 지속된다.[45] 매년 만성 교회 축제에서는 조스트의 예거켄(사냥꾼)이 시의 상징으로 임명된다. 조스트의 사냥꾼은 1669년에 간행된 한스 야콥 크리스토펠 폰 그리멜스하우젠의 소설 『심플리시우스 심플리치시무스』의 주인공으로, 30년 전쟁에서 활약한다. 조스트의 사냥꾼이 상징하는 낯선 란츠크네히트는 매년 만령 교회 축제의 선전용 포스터가 된다. 예거켄과 베르데의 여왕은 대체로 함께 조스트 시내외의 시 축제에서 조스트 시를 대표한다.
- 조스트의 크리스마스 마켓: 매년 조스트 내 시가지에서 개최된다. 조스트의 경제 진흥회가 조직하는 시장이 페트리 교회 광장, 라트하우스 거리 및 마르크트 광장에서도 개최된다. 대체로 죽은 자 위령일 다음 월요일에 시작하여 크리스마스 며칠 전까지 이어진다. 조스트의 크리스마스 마켓은 점차 인기가 높아져, 베르데타크를 대신하여 조스트의 두 번째 이벤트가 되고 있다.[46]
4. 3. 명물
조스트의 전통적인 특산품으로는 뫼프켄 빵과 호밀빵이 있다. 시내에 위치한 하버랜드 빵집은 1570년부터 존재했으며, 한때 바이에른 왕실에 검은 빵을 공급하기도 했다. 비교적 최근의 특산품으로는 모카 리큐어인 '불렌아우게'(Bull's Eye, 황소 눈)가 있는데, 주로 알레르하일리겐키르메스에서 판매된다.[50] 또 다른 특산품으로는 1993년부터 츠비벨(양파) 여관에서 양조되어 '츠비벨-비어'(Zwiebel-Bier, 양파 맥주)라고도 불리는 조스터 맥주가 있다.[51] 이 양조장에서는 헬레스, 둥켈, 바이첸, 그리고 크리스마스 시즌에는 바이흐나흐츠보크라고 불리는 맥주를 생산하고 있다.[52]조스트의 전통적인 명물 요리로는 메프켄브로트(블러드 소시지의 일종)와 품퍼니켈이 꼽힌다. 하지만 품퍼니켈이 실제로 조스트에서 유래되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 영예는 라이네 등 베스트팔렌의 많은 도시들이 다투고 있다.
5. 자매 도시
조스트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8][32]
국가 | 도시 |
---|---|
United Kingdom|영국영어 | 뱅고어 |
Deutschland|독일de | 헤르츠베르크 |
Nederland|네덜란드nl | 캄펀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미셔와카 |
Magyarország|헝가리hu | 샤로슈퍼터크 |
Polska|폴란드pl | 스트셸체오폴스키에 |
Sverige|스웨덴sv | 비스뷔 |
Nederland|네덜란드nl | 수스트 |
6. 인물
조스트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피터 릴리와 오토 모더존 등이 있다.
6. 1. 출신 인물
- 요하네스 폰 조스트 (1448년–1506년), 작곡가, 이론가, 시인
- 요한 그로퍼 (1503년–1559년), 종교 개혁 시대의 가톨릭 교회 정치인
- 피터 릴리 (1618년–1680년), 네덜란드 출신 잉글랜드 궁정 화가
- 아우구스트 마이네케 (1790년–1870년), 독일 고전학자
- 하인리히 폰 지벨 (1817년–1895년), 역사가
- 오토 모더존 (1865년–1943년), 풍경화가
- 지그프리트 헨리치 (1889년–1964년), 기갑 부대 육군 장교
- 빌헬름 얀 (1891년–1952년), SA 장군이자 경찰청장
- 에른스트 크라페 (1891년–1977년), 변호사이자 정치인
- 빌헬름 모르그너 (1891년–1917년), 표현주의 화가
- 아우구스트 뮐러 (CDU)|아우구스트 뮐러de (1895년–1960년), 국회의원(CDU)
- 하르트비히 블라이디크 (1944년 출생), 축구 선수
- 랄프 쾨니히 (1960년 출생), 만화 작가
- Sasha (Sänger)|자샤de (1972년 출생), 싱어송라이터 겸 배우
- 세바스티안 힐레 (1980년 출생), 축구 선수
- 올리버 키르히 (1982년 출생), 축구 선수
- 미하엘 레얀 (1983년 출생), 축구 선수
- 레베카 한트케 (1986년 출생), 페어 스케이팅 선수
- Gaëtan Bille|가에탕 빌de (1988년 출생), 벨기에 사이클 선수
- 율리안 뷔셔 (1993년 출생), 축구 선수
6. 2. 관련 인물
- 요하네스 폰 조스트 (1448–1506), 작곡가, 이론가, 시인
- 요한 그로퍼 (1503–1559), 종교 개혁 시대의 가톨릭 교회 정치인
- 피터 릴리 (1618–1680), 네덜란드-영국 화가
- 아우구스트 마이네케 (1790–1870), 독일 고전학자
- 하인리히 폰 지벨 (1817–1895), 역사가
- 오토 모더존 (1865–1943), 풍경화가
- 지그프리트 헨리치 (1889–1964), 기갑 부대 육군 장교
- 빌헬름 얀 (1891–1952), SA 장군이자 경찰청장
- 에른스트 크라페 (1891–1977), 변호사이자 정치인
- 빌헬름 모르그너 (1891–1917), 표현주의 화가
- 아우구스트 뮐러 (1895–1960), 국회의원(CDU)
- 하르트비히 블라이디크 (1944년 출생), 축구 선수
- 랄프 쾨니히 (1960년 출생), 만화 작가
- 사샤 슈미츠 (1972년 출생), 싱어송라이터 겸 배우
- 세바스티안 힐레 (1980년 출생), 축구 선수
- 올리버 키르히 (1982년 출생), 축구 선수
- 미하엘 레얀 (1983년 출생), 축구 선수
- 레베카 한트케 (1986년 출생), 페어 스케이팅 선수
- 가에탕 빌레 (1988년 출생), 벨기에 사이클 선수
- 율리안 뷔셔 (1993년 출생), 축구 선수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1200년경 - 1280년) 철학자, 신학자
- 하인리히 알데그레퍼 (1502년 - 1555년에서 1561년 사이) 동판화가, 화가. 지겐에서 사망했다.
- 안드레이 오스테르만 (1686년 - 1747년) 러시아 제국의 정치가, 외교관. 아르키김나지움에서 공부했다.
- 페르디난트 프라이리히라트 (1810년 - 1876년) 시인, 번역가. 1825년부터 1832년까지 조스트에 살았다.
- 콘라트 두덴 (1829년 - 1911년) 철학자, 사전학자. 1859년부터 1869년까지 조스트에서 김나지움 교사를 지냈다.
- 헤르만 크레머 (1834년 - 1903년) 루터교 신학자. 1859년부터 1870년까지 오스테넨의 설교자를 지냈다.
- 로베르트 포일겐 (1884년 - 1955년) 의사, 대학교수. 핵산 연구의 선구자.
- 카를 프리드리히 슈텔브링크 (1894년 - 1943년) 목사, 뤼베크 순교자 중 한 명. 1913년부터 1915년까지 조스트의 디아스포라 세미나에서 공부했다.
- 파울 슈나이더 (1897년 - 1939년) 목사, 국가 사회주의의 희생자. 조스트의 설교자 세미나에서 공부했다.
- 요헨 보르헤르트 (1940년 - ) 연방 식량·농업부 장관. 조스트 대학교를 졸업했다.
- 디터 헤킹 (1964년 - ) 축구 선수. 주니어 시절에 베스트팔리아 조스트, 조스터 SV에서 뛰었다.
- 제임스 브런트 (1974년 - ) 가수. 아버지가 영국 육군 라인 군단 군인으로 주둔했기 때문에, 유년 시절 10년 동안 조스트에 살았다.
- 세바스티안 티라와 (1988년 - ) 축구 선수. 조스트의 크리스티안 롤푸스 실과학교에서 공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ahlergebnisse in NRW Kommunalwahlen 2020
https://www.wahlerge[...]
Land Nordrhein-Westfalen
2021-06-30
[2]
서적
Le dossier Attila
Editions Errance
[3]
웹사이트
Geological map
http://eusoils.jrc.e[...]
[4]
웹사이트
Historic Centre
http://www.historisc[...]
[5]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6]
웹사이트
Soester Allerheiligenkirmes 2024
https://www.nrw-tour[...]
2024-07-27
[7]
웹사이트
Allgemeine Infos
https://www.so-ist-s[...]
2024-07-27
[8]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https://www.soest.de[...]
Soest
2021-03-30
[9]
문서
[10]
문서
[11]
웹사이트
Kommunalprofil Soest, Stadt
https://www.it.nrw.d[...]
Information und Technik Nordrhein-Westfalen
2017-12-21
[12]
Population
Population GER-NW
[13]
문서
Duden Aussprachewörterbuch
Duden
[14]
웹사이트
Ständiger Ausschuss für geographische Namen (StAGN) - Empfehlungen und Hinweise für die Schreibweise geographischer Namen
http://www.stagn.de/[...]
2017-12-21
[15]
웹사이트
Statistik – Info der Stadt Soest
http://www.soest.de/[...]
2017-12-21
[16]
간행물
Geschichte der eingemeindeten Soester Stadtteile. In: Soester Zeitschrift
[17]
서적
Die Straßennamen der Stadt Soest, Stand vom 1. April 1966
Soest
[18]
간행물
Neue Ausgrabungen mit Funden zu mittelalterlichem Handel und Handwerk in Soest. In: Soest – Geschichte der Stadt
Soest
[19]
서적
Das frühmittelalterliche Gräberfeld von Soest. Studien zur Gesellschaft in Grenzraum und Epochenumbruch
Veröffentlichungen der Altertumskommission für Westfalen
[20]
문서
高橋、p. 221-222
[21]
문서
ドランジェ p. 25-30
[22]
서적
Die Straßennamen der Stadt Soest, Stand 1. April 1966
Soest
[23]
문서
たとえば、13世紀の商人団体の代表を務め、裁判権をも有した 4人の長老 (Oldermann) は、リューベック、ヴィスビー、ゾースト、ドルトムントから1人ずつが選ばれた。([[#ドランジェ|ドランジェ]] p. 35-37)
[24]
문서
高橋、p. 269-270
[25]
문서
ドランジェ p.121-123
[26]
서적
中世を旅する人びと: ヨーロッパ庶民生活点描
平凡社
[27]
서적
Evangelische Kirchengeschichte Westfalens im Grundriß
Luther-Verlag, Bielefeld
[28]
웹사이트
Namensliste der Opfer der Hexenprozesse in Soest/ NRW
http://www.anton-pra[...]
[29]
웹사이트
Rat der Stadt Soest rehabilitiert Opfer der Hexenverfolgung am 27. Februar 2013
http://anton-praetor[...]
2017-12-23
[30]
서적
Die Gemeinden des ersten Neugliederungsprogramms in Nordrhein-Westfalen
Deutscher Gemeindeverlag, Köln
[31]
웹사이트
2014年5月25日のゾースト市議会選挙結果
https://www.wahlerge[...]
2017-12-23
[32]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 Stadt Soest
http://www.soest.de/[...]
2017-12-28
[33]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und Städtefreundschaften - Eine Übersicht - Stadt Soest
http://www.soest.de/[...]
2017-12-28
[34]
웹사이트
Städtebund Die Hanse
http://www.hanse.org[...]
2017-12-23
[35]
웹사이트
Stadt Soest - Denkmalliste
http://www.soest.de/[...]
2017-12-24
[36]
서적
Die Straßennamen der Stadt Soest, Stand 1. April 1966, Soest 1966
1966-04-01
[37]
웹사이트
Burghofmuseum - Stadt Soest
http://www.soest.de/[...]
2017-12-28
[38]
웹사이트
Stadthalle Soest
http://www.stadthall[...]
2017-12-24
[39]
웹사이트
White Horse Theatre
https://www.white-ho[...]
2017-12-24
[40]
웹사이트
Kulturhaus Alter Schlachthof Soest | Kultur, Kino, Ticketing im Kreis Soest
http://schlachthof-s[...]
2017-12-28
[41]
웹사이트
Schlachthof Kino
http://www.schlachth[...]
2017-12-28
[42]
웹사이트
Bürger-Schützen-Verein zu Soest e.V. - Schützenfest
https://www.buerger-[...]
2017-12-24
[43]
웹사이트
Soester Bördetag: Wirtschaft & Marketing Soest GmbH
https://www.wms-soes[...]
2017-12-24
[44]
웹사이트
FH-SWF Karrieretag Soest
http://www4.fh-swf.d[...]
2017-12-24
[45]
웹사이트
Soester Allerheiligenkirmes
http://www.allerheil[...]
2017-12-28
[46]
웹사이트
Soester Weihnachtsmarkt
http://www.soester-w[...]
2017-12-28
[47]
웹사이트
AC Soest
http://www.ac-soest.[...]
2017-12-24
[48]
웹사이트
Größter Silvesterlauf Deutschlands – von Werl nach Soest
http://silvesterlauf[...]
2017-12-24
[49]
웹사이트
TUS-Jahn-Soest - Tischtennis-Abteilung
http://www.jahnsoest[...]
2017-12-25
[50]
웹사이트
Bullenauge: Allerheiligenkirmes Soest
http://www.allerheil[...]
2017-12-28
[51]
웹사이트
Soester Bier – Brauhaus Zwiebel
http://www.brauhaus-[...]
2017-12-28
[52]
웹사이트
Brauhaus Zwiebel
http://www.brauhaus-[...]
2017-12-28
[53]
웹사이트
Kuchenmeister GmbH
http://www.kuchenmei[...]
2017-12-28
[54]
웹사이트
Fachhochschule Südwestfalen
http://www4.fh-swf.d[...]
2017-12-26
[55]
웹사이트
Archigymnasium Soest
http://www.archigymn[...]
2017-12-28
[56]
웹사이트
Zentralinstitut Islam-Archiv e.V.
http://de.qantara.de[...]
2017-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