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임무지원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임무지원사령부는 1956년 설립된 미국 유럽 육군의 예비군 학교에서 기원하여, 1986년 1월 1일 제7군 육군예비군사령부로 창설되었다. 이후 사령부는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15년 9월 30일 현재의 제7임무지원사령부로 변경되었다. 현재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제163지역지원단, 제510지역지원단 등 여러 예하 부대를 지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196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을 지원하고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94년 재편성되어 주일 미군을 지원한 미국 육군의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 주독 미군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주독 미군 - 제2병참단
제2병참단은 과거 미 육군 병참 지원 부대로, 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 서독, 그리고 1980년대 한국에서 활동하며 여러 예하 부대를 거느리고 해체와 재소집을 반복했다. - 1956년 설립 - 일본 기상청
일본 기상청은 일본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기상 관측, 예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화산 감시 등을 담당하며, 1872년 설립 이후 1956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 2001년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소속 변경, 2020년 본부 이전 후 전국 관측망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 제공 및 국민 안전과 사회 경제 활동에 기여한다. - 1956년 설립 - 아리마 기념
아리마 기념은 팬 투표로 출전마를 선정하는 일본 중앙경마의 최고 권위 경주 중 하나로,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개최되며 국제 경주로 지정되어 있고 일본 경마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7임무지원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부대 명칭 | 제7임무지원사령부 |
원어 명칭 | 7th Mission Support Command (7th MSC)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종류 | 미국 육군 예비군 |
명령 체계 | 제21전구지원사령부 |
주둔지 | 카이저스라우테른, 독일 |
휘장 | |
![]() | |
![]() | |
![]() | |
![]() | |
연혁 | |
창설 | 1956년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제7임무지원사령부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이 사령부는 1956년 미국 유럽 육군의 5개 예비군 학교 설립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유럽 예비사대(U.S. Army Reserve Affairs, Europe영어), 1983년 유럽 예비대(U.S. Army Reserve, Europe영어)를 거쳐, 1986년 1월 1일 제7군 육군예비군사령부로 창설되었고, 1987년 4월 16일에 정식 조직이 되었다.
2008년 여름, 본부를 톰프킨 막사에서 카이저슬라우테른 데너 막사(Daenner Kaserne)로 이전하였다.
2009년 10월, 제7육군예비군사령부는 민간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10년 9월 16일, 유럽 첫번째 민사여단인 제361민사여단이 창설되었다.[3]
2015년 9월 30일, 제7민간지원사령부는 임무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4]
2019년 9월 14일, 제7임무사령부 부사령관 스코트 K. 톰슨 대령은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사령부 휘하에 여단급 지휘본부를 가진 제510지역지원단과 예하 6개 부대가 폴란드, 독일, 이탈리아에 창설되었다고 USAG 라인란트팔츠에서 발표하였다. 그리고 제406인적자원중대가 해산되었다.[5][6]
2. 1. 창설 배경 (1956년 ~ 1986년)
이 사령부의 기원은 1956년 미국 유럽 육군의 5개 예비군 학교 설립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983년 유럽 예비대(U.S. Army Reserve, Europe영어)를 거쳐, 1986년 1월 1일 제7군 육군예비군사령부로 창설되었고, 이듬해 1987년 4월 16일에 정식 조직이 되었다.[3]2. 2. 조직 개편 (1987년 ~ 현재)
1987년 4월 16일, 제7군 육군예비군사령부가 정식으로 조직되었다.2008년 여름, 본부를 톰프킨 막사에서 카이저슬라우테른 데너 막사(Daenner Kaserne)로 이전하였다.
2009년 10월, 제7육군예비군사령부는 민간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10년 9월 16일, 유럽 최초의 민사여단인 제361민사여단이 창설되었다.[3]
2015년 9월 30일, 제7민간지원사령부는 임무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4]
2019년 9월 14일, 제7임무사령부 부사령관 스코트 K. 톰슨 대령은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사령부 예하에 여단급 지휘본부를 가진 제510지역지원단과 예하 6개 부대가 폴란드, 독일, 이탈리아에 창설되었다고 USAG 라인란트팔츠에서 발표하였다. 그리고 제406인적자원중대가 해산되었다.[5][6]
3. 편성
2023년 10월 현재, 제7임무지원사령부는 다음과 같은 육군 예비군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1]
- 본부 및 본부중대
- 제361민사여단(2010년 9월 17일 창설)
- * 제457민사대대
- * 제89군종파견대
- 제7훈련여단 "워리어" (옛 제3747다목적훈련여단)
- 제66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 (육군 예비군 부대)
- 제414야전지원여단
- 제510지역지원단(2019년 9월 17일 창설)
- * 제83유지지원대대, HHC - 카이저슬라우테른
- * 제319군사사분견대 - 비스바덴
- * 제446이동통제대대
- ** 제446이동통제대
- ** 제530이동통제대 - 그라펜호퍼
- ** 제603이동통제대 - 이탈리아 비첸자
- 제88분견대
- 제89분견대
- 제196유럽의무지원부대(Medical Support Unit-Europe (MSU-E)영어) - 멘하임
- * 제771민간지원대
- 제209디지털연락파견대 - 예비군
- * 제589공병파견대 / FEST-A
- * 제221공보파견대 (PAD)
- 제773민간지원대(대량살상무기 민간지원대) - 독일 카이저슬라우텐, 라인 병기막사
- 제774민간지원대 - 독일 카이저슬라우텐
- * 제406인적자원중대
- ** 제793이동통제대
- ** 제1172이동통제대
- ** 제1177이동통제대
- 제793이동통제대
- 제2500디지털연락분견대(옛 제772민간지원대, 2013년 9월 개편) - 이탈리아 비첸자
- 제7중등교육대(7th Intermediate Learning Element (7th ILE)영어)
하위 섹션과 겹치는 내용은 간략하게 작성되었으며, 필요한 경우 생략되었다. 괄호 안의 부연 설명은 괄호 바깥 내용과 겹치지 않도록 수정하였다.
3. 1. 제7임무지원사령부 (현재)

- 제163지역지원단, 그라펜뵈어
- * 제97화학대대, 바켄하임
- * 제729수송대대, 그라펜뵈어
- * 제783헌병대대
- 제510지역지원단, 카이저슬라우테른
- * 제83전투지속지원대대, 카이저슬라우테른
- * 제446수송통제대대,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7중간수준교육파견대, 그라펜뵈어
- 제88군종파견대, 그라펜뵈어
- 제89군종파견대,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209디지털연락파견대, 비스바덴
- 제221공보파견대,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319군사사파견대, 젬바흐
- 제589공병파견대, 카이저슬라우테른
- 제2500디지털연락파견대, 이탈리아 비첸차
- 제773민사지원팀, 카이저슬라우테른
- 유럽 의료지원부대, 카이저슬라우테른
3. 2. 제7육군예비군사령부 (과거)
- 제3747유럽다기능훈련여단 (3747th Multi-Functional Training Brigade - Europe영어)
- 제64보충중대 (AG)
- 제454보충분견대 (중대급, 조정(Regulatory))
- 제7태스크포스 (7th Joint Task Force영어)
- 제10군수계획증강대 (10th Logistics Planning Augmentation Team영어)
- 제244지원소; 1990년 9월, 제7군단의 사막 폭풍 작전 Rear Area Operations Center (RAOC)|후방지역작전소영어
- 제280지원소
- 제301지원소 (사단)
- 제302지원소 (제3기갑사단 Rear Area Operations Center (RAOC)|후방지역작전소영어); 1988년 7월
- 제303지원소 (제3보병사단 Rear Area Operations Center (RAOC)|후방지역작전소영어); 1987년
- 제305지원소 (제8보병사단 Rear Area Operations Center (RAOC)|후방지역작전소영어)
- 제307지원소 (제2기갑사단 Rear Area Operations Center (RAOC)|후방지역작전소영어)
- 제312지원소 (제1기갑사단 Rear Area Operations Center (RAOC)|후방지역작전소영어); 1989년 1월 16일
- 제???지원소 (제1보병사단 Rear Area Operations Center (RAOC)|후방지역작전소영어)
- 제314지원소 (제21전구군지역사령부); 1990년 9월 1일
- 제317지원소
- 제330지원소 (ROC)
- 제345지원소
- 제1기갑사단 파견대
- Movement Control Team (MCT)|이동통제대영어
- * 제663수송분견대
- * 제793수송분견대
- * 제1172수송분견대
- * 제1177수송분견대
- 유럽 의무지원부대
- 유럽 군사정보단
- SETAF 증강부대
- 제3747USARF 학교
; 유럽 예비대
- 제310전구군지역사령부
- 제2병원센터 (전방) - 영국, 버튼우드 육군창; 1976년 설립
- 제8의무여단 (전방) - 하이델베르크; 1976년 6월 30일
- 하이델베르크 군사첩보부대
4. 계보
- 1986년 1월, 7th Army Reserve Command (7th ARCOM)|제7육군예비군사령부영어
- 2009년 10월, 7th Civil Support Command (7th CSC)|제7민간지원사령부영어
- 2015년 10월 1일, 7th Mission Support command (7th MSC)|제7임무지원사령부영어
참조
[1]
웹사이트
7th Mission Support Command
https://www.usar.arm[...]
7th Mission Support Command
2023-05-02
[2]
웹사이트
7th CSC Home – Unit History
http://www.7csc.army[...]
2023-05-04
[3]
뉴스
Europe's first civil affairs brigade activates
https://www.army.mil[...]
United Army Public Affairs
2010-09-29
[4]
웹인용
Army Reserve command in Europe re-named 7th Mission Support Command
https://www.army.mil[...]
2015-09-30
[5]
뉴스
Army activates new units in Europe to support Poland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19-09-17
[6]
뉴스
Army Reserve activates seven units to assist European missions
https://www.armytime[...]
ArmyTimes
2019-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