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군단지원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군단지원사령부는 1965년 6월 24일 제2지원여단으로 창설되어, 제7군단 (미국)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973년 제2군단지원사령부로 재편성되었으며, 걸프 전쟁에 참전한 후 1992년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22지원사령부
    제22지원사령부는 1950년 창설되어 걸프 전쟁에서 다국적군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현재 대한민국 육군에 예속되어 전시에는 미 육군 제1군단의 작전통제를 받는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령부 - 제4원정지원사령부
    제4원정지원사령부는 대한민국 국군의 해외 파병 부대에 대한 군수, 수송, 정비, 의료 지원 등을 담당하는 부대로, 전시 작전 지속 지원, 해외 파병 부대 지원, 군수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 1992년 해체된 단체 - 제7군단 (미국)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걸프 전쟁까지 참전한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서독 방어, 이라크군 격파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나 냉전 종식 후 해체되었다.
  • 1992년 해체된 단체 -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한미 제1군단은 1971년 창설되어 대한민국 육군과 미국 육군의 연합 지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운영되었으나, 1992년 서부전선 방위 임무를 이양하고 해체되었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미국 육군의 지원사령부 - 제9전구지원사령부
    제9전구지원사령부는 1960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을 지원하고 1970년 해체되었다가 1994년 재편성되어 주일 미군을 지원한 미국 육군의 군수지원 사령부이다.
제2군단지원사령부
개요
이름제2군단지원사령부
원어 이름2nd Corps Support Command
약칭2nd COSCOM
활동 기간1965년 6월 24일 ~ 1992년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종류군단지원사령부(COSCOM)
참전걸프 전쟁
미국 육군 제2지원사령부 전투근무 지원식별 배지
SSI/CSIB
제2지원사령부 문장
DUI

2. 역사

1973년 1월 15일, 제2군단지원사령부(COSCOM)는 군단 직속 지원사령부 편제에서 벗어나 분리되어 재편성되었다. 사령부 본부를 지원하기 위한 특수병력대대가 Nellingen에서 편성되었다.

1990년, 제2군단지원사령부는 제7군단의 군단 전력으로서 걸프 전쟁의 사막 방패 작전과 사막 폭풍 작전에 참가하였다. 전쟁이 끝난 뒤, 1992년에 군단과 함께 독일로 복귀하고 해산되었다.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65년 ~ 1973년)

1965년 6월 24일, 제6병참단과 제51병기단이 통합되어 제7군 지원사령부 예하 제2지원여단으로 창설되었다. 제2지원여단은 미국 유럽 육군의 2개 주력 군단 중 하나인 제7군단을 직접 지원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해 8월, 제51병기단은 정비대대(직접 지원)로 재지정되고 콜먼 막사로 이전하였다.[1]

1969년 3월 1일, 제7군 지원사령부가 해산되고 제7(VII)군단 지원사령부로 재편성되면서, 제2지원여단은 제7(VII)군단 지원사령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여단원들은 기존의 여단 패치 대신 제7(VII)군단 패치를 착용하게 되었다. 제7군단 지원사령부는 제1, 71, 87, 303정비대대, 95보급근무대대, 4수송대대, 101병기대대, 인사행정대대, 특수병력대대, 제6930민간노무단으로 편성되었다. 1970년 1월 28일, 독일로 보내진 제116병기분견대가 사령부에 추가되었다. 그해 10월 24일부터 30일까지 실행된 커튼 체크 연습(Exercise Certain Check|커튼 체크영어)에 제35, 95보급근무대대, 제87, 303정비대대, 제6930민간노무단이 참가하였다.

3. 전투 서열

제2지원여단과 제2지원사령부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

'''제2지원여단 (1967년 6월 30일)'''[1]

부대주둔지
제2지원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하나우 Hutier 막사
제155통신소대 (여단지원)하나우 Hutier 막사
제574부관중대 (인사근무)(B형)하나우 Hutier 막사
제39재무반 (Disb-Acctng)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제21병기분견대 (폭발물 해제)기센 Support Cen
제275화학분견대 (연구 Mbl)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제308전투지원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S&S)(직접지원)기센 Support Cen
* A 중대기센 Support Cen
* B 중대Höchst 맥네어 막사
* C 중대프랑크푸르트 깁스 막사
제19전투지원대대 (정비)(직접지원)
* A 중대기센 펜들턴 막사
* B 중대비스바덴 캠프 Pieri
* C 중대풀다 다운스 막사
제85전투지원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정비)(직접지원)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A 중대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B 중대아샤펜부르크 Fioir 막사
* C 중대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제8전투지원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 (정비)(종합 지원)하나우 Grossauheim 막사
* 제30수송중대 (항공기 직접 지원)하나우 Fliegerhorst 막사
* 제42수송중대 (항공기 직접 지원)하나우 Fliegerhorst 막사
* 제881전투지원중대 (경장비 정비)하나우 Hesse-Homburg 막사
* 제88전투지원중대 (중장비 정비)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제507전투지원중대 (중장비 정비)하나우 Grossauheim 막사
* 제543전투지원중대 (중장비 정비)하나우 Pioneer 막사
* 제296전투지원중대 (Collection, Classification & Salvage)하나우 Hutier 막사
* 제172병기중대 (유도탄)(직접지원)풀다 다운스 막사
제14전투지원대대, HHC (근무지원) (전방)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제24전투지원중대 (야전 근무)(전방)Babenhausen 막사
* 제626전투지원중대 (교체 파츠)(전방)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제18전투지원중대 (종합 지원)(종합 지원)다름슈타트 루드윅 막사
* 제621전투지원중대 (종합지원)(종합 지원)하나우 Hutier 막사
* 제622전투지원중대 (Hvy Mat Sup)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제2지원사령부 (1976년 6월 1일)'''

부대주둔지
제2지원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넬링겐(Nellingen) 넬링겐 막사
제16전투지원부대 (ADP)(B형)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29수송중대 (항공기)(직접지원)에히터딩겐(Echterdingen) 에히터딩겐 AAF
제48수송중대 (항공기)(종합 지원)괴핑겐 Cooke 막사
제229수송중대 (이동통제)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472통신중대 (Med HQ Op)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527수송중대 (차량)뫼링겐(Möhringen) 켈리 막사
제800전투지원중대 (정비 관리)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1전투지원대대 (지역 정비)(직접지원/종합 지원)
제71전투지원대대 (지역 정비)(직접지원/종합 지원)
제87전투지원대대 (지역 정비)(직접지원/종합 지원)
제38인사행정대대
제6930민간노무단, HQ에슬링겐 펑커 막사
제8902민간노무단에슬링겐 펑커 막사
제8904민간노무단아우크스부르크 Reese 막사
제8905th CLS에슬링겐 펑커 막사
제8906민간노무단에슬링겐 펑커 막사



'''제2지원사령부 (1988년 10월 11일)'''


  • 특수병력대대
  • * 제800근무중대 (군단물자관리원)
  • * 제229수송중대 (이동통제관)
  • * 제16데이터처리부대 DPU
  • * 제11화학중대
  • * 제51화학중대
  • * 제242화학분견대
  • 제7군단지원단; 1985년 재소집.
  • * 제1정비대대
  • * 제71정비대대
  • * 제87정비대대
  • * 제13보급근무대대
  • 제30의무단; 1979년 10월 26일 전속.
  • * 제52의무대대
  • * 제56의무대대
  • ** 제47의무분견대 (구급 헬리콥터); 1961년 8월 21일, 제421의무중대 (항공 구급대)로 재편성.
  • * 제128후송병원; 1955년 1월 17일 재소집; 1972년 9월 29일, 전투지원병원으로 재편성.
  • * 제247의무분견대 (구급 헬리콥터)
  • 제4수송대대 (트럭)
  • 제101병기대대
  • 제159항공연대, 7대대
  • 제6930민간지원소

3. 1. 제2지원여단 (1967년 6월 30일)

제2지원여단은 1967년 6월 30일에 창설되었으며, 본부 및 본부중대는 독일 하나우의 Hutier 막사에 주둔했다. 여단은 군수, 정비, 통신, 행정 등 다양한 지원 임무를 수행했으며, 예하 부대는 하나우, 기센, 프랑크푸르트 등 독일 각지에 분산 배치되었다.[1]

부대주둔지
제2지원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하나우 Hutier 막사
제155통신소대 (여단지원)하나우 Hutier 막사
제574부관중대 (인사근무)(B형)하나우 Hutier 막사
제39재무반 (Disb-Acctng)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제21병기분견대 (폭발물 해제)기센 Support Cen
제275화학분견대 (연구 Mbl)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제308전투지원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S&S)(직접지원)기센 Support Cen
* A 중대기센 Support Cen
* B 중대Höchst 맥네어 막사
* C 중대프랑크푸르트 깁스 막사
제19전투지원대대 (정비)(직접지원)
* A 중대기센 펜들턴 막사
* B 중대비스바덴 캠프 Pieri
* C 중대풀다 다운스 막사
제85전투지원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정비)(직접지원)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A 중대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B 중대아샤펜부르크 Fioir 막사
* C 중대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제8전투지원대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 (정비)(종합 지원)하나우 Grossauheim 막사
* 제30수송중대 (항공기 직접 지원)하나우 Fliegerhorst 막사
* 제42수송중대 (항공기 직접 지원)하나우 Fliegerhorst 막사
* 제881전투지원중대 (경장비 정비)하나우 Hesse-Homburg 막사
* 제88전투지원중대 (중장비 정비)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제507전투지원중대 (중장비 정비)하나우 Grossauheim 막사
* 제543전투지원중대 (중장비 정비)하나우 Pioneer 막사
* 제296전투지원중대 (Collection, Classification & Salvage)하나우 Hutier 막사
* 제172병기중대 (유도탄)(직접지원)풀다 다운스 막사
제14전투지원대대, HHC (근무지원) (전방)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제24전투지원중대 (야전 근무)(전방)Babenhausen 막사
* 제626전투지원중대 (교체 파츠)(전방)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 제18전투지원중대 (종합 지원)(종합 지원)다름슈타트 루드윅 막사
* 제621전투지원중대 (종합지원)(종합 지원)하나우 Hutier 막사
* 제622전투지원중대 (Hvy Mat Sup)하나우 파이오니어 막사


3. 2. 제2지원사령부 (1976년 6월 1일)

부대주둔지
제2지원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넬링겐(Nellingen) 넬링겐 막사
제16전투지원부대 (ADP)(B형)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29수송중대 (항공기)(직접지원)에히터딩겐(Echterdingen) 에히터딩겐 AAF
제48수송중대 (항공기)(종합 지원)괴핑겐 Cooke 막사
제229수송중대 (이동통제)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472통신중대 (Med HQ Op)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527수송중대 (차량)뫼링겐(Möhringen) 켈리 막사
제800전투지원중대 (정비 관리)넬링겐 넬링겐 막사
제1전투지원대대 (지역 정비)(직접지원/종합 지원)
제71전투지원대대 (지역 정비)(직접지원/종합 지원)
제87전투지원대대 (지역 정비)(직접지원/종합 지원)
제38인사행정대대
제6930민간노무단, HQ에슬링겐 펑커 막사
제8902민간노무단에슬링겐 펑커 막사
제8904민간노무단아우크스부르크 Reese 막사
제8905th CLS에슬링겐 펑커 막사
제8906민간노무단에슬링겐 펑커 막사


3. 3. 제2지원사령부 (1988년 10월 11일)


  • 특수병력대대
  • * 제800근무중대 (군단물자관리원)
  • * 제229수송중대 (이동통제관)
  • * 제16데이터처리부대 DPU
  • * 제11화학중대
  • * 제51화학중대
  • * 제242화학분견대
  • 제7군단지원단; 1985년 재소집.
  • * 제1정비대대
  • * 제71정비대대
  • * 제87정비대대
  • * 제13보급근무대대
  • 제30의무단; 1979년 10월 26일 전속.
  • * 제52의무대대
  • * 제56의무대대
  • ** 제47의무분견대 (구급 헬리콥터); 1961년 8월 21일, 제421의무중대 (항공 구급대)로 재편성.
  • * 제128후송병원; 1955년 1월 17일 재소집; 1972년 9월 29일, 전투지원병원으로 재편성.
  • * 제247의무분견대 (구급 헬리콥터)
  • 제4수송대대 (트럭)
  • 제101병기대대
  • 제159항공연대, 7대대
  • 제6930민간지원소

4. 기록

제2군단지원사령부는 1957년 7월 1일 제2지원여단으로 창설되었다. 1969년 3월 1일 제7군단 지원사령부, 1973년 1월 15일 제2지원사령부, 1978년 10월 21일 제2군단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다.[1] 1965년 6월 24일 제7군 지원사령부에 소속되었고, 1969년 6월 2일 제7(VII)군단에 소속되었다.[1]

걸프 전쟁 당시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1990년과 1991년에 걸쳐 활약했다.[1]

4. 1. 소속

4. 2. 계보


  • 1957년 7월 1일: 2rd Support Brigade|제2지원여단영어
  • 1969년 3월 1일: VII Corps Support Command|제7군단 지원사령부영어
  • 1973년 1월 15일: 2nd Support Command|제2지원사령부영어
  • 1978년 10월 21일: 2nd Corps Support Command|제2군단지원사령부영어

4. 3. 전역

서남아시아서남아시아, 1990년서남아시아, 1991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