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집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집단군은 육군 부대의 편제 단위 중 하나로, 여러 군을 통합 지휘하는 규모를 의미한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독일, 오스만 제국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일본, 소련, 서방 연합군에서 운용되었다. 냉전 시대에는 NATO가 중앙유럽 지역 방어를 위해 북부 집단군과 중부 집단군을 편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집단군 - 전선군
    전선군은 전쟁이나 대규모 군사 작전 시 특정 전선 지역을 담당하는 대규모 군사 편제로서, 주로 소련군과 일본 제국에서 운용되었으며 현대 한국군 작전사령부와 비교하여 전략적 시사점을 가진다.
  • 군사에 관한 - 중대
    중대는 군대의 기본 전술 및 행정 단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규모와 구성을 거쳐 현대에는 100~250명 규모로 유지되며 소대, 중대 본부 등으로 구성되고 대위가 지휘한다.
  • 군사에 관한 - 분대
    분대는 군대에서 공식 편제상 가장 작은 병력 단위이며, 육군에서는 소대의 하급 부대로 분대장이 지휘하고, 인원은 6명에서 12명 사이이며, 해군, 헌병, 경찰, 소방대 등에서도 유사한 단위로 존재한다.
집단군
군사 정보
명칭총군 (총군)
영문 명칭Army group
분류군사 조직
규모군 이상
역할특정 전역 또는 지역 내 작전 지휘
편성 및 지휘
지휘관총군 사령관
구성여러 개의 군단, 사단, 여단 등으로 구성됨
통상적인 예하 부대2개 이상의 야전군
항공군
포병
공병
보급 부대
특징
임무대규모 작전 수행
주요 전략 목표 달성
지리적 범위넓은 전선 또는 특정 전구 담당
전략적 중요성국가의 전략 목표 달성에 기여
역사적 맥락
창설 시기대규모 군사 작전 필요 시
해체 시기작전 종료 또는 군사 재편 시
주요 사용 국가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소련 붉은 군대
미국 육군
현대적 적용
현대전대규모 지상전 가능성 감소로 인해 사용 빈도 감소
유사 개념지역군 또는 전구사령부
추가 정보
관련 용어군집단
전선
방면군

2. 명칭

국내에서는 'Army group'을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등에서 '''집단군'''(集團軍)으로 번역하고 있다.[9]

3.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주요 참전국들은 집단군을 편성하여 운용했다.

독일 제국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오스만 제국군, 불가리아 왕국군과의 연합 전선을 펼치기 위해 사령관의 이름을 딴 집단군을 편성했다. 사령관의 인사 이동에 따라 집단군의 명칭도 변경되었다.[2][3]

전선집단군명기간사령관
동부 전선마켄젠 집단군
마켄젠 집단군(폴란드)1915년 4월 22일 - 1915년 9월 8일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린징겐 집단군1915년 9월 8일 - 1918년 3월 31일알렉산더 폰 린징겐
아이히호른-키예프 집단군1918년 3월 31일 - 1918년 4월 30일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아이히호른 집단군1918년 4월 30일 - 1918년 7월 31일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키예프 집단군1918년 7월 31일 - 1919년 2월 3일귄터 폰 키르히바흐
마켄젠 집단군(세르비아)1915년 9월 18일 - 1916년 7월 30일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벨로우 집단군1916년 10월 11일 - 1917년 4월 21일오토 폰 벨로우
숄츠 집단군1917년 4월 23일 - 1918년 10월 6일프리드리히 폰 숄츠
마켄젠 집단군(루마니아)1916년 8월 28일 - 1918년 5월 7일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힌덴부르크 집단군1915년 8월 5일 - 1916년 7월 30일파울 폰 힌덴부르크
서부 전선아이히호른 집단군1916년 7월 30일 - 1918년 3월 31일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리가 집단군1918년 3월 31일 - 1918년 4월 30일헤르만 폰 아이히호른
바이에른 왕자 레오폴드 집단군1915년 8월 5일 - 1916년 8월 29일레오폴트 폰 바이에른
보이르슈 집단군1916년 8월 29일 - 1917년 12월 15일레무스 폰 보일슈
갈비츠 집단군1916년 7월 19일 - 1916년 8월 28일막스 폰 갈비츠
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 집단군(A 집단군)1916년 8월 28일 - 1918년 11월 11일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독일 황태자 집단군(B 집단군)1915년 8월 1일 - 1918년 11월 11일빌헬름 폰 프로이센
서부 전선갈비츠 집단군(C 집단군)1918년 2월 1일 - 1918년 11월 11일막스 폰 갈비츠
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집단군(D 집단군)1917년 3월 7일 - 1918년 11월 11일알브레히트 폰 뷔르템베르크
뵘 야전군1918년 8월 12일 - 1918년 10월 8일막스 폰 베른
중동 전선이르디림 집단군(F 집단군)1917년 7월 - 1918년 11월 7일에리히 폰 팔켄하인(1918년 2월에 오토 리만 폰 산더스로 교체)


3. 1. 프랑스

프랑스 육군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여러 개의 집단군프랑스어을 편성했다.

  • 북부 집단군: 1914년 10월 임시로 창설.
  • 동부 집단군: 1915년 창설.
  • 중앙 집단군: 1915년 창설.
  • 예비 집단군: 1917년에 창설.
  • 플랑드르 집단군: 1918년 9월 벨기에의 알베르 1세의 지휘 하에 창설되어 백일 공세의 일환으로 제2차 벨기에 전투를 수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프랑스군은 다음과 같은 5개 군집단을 편성했다.

군집단명지휘관지휘 기간
북부 군집단(Groupe d'armées du Nord)페르디낭 포슈1914년 10월 4일 - 1916년 12월 27일
루이 프랑셰 데스페레1916년 12월 27일 - 1918년 6월 10일
폴 메스트르1918년 6월 10일 - 1918년 11월 11일
중앙 군집단(Groupe d'armées du Centre)에두아르 드 카스텔노1915년 6월 22일 - 1915년 12월 15일
페르낭 랑글 드 카리1915년 12월 12일 - 1916년 5월 2일
필리프 페탱1916년 5월 2일 - 1917년 5월 4일
에밀 파요르1917년 5월 4일 - 1917년 12월 1일
동부 군집단(Groupe darmées de lEst)오귀스탱 뒤바일1915년 1월 5일 - 1916년 3월 31일
루이 프랑셰 데스페레1916년 3월 31일 - 1916년 12월 27일
에두아르 드 카스텔노1916년 12월 27일 - 1917년 1월 21일
페르디낭 포슈1917년 1월 21일 - 1917년 3월 31일
에두아르 드 카스텔노1917년 3월 31일 - 1918년 11월 11일
예비 군집단(Groupe d'armées de Réserve ou de Rupture)조제프 알프레드 미셸러1917년 1월 - 1917년 5월 8일
에밀 파요르1918년 2월 23일 - 1918년 11월 11일
플랑드르 군집단(Groupe d'armées des Flandres) (벨기에군 잔존 병력 및 영불군으로 구성)알베르 1세1918년 2월 23일 - 1918년 11월 11일



여기에 영국 원정군(British Expeditionary Force)이 지휘 하에 추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에 대비하여 3개 군집단 (6월에 제4군집단이 추가되어 4개 군집단) 이 조직되었다.








1944년, 연합군은 유럽 반격을 예상하여, 영국에서 다음 4개 군집단을 편성했다.

3. 2. 독일

독일 육군은 제1차 세계 대전동부 전선서부 전선에 여러 개의 야전군 사령부(Heeresgruppen)를 창설했다.[2] 각 야전군 사령부는 지휘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

전선집단군명기간
동부 전선마켄젠 집단군
마켄젠 집단군(폴란드)1915년 4월 22일 - 1915년 9월 8일
린징겐 집단군1915년 9월 8일 - 1918년 3월 31일
아이히호른-키예프 집단군1918년 3월 31일 - 1918년 4월 30일
아이히호른 집단군1918년 4월 30일 - 1918년 7월 31일
키예프 집단군1918년 7월 31일 - 1919년 2월 3일
마켄젠 집단군(세르비아)1915년 9월 18일 - 1916년 7월 30일
벨로우 집단군1916년 10월 11일 - 1917년 4월 21일
숄츠 집단군1917년 4월 23일 - 1918년 10월 6일
마켄젠 집단군(루마니아)1916년 8월 28일 - 1918년 5월 7일
힌덴부르크 집단군1915년 8월 5일 - 1916년 7월 30일
서부 전선아이히호른 집단군1916년 7월 30일 - 1918년 3월 31일
리가 집단군1918년 3월 31일 - 1918년 4월 30일
바이에른 왕자 레오폴드 집단군1915년 8월 5일 - 1916년 8월 29일
보이르슈 집단군1916년 8월 29일 - 1917년 12월 15일
갈비츠 집단군1916년 7월 19일 - 1916년 8월 28일
바이에른 왕세자 루프레히트 집단군(A 집단군)1916년 8월 28일 - 1918년 11월 11일
독일 황태자 집단군(B 집단군)1915년 8월 1일 - 1918년 11월 11일
서부 전선갈비츠 집단군(C 집단군)1918년 2월 1일 - 1918년 11월 11일
뷔르템베르크 공작 알브레히트 집단군(D 집단군)1917년 3월 7일 - 1918년 11월 11일
뵘 야전군1918년 8월 12일 - 1918년 10월 8일


3. 3.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군은 세 개의 야전군 집단을 가지고 있었다.

  • 코카서스 야전군 집단 (1917년 3월 8일 - 1917년 12월 16일)
  • 이을드름 야전군 집단 (''F''): 독일 아시아 군단을 포함했다. (1917년 7월 - 1918년 11월 7일)
  • 동부 야전군 집단 (1918년 6월 7일 - 1918년 10월 21일)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주요 참전국들은 집단군을 운용했다. 소비에트 붉은 군대폴란드군전선군을, 일본 제국 육군은 총군(), General Army영어)을 운용했다.

집단군은 다국적 군대로 구성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미국 제6집단군은 미국 제7군과 프랑스 제1군으로, 영국 제21집단군은 영국 제2군, 캐나다 제1군, 미국 제9군으로 구성되었다.

4. 1. 독일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독일 육군은 집단군(Heeresgruppen)으로 편성되었다. 이 집단군 중 일부는 여러 추축국 군대를 포함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집단군에는 독일군과 이탈리아군 군단이 모두 포함되었다.

별개의 독일 군 부대(독일어: :de:Armeegruppe)는 영어로도 "군 집단"으로 번역되며, 군 규모 부대의 보다 임시적인 그룹을 설명하며, 구성 부대 중 하나의 지휘가 그룹의 지휘 구조를 형성했다. 이러한 그룹은 일반적으로 해당 부대의 지휘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예를 들어 1942년 청색 작전 중 B 집단군의 일부인 Armeegruppe Weichs가 있다.

4. 2. 일본

일본 제국 육군은 총군(総軍|소군일본어, General Army영어)이라는 명칭의 집단군을 운용했다.

  • 간토군은 1908년 중국 북동부의 일본 조차지에 주둔한 사단급 수비대로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중국 북부에 주둔했으며, 1941년에 병력이 70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1945년 소련군과 맞서 싸웠으나 소련군에게 패배하여 궤멸되었다.
  • 시나 하켄군(중국 파견군)은 1939년 9월 난징에서 중국 중부 작전을 통제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25개 보병 사단과 1개 기갑 사단으로 구성된 62만 명의 병력이 있었다.
  • 난포군(남부군, 남방 파견군)은 1941년 11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사이공에서 결성되어 중국 남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남태평양에서의 일본 제국 육군 작전을 통제했다.


1945년 4월, 보에이 소-시레이부(총 방위 사령부, 본토 방위 총사령부)는 3개의 야전군으로 분할되었다.

1945년 8월까지 이들은 55개 사단과 수많은 소규모 독립 부대로 200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일본의 항복 이후, 일본 제국 육군은 해산되었고, ''다이이치 소-군''은 제1 해산 사령부로서 1945년 11월 30일까지 존재했다.

4. 3. 소련

소련 붉은 군대는 전선군(фронт)이라는 명칭의 집단군을 운용했다.[1] 전선군은 군집단 규모와 맞먹는 야전군으로 편성되었다.[1] 일부 야전군에는 망명 중 창설된 연합군 부대가 포함되었는데, 예를 들어 제1 폴란드군은 제1 벨로루시 전선군의 일부였다.[1]

4. 4. 서방 연합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서방 연합군은 유럽 전선과 지중해 전선, 그리고 중국-버마-인도 전구에서 여러 집단군을 운용했다. 이 집단군들은 연합군 최고 사령관에게 종속되었으며, 영국미국의 장교들이 지휘했고, 다양한 연합국 부대들이 포함되었다.

;지중해/유럽 전선

  • 제18집단군: 1943년 2월 해럴드 알렉산더 장군이 튀니지 전역을 지휘하기 위해 창설했다. 영국 제1군영국 제8군이 주력이었으나, 프랑스 및 미국 군단도 포함되었다. 1943년 5월 튀니지 점령 이후 제15집단군으로 재편성되었다.[4]
  • 제15집단군: 1943년 5월 해럴드 알렉산더 장군의 지휘하에 창설되어 이탈리아 연합군 침공을 담당했다. 시칠리아 연합군 침공 당시 영국 제8군미국 제7군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제7군은 미국 제5군으로 대체되었고, 1944년 12월 마크 W. 클라크 중장이 지휘를 이어받았다.[4]
  • 제21집단군: 1943년 6월 버나드 파제트 장군의 지휘하에 창설되었다. 1944년 1월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으로 교체되었으며, 몽고메리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그 이후의 북서 유럽 전역 전체를 지휘했다. 제1 캐나다군과 영국 제2군으로 구성되었지만, 일부 작전에서는 제1 연합 공수군, 미국 제1군미국 제9군도 지휘했다. 연합 원정군의 북쪽 날개를 형성하여 북부 집단군으로 불리기도 했다.[4]
  • 제12집단군: 1944년 7월 오마 브래들리 중장의 지휘하에 창설되었다. 코트니 호지스조지 S. 패튼 중장이 각각 제1군과 제3군을 지휘했다. 최종적으로 제9군과 제15군이 포함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서방 연합군의 집단군 중 가장 규모가 컸다. 제21집단군과 제6집단군 사이에 연합군의 전선 중앙을 점령하여 중앙 집단군으로 불리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 군인들로만 구성된 유일한 집단군이었다. 전쟁 말기에는 4개의 야전군, 12개의 군단, 40개 이상의 사단, 130만 명 이상의 병력을 지휘했다.[4]
  • 제6집단군: 작전 드라군을 위해 1944년 7월 제이콥 L. 데버스 중장 휘하에 창설되었다. 미국 제7군프랑스 제1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서유럽에서 연합 원정군의 남쪽 측면을 점령하여 남부 집단군으로 불리기도 했다.[4]


;중국-버마-인도 전구

  • 제11집단군: 1943년 11월 버마 전역을 위해 조지 기파드 장군의 지휘하에 창설되었다. 영국 제14군과 실론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국-미국 북부 전투 지역 사령부에 대한 지휘권도 일부 가졌다. 1944년 11월 올리버 리즈 중장으로 교체되었고 북부 전투 지역 사령부에 대한 확고한 지휘권을 확립했다. 1945년 7월 윌리엄 슬림 장군이 지휘를 이어받았다.[4]

5. 냉전 시대 NATO

냉전 기간 동안,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는 중앙유럽 지역(대부분 서독)의 지상군을 두 개의 집단군으로 편성했다. 이들은 중앙유럽 연합군과 공군의 지휘를 받으며,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기구의 침공에 대비하여 독일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4]

두 집단군은 북부집단군(NORTHAG)과 중부집단군(CENTAG)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기준으로 보면, 이들은 각각 4개의 군단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부대 규모는 군(Army)급이었지만, 지리적 책임 범위는 집단군 규모였다.[5][7]


  • 북부집단군 (NORTHAG): 북쪽에서 남쪽으로 네덜란드 제1(I)군단, 독일 제1(I)군단, 영국 제1(I)군단, 벨기에 제1(I)군단으로 구성되었다. 주라인 영국 육군(BAOR)의 영국 지휘관이 지휘했다.

제1북부 야전군

  • 중부집단군 (CENTAG): 북쪽에서 남쪽으로 독일 제3(III) 군단, 미국 제5(V)군단, 미국 제7(VII)군단, 독일 제2(II)군단으로 구성되었다. 미국 유럽 육군 지휘관이 지휘했다.

NATO 중앙 지역의 각 군단 관할 구역


집단군 사령관은 평시에 제한적인 권한만 가졌으며, 훈련, 교리, 병참, 교전 규칙 등은 NATO가 아닌 각 국가의 책임이었다.[6]

1991년 11월, NATO 정상회의에서 "새로운 전략 구상"이 채택되면서 군과 통합 명령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시작되었다. 1993년 6월, 구조적 변화의 일환으로 하이델베르크의 중부집단군 본부와 묀헨글라트바흐의 북부집단군 본부가 해체되고, 1993년 7월 1일부터 중앙유럽 연합지상군(LANDCENT)으로 대체되었다.

참조

[1] 서적 APP-6C Joint Military Symbology http://armawiki.zumo[...] NATO 2011-05
[2] 웹사이트 "German Army Groups" https://wwi.lib.byu.[...]
[3] 기타 Die Deutschen Heeresgruppen im Ersten Weltkrieg https://artsandcultu[...] 2015-12-04
[4] 기타 Cold War NATO Army Group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06-20
[5] 서적 Armies of NATO's Central Front Jane's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85
[6] 기타 Cold War NATO Army Group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06-20
[7] 서적 Armies of NATO's Central Front Jane's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85
[8] 웹인용 Military Units: Army https://www.defense.[...] 2024-02-18
[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0] 서적 Armies of NATO's Central Front Jane's Publishing Company Limit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