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경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경철은 1929년 평안북도 선천에서 태어나, 김일성종합대학교 광산공학과에 입학했으나 퇴학 후 대한민국으로 망명했다. 연희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천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해군 천문대와 NASA 등에서 근무하다가 1968년 귀국하여 연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천문우주학과를 신설했고, 한국천문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69년 아폴로 11호 달 착륙 방송 해설로 '아폴로 박사'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2010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그는 다수의 저술을 남겼으며, 소행성 4976 조경철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스큘럼 칼리지 동문 - 김보연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인 김보연은 1974년 영화 데뷔 후 1970년대 하이틴 스타로 인기를 얻었으며, 드라마와 영화, 가수로 활동하며 대종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꾸준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신정사회당 당원 - 함세웅
    함세웅은 한국 전쟁의 참상을 겪고 사제의 길을 걸으며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창립을 주도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 신정사회당 당원 - 고정훈 (정치인)
    고정훈은 한국광복군 입대, 육군 대위 임관 후 육군 중령 예편, 조선일보 논설위원, 진보당 선전간사, 민주사회당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 군인, 언론인이며 제1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신정당 당원 - 백기완
    백기완은 대한민국의 통일운동가,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한일협정 반대 운동 참여를 시작으로 유신 헌법 개정 청원운동 등으로 옥고를 치렀으며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고,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노나메기재단 이사장을 지냈으며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 원작자이자 독특한 화법과 열정적인 연설로 알려졌다.
  • 신정당 당원 - 함세웅
    함세웅은 한국 전쟁의 참상을 겪고 사제의 길을 걸으며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창립을 주도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조경철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조경철
원어 이름조경철 (趙慶哲)
출생일1929년 4월 4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선천군
사망일2010년 3월 6일
사망 장소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신촌 세브란스 병원
사망 원인급성 심근경색
본관백천(白川)
고성(孤星)
닉네임아폴로 박사
부모조재병(부), 진주 하씨 부인(모)
배우자전계현
자녀1남 1녀
종교개신교
정치 활동
정당무소속
주요 경력새정치국민회의 중앙위원
새천년민주당 중앙위원
새천년민주당 고문
자유민주연합 특임행정촉탁위원
군 복무
참전 전투/전쟁한국 전쟁
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50년 7월 5일 ~ 1953년 8월 15일
최종 계급대한민국 육군 대위
근무육군 수도사단
육군사관학교
지휘연락장교
기상장교
시설장교
일본어 통역장교
중국어 통역장교
영어 통역장교
정훈장교
육사 교수
서훈금성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학력 및 경력
학력미국 필라델피아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
주요 경력천문학자
대학 교수
정치인
수필가
동양화가
서예가
서양화가
철학평론가
교육평론가
음악평론가
영화평론가
미술평론가
시사평론가
문화평론가
과학평론가
스포츠평론가
공업사평론가
정치평론가
저술가
경희대학교 부총장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2. 생애

조경철은 1929년 4월 4일 평안북도 선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학업, 예술, 체육 등 다방면에 재능을 보였다. 김일성종합대학에 입학했으나 김일성 암살 모의 사건에 연루되어 퇴학당하고 대한민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연희대학교에 입학하여 한국 전쟁 발발 전까지 수학했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참전하여 금성화랑무공훈장을 받았으며,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역임하기도 했다. 1953년 휴전 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천문학을 전공,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해군천문대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의 해외 유치 과학자 1호로 귀국, 연세대학교경희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69년 아폴로 11호 달 착륙 중계방송 해설을 맡아 '아폴로 박사'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한국천문학회, 한국우주과학회 등 여러 학회 및 단체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으며, 1970년에는 배우 전계현과 결혼했다.

38년간 173권의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하고, 대중매체에 3,000여 건의 글을 기고하는 등 과학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2010년 3월 6일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으며,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이 추서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학창 시절

1929년 4월 4일 평안북도 선천에서 태어났다. 부친 조재병(趙才炳)은 목재상을 경영하고 광산업에 종사하였으며 한국 전쟁 때 월남하여 1968년 별세하였다. 모친 진주 하씨 부인은 다정하고도 보수적인 성품이었으며 1959년 북한에서 별세하였다. 그는 청소년기부터 학업뿐만 아니라 예술과 체육에도 재능이 있었다. 지금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보통학교 5학년 때 일본을 포함한 전국 규모의 미술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빙상 대표 선수를 하기도 했다. 평양고등보통학교(후에 평양 제2중학교와 서광중학으로 개칭)를 다닐 때 음악에 대한 열정을 보이기도 하였다. 조부로부터 배운 서예와 미술반 활동을 통해 유화에도 재능을 보였다. 고등보통학교 말기에는 임마누엘 칸트의 철학에 심취하기도 하였다.

1947년 김일성종합대학교 광산공학과에 1회로 입학하였으나, 김일성 암살을 모의한 사건에 연루되어 퇴학 처분되었고 체포 투옥되었다가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였다. 1948년 종교 음악을 전공하던 박태준 교수의 추천을 받아 시험을 치루어 연희대학교 물리기상학과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1950년 대학 3학년 때 외무부에서 모집한 유학 시험에 합격하여 일본 도쿄 대학교 진학을 앞두고 있었으나, 그 해 6월 25일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7월 5일 육군 준위로 임관, 군 노역병(勞役兵)으로 일하다가 9월 28일 서울 수복 직후 해산되어 육군 연락 장교로 지원, 10월 7일 육군 소위로 진급하여 전란에 본격 참전하였다. 1951년 2월 육군 중위로 특진하였고, 1952년 3월 육군 대위로 진급하였다. 한국 전쟁 때 연락장교로 참전한 그는 전투 병과로 자원하여 금화지구 603고지 전투에서 무공을 세워 금성 화랑무공훈장을 받았으나 총상을 입었다. 이로 말미암아 후방으로 전출되어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이때 육군사관학교 생도 1기생들에게 물리학을 가르쳤는데, 그 중에는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이 있었다. 1953년 휴전 후 학업 복귀를 위해 제대를 신청하여 1953년 8월 15일 육군 대위로 예편하였다. 곧바로 1954년 연희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여 물리학 학사학위를 취득했다. 이 해에 단돈 120USD를 소지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투스큘럼 칼리지에서 정치학 공부를 시작하였다. 생활비 마련을 위해 거리의 화가로 유화 초상화를 벌어 학비를 충당했으며, 학기말에는 전과목 A학점을 받아 랭킨 총장의 총애를 받았다. 그 보답으로 졸업식장에서 총장의 초상화를 그려 증정했다. 1955년 학부를 마치고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으로 진학하여 정치학을 1개월 정도 공부하던 중, 스승 이원철 박사의 편지를 받고 천문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천문학과에 입학하였다. 1956년 4월 미시건대학에서 개최된 미국천문학회에서 프랑크 우드(F. B. Wood) 박사에게 장학금과 생활비 제안을 받고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으로 옮겨, 1959년 5월 "다섯 개의 식변광성의 새 광도 요소(The New Light Elements of Five Eclipsing Variables)"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2년 5월 "식쌍성 beta Persei, RZ Draconis, BX Pegasis의 광전 측광(Photoelectric Photometry of the Eclipsing Variables, beta Persei, RZ Draconis and BX Pegasi)"이라는 제목의 학위 논문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

2. 2. 대한민국 육군 복무와 한국 전쟁 참전

1947년 김일성종합대학 광산공학과에 1회로 입학하였으나, 김일성 암살을 모의한 사건에 연루되어 퇴학 처분되었고 체포 투옥되었다가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였다. 1950년 7월 5일 육군 준위로 임관하여 노역병으로 일하다가, 1950년 9월 28일 서울 수복 직후 해산되어 육군 연락 장교로 지원, 1950년 10월 7일 육군 소위로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1951년 2월 육군 중위로, 1952년 3월 육군 대위로 진급하였다. 한국 전쟁 중 연락장교로 참전 중 전투 병과로 자원하여 금화지구 603고지 전투에서 무공을 세워 금성 화랑무공훈장을 받았으나 총상을 입었다. 이후 후방으로 전출되어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근무하며 육군사관학교 생도 1기생들에게 물리학을 가르쳤는데, 그 중에는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등이 있었다. 1953년 휴전 후 학업 복귀를 위해 제대를 신청하여 1953년 8월 15일 육군 대위로 예편하였다.[3]

2. 3. 미국 유학과 천문학 연구

1947년 김일성종합대학교 광산공학과에 1회로 입학하였으나, 김일성 암살을 모의한 사건에 연루되어 퇴학 처분되었고 체포 투옥되었다가 대한민국으로 망명하였다. 1948년 박태준 교수의 추천으로 연희대학교 물리기상학과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1950년 외무부 유학 시험에 합격하여 일본 도쿄 대학교 진학 예정이었으나, 한국 전쟁 발발로 1950년 7월 5일 육군 준위로 임관, 군 노무자로 일했다. 1950년 9월 28일 서울 수복 직후 육군 연락 장교로 지원하여 1950년 10월 7일 육군 소위로 진급, 전란에 참전하였다.[3] 1953년 휴전 후 학업 복귀를 위해 제대하여 1954년 연희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 물리학 학사학위를 취득했다.

같은 해 120달러를 가지고 미국으로 유학, 투스큘럼 칼리지에서 정치학 공부를 시작하였다. 학비 마련을 위해 거리의 화가로 유화 초상화를 그렸으며, 학기말 전 과목 A학점을 받아 랭킨 총장의 총애를 받았다. 졸업식에서 총장의 초상화를 그려 증정했다. 1955년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에서 정치학을 공부하던 중 이원철 박사의 편지를 받고 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천문학과로 전공을 바꾸었다. 1956년 4월 미시간대학 미국천문학회에서 프랑크 우드(F. B. Wood) 박사의 제안으로 펜실베이니아 대학원으로 옮겨 1959년 5월 "다섯 개의 식변광성의 새 광도 요소(The New Light Elements of Five Eclipsing Variables)"로 석사 학위를, 1962년 5월 "식쌍성 beta Persei, RZ Draconis, BX Pegasis의 광전 측광(Photoelectric Photometry of the Eclipsing Variables, beta Persei, RZ Draconis and BX Pegasi)"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3]

1962년부터 1965년까지 미국해군천문대에서 천문학자로 연구하며 66cm 굴절망원경을 사용하여 식쌍성 연구 논문 몇 편을 미국천문학회지에 게재하였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다드 우주센터(Goddard Space Center)에서 연구원(Research Scientist)으로,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메릴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Maryland)에서 교수로 일했다.[3]

2. 4. 대한민국 귀국과 교육, 연구 활동

1967년 8월에 대한민국 정부의 해외 유치 과학자 제1호로 귀국하여, 이듬해인 1969년 7월 21일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의 발사와 귀환까지 과정을 KBS가 중계방송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통역과 해설을 맡았다.[3]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첫 발자국을 딛는 순간 너무 흥분한 나머지 의자가 뒤로 넘어가는 장면이 방송되었고 이것을 코미디언들이 소재로 삼으면서 인기를 얻어 ‘아폴로 박사’란 애칭을 얻었다.[3]

1969년부터 1979년까지 연세대학교 이공대학 천문기상학과에서 교수로 일했다.[3] 1967년 8월 28일 대한민국 과학기술처가 국립천문대 설치위원회를 구성하였는데, 조경철 박사는 민간 위원으로 이 일에 참여하여 천문대설치 계획안을 마련하였다.[3] 그 후 1974년 4월 1일 국립천문대가 발족하였고, 1978년 9월 29일에는 소백산 천문대가 준공되었다.[3] 조경철은 1974년까지 천문대 건설 자문으로 관여했다.[3]

1969년에는 현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전신인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의 초대 사무총장에 임명되어 1972년까지 국내외 과학과 기술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데 힘썼다.[3]

1970년 3월 18일, 당대의 유명 여배우인 전계현과 결혼하였다.[3] 이 결혼식의 주례는 역사학자 이병도 박사가 맡았다.[3]

1971년-1974년, 한국천문학회 제5대 회장을 역임하였다.[3]

1972년-1975년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이사를 역임하였다.[3]

1973년 과학기술총연합회 새마을기술봉사단의 현지기술지도단의 단원으로 활동하였는데, 이는 새마을 현장을 방문하여 새마을 사업 추진에서 나타난 기술적인 애로점을 찾아내어 현장에서 지도하고 해결해 주는 일을 한 것이었다.[3]

1978년 5월 14일 모교인 터스큘럼 대학교에서 명예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1979년-1982년 한국올림픽위원회 상무이사를 역임하였다.[3]

1979년 3월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3] 1980년 5월에 경희대학교 교무부총장에 임명되었다.[3]

1982년 육군사관학교 교수 동우회 회장을 맡았다.[3]

1984년 5월 21일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우주과학회 창립총회에서 초대 회장에 선출되었다.[3]

1985년 1월에는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미국 항공우주국(NASA), 카네기 재단 등에서 그해 새로 설립된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에 필요한 관측 기기 사용 협의 및 자료 수집하고 2월 14일 오후에 귀국하였다.[3] 이 해에 신설된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학과장이 되었다.[3]

1988년-1990년 Wang Computer Korea 상임고문을 역임하였다.[3]

1990년-1992년에 한국우주과학회 제4대 회장을 역임하였다.[3]

1993년-2007년에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에서 교편을 잡았다.[3]

1993년에 한국우주환경과학연구소라는 사설 연구소를 설립하여 2009년까지 소장으로 재임하였다.[3]

1994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The Korean Amateur Astronomical Society) 제3대 회장에 선출되어, 1996년까지 재임하였다.[3]

2. 5. 학회 및 사회 활동

Dr. K. C. Cho영어는 여러 학회 및 사회 활동에 참여했다.

  • 1971년 ~ 1974년: 한국천문학회 제5대 회장 역임.[3]
  • 1972년 ~ 1975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이사 역임.[3]
  • 1973년: 과학기술총연합회 새마을기술봉사단의 현지기술지도단 단원으로 활동.[3]
  • 1979년 ~ 1982년: 한국올림픽위원회 상무이사 역임.[3]
  • 1982년: 육군사관학교 교수 동우회 회장.[3]
  • 1984년 5월 21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우주과학회 창립총회에서 초대 회장 선출.[3]
  • 1985년 1월: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미국 항공우주국(NASA), 카네기 재단 등에서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에 필요한 관측 기기 사용 협의 및 자료 수집.[3]
  • 1988년 ~ 1990년: Wang Computer Korea 상임고문 역임.[3]
  • 1990년 ~ 1992년: 한국우주과학회 제4대 회장 역임.[3]
  • 1994년: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제3대 회장 선출 (1996년까지 재임).[3]

2. 6. 저술 활동과 과학 대중화

조경철은 38년간 173권의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하여 연평균 4.6권의 책을 펴냈다. 특히 50대와 60대였던 1980~1990년대에 20년간 연평균 6.2권의 책을 발간하며 왕성하게 활동했다.[3]

자서전에서 "특히 애착이 가고 노력을 많이 했던 책"으로 17권을 꼽았으며, 그 중에서도 아이작 뉴턴의 프린키피아(Principia) I, II, III 번역을 "무한한 성취감을 느끼게 해준, 내 노력의 결정판"이라고 언급했다.[3]

또한, 대중매체에 약 3,000건의 기고문을 투고했는데, 특히 1970년대에 활발하게 활동했다. 자전적 에세이를 통해 "전쟁을 두 차례 겪고, 빈손으로 출발하였지만 결코 꿈과 목표를 잃지 않고 살았던 나의 일대기가 청소년들에게 다소나마 자극이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3]

그는 자서전에서 활발한 저술 활동의 동기를 "학계에도 수십 배 공헌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하여, 또 나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하여"라고 밝혔다. 공적인 일이 없는 날에는 아침 8시부터 밤 12시까지 거의 매일 원고를 썼다고 회고했다.[3]

주요 저서로는 『아폴로 선생님의 과학의 편력』(1973년), 『조경철 선생님의 화성 이야기』(2008년) 등이 있다.[3]

2. 7. 가족과 결혼

趙慶哲|조경철중국어은 1970년 3월 18일, 당대 유명 영화배우였던 전계현과 결혼하였다. 이 결혼식의 주례는 역사학자 이병도 박사가 맡았다.[3]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다.

2. 8. 말년과 죽음

2010년 3월 2일 심장이 좋지 않아 고열 증세로 병원에 입원하였으며, 3월 6일 급성 심근 경색까지 겹치면서 상태가 나빠져 향년 81세로 숨졌다.[3] 그는 과학자였지만 사회적 활동 범주가 넓은데다 우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에서 과학기술훈장 창조장이 추서되었고, 장례는 5일장사회장(葬)으로 치러졌다. [http://www.apollostar.kr/ 화천조경철천문대]에 여의도 집무실을 옮겨와 유품과 저서, 미술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그는 38년간 173권의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하여 연평균 4.6권의 책을 썼다. 집필 전성기는 50대와 60대인 1980~1990년대로, 20년 동안 연평균 6.2권의 책을 발간하였다. 자서전에서 "특히 애착이 가고 노력을 많이 했던 책"으로 17권을 꼽았는데, 그중에서도 아이작 뉴턴의 프린시피아(Principia) I, II, III 번역은 "무한한 성취감을 느끼게 해준, 내 노력의 결정판"이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대중매체에 약 3,000건의 기고문을 투고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1970년대에 가장 활발했다. 그는 자전적 에세이를 대중매체에 기고한 이유에 대해 "전쟁을 두 차례 겪고, 빈손으로 출발하였지만 결코 꿈과 목표를 잃지 않고 살았던 나의 일대기가 청소년들에게 다소나마 자극이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는 자서전에서 활발한 저술 활동의 동기를 "학계에도 수십 배 공헌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하여, 또 나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하여"라고 밝히며, 공적인 일이 없는 날에는 아침 8시부터 밤 12시까지 거의 매일 원고를 썼다고 회고했다.

만년에는 심장병을 앓아 세브란스병원에 입원, 2010년 3월 2일 고열로 입원했다. 이후 심근 경색을 겪고 의식을 잃었으며, 2010년 3월 6일에 사망했다.

3. 학력

3. 1. 명예 박사 학위

미국 투스큘럼 칼리지 명예 법학박사[1]

4. 수상 경력 및 기념물

연도내용
1950년금성 화랑무공훈장 수상
1970년국민훈장 동백장 수상[4]
1972년미국 국무부 우주개발 공로표창
1978년체육부장관상 수상
1988년한국우주과학회 우주과학상 수상
1989년헝가리 국립 에오츠브(Eotvos)대학 아인슈타인 물리학상
1998년평안북도 학술상
2001년일본 와타나베 가즈로가 발견한 소행성4976 조경철(CHOU KYONG CHOL)이라는 이름이 붙여짐.[2]
2002년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20세기의 탁월한 과학자상〉 수상
2010년과학기술훈장 창조장 추서[4]
2014년강원도 화천군 광덕산에 화천 조경철 천문대 건립


5. 저서

조경철은 천문학 대중화에 힘쓴 과학자로, 177권의 천문학 안내서 및 번역서, 50여 편의 논문을 남겼다. 다음은 조경철의 저서 목록이다. (일부 공저, 번역서, 감수는 제외)

조경철 저서 목록
연도제목출판사
1972우주, 지구금성출판사
1973아폴로 박사의 과학 편력: 도전과 정복의 푸른 꿈전파과학사
1974과학자의 영지영지사
1974우주 지구 기상중앙출판사
1974우주과학개론한국출판사
1974우주여행고려출판사
1974현대지구과학진명출판사
1975근대화와 인간화삼성출판사
1976신비의 우주한국시청각교육원
1977로켓과 우주여행현문사
1977우주과학연세대학출판국
1977천체 기상금성출판사
1978과학화와 한국한국과총
1978美蘇의 戰略武器開發競合과 韓國安保問題연세대학교
1979비행기 로켓 우주현대교육사
1979第三의 接觸新女花社
1979과학과 생활 : 전국민과학화운동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집필책임자)
1980천체관측실험한국우주과학회
1981대학생활의 조건世文社
1981집현전사
1981현대사회의 인간화경희대출판국
1982뉴 코스모스동호서관
1982대우주에의 도전한국방송사업단
1982블랙홀의 비밀한국방송사업단
1982스페이스셔틀한국방송사업단
1982우주의 신비한국방송사업단
1982은하우주탐험대한국방송사업단
1982태양의 드라마: 천문학 입문동호서관
1982E.T.창인사
1982UFO창인사
1983천체의 신비한국방송사업단
1984공룡이야기과학교육출판사
1984깊은 바다과학교육출판사
1984남극이야기과학교육출판사
1984블랙홀과학교육출판사
1984석유의 과학과학교육출판사
1984석탄과 우리의 생활과학교육출판사
1984에너지과학교육출판사
1984원자과학교육출판사
1984원자력과학교육출판사
1984인류의 기원과학교육출판사
1984전기과학교육출판사
1984지구과학교육출판사
1984지진과학교육출판사
1984태양열과학교육출판사
1984혜성이란?과학교육출판사
1984화산과학교육출판사
1984성경 연구IAVP
1984자연과학원론경희대출판국
1984현대물리학二友出版社
1985神과 천문학전파과학사
1985실험천문학한국우주과학회
1985천문학과 동양철학대동출판사
1985할레이 혜성과 대우주정음문화사
1986인류사회 再建의 대화경희대출판국
1986입체로 보는 3차원 별자리진선출판사
1988아폴로 박사의 과학만보대광문화사
1988천체관측 가이드전파과학사
1988현대우주물리학대광문화사
1989우주와 UFO민서출판사
1989현대천문학대광문화사
1990로켓공학경희대출판국
1990스페이스 에이지창인사
1990신비의 우주대원사
1990우주는 왜藝林堂
1990인공위성 개론경희대출판국
1991백만인의 자동차생활정우사
1991신비한 우주의 세계대교출판
1991우리 사회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민화당
1991지구는 왜藝林堂
1992만화 별자리민서출판사
1992조경철 글, 고낙준 그림, 만화 우주여행민서출판사
1992자연교과서 퀴즈 1학년가나출판사
1992자연교과서 퀴즈 2학년가나출판사
1992자연교과서 퀴즈 3학년가나출판사
1992자연교과서 퀴즈 4학년가나출판사
1992終末은 있는가禮音社
1992NHK 은하우주 오딧세이 I, II, III
1992UFO 괴기사건넥서스
1993(친구들과 함께 떠나는) 별자리 여행민서출판사
1993운석대광문화사
1993평화로운 인생을 위하여교음사
1993UFO와 외계인넥서스
1994날아라 우리별민서출판사
1994에디스 코페르니쿠스민서출판사
1996手にとって見る宇宙 : 図説·天文学入門|테니 톳테 미루 우추 : 즈세츠·텐몬가쿠 뉴몬일본어光文社
1999大宇宙한국과학문화재단
1999(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대우주이야기서해문집
1999아폴로박사의 별자리 이야기대광문화사
2000아빠 천문학이 뭐예요?가람기획
2000(아폴로박사의) 우주관측한국이공학사
2000(21세기) 우주대탐험민서출판사
2000천문학은 무엇
2000UFO 접촉과학하나로
2000조경철 편저, 이규성 그림, (그리스 로마 신화를 따라가는) 별자리 여행 : 만화로 배우는 별자리 이야기민서출판사
2001우주는 Why?藝林堂
2001(아폴로 박사의) 우주와 블랙홀 이야기한국이공학사
2002지구는 Why?藝林堂
2003우리의 우주: 태양계, 망원경, UFO아이디니
2004우주여행 I아이디니
2004우주여행 II아이디니
2004(화성탐구의 개척자) 퍼시벌 로우웰: 그가 본 조선과 갑신정변대광문화사
2005은하 블랙홀 별자리영재
2005태양계 망원경 UFO영재
2005Life and physical Universe경희대출판국
2006失郷民(シルヒャンミン) 南北分断―そのとき私は16歳だった|시루햔민 난보쿠분단 소노 토키 와타시와 쥬로쿠사이닷타일본어イースト・プレス(East Press)
2007과학자 조경철: 별과 살아온 인색서해문집
2007Genesis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경희대학교 출판부
2008우주비행사가 되고 싶어명진출판
2008(조경철 박사님의) 화성 이야기아이디니
2009우주로켓: 아폴로 박사가 풀이하는 로켓에 대한 모든 것!별공작소


주요 번역서


  • 1980, B. O'Leary, 《화성 1999》 (겸지사)
  • 1981, 칼 세이건(Carl Sagan), 《코스모스》 (문화출판사)
  • 1984,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 《우주개발》 (과학교육출판사)
  • 1984, A. Arya, 《대학일반물리학》 (형설출판사)
  • 1985, 존 D. 크라우스(John D. Kraus), 《전파천문학》 (대광문화사)
  • 1985, 로버트 자스트로(Robert Jastrow), だれが宇宙を創ったか-はじめて学ぶ人のための宇宙論|다레가 우추오 츠쿳타카-하지메테 마나부 히토노 타메노 우추론일본어 《우주는 누가 만들었나》 (講談社: 日本)
  • 1985, 혼마 사부로(本間三郞), 《초광속입자 타키온 Blue Backs》 (전파과학사)
  • 1986, K. Bronstein, 《5차원의 세계》 (전파과학사)
  • 1986, 퍼시벌 로웰(Percival Lowell), 《朝鮮 고요한 아침의 나라》 (대광문화사)
  • 1991, Hoque, 《노스트라다무스의 1000년 예언》 (대광출판사)
  • 1991, A. Cliff, 《에피소드 과학사 전3권 1. 물리학 2. 생물학 3. 화학》 (우신사)
  • 1991, B. O'Leary, 《초신성 1984A》 (겸지사)
  • 1992,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 《아쉬모브의 과학예언》 (禮音社)
  • 1992, 아이작 아시모프(Isaac Asimov), 《인간의 비밀》 (禮音社)
  • 1994, Roger B. Culver, 《실험천문학》 (대광문화사)
  • 1999,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프린시피아 I》 (한국과학문화재단)
  • 1999,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프린시피아 II》 (한국과학문화재단)
  • 1999, 아이작 뉴턴(Isaac Newton), 《프린시피아 III》 (한국과학문화재단)
  • 2001, 퍼시벌 로웰(P. Lowell), 《내 기억 속의 조선 조선사람들》 (예담)

주요 편역

  • 2001, 《中國과 韓國의 書藝史》 (이화문화출판사) - 후시미 오키타카(伏見沖敬)의 1960년 저서 "書의 歷史"와 임창순(任昌淳)이 日本의 정기간행물인 "墨"에 연재했던 한국의 서예에 관한 글을 조경철이 편역함.

자서전

  • 《과학자 조경철 - 별과 살아온 인생》, 서해문집, 2007.

6. 기타

그는 자타가 공인하는 ‘아폴로 박사’라는 별명으로 유명해질 정도로 지상파 방송사의 TV 프로그램에 여러 차례 출연했는데, 특히 1992년 문화방송의 예능 프로그램 《일요일 일요일밤에》의 인기 코너인 《몰래카메라》에 출연하기도 했다. 조경철은 《몰래카메라》 출연을 계기로 당시 《몰래카메라》를 진행했던 개그맨 이경규의 결혼식 주례를 맡기도 하였다.[5]

1991년 일본의 와타나베 가즈로가 발견한 소행성에 (4976) 조경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2]

강원도 화천군 광덕산에 그의 이름을 딴 천문대가 건설 중이다.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명대수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78년총선10대국회의원서울 강남구무소속28,163표 (11.57%)3위낙선
1981년총선11대국회의원서울 종로구·중구신정당15,701표 (6.57%)4위낙선


참조

[1] 웹사이트 (113)배천 조씨(白川趙氏)-66,155명 http://www.seoulecon[...] 2014-11-17
[2] 웹사이트 "(4976) Choukyongchol = 1949 QD2 = 1971 UL3 = 1975 PT = 1976 UN3 = 1980 NH = 1986 RJ10 = 1987 YZ = 1988 AS3 = 1990 MM1 = 1991 PM" https://minorplanetc[...] MPC 2021-08-29
[3] 뉴스 "별과 함께 한 인생' 고 조경철 박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6-03-06
[4] 뉴스 류근철 손연수 이호인 고 조경철 씨 과학기술 최고 훈장 http://news.dongasci[...] 동아사이언스 2010-04-21
[5] 뉴스 이경규 화촉 밝히고 "벙글" - 1992년 12월 21일 http://dna.nav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