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AFC 아시안컵 성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AFC 아시안컵에 1980년 처음 본선에 진출하여 4위를 기록했으며, 1992년, 2011년, 2015년, 2019년 대회에 참가했다. 1980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으나, 1992년, 2011년, 2015년, 2019년 대회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역대 아시안컵에서 총 5번 본선에 진출했으며, 4위를 기록한 1980년 대회가 최고 성적이다.

2.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56년 대회부터 1972년 대회까지는 비회원국이었고, 1976년 대회에서는 예선을 통과하고도 기권했다. 1984년 대회에는 출전 금지 징계를 받았으며, 1988년 대회에서는 예선 탈락, 1996년 대회에는 불참했다. 2000년과 2004년 대회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했고, 2007년 대회에는 또다시 출전 금지 징계를 받았다.

== 1980년 AFC 아시안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8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4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조별 리그에서 방글라데시를 3-2, 시리아를 2-1로 꺾고, 중국에 2-1로 승리하였다. 이란에는 2-3으로 패했지만,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에 1-2로 석패했다. 전반 19분 박종훈의 페널티킥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후반 80분과 89분에 정해원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역전패했다. 이 경기는 남북한이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에서 최초로 맞대결한 경기로, 진보 진영에서는 남북 스포츠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3·4위전에서는 이란에 0-3으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 1992년 AFC 아시안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2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에서 이란, 일본, 아랍에미리트에 밀려 탈락했다. 10월 30일 빙고 스포츠 파크 경기장에서 열린 이란과의 경기에서 0-2로 패배했다. 이 경기에서 이란의 파샤드 피우스와 시루스 가예그란이 득점했다. 11월 1일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광민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일본의 나카야마 마사시가 동점골을 넣었다. 11월 3일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에서는 1-2로 패배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광민이 득점했지만, 아랍에미리트는 카미스 사드 무바라크와 주하이르 바키트 빌랄이 득점했다.

조별 리그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일본5312021+1
아랍에미리트5312021+1
이란431112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301225−3



== 2011년 AFC 아시안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1년 AFC 아시안컵 D조 조별리그에서 아랍에미리트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란과의 경기에서는 0-1로 패배했고, 이라크와의 경기에서도 0-1로 패배했다.[1] 최종적으로 조별리그에서 1무 2패, 무득점 2실점으로 D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이란/Iran영어330061+59
이라크/Iraq영어320132+1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01202−21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영어301204−41



== 2015년 AFC 아시안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5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B조에서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중국에 밀려 탈락했다.[2] 1월 10일 시드니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첫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2] 1월 14일 멜버른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는 량용기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하자지알살라위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4로 패배했다.[2] 1월 18일 캔버라에서 열린 중국과의 경기에서는 가오린의 자책골로 앞서갔으나, 쑨커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2로 패배했다.[2]

경기승점
중국중국어330052+39
우즈베키스탄uz320153+26
사우디아라비아ar3102550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00327-50



== 2019년 AFC 아시안컵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9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E조에서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에 밀려 최하위로 탈락했다. 3전 전패를 기록했으며, 1득점 14실점으로 조별리그를 마감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9년 1월 8일 막툼 빈 라시드 경기장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첫 경기에서 0-4로 패배했다. 2019년 1월 13일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 열린 카타르와의 경기에서는 0-6으로 대패했다. 2019년 1월 17일 샤르자 스타디움에서 열린 레바논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박광룡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이후 4골을 실점하며 1-4로 역전패했다.

2. 1. 1980년 AFC 아시안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80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처음으로 진출하여 4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조별 리그에서 방글라데시를 3-2, 시리아를 2-1로 꺾고, 중국에 2-1로 승리하였다. 이란에는 2-3으로 패했지만,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에 1-2로 석패했다. 전반 19분 박종훈의 페널티킥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후반 80분과 89분에 정해원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역전패했다. 이 경기는 남북한이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에서 최초로 맞대결한 경기로, 진보 진영에서는 남북 스포츠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3·4위전에서는 이란에 0-3으로 패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 2. 1992년 AFC 아시안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2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에서 이란, 일본, 아랍에미리트에 밀려 탈락했다. 10월 30일 빙고 스포츠 파크 경기장에서 열린 이란과의 경기에서 0-2로 패배했다. 이 경기에서 이란의 파샤드 피우스와 시루스 가예그란이 득점했다. 11월 1일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광민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일본의 나카야마 마사시가 동점골을 넣었다. 11월 3일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에서는 1-2로 패배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김광민이 득점했지만, 아랍에미리트는 카미스 사드 무바라크와 주하이르 바키트 빌랄이 득점했다.

조별 리그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승점경기득점실점골득실
일본5312021+1
아랍에미리트5312021+1
이란431112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301225−3


2. 3. 2011년 AFC 아시안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1년 AFC 아시안컵 D조 조별리그에서 아랍에미리트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란과의 경기에서는 0-1로 패배했고, 이라크와의 경기에서도 0-1로 패배했다.[1] 최종적으로 조별리그에서 1무 2패, 무득점 2실점으로 D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이란/Iran영어330061+59
이라크/Iraq영어320132+1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한국어301202−21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영어301204−41


2. 4. 2015년 AFC 아시안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5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B조에서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중국에 밀려 탈락했다.[2] 1월 10일 시드니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첫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2] 1월 14일 멜버른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경기에서는 량용기가 선제골을 넣었으나, 하자지알살라위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4로 패배했다.[2] 1월 18일 캔버라에서 열린 중국과의 경기에서는 가오린의 자책골로 앞서갔으나, 쑨커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2로 패배했다.[2]

경기승점
중국중국어330052+39
우즈베키스탄uz320153+26
사우디아라비아ar3102550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00327-50


2. 5. 2019년 AFC 아시안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9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 E조에서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에 밀려 최하위로 탈락했다. 3전 전패를 기록했으며, 1득점 14실점으로 조별리그를 마감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9년 1월 8일 막툼 빈 라시드 경기장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첫 경기에서 0-4로 패배했다. 2019년 1월 13일 셰이크 칼리파 국제 경기장에서 열린 카타르와의 경기에서는 0-6으로 대패했다. 2019년 1월 17일 샤르자 스타디움에서 열린 레바논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박광룡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이후 4골을 실점하며 1-4로 역전패했다.

3. 역대 성적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56년비회원국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예선 통과 후 기권
1980년4강4위630310129
1984년출전 금지
1988년예선 탈락
1992년조별리그8위3012251
1996년불참
2000년예선 탈락
2004년
2007년출전 금지[4]
2011년조별리그12위3012021
2015년조별리그13위3003270
2019년조별리그24위30031140
합계5회 진출(5/17)4위(1회)183213154011
순위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8위


3. 1. AFC 아시안컵 본선 성적

wikitext

AFC 아시안컵 본선 기록
년도결과순위경기무*득점실점승점
1956년비회원국
1960년
1964년
1968년
1972년
1976년예선 통과 후 기권
1980년4강4위630310129
1984년출전 금지
1988년예선 탈락
1992년조별리그8위3012251
1996년불참
2000년예선 탈락
2004년
2007년출전 금지[4]
2011년조별리그12위3012021
2015년조별리그13위3003270
2019년조별리그24위30031140
합계5회 진출(5/17)4위(1회)183213154011
순위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8위


3. 2. AFC 아시안컵 예선 성적

4. 주요 선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80년 AFC 아시안컵에 처음 출전하여 4위를 기록하였고, 이후 1992년, 2011년, 2015년, 2019년 대회에 참가하였다. 각 대회별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대회선수 명단
1980년 AFC 아시안컵김창욱, 김정운, 차종석, 안창남, 김복만, 박종훈, 김광운, 강태광, 전병주, 김관모, 황상회, 김정만, 최재필 (감독: 양성국)
1992년 AFC 아시안컵김창욱, 김광민, 오영남, 김경일, 림화영, 류성건, 배종민, 윤정수 (c), 최원남, 공문철, 탁용빈, 최초인, 최용선, 리영린, 김정송, 방광철, 김영호, 우홍철 (감독: 홍현철)
2011년 AFC 아시안컵리명국, 차종혁, 리준일, 박남철 I, 리광천, 최명호, 량용기, 지윤남, 정대세, 홍영조 (c), 문인국, 전광익, 박철진, 박남철 II, 김영준, 최금철, 안영학, 김명길, 안철혁, 리광혁, 박철민, 리광일, 김국진 (감독: 조동섭)
2015년 AFC 아시안컵리명국, 리창호, 장송혁, 전광익, 한송혁, 로학수, 리상철, 량용기, 박성철 (c), 박광룡, 정일관, 엄철성, 심현진, 계성혁, 장국철, 차종혁, 소현욱, 리광일, 리영직, 최원, 오혁철, 주광민 (감독: 조동섭)
2019년 AFC 아시안컵리명국, 김철범, 장국철, 김성기, 안송일, 리동일, 한광성, 리혁철, 김영일, 박광룡, 정일관 (c), 김경훈, 심현진, 강국철, 리운철, 리영직, 리창호, 신혁, 림광혁, 최성혁, 강주혁, 리금철, 리일진 (감독: 김영준)


5. 상대 전적

wikitable

국가상대 전적아시안컵
이란4패1980, 1992, 2011
대한민국1패1980
일본1무1992
중국1승 1패1980, 2015
사우디아라비아2패2015, 2019
이라크1패2011
아랍에미리트1무 1패1992, 2011
우즈베키스탄1패2015
카타르1패2019
시리아1승1980
레바논1패2019
방글라데시1승1980

5. 1. 국가별 상대 전적

국가상대 전적아시안컵
이란4패1980, 1992, 2011
대한민국1패1980
일본1무1992
중국1승 1패1980, 2015
사우디아라비아2패2015, 2019
이라크1패2011
아랍에미리트1무 1패1992, 2011
우즈베키스탄1패2015
카타르1패2019
시리아1승1980
레바논1패2019
방글라데시1승1980

5. 2. 최다 상대 팀

wikitable

순위국가경기 횟수대회
1이란41980(2회), 1992, 2011
2중국21980, 2015
아랍에미리트21992, 2011
사우디아라비아22015, 2019
5대한민국11980
시리아11980
방글라데시11980
일본11992
이라크11992
우즈베키스탄12015
카타르12019
레바논12019


참조

[1] 웹사이트 Asian Cup 2011: North Korea Striker Jong Tae-Se: We Have To Score Against Iraq http://www.goal.com/[...]
[2] 웹사이트 North Korea bow out amid hope that bridges can be built | Joe Gorman https://www.theguard[...] 2015-01-15
[3] 뉴스 Latest update on Asian Qualifiers https://www.the-afc.[...]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1-05-16
[4] 문서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요르단 선수단의 입국을 거부한 사실이 문제가 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0-3 몰수패로 처리되었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1년 동안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팀이 2007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하는 것조차 금지시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