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형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형석은 1977년부터 2015년까지 U.C. Berkeley, KA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 국내외 여러 대학에서 연구원, 교수, 석좌교수, 명예교수 등으로 재직했다. 국제 자동제어 협의회(IFAC) 생산공학위원회 부위원장, 아시아제어연맹 회장, 국제자동제어연맹 IFAC 이사 등을 역임하며 학술 활동을 펼쳤다. 주요 연구 분야는 로봇 공학, 자동화 시스템 등이며, 다수의 논문 발표와 저서 출판, 그리고 ACA 공로상, 과학기술 훈장 창조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수훈자 - 이호왕
대한민국의 의학자이자 바이러스 연구의 선구자인 이호왕은 신증후군출혈열의 원인인 한탄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백신 개발에 성공하여 한국형 출혈열 퇴치에 기여했으며, 서울바이러스 발견 및 한타바이러스 속을 국제 학계에 공인받는 등 바이러스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수훈자 - 장인순
장인순은 대한민국의 핵 과학자로서 핵연료 국산화를 주도하고 한국원자력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국책 사업에 참여했으며, 지역 사회 공헌을 위해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 - 진대제
진대제는 세계 최초 16메가 D램 개발을 주도한 공학자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하고 미국 공학한림원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현재 솔루스첨단소재 대표이사이다. - 대한민국의 로봇공학자 - 데니스 홍
데니스 홍은 한국계 미국인 로봇 공학자이자 UCLA 교수 겸 로봇 연구소 소장으로, 시각장애인 운전 자동차, 휴머노이드 로봇, 재난 구조 로봇 개발 등 로봇 공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루었으며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안철수
안철수는 의사이자 기업가, 정치인으로, V3 백신을 개발하고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으며,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을 역임하고 정치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서울시장 후보 등을 지냈다. -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 방효충
방효충은 위성 자세제어 분야 전문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충남대학교, KAIST 등에서 인공위성 개발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젊은과학자상과 과학기술훈장을 수상하고 국가우주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조형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형석 |
출생일 | 1944년 10월 8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함경북도 나진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공학박사 |
2. 경력
조형석 교수는 KAIST 교수로 재직하며 로봇공학 및 자동화 분야 연구에 매진했다. 독일 생산자동화연구소, 일본 리쓰메이칸 대학, 미국 U.C. San Diego 등 해외 유수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방문교수 및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학술 교류에도 힘썼다. 또한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생산공학위원회 부위원장,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회(ICROS) 회장 등 학계 주요 직책을 맡아 관련 분야 발전에 기여했다.
2. 1. 학술 경력
- 1977년 ~ 1978년: U.C. Berkeley 대학 연구원
- 1978년 ~ 2014년: KAIST 생산공학과, 자동화 및 설계공학과 (서울분원), 기계공학과 (본원) 교수
- 1984년 ~ 1985년: Humboldt Fellow, 독일 생산자동화연구소 (IPA) 방문교수
- 1987년: 일본 입명관대학 (立命館大学|리쓰메이칸 다이가쿠일본어, Ritsumeikan University) 초빙교수
- 1990년 ~ 1993년: 국제자동제어연맹 (IFAC) 생산공학위원회 부위원장
- 1992년: 독일 University of Paderborn 초빙교수
- 1993년 ~ : 국제논문지 편집위원 (IFAC Journal of Controlling Engineering Practice, Robotica, Journal of Advanced Robotics, PIME, Journal of Robotic Systems 등)
- 1995년 ~ : 포항제철 석좌교수
- 1995년 ~ 1996년: U.C. San Diego 대학 전기・전자계산학과 방문교수
- 1997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KAST) 공학부 종신회원
- 2000년 ~ : 제어・자동화・시스템 공학회 회장
- 2001년: 제어·로봇·시스템학회 제7대 회장
- 2006년: 국제광기전공학저널 편집장
- 2008년: 국제자동제어연맹 (IFAC) 세계대회 조직위원장[5]
- 2008년: 아시아제어연맹 회장
- 2010년 ~ 2012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공학전공 석좌교수
- 2011년 ~ 2014년: 국제자동제어연맹 (IFAC) 이사[4]
- 2015년 ~ 현재: KAIST 기계공학과 명예교수
2. 2. 주요 직책
wikitext기간 | 주요 직책 |
---|---|
1977년 ~ 1978년 | U.C. Berkeley 대학 연구원 |
1978년 ~ | KAIST 생산공학과, 자동화 및 설계공학과 (서울분원), 기계공학과 (본원) 교수 |
1984년 ~ 1985년 | 훔볼트 펠로우, 독일 생산자동화연구소 (Fraunhofer-Institut für Produktionstechnik und Automatisierung|프라운호퍼 생산기술 및 자동화 연구소deu, IPA) 방문교수 |
1987년 | 일본 입명관대학 (立命館大学|리쓰메이칸 다이가쿠jpn) 초빙교수 |
1990년 ~ 1993년 | 국제자동제어연맹(IFAC) 생산공학위원회 부위원장 |
1992년 | 독일 파더보른 대학교 (Universität Paderborndeu) 초빙교수 |
1993년 ~ | 국제논문지 편집위원 (IFAC Journal of Control Engineering Practice, Robotica, Journal of Advanced Robotics, Journal of Robotic Systems 등) |
1995년 ~ | 포항제철 석좌교수 |
1995년 ~ 1996년 | U.C. San Diego 대학 전기・전자계산학과 방문교수 |
2000년 ~ |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회 (ICROS) 회장 |
조형석 교수는 로봇 공학, 자동화, 지능형 시스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했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이동 로봇의 자율 주행, 퍼지 논리 및 강화 학습을 이용한 제어 시스템 설계, 컴퓨터 비전과 패턴 인식 기술을 활용한 자동 검사 시스템 개발, 용접 공정의 열적 거동 해석 및 시각 기반 추적 기술, 로봇을 이용한 자동 조립 공정 최적화, 신경망 및 인공지능 기술의 공학적 응용, 병렬 로봇의 기구학 및 동역학 해석, 유압 서보 시스템의 정밀 제어 등 광범위하다.
3. 연구 업적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수의 논문을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발표했으며, 이 중 일부는 해당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광메카트로닉스 시스템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 서적을 저술하여 학문 발전과 후학 양성에 기여했다.
3. 1. 주요 논문
wikitext
저자 | 논문 제목 | 게재 학술지/학회 | 발표 연도 | 인용 횟수 |
---|---|---|---|---|
H.R Beom, H.S Cho | A sensor-based navigation for a mobile robot using fuzzy logic and reinforcement learning |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 1995 | 443 |
S.J Ahn, W Rauh, HS Cho | Orthogonal distance fitting of implicit curves and surfaces |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 2002 | 145 |
H.S Cho, Y.J Cho | A study of the thermal behavior in resistance spot welds | Welding Journal | 1989 | 136 |
K.C Koh, H.S Cho | A smooth path tracking algorithm for wheeled mobile robots with dynamic constraints | Journal of Intelligent and Robotic Systems | 1999 | 139 |
K.W Ko, H.S Cho | Solder joints inspection using a neural network and fuzzy rule-based classification method | IEEE Transactions on Electronics Packaging Manufacturing | 2000 | 123 |
H.S Cho, H.J Warnecke, D.G Gweon | Robotic assembly: a synthesizing overview | Robotica | 1987 | 108 |
J.S Kim, Y.T Son, H.S Cho, K.I Koh | A robust method for vision-based seam tracking in robotic arc welding | Intelligent Control | 1995 | 110 |
S.K Jeong, H.S Cho | An analytical solution to predict the transient temperature distribution in fillet arc welds | Welding Journal-Including Welding Research Supplement | 1997 | 96 |
D.S Hong, H.S Cho | A neural-network-based computational scheme for generating optimized robotic assembly sequences |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1995 | 87 |
S.D Kim, H.S Cho, C.O Lee | A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dynamic model of a variable displacement axial piston pump |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Part C: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Science | 1987 | 79 |
Y.K Byun, H.S Cho | Analysis of a novel 6-DOF, 3-PPSP parallel manipulator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ics research | 1997 | 80 |
J.S Yun, H.S Cho | Application of an adaptive model following control technique to a hydraulic servo system subjected to unknown disturbances | Journal of dynamic systems, measurement, and control | 1991 | 74 |
이 외에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50여 편이 있다.
3. 2. 저서
- 조형석 (2002). [https://books.google.com/books?id=XyLNBQAAQBAJ&q=Optomechatronic&pg=SA13-PA2#v=snippet&q=Optomechatronic&f=false Opto-Mechatronic Systems Handbook: Techniques and Applicationseng]. CRC Press. ISBN 9781420040692.
4. 수상 내역
wikitext
연도 | 수상 내역 |
---|---|
2011 | ACA 공로상[7] |
2009 |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
2006 | KAIST 국제협력대상[8] |
2004 | SEAL 우수논문상 |
1998 | 영국기계학회 Thatcher Bros Awards |
1994 | ISRAM 우수논문상 |
5. 대외 활동
- 1999년 9월 15일, 한경뉴스에 '제8회 다산기술상 수상자 연구업적(심사평)'을 기고했다.[6]
참조
[1]
웹인용
UC버클리大, 조순ㆍ나웅배ㆍ김기환씨 등 경제인맥 탄탄
https://news.naver.c[...]
[2]
웹인용
이길여·조형석·허영섭씨 과학기술훈장 창조장
https://web.archive.[...]
2021-10-22
[3]
웹인용
“유능한 교수가 정년에 막혀 연구 생명 끝내서야 되겠나
https://www.joongang[...]
[4]
웹인용
DGIST 조형석 석좌교수, IFAC 이사 선출
https://web.archive.[...]
2021-10-22
[5]
웹인용
IFAC 준비한 공학 분야 두 석학
https://web.archive.[...]
2021-10-22
[6]
웹인용
제8회 다산기술상 수상자 연구업적(심사평) 조형석 교수
https://www.hankyung[...]
[7]
웹인용
조형석 석좌교수, ACA 공로상 수상
https://robot.dgist.[...]
[8]
웹인용
조형석 교수 국제협력대상 수상
https://www.kaist.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