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미스 (목회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스미스는 1570년경에 태어나 1612년 사망한 잉글랜드 출신의 목회자이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하고 성공회 사제로 서품받았으나, 이후 분리파의 영향을 받아 국교회를 떠나 네덜란드로 이주했다. 네덜란드에서 재세례파 신학을 접하고 신자 세례를 실천했으며,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최초의 침례교회를 설립했다. 스미스는 예배, 교회 지도력, 교회 재정에 대한 독자적인 신학 사상을 펼쳤으며, 이질로 인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례교 - 아서 태펀 피어슨
아서 태펀 피어슨은 19세기 복음주의 선교 운동의 이론가이자 목사로, 《세계선교논평》 편집장, 학생자원운동 창시자이며 《선교의 위기》 저술가로서 "이 세대 안에 세계 복음화"를 통해 선교 운동을 고취하고, 한국 선교에도 기여했으며, 피어선성경기념학원을 설립하여 한국 기독교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 침례교 - 새들백 교회
릭 워렌 목사 부부가 1980년에 설립한 새들백 교회는 캘리포니아에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대형 교회로 성장했지만, 여성 목사 안수 문제로 교단에서 제명되는 등 논란도 겪고 있다. - 침례교 신학자 - 존 번연
존 번연은 영국의 대장장이 출신 작가로, 옥중에서 기독교인의 천국 여정을 그린 우화 소설 《천로역정》을 집필하여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번역된 종교 서적을 남겼다. - 침례교 신학자 - 한스 프라이
한스 프라이는 독일 출신의 미국 신학자이자 종교학자로, 나치 독일을 피해 미국으로 이주하여 예일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교수로 재직하며 서사 신학, 문자적 읽기, 기독론 등 다양한 신학적 사상을 전개했으며, 1988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 잉글랜드의 개신교 신학자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은 자유당 당수로서 네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12년 이상 재임한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정치가로,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재무장관으로서 자유 무역 정책을 추진하고 아일랜드 자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 잉글랜드의 개신교 신학자 -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는 영국의 시인이자 비평가, 철학자로, 윌리엄 워즈워스와 함께 영국 낭만주의 시대를 연 『서정민요집』을 출판하고 "늙은 항해사의 노래" 등의 시와 『문학전기』 등의 비평서를 통해 영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편 중독과 정치 성향 변화 등 복잡한 삶을 살았고 칸트 철학 해석과 보수주의적 경제 비판을 포함한 사상으로 초월주의와 실용주의에도 영향을 주었다.
존 스미스 (목회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 스미스 | John Smyth |
출생 | 1554년경 |
출생지 | 잉글랜드, 노팅엄셔, 스터턴-르-스티플 |
사망 | 1612년 8월 28일경 (57–58세) |
사망지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
직업 | 목사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 |
2. 초기 생애
존 스미스는 노팅엄셔 스터턴-리-스티플의 요먼인 존 스미스의 아들로 여겨진다.[1] 1570년경[20] 잉글랜드 동부 링컨셔에서 태어났다. 그는 지역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아마도 스터턴의 퀴프 목사 밑에서, 혹은 게인즈버러에 있는 문법 학교에서 교육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에 입학하여 1594년에 펠로우가 되었다.[2] 같은 해 잉글랜드에서 성공회 사제로 서품되었다.
2. 1. 출생 및 교육
스미스는 노팅엄셔 스터턴-리-스티플의 요먼인 존 스미스의 아들로 여겨진다.[1] 그는 지역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아마도 스터턴의 퀴프 목사 밑에서, 혹은 게인즈버러의 문법 학교에서 교육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에 입학하여 1594년에 펠로우가 되었다.[2] 1594년 잉글랜드에서 성공회 사제로 서품되었다.스미스는 1570년경[20] 잉글랜드 동부 링컨셔에서 태어났으며, 게인즈버러에 있는 지역 문법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3. 성직 서임 및 초기 활동
존 스미스는 1594년 잉글랜드 국교회에서 사제로 서임(서품)받은 후, 링컨에서 강사로 잠시 활동했다.[2][3] 그러나 그는 곧 분리파의 영향을 받아 국교회를 비판하며 사임했다.
1606년경 스미스는 비합법적인 분리파 교회의 목사가 되었지만, 잉글랜드 내 분리파에 대한 탄압이 심해지자 1608년에 신앙의 자유를 찾아 지지자들과 함께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으로 건너갔다. 암스테르담에서 성경에 기반한 신앙 생활을 하던[15][16] 스미스는 유아 세례가 성경의 가르침에 위배된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고, 분리파 교회로서의 스미스 교회를 해산했다.[11]
스미스 일행은 네덜란드에서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와 프란시스 고마르의 논쟁에 접하면서 아르미니우스주의 및 레몬스트란트파의 사상에 가까워졌고, 이는 훗날 제너럴 침례교의 신학적 입지를 결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1609년, 스미스는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신자 세례를 믿고 최초의 침례교회를 형성했다.[11] 유아 세례를 받은 그들은 급진 종교 개혁의 재세례파처럼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세례를 집행할 다른 목사가 없었기 때문에, 스미스는 스스로 세례를 받고[12] 메노파 공동체에 합류를 요청하는 편지를 쓰기도 했다.[15][16]
3. 1. 성공회 사제 서품
케임브리지 대학교를 졸업한 후, 1594년에 존 스미스는 잉글랜드 국교회의 사제로 서임(서품)되었다.[2] 그는 1600년부터 1602년까지 링컨에서 강사로 활동하며, 온건한 청교도적 견해를 가졌지만, 정해진 형식의 기도와 교회 내 성악 및 기악 음악은 모두 수용했다.[3][4] 그러나 그는 이내 분리파의 영향을 받아 잉글랜드 국교회를 비판하며 사임하게 되었다.3. 2. 링컨에서의 사역
그는 1600년부터 1602년까지 링컨 시에서 설교했다.[3] 강사로 재직하면서 어느 정도 온건한 청교도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정해진 형식의 기도와 교회 내에서의 성악 및 기악 음악을 모두 수용했다. 그는 교구 내 반교회주의자들의 영향력에 대해 우려했으며, 교회를 통치하고 교회 치안 판사를 임명할 국왕의 권위를 지지하는 글을 썼다.[4]4. 분리파 운동과 네덜란드 망명
존 스미스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삼학과 사학을 포함한 교육을 받았으며,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과 형이상학에 대한 상당한 강조를 받았다. 스미스의 신학적 견해는 성경적 진리를 논리적 삼단논법에 적용하면서 발전했다.
1608년, 스미스는 "교회의 차이점"을 출판하여 성경적 교회의 특징을 설명했다.[7][8] 그는 진정한 예배는 마음에서 우러나와야 하며, 성경 외에 다른 책은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기도, 찬송, 설교는 자발적이어야 하며, 예배 중에는 성경 원어 버전을 읽는 것을 선호했다.[9]
또한, 스미스는 목사와 집사라는 두 가지 교회 지도력을 제시했고, 교회는 여러 명의 목사를 둘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교회의 재정적 지원은 정부가 아닌 교인들로부터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정부가 교회를 통제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10]
W. T. Whitley는 스미스가 유아 세례와 같이 잘 알려진 신학 용어를 만들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14]
4. 1. 잉글랜드 국교회와의 결별
그는 1600년부터 1602년까지 링컨 시에서 설교했다.[3] 강사로 재직하면서 어느 정도 온건한 청교도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정해진 형식의 기도와 교회 내에서의 성악 및 기악 음악을 모두 수용했다. 그는 교구 내 반교회주의자들의 영향력에 대해 우려했으며, 교회를 통치하고 교회 치안 판사를 임명할 국왕의 권위를 지지하는 글을 썼다.[4]1607년에 그는 잉글랜드 교회와 결별하고 네덜란드로 떠났으며, 그곳에서 토마스 헬위스와 그의 작은 회중은 성경을 열심히 연구하기 시작했다.[5] 그는 잠시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초기에는 스미스는 그의 성공회적 유산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그의 견해는 진화했다.
1609년,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는 네덜란드에 있는 한 무리와 함께 신자 세례를 믿게 되었고(그로 인해 유아 세례를 거부), 함께 모여 최초의 침례교회를 형성했다.[11] 그는 신자 세례와 언약으로 모인 자유 교회가 교회에 근본적이라는 것을 확신했다. 세례를 집행할 다른 목사가 없었기 때문에, 스미스는 1609년에 스스로 세례를 받았다(이 때문에 그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한 "자체 세례자"라고 불렸다). 그리고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교회를 세례했다.[12]
1610년 2월, 스미스와 다른 교회 구성원들은 워털랜드의 메노파 공동체에 그들의 운동에 합류하라는 편지를 썼다.[15][16] 이로 인해 그는 토마스 헬위스에 의해 교회에서 파문당했다. 스미스와 교회의 일부는 메노파 교회에 가입했고, 헬위스와 교회의 일부는 1612년에 최초의 영구 침례교회를 세우기 위해 잉글랜드로 돌아갔다.
4. 2. 재세례파 신학 수용
스미스는 네덜란드에서 재세례파 신학을 접하고 그 원리, 특히 신자 세례와 유아 세례 반대를 수용했다.[6] 1609년,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는 네덜란드에서 신자 세례를 믿게 되었고, 함께 최초의 침례교회를 형성했다.[11] 유아 세례를 받았던 그들은 급진 종교 개혁의 재세례파처럼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세례를 집행할 다른 목사가 없었기에, 스미스는 1609년에 스스로 세례를 베풀고,[12] 헬위스와 함께 교회를 세례했다.[12]1610년 2월, 스미스와 다른 교회 구성원들은 워털랜드의 메노파 공동체에 합류를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15][16] 이로 인해 그는 토마스 헬위스에 의해 교회에서 파문당했다. 스미스와 교회의 일부는 메노파 교회에 가입했고, 헬위스와 교회의 일부는 1612년에 최초의 영구 침례교회를 세우기 위해 잉글랜드로 돌아갔다.[17]
스미스 일행은 이 시기에 네덜란드에서 성행하던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와 프란시스 고마르의 논쟁에 접하게 되었고, 아르미니우스주의 및 레몬스트란트파의 사상에 가까워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이 계기가 후에 발생할 제너럴 침례교의 신학적 입지를 결정하게 되었다.
5. 침례교회 설립
존 스미스는 1607년 잉글랜드 교회와 결별하고 네덜란드로 떠나,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성경을 연구했다.[5] 그는 네덜란드에서 재세례파 신학, 특히 신자 세례와 유아 세례 반대 원칙을 접했다.[6]
1608년, 스미스는 "교회의 차이점"을 출판하여 성경적 교회의 특징을 설명했다.[7][8] 그는 진정한 예배는 마음에서 우러나와야 하며, 성경 외에 다른 책은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기도, 찬송, 설교는 자발적이어야 하며, 예배 중에는 성경 원어 버전을 읽어야 한다고 했다.[9] 또한, 교회 지도력은 목사와 집사 두 가지 직분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교회의 재정은 정부가 아닌 교인들의 자발적인 헌금으로 충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
5. 1. 신자 세례 시행과 최초의 침례교회
1609년,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는 네덜란드에서 신자 세례를 믿고 유아 세례를 거부하며 최초의 침례교회를 형성했다. 이들은 신자 세례와 언약으로 모인 자유 교회가 교회의 근본이라고 확신했다.[11] 급진 종교 개혁의 재세례파처럼 유아 세례를 받은 이들은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다른 목사가 없었기에 스미스는 1609년에 스스로 세례를 받고 (이 때문에 "자체 세례자"라고 불림)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교회를 세례했다.[12]스미스는 먼저 자신에게 "신자의 세례"를 행했다. 이는 이마에 물을 떨어뜨리는 "점례"나 후에 침례교회에서 일반화되는 "침례" 형식과 달리, 머리에 물을 뿌리는 "관수례"였다. (스미스의 "관수례"는 제너럴 침례교 계열 교회에서 한동안 사용되었으나, 1651년 신앙 고백을 통해 제너럴 침례교에서도 "침례" 형식으로 통일되었다). 스미스는 스스로 세례를 행한 것을 "셀프 세례"라 칭하고, 지지자들에게도 세례를 행하며 1609년 최초의 침례교회를 창설했다.
1610년 2월, 스미스와 교회 구성원들은 워털랜드의 메노파 공동체에 합류를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15][16] 이로 인해 토마스 헬위스에 의해 교회에서 파문당했다. 스미스와 일부는 메노파 교회에 가입했고, 헬위스와 일부는 1612년 잉글랜드로 돌아가 최초의 영구 침례교회를 세웠다. 헬위스에서 파생된 교회는 일반 침례교의 설득을 따랐다. 침례교 역사가 톰 J. 네틀스는 헬위스 그룹이 "그리스도께서 선택된 자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일반 침례교"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주장한다.[17] 이는 칼빈주의적 약속에서 벗어나는 단계로 여겨진다.
5. 2. 세례 방식: 관수례
스미스는 신자 세례를 믿고 유아 세례를 거부했으며, 1609년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최초의 침례교회를 형성했다.[11] 유아 세례를 받은 그들은 급진 종교 개혁의 재세례파처럼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다른 목사가 없었기 때문에 스미스는 1609년에 스스로 세례를 받았다.[12]스미스가 행한 세례는 이마에 물을 떨어뜨리는 "점례"와도 다르고, 후에 침례교회에서 일반화되는 "세례(침례)" 형식도 아닌, 머리에 물을 뿌리는 "관수례"였다.[21] 스미스가 스스로 세례를 행한 것을 "셀프 세례"라고 칭하기도 한다.
5. 3. 메노나이트와의 관계 및 분열
1610년 2월, 스미스와 다른 교회 구성원들은 워털랜드의 메노파 공동체에 합류를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15][16] 이로 인해 스미스는 토마스 헬위스에 의해 교회에서 파문당했다. 스미스와 교회의 일부는 메노파 교회에 가입했고, 헬위스와 교회의 일부는 1612년에 최초의 영구 침례교회를 세우기 위해 잉글랜드로 돌아갔다. 헬위스에서 파생된 교회는 일반 침례교의 신념을 따랐다. 침례교 역사가 톰 J. 네틀스는 헬위스와 그의 그룹이 "그리스도께서 선택된 자만을 위해 죽으신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해 죽으셨다고 주장했기 때문에" "일반 침례교"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주장한다.[17] 이는 칼빈주의적 믿음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여겨진다.스미스는 교회가 해산된 후에도 성경 연구를 계속했다. 스미스는 교회의 초기에 존재했던 세례의 올바른 모습이 현재는 사라졌으며, 그 역사적 계승성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결론에 도달했다.[21] 그러나 스미스는 이러한 결론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이름으로 올바른 세례를 행하여 몇 명이 새롭게 모이기만 하면 새로운 교회를 만들 수 있다고 믿었다.
스미스는 1609년에 침례에 대한 확신을 가졌지만, 이내 침례를 행한 것을 후회하고 자신의 입장을 모두 포기했다. 그는 성경에 따른 올바른 교회가 스미스와 신도들이 네덜란드로 도피했을 때 도움을 받았던 메노나이트 워터랜드파 교회이며, 스미스가 자신과 신도들에게 침례를 준 것은 큰 실수였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1610년, 스미스는 침례교회를 분열시켰으며, 스미스와 일부 신도 그룹은 메노나이트 교회에 흡수 통합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침례교회 내에서 스미스 그룹과 토마스 헬위스가 이끄는 그룹 사이에 분열이 발생했고, 토머스 헬위스를 따른 그룹은 이후 제너럴 침례교회로 발전해 나갔다.
6. 스미스의 신학 사상
스미스는 네덜란드에서 재세례파 신학을 접하고 그 원리, 특히 신자 세례, 유아 세례 반대, 최후의 만찬의 기념, 공재설 및 화체설 반대를 수용했다.[6] 1609년,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는 신자 세례를 믿고 최초의 침례교회를 형성했다.[11] 유아 세례를 받은 이들은 급진 종교 개혁의 재세례파처럼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믿었다. 세례를 집행할 다른 목사가 없었기 때문에, 스미스는 스스로 세례를 받고[12] 토마스 헬위스와 교인들을 세례했다.
W. T. Whitley는 스미스가 '유아 세례자'와 같은 신학 용어를 만들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14]
1610년 2월, 스미스는 워털랜드의 메노파 공동체에 합류를 요청하는 편지를 썼으나, 토마스 헬위스에 의해 교회에서 파문당했다. 스미스와 교회의 일부는 메노파 교회에 가입했고, 헬위스와 교회의 일부는 1612년에 잉글랜드로 돌아가 최초의 영구 침례교회를 세웠다.[15][16][17]
6. 1. 예배관
스미스는 진정한 예배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며, 예배에는 성경 외에 다른 책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기도, 찬송, 설교는 자발적이어야 했다. 그는 예배 중에 성경 번역본을 읽는 것 대신 원어 버전을 선호했다.[9] 스미스는 잉글랜드 국교회에서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교회에서 물려받은 신앙의 유산을 엄격하게 정리했다.- 첫째, 진정한 예배는 열정적인 감정(신앙심)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예배에서의 기도서 봉독 등 형식적인 것은 죄 많은 인간의 창작물에 불과하다고 스미스는 주장했다. 이러한 형식적인 전례에 대한 강한 거부 자세는 오늘날까지 많은 침례교회 사이에서 존속하고 있다. 기도, 찬미, 그리고 설교는 철저하게 자발적인 것으로 행해졌다. 어떤 번역본의 한 구절[22]에 따르면, 그는 예배 중에 성경 봉독을 허용하는 것조차 꺼렸다 한다. 이러한 발상은 예배란 영(정신)으로 행해야 한다는 신앙에서 유래한다.[23]
- 둘째, 교회에 두 가지 리더십 체제인 '목사'와 '집사'를 도입했다. 이는 목회 장로, 봉사 장로회, 그리고 집사회라는 종교 개혁으로 인해 생겨난 세 가지 리더십 체제와는 대조적이었다.
- 셋째, 세례와 관련하여 스미스가 새롭게 발견한 관념은, 후에 '침례교'의 선구자가 되었다. 이미 유아 세례를 받은 신도들에 대해, 그들에게 다시 세례를 베풀어야 한다고 그가 주장한 것을 계기로, 스미스가 목회하는 무리에서 세례가 대대로 지속되게 되었다.
6. 2. 교회 지도력
스미스는 1600년부터 1602년까지 링컨 시에서 설교했다.[3] 그는 강사로 재직하면서 온건한 청교도적 견해를 가졌으며, 정해진 형식의 기도와 교회 내 성악 및 기악 음악을 수용했다. 또한 교구 내 반교회주의자들의 영향력을 우려했고, 교회를 통치하고 교회 치안 판사를 임명할 국왕의 권위를 지지했다.[4]1607년, 스미스는 잉글랜드 교회와 결별하고 네덜란드로 떠났으며, 그곳에서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성경을 연구했다.[5] 스미스는 재세례파 신학의 원리, 특히 신자 세례, 유아 세례 반대, 최후의 만찬의 기념, 공재설 및 화체설 반대를 유지했다.[6]
1608년, 스미스는 "교회의 차이점"을 출판하여 성경적 교회의 특징을 설명했다.[7][8] 그는 진정한 예배는 마음에서 우러나와야 하며, 기도, 찬송, 설교는 자발적이어야 하고, 예배 중에는 성경 원어 버전을 읽어야 한다고 주장했다.[9] 또한, 두 가지 교회 지도력인 목사와 집사를 도입했으며, 교회 재정은 정부가 아닌 교인들로부터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10]
1609년, 스미스와 토마스 헬위스는 신자 세례를 믿고 최초의 침례교회를 형성했다.[11] 스미스는 스스로에게 세례를 베풀고, 토마스 헬위스와 함께 교회를 세례했다.[12]
1610년 2월, 스미스는 워털랜드의 메노파 공동체에 합류를 요청하는 편지를 썼으나, 토마스 헬위스에 의해 교회에서 파문당했다. 스미스와 교회의 일부는 메노파 교회에 가입했고, 헬위스와 교회의 일부는 1612년에 잉글랜드로 돌아가 최초의 영구 침례교회를 세웠다.[15][16][17]
스미스는 잉글랜드 국교회에서 분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교회에서 물려받은 신앙의 유산을 정리했다. 그는 진정한 예배는 열정적인 감정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형식적인 전례는 죄 많은 인간의 창작물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기도, 찬미, 그리고 설교는 자발적으로 행해져야 했으며, 예배 중에 성경 봉독을 허용하는 것조차 꺼렸다.[22][23] 또한, 교회에 두 가지 리더십 체제인 목사와 집사를 도입했으며, 유아 세례를 받은 신도들에게 다시 세례를 베풀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자신이 목회하는 무리에서 세례가 지속되게 했다.
6. 3. 교회 재정
스미스는 교회의 재정은 정부가 아닌 교인들의 지원으로만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정부가 교회를 통제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10]7. 사망
그는 1612년 8월 28일 암스테르담에서 이질로 사망했다.[18]
8. 영향 및 유산
현재 주어진 원문 소스(source)가 비어있기 때문에 '영향 및 유산'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어야 지시사항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고 위키텍스트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9. 관련 항목
참조
[1]
서적
The Theology of John Smyth: Puritan, Separatist, Baptist, Mennonite
Mercer University Press
[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3]
백과사전
John Smyth
http://www.britannic[...]
[4]
서적
The works of John Smyth, fellow of Christ's college, 1594-8
https://ia800203.us.[...]
University Press
1915
[5]
웹사이트
John Smyth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1-06-08
[6]
간행물
"Une autre manière d'être chrétien en France: socio-histoire de l'implantation baptiste, 1810-1950"
Éditions Labor et Fides
[7]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8]
서적
The Theology of John Smyth: Puritan, Separatist, Baptist, Mennonite
Mercer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Theology of John Smyth: Puritan, Separatist, Baptist, Mennonite
Mercer University Press
[10]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11]
간행물
"Une autre manière d'être chrétien en France: socio-histoire de l'implantation baptiste, 1810-1950"
Éditions Labor et Fides
[12]
서적
A Global Introduction to Baptist Church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Baptised Believers
Nottingham University
[14]
서적
The Works of John Smyth fellow of Christ's college, 1594-8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5-26
[14]
서적
The Works of John Smyth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5
[15]
서적
The Theology of John Smyth: Puritan, Separatist, Baptist, Mennonite
Mercer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Theory of Religious Liberty in England 1603–3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Baptists and the Bible
[18]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19]
문서
文献『バプテスト教会の起源と問題』
[20]
서적
The Theology of John Smyth: Puritan, Separatist, Baptist, Mennonite
Mercer University Press
[21]
문서
歴史学において、バプテストの起源に関しては歴史的な継承性を支持する声も実際に存在したが、19世紀末以降の学術的な歴史検討による観点から、その継承性の実在は否定されている。このことから、スミスがバプテストの先駆者であるという学説が一般に支持されるようになった([[バプテストの継承性]]も参照)。
[22]
문서
"...the worke of a mans witt...& therefore not to be brought into the worship of God to be read."
[23]
서적
The Theology of John Smyth: Puritan, Separatist, Baptist, Mennonite
Mercer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