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변 시야는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시야의 바깥쪽 영역을 의미하며, 시각 관련 분야에서는 중심 망막의 특정 영역을 기준으로 더 좁게 정의되기도 한다. 주변 시야의 경계는 내부와 외부로 나뉘며, 내부 경계는 중심와, 중심와주위, 황반 등으로 구분된다. 외부 경계는 전체 시야의 경계와 일치하며, 시력, 색각, 모양 구별 능력 등에서 중심 시야보다 약한 특징을 보인다. 주변 시야는 움직임 감지, 어두운 곳에서의 시각, 익숙한 형태 인식, 배경 정보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터널 시야나 중심 암점과 같은 시야 이상과 관련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지각 - 시각
시각은 빛 에너지를 이용해 형태, 운동, 색깔, 명암 등의 정보를 획득하는 오감 중 하나로, 다양한 이론적 발전과 생리학적 과정을 거쳐 외부 세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색각, 깊이 지각, 시각 장애, 인공 시각 기술 등 다양한 연구 분야를 포함한다. - 시지각 - 불쾌한 골짜기
불쾌한 골짜기는 로봇이 인간과 유사해질수록 호감도가 증가하지만 특정 시점에서 강한 거부감을 느끼게 되는 현상으로, 인간과 거의 똑같은 로봇의 어색함과 부자연스러움 때문에 발생하며, 진화심리학적 요인으로 설명되고 시각 매체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 스테레오스코피 - 입체시
입체시는 양안시차와 단안 단서를 이용해 깊이를 인지하는 능력으로, 조거리 및 미세 입체시로 나뉘며, 뇌는 다양한 단서를 결합하여 3차원 위치를 감지하고, 개인차가 존재하며 시각 훈련으로 개선될 수 있고 여러 동물에게서도 관찰된다. - 스테레오스코피 - 3차원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는 인간 시각 원리를 활용해 입체감을 제공하는 기술로, 양쪽 눈에 다른 이미지를 보여 뇌에서 3D 깊이를 인지하게 하는 방식이며, 안경식과 무안경식으로 나뉘어 영화, 게임, 증강 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시각 - 영상
영상은 이미지 제작의 역사, 종류, 기술적 측면, 사회문화적 의미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기록, 종교, 소통 등 다양한 역할을 해왔고, 양식, 기술, 사회문화적 맥락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 - 시각 - 시각 장애
시각 장애는 시각 체계 손상으로 발생하는 시력 저하 또는 상실을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되며 개인의 삶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지만, 보조 수단과 재활 훈련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
주변시 | |
---|---|
시각 | |
종류 | 감각 |
하위 유형 | 지각 |
관련된 기관 | 눈 |
주변시 | |
정의 | 응시점 바깥쪽 시야의 일부 |
2. 경계
2. 1. 내부 경계
일상적인 언어에서 "주변 시야"라는 용어는 기술적인 용어에서 "원주변 시야"라고 불리는 것을 지칭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이는 입체 시야 범위를 벗어난 시야를 의미한다. 이는 고정점, 즉 시선이 향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반지름 60° 또는 지름 120°의 원으로 경계 지을 수 있다.[1] 그러나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주변 시야가 반지름 30° 또는 지름 60°의 원 바깥의 영역을 지칭할 수도 있다.[2][3] 생리학, 안과학, 검안학, 또는 일반적인 시각 과학과 같은 시각 관련 분야에서는 주변 시야의 내측 경계가 중심 망막의 여러 해부학적 영역, 특히 중심와와 망막의 황반의 하나를 기준으로 더 좁게 정의된다.[4]중심와는 시야의 5°에 해당하는[6] 지름 1.5mm의 원뿔 모양의 중심 망막의 함몰부이다.[5] 중심와의 바깥쪽 경계는 현미경 또는 OCT 또는 미세 MRI와 같은 현미경 영상 기술로 볼 수 있다. 동공을 통해 볼 때, 즉 시력 검사(검안경 또는 안저 사진술)를 사용할 때 중심와의 중앙 부분만 보일 수 있다. 해부학자들은 이것을 임상적 중심와라고 부르며, 이는 시야의 1도에 해당하는 지름 0.35mm의 구조인 해부학적 소와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임상 사용에서 중심와의 중앙 부분은 일반적으로 단순히 중심와라고 한다.[7][8][9]
시력 측면에서 "중심와 시야"는 시력 20/20(6/6 미터법 또는 0.0 LogMAR; 국제적으로 1.0) 이상을 달성하는 망막의 부분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시야의 1.5°를 나타내는 지름 0.5mm의 중심와 무혈관 영역(FAZ)을 사용하는 것에 해당한다(중심 망막의 중심 구조는 완벽한 원으로 이상화되는 경우가 많지만 불규칙한 타원형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중심와 시야는 시야의 중심 1.5–2°로 정의할 수도 있다. 중심와 내의 시야는 일반적으로 중심 시야라고 하며, 중심와 밖 또는 소와 밖의 시야는 주변 시야 또는 간접 시야라고 한다.[4]
중심와를 둘러싼 고리 모양의 영역인 중심와주위는 때때로 중심 시야라고 하는 중간 형태의 시야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10] 중심와주위는 시야의 8°를 나타내는 바깥쪽 지름이 2.5mm이다.[11][12]
망막의 다음 더 큰 영역인 황반은 최소 두 개의 신경절 (신경 및 뉴런 다발) 층을 갖는 것으로 정의되며 때로는 중심 시야와 주변 시야의 경계를 정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13][14][15] (그러나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6]). 황반의 크기에 대한 추정치는 다르며,[17] 지름은 6° – 10°[18] (1.7 – 2.9mm에 해당), 최대 17°의 시야(5.5mm[5])로 추정된다.[19][12] 이 용어는 노년기에 중심 시야가 손실되는 광범위한 황반 변성 (AMD)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익숙하다.
시력 검사에서와 같이 동공에서 볼 때 황반의 중앙 부분만 보일 수 있다. 해부학자들에게는 임상적 황반(그리고 임상 환경에서는 단순히 황반)으로 알려진 이 내부 영역은 해부학적 중심와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0]
근거리와 중간 주변 시야 사이의 30° 반경의 분할선은 시각적 성능의 여러 특징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시력은 30° 편심까지 체계적으로 감소한다. 2°에서 시력은 중심와 값의 절반이고, 4°에서 1/3, 6°에서 1/4 등이다. 30°에서는 중심와 값의 1/16이다.[21][4] 거기서부터 감소는 더 가파르다.[22][23] (일부 교과서나 이 기사의 이전 버전에서 언급된 것처럼 2°마다 값이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16]
색상 인식은 20°에서 강하지만 40°에서 약하다.[24] 어둠 적응 시야에서 빛 감도는 막대 밀도에 해당하며, 이는 18°에서 정점에 달한다. 18°에서 중심쪽으로 갈수록 막대 밀도는 급격히 감소한다. 중심에서 18° 멀어질수록 막대 밀도는 더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두 개의 혹이 생기는 뚜렷한 변곡점을 가진 곡선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혹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약 30°이며, 이는 좋은 야간 시력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해당한다.[25][26][27]
2. 1. 1. 중심와
(아무 내용도 출력하지 않음)2. 1. 2. 황반
요약(summary)이 비어있으므로, 원본 소스(source)도 비어있어 황반 섹션에 대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2. 1. 3. 기능적 구분
(빈문서)2. 2. 외부 경계
주변 시야의 외부 경계는 전체 시야의 경계와 일치한다. 단일 눈의 경우 시야의 범위는 시선 고정점, 즉 시선이 향하는 지점에서 측정된 네 각도로 (대략) 정의할 수 있다. 네 개의 주요 방향을 나타내는 이 각도는 위쪽 60°, 코쪽(코 방향) 60°, 아래쪽 70–75°, 관자놀이쪽(코에서 멀어지는 방향) 100–110°이다.[28][29][30][31][32][33] 두 눈의 경우 결합된 시야는 수직 130–135°[34][35]이고 수평 200–220°이다.[29][36][33]
3. 특징
터널 시야는 중심 시야를 유지하면서 주변 시야를 잃는 현상이며, 반대로 중심 시야를 잃는 현상은 중심 암점으로 알려져 있다.
주변 시야는 시력, 색각, 모양 구별 능력 등이 인간에게 약하다. 이는 망막의 수용체와 신경절 세포 밀도가 중심에서 가장 크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며, 피질 확대가 중심와보다 훨씬 작기 때문이다.[4] 망막 전체에 걸친 수용체 세포 분포는 간상체와 원추 세포 두 가지 주요 유형에 따라 다르다. 간상체는 색상을 구별할 수 없고 가까운 주변부(18° 편심)에서 밀도가 최고조에 달하는 반면, 원추 세포 밀도는 가장 중심부인 중심와에서 가장 높다. 주변 시야에서 원추 세포가 부족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주변 시야에서도 색상을 구별할 수 있다.[37]
점멸 융합 역치는 주변부로 갈수록 감소하지만 다른 시각 기능보다 낮은 속도로 감소한다. 따라서 주변 시야는 점멸을 감지하는 데 상대적인 이점을 갖는다.[4] 주변 시야는 또한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비교적 뛰어나다(마그노 세포의 특징).
thumb
중심 시야는 어두운 곳(암순응 시각)에서 상대적으로 약한데, 이는 원추 세포가 낮은 조명 수준에서 감도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심와에서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집중된 간상체는 낮은 조명에서 원추 세포보다 더 잘 작동한다. 이 때문에 주변 시야는 밤에 희미한 광원(예: 희미한 별)을 감지하는 데 유용하며, 조종사는 야간에 주변 시야를 사용하여 항공기를 검색하도록 교육받는다.
중심와(때로는 중심 시야라고도 함)와 주변 시야의 차이점은 시각 피질의 미묘한 생리학적 및 해부학적 차이점에 반영된다. 서로 다른 시각 영역은 시야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오는 시각 정보 처리에 기여하며, 양쪽 뇌 반구를 분리하는 깊은 홈인 대뇌 반구간 열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한 시각 영역의 복합체는 주변 시야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영역은 주변부의 시각 자극에 대한 빠른 반응과 중력에 대한 신체 위치 모니터링에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0]
4. 기능
- 중심 시선으로 초점을 맞출 필요 없이 잘 알려진 구조와 형태를 인식한다.
- 유사한 형태와 움직임을 식별한다.( 게슈탈트 심리학 법칙).
- 상세한 시각적 인식의 배경을 형성하는 감각을 전달한다.
5. 극단적인 주변 시야
큰 각도에서 눈을 관찰하면 각막의 광학적 굴절 때문에 홍채와 동공이 관찰자를 향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41][42][43] 결과적으로 90°보다 큰 각도에서도 동공을 볼 수 있다.[41][42][43]
6. 한국의 주변 시야 연구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Blindness and Vision Impairm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4-11-30
[2]
서적
Primary Care Optometry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4-11-29
[3]
서적
Ergonomics in the Automotive Design Proces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1-09-15
[4]
간행물
Peripheral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A review
http://jov.arvojourn[...]
[5]
문서
[6]
서적
Dictionary of Optometry and Visual Scienc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UK
2014-07-30
[7]
서적
The Clinical Handbook of Ophthalmology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4-08-15
[8]
서적
Vitreoretinal Surgical Technique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0-11-27
[9]
서적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 Comprehensive Textbook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4-11-29
[10]
서적
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11-30
[11]
간행물
Color matches in diseased eyes with good acuity: detection of deficits in cone optical density and in chromatic discrimination
[12]
서적
The Retin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2014-11-29
[14]
서적
A Manual of Examination of the Eyes
https://archive.org/[...]
D.G. Brinton
2014-11-29
[15]
서적
Eye Studies; a Series of Lessons on Vision and Visual Tests
https://archive.org/[...]
Johnston
2014-11-29
[16]
간행물
Seven myths on crowding and peripheral vision
https://journals.sag[...]
2020-05-19
[17]
문서
[18]
서적
The Human Eye, Structure and Function
Sinauer Associates
1999
[19]
서적
Practical Approach to Ophthalmoscopic Retinal Diagnosis
https://books.google[...]
Jaypee Brothers Publishers
2014-11-30
[20]
서적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Health
2014-09-04
[21]
문서
[22]
간행물
A chart demonstrating variations in acuity with retinal position
[23]
서적
The Retina and Its Disorder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4]
간행물
Color appearance in the peripheral retina: effects of stimulus size
[25]
서적
Vitreou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4-10
[26]
서적
Understanding Vision: Theory, Models, and Data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4-05-08
[27]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Biology of Vis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11-28
[28]
간행물
Zur Theorie und Technik der Bjerrrumschen Gesichtsfelduntersuchung
[29]
서적
An Introduction to Clinical Perimetry, Chpt. 1
Henry Kimpton
1938
[30]
서적
Color Atlas and Synopsis of Clinical Ophthalmology -- Wills Eye Institute -- Neuro-Ophthalm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05-01
[31]
서적
Retina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11-01
[32]
서적
Review of Ophthalmology: Expert Consult - Online and Print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01-05
[33]
간행물
Erratum. Corrections to: Strasburger, Rentschler & Jüttner (2011), Peripheral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https://jov.arvojour[...]
2024-04
[34]
서적
Visual Prosthetics: Physiology, Bioengineering, Rehabilitation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02-21
[35]
서적
Effects of Field of View and Stereo Graphics on Memory in Immersive Command and Control
https://books.google[...]
2014-11-09
[36]
논문
Apparent Motion from Outside the Visual Field, Retinotopic Cortices May Register Extra-Retinal Positions
2012-10-15
[37]
논문
Peripheral Color Demo
[38]
서적
Im Auge des Lesers: foveale und periphere Wahrnehmung – vom Buchstabieren zur Lesefreude
[39]
문서
Perception and memory in ches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heuristics of the professional eye
Psychologisch Laboratorium Universiteit van Amsterdam
[40]
논문
A distinct anatomical network of cortical areas for analysis of motion in far peripheral vision
[41]
논문
Apparent Shape and Size of the Pupil Viewed Obliquely
[42]
논문
The entrance pupil of the human eye: a three-dimensional model as a function of viewing angle
[43]
논문
Pupil shape as viewed along the horizontal visual field
http://www.journalof[...]
[44]
논문
What is the function of the cone-rich rim of the retina?
http://vision.psycho[...]
[45]
논문
The human retina has a cone-enriched rim
[46]
논문
Vision out of the corner of the ey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