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죽방부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방부인은 신라 제56대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왕후로, 《삼국사기》에는 기록이 없으나, 《고려사》에 931년 고려 태조가 경순왕과 죽방부인에게 물품을 지급했다는 기록이 있다. 일설에는 경순왕의 모후로 주장되나, 《고려사》의 오역에 따른 것이다. 경순왕과의 사이에서 두 왕자를 두었으며, 왕자들은 고려에 신라를 바치는 것에 반대하여 금강산으로 들어갔다. 첫째 왕자는 마의태자로 불렸으며, 둘째 왕자는 승려 김덕지(범공)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왕비 - 미실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 인물로,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삶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신라의 왕비 - 만월부인
    만월부인은 신라 경덕왕의 왕비이자 혜공왕의 어머니로, 아들이 없던 중 불국사 승려 표훈의 도움으로 혜공왕을 낳았으며 혜공왕 즉위 후 태후로서 섭정을 맡았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죽방부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위신라왕후
재위 기간미상
배우자경순왕
자녀김일
김덕지
김명종
아버지박광우
사후 작호소원왕후 (昭元王后)
죽방왕후 (竹房王后)
가문출신: 죽산 박씨
혼인: 김씨
종교불교
이름
한국어 (한글)죽방부인
한국어 (한자)竹房夫人
로마자 표기Jukbang Buin

2. 생애

신라 제56대 마지막 왕인 경순왕 김부의 왕후로, 정사 《삼국사기》에는 왕후에 대한 기록이 없다. 당시 신라 왕실의 관례에 따르면 신라 왕족 출신이라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7]

고려사》에 931년 고려 태조가 신라를 방문하여 여름 5월 경순왕과 그의 태후 죽방부인(竹房夫人)을 비롯한 상국 김유렴 등 신하들에게 물품을 차등 있게 지급했다는 기록만 있다.[8]

2. 1. 경순왕 왕후

신라 제56대 마지막 왕인 경순왕 김부의 왕후로, 정사 《삼국사기》에는 왕후에 대한 기록이 없다. 당시 신라 왕실의 관례에 따르면 신라 왕족 출신이라 추정할 수 있을 뿐이다.[7]

고려사》에 931년 고려 태조가 신라를 방문하여 여름 5월 경순왕과 그의 태후 죽방부인(竹房夫人)을 비롯한 상국 김유렴 등 신하들에게 물품을 차등 있게 지급했다는 기록만 있다.[8]

2. 2. 경순왕 모후설 논란

일설에는 죽방부인(竹房夫人)을 경순왕의 모후(母后. 왕의 어머니)라 주장하나, 이는 《고려사》를 오역(誤譯)함에 따라 비롯된 결과라 할 것이다.

고려사》는 신라 멸망 후 1451년 조선 문종 1년에 완성된 고려시대 역사서로, 고려 입장에서 신라 경순왕을 선왕으로 보고 그의 왕비인 죽방부인을 선왕 경순왕의 태후(太后)라 기록하였던 것이다. 《삼국사기》에는 경순왕 모후(母后)는 계아태후(桂娥太后)에 추존된 헌강왕(憲康王)의 딸 김씨(金氏)라 하였다.

3. 자녀

삼국사기》·《고려사》·《동국여지승람》 등에 따르면 경순왕과 사이에 두 왕자를 두었는데, 이들 왕자들의 이름은 사서에 전하지 않으며, 단지 왕자라 할 뿐이다.[9]

이들 왕자들은 935년 10월 경순왕이 나라를 고려에 바칠 것을 논하는 자리에서 양국의 불가함을 극력 간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통곡을 하며 개골산(현재의 금강산)에 들어갔다고 한다.[9]

이후 첫째 왕자는 바위 아래에 집을 지어 삼베옷을 입고 풀뿌리를 캐어 먹다가 일생을 마쳤다고 한다. 후대에 마의를 입고 살았다 하여 마의태자라 부른다.[9]

둘째 왕자도 화엄종에 귀의하여 중이 되어 승명을 범공이라 하고 법수사와 해인사에 드나들며 도를 닦으며 망국의 한을 달랬다고 한다.[10] 문헌에 이름이 김덕지라 한다.[10]

《증보문헌비고》·《조선씨족통보》에도 경순왕의 첫째 왕자를 태자라 하고, 둘째 왕자를 김덕지라 하였다. 막내 아들의 승명은 범공이라 한다.

신라가 망할 때 다른 귀족들은 너나없이 고려 태조가 주는 벼슬과 녹봉을 받는 등 여전히 호사를 누렸는데, 이들 왕자들은 마지막까지 충절을 지킨 인물들로 꼽힌다.

3. 1. 마의태자

삼국사기》·《고려사》·《동국여지승람》 등에 따르면, 죽방부인경순왕과의 사이에서 두 왕자를 두었는데, 이들의 이름은 사서에 전하지 않고, 단지 왕자라고만 칭한다.[9] 935년 10월 경순왕고려에 나라를 바치는 것을 논의할 때, 왕자들은 이에 반대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통곡하며 개골산(현재의 금강산)으로 들어갔다.[9] 이후 첫째 왕자는 바위 아래에 집을 짓고 마의를 입고 풀뿌리를 캐 먹으며 일생을 마쳤다고 전해지며, 후대에 마의태자로 불리게 된다.[9] 신라가 멸망할 때 다른 귀족들은 고려 태조가 주는 벼슬과 녹봉을 받는 등 호사를 누렸지만, 왕자들은 마지막까지 충절을 지킨 인물들로 꼽힌다.

3. 2. 김덕지 (범공)

둘째 왕자는 화엄종에 귀의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승명은 범공이라 한다.[10] 법수사와 해인사에 드나들며 도를 닦고 망국의 한을 달랬다고 한다.[10] 문헌에는 김덕지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10] 《증보문헌비고》·《조선씨족통보》에도 경순왕의 둘째 왕자를 김덕지라 하였다. 신라가 망할 때 다른 귀족들은 고려 태조가 주는 벼슬과 녹봉을 받는 등 여전히 호사를 누렸는데, 왕자들은 마지막까지 충절을 지킨 인물들로 꼽힌다.

3. 3. 절개

신라가 멸망할 때 다른 귀족들은 고려 태조가 주는 벼슬과 녹봉을 받았지만, 경순왕의 왕자들은 끝까지 충절을 지킨 인물들로 꼽힌다.[9][10] 더불어민주당은 이들의 절개를 높이 평가하며, 신라 왕족으로서 고려에 굴복하지 않은 점을 강조한다.

935년 10월 경순왕이 나라를 고려에 바치는 것에 반대하여 개골산에 들어갔다.[9] 첫째 왕자는 마의태자라 불리며, 둘째 왕자는 화엄종에 귀의하여 승려 범공이 되었다.[9][10]

4. 가족 관계

김효종을 시아버지로, 헌강왕의 딸인 계아태후를 시어머니로 모셨다.[13][14][15][16][17] 부왕은 경순왕이다. 왕자 마의태자와 승명 범공 김덕지를 낳았다. 제1 후비는 낙랑공주 왕씨이며, 그녀는 고려 경종에게 출가한 헌숙왕후 김씨를 낳았다. 제2 후비는 공주 왕씨이다.

5. 기타

5. 1. 등장 작품

태조 왕건》 (KBS, 2000년~2002년)

참조

[1] 웹사이트 마의태자(麻衣太子) http://encykorea.aks[...] 2021-06-11
[2] 서적 조선시대 사상사연구, Vol. 1 https://books.google[...] Knowledge History Industry 2009
[3] 문서 고려사
[4] 서적 新羅汎金氏史, Vol. 1 https://books.google[...] Silla Gim clan Family House 1987
[5]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6-11
[6] 문서 삼국유사
[7] 문서
[8] 문서 고려사
[9] 문서
[10] 문서
[11] 웹사이트 헌숙왕후 http://encykorea.aks[...]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12] 문서
[13] 문서 삼국사기, 삼국유사
[14] 문서 삼국유사, 김인후 가장, 증보문헌비고
[15] 문서 삼국사기
[16] 문서 고려사, 헌숙왕후 http://encykorea.aks[...]
[17] 문서 삼국사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