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을 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을 권리는 스스로 삶을 마감할 권리를 의미하며, 안락사, 자살, 존엄사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윤리적, 법적 쟁점을 포함한다. 고대부터 논의되어 온 주제로, 19세기 생물학 발전과 함께 안락사 개념이 등장했고, 20세기 후반 정보통신 기술 발달로 공개 자살이 대중에게 알려지면서 논의가 확산되었다.
죽을 권리는 개인의 자기 결정권과 생명 존엄성, 생명 존중 사상 등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을 야기하며, 찬성 측은 자기 결정권과 고통 경감을, 반대 측은 생명 존중과 오용 가능성을 강조한다. 법적으로는 네덜란드, 벨기에 등에서 안락사 또는 의사 조력 자살이 합법화되었고, 미국 일부 주에서도 의사 조력 자살을 허용하며, 한국은 연명의료결정법을 통해 소극적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다. 한국 사회는 죽을 권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장치 마련, 웰다잉 문화 확산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락사 - 동물 안락사
동물 안락사는 회복 불가능한 질병, 고통스러운 부상, 심각한 행동 문제 등으로 고통받는 동물의 생명을 인도적인 방법으로 종료시키는 행위로, 약물 주입, 가스 흡입, 물리적 방법 등이 사용되나 윤리적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국가 및 지역별 법적 규정과 정책이 상이하다. - 안락사 - 소일렌트 그린
2022년의 암울한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소일렌트 그린의 비밀을 파헤치는 형사의 이야기를 그린 1973년 디스토피아 SF 영화 소일렌트 그린은 인구 과잉, 환경 오염, 식량 부족을 다루고 있으며, "소일렌트 그린은 사람이다!"라는 명대사를 남겼다. - 자살 - 자살 봉지
자살 봉지는 질식사를 위해 밀폐된 비닐 봉투에 불활성 기체를 채워 넣는 자살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해 사용법이 확산되면서 윤리적 논쟁과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 자살 - 자살예방
자살예방은 자살 징후 감지, 위험 평가, 개입 방법 적용, 자살 수단 제한, 상담 제공, 위기 핫라인 운영, 직접 대화 시도 등 자살 위험을 줄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포함하며 사회적 요인 예방 및 책임감 있는 미디어 보도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 주제별 인권 - 결사의 자유
결사의 자유는 민주주의 사회의 기본 요소로서, 다양한 단체 결성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끌어내며, 국가별 헌법과 법률 해석에 따라 보장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며, 친밀한 결사, 표현적 결사, 조직 노동 등과 관련된 쟁점들이 존재한다. - 주제별 인권 - 무기 소지의 자유
무기 소지의 자유는 개인이 무기를 소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헌법이나 법률로 인정되지만, 총기 관련 사회 문제로 인해 총기 규제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더 엄격하게 규제되는 경향이 있다.
죽을 권리 | |
---|---|
권리 주장 | |
권리 | 죽을 권리 |
다른 이름 | 안락사 권리, 자살 권리 |
주요 내용 | |
의미 | 자신의 죽음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 |
주장 | 자신의 생명을 스스로 끝낼 권리 심각하고 회복 불가능한 질병이나 고통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안락사 또는 조력 자살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 |
관련 개념 | |
관련 권리 | 자율권 자기 결정권 인격권 보건권 |
관련 법률 | 존엄사법 안락사 조력 자살 연명 의료 결정법 사전 의료 지시서 |
반대 주장 | 생명권 안락사 반대론 의료 윤리 종교적 반대 |
추가 정보 | |
논쟁점 | 인간 생명의 존엄성 사회적, 도덕적 영향 윤리적 고려 사항 의료 전문가의 역할 미끄러운 경사(slippery slope) 논쟁 |
주요 쟁점 | 환자의 의사 결정 능력 의료 전문가의 판단 가족의 역할 대안적 치료 방법 |
관련된 인물 | 잭 케보키언 필립 니치케 바바라 쿰스 리 |
관련 도서 | |
도서 | 파이널 엑시트 평화로운 자살약 핸드북 조력 자살과 안락사의 미래 |
관련 단체 | |
단체 | 케어 낫 킬링 컴패션 앤 초이스 죽음 존엄성 내셔널 센터 디그니타스 (조력 사망 조직) 엑시트 인터내셔널 파이널 엑시트 네트워크 헤믈록 소사이어티 세계 죽을 권리 단체 연맹 |
법률 | |
관련 법률 | 1994년 오리건 주민발의 16호 1995년 말기 환자 권리법 (호주) 베이비 도 법 워싱턴 죽음 존엄법 |
법률 정보 | 안락사 합법성 |
대안 | |
대안 | 조력 자살 완화 치료 이중 효과의 원칙 고통 완화 진정 |
기타 문제 | |
관련 문제 | 일관된 생명 윤리 우생학 안락사 장치 흐로닝언 프로토콜 자살 관광 |
국가별 현황 |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의 안락사 벨기에의 안락사 캐나다의 안락사 인도의 안락사 룩셈부르크의 안락사 멕시코의 안락사 네덜란드의 안락사 뉴질랜드의 안락사 스페인의 안락사 스위스의 안락사 영국의 안락사 미국의 안락사 우루과이의 안락사 |
2. 역사
고대 그리스에서는 자살을 권리로 인정했다는 문헌이 보이기도 하고, 중세 기독교(가톨릭) 전성기에는 자살이 범죄로 간주되는 등, 스스로 죽을 권리를 행사하는 자살은 인류 역사와 함께 존재했을지도 모른다.
19세기 이후 서양에서는 생물학과 의학의 발달로 안락사 개념이 등장하면서 죽을 권리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자살을 부정적으로 인식해왔으나, 최근에는 존엄사 및 조력존엄사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2. 1. 서양의 역사
19세기 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의사의 임무에 생명 단축이 포함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났고, 이는 안락사 개념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죽을 권리'라는 용어는 1895년 아돌프 요스트(Adolf Jost)가 그의 저서 《죽음에 대한 권리》(Das Recht auf den Tod)에서 처음 사용했다. 요스트는 불치병 환자의 안락사와 정신병 환자의 살해를 동일시하며, 불치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는 "고통 없는 죽음"에 대한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다.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미국의 생명윤리학자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는 개신교적 관점에서 의료 기술의 발전과 적극적 안락사와 관련하여 죽을 권리를 주장했다.
1970년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자살 사건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면서 죽을 권리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었다. 1963년 틱꽝득(Thích Quảng Đức)의 분신자살, 1970년 미시마 유키오의 할복 자살, 1974년 크리스틴 처벅(Christine Chubbuck)의 텔레비전 생방송 중 자살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1975년 캐런 퀸란 사건은 죽을 권리 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혼수상태에 빠진 캐런 퀸란의 가족은 인공호흡기 제거를 요청했고, 1976년 뉴저지주 최고법원은 이를 허용했다. 이 판결은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개인정보보호권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으며, 죽을 권리 개념을 "자신이 죽음으로 향하는 권리"에서 "자신의 마땅한 삶에 간섭받지 않을 권리"로 변화시켰다.
1990년 미국의 환자 자기결정법은 치료 거부권 절차를 정비하여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강화했다.
1990년대 이후, 네덜란드 등 일부 국가에서 적극적 안락사와 의사 조력 자살을 합법화하면서, 죽을 권리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2. 2. 한국의 역사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유교 사상의 영향으로 자살을 부정적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2009년 김할머니 사건을 계기로 존엄사 논의가 시작되었고, 2018년 연명의료결정법 시행으로 제한적인 범위에서 존엄사가 허용되었다.최근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죽을 권리에 대한 논의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개인의 존엄성과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는 입장에서, 죽을 권리에 대한 논의를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
2024년 2월 22일, 대한민국에서 조력존엄사 법안이 발의되었다. 해당 법안에는 회생 가능성이 없는 환자가 극심한 고통을 겪을 경우, 의사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삶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3. 윤리적 쟁점
새로운 의료기기와 완화 의료의 발전으로 인간은 이전보다 더 오래 살 수 있게 되었다. 의학 기술의 발전은 더 이상 의식이 없는 환자들의 삶의 질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예를 들어, 자기결정권은 삶의 질과 존엄성의 정의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만약 누군가가 살 권리가 있다면, 죽을 권리 또한 따라야 하는가?[1][2] 만약 살 권리가 절대적 권리라고 주장한다면, 그것은 포기될 수 없으므로 죽을 권리와 양립할 수 없다.[3] '살 권리'는 '살 의무'와 동의어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는데, 이 관점에서 살 권리는 죽을 권리와 공존할 수 있다.[4]
죽을 권리가 보편적인 권리인지, 특정 상황(예: 말기 질환)에서만 적용되는 권리인지, 아니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권리인지에 대한 논쟁도 생명윤리 내에서 존재한다.
죽을 권리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지되거나 반대된다. 찬성 측은 주로 환자의 고통 경감, 자기결정권, 존엄성을 이야기하며, 반대 측은 생명 존중과 오용 및 남용 가능성을 주로 이야기한다.
3. 1. 찬성 측 주장
다음은 죽을 권리를 지지하는 주요 주장이다.- 자기결정권: 개인은 자신의 삶과 죽음에 대한 결정을 스스로 내릴 권리가 있다.
- 고통 경감: 불치병으로 인한 극심한 고통을 겪는 환자에게 죽음은 고통스러운 삶의 대안이 될 수 있다.
- 존엄한 죽음: 인간은 존엄하게 죽을 권리가 있으며, 이는 품위 있는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포함한다.
- 안락사가 엄격하게 통제된다면, 환자들이 불법적인 대안을 찾는 것을 막을 수 있다.[1]
3. 2. 반대 측 주장
- 생명 존중: 인간의 생명은 절대적으로 존엄하며, 어떤 경우에도 훼손되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다.
- 오용 및 남용 가능성 (미끄러운 비탈길): 죽을 권리가 허용되면,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압력 등으로 인해 죽음을 강요받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이다.[1] 이는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으로, 한 번 허용하면 통제 불가능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 생명 경시 풍조: 죽을 권리를 인정하면 생명 경시 풍조가 만연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 의사의 역할: 의사는 환자를 치료하고 생명을 구하는 것이 본분이며, 환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은 의사의 역할에 어긋난다는 것이다.[29]
- 회복 가능성: 오진 가능성,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환자의 회복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 사회적 약자 보호: 장애인, 노인 등 사회적 약자들이 죽음을 선택하도록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 완화 의료 감소: 말기 환자들이 죽을 권리를 행사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말기 완화 의료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1][5]
4. 종교적 관점
힌두교에서는 말기 질환으로 고통받거나 더 이상 욕망, 야망, 책임이 없는 사람들의 죽을 권리를 인정한다. 단식을 통해 굶어 죽는 것과 같은 비폭력적인 방법(프라요파베사(Prayopavesa))으로 죽음이 허용된다.[67] 자이나교에도 ''산타라(Santhara)''라는 유사한 관습이 있다. 자살에 대한 다른 종교적 견해는 관용의 정도가 다르며, 권리 자체를 부정하거나 행위 자체를 비난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톨릭 신앙에서는 자살을 중대한 죄로 간주한다.[68]
5. 법적 현황
국가별로 죽을 권리에 대한 법적 입장이 다르다.
2023년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14] 캐나다,[32] 콜롬비아,[32] 룩셈부르크,[15] 네덜란드,[14] 뉴질랜드, 스페인, 스위스[14]에서 어떤 형태의 자발적 안락사가 합법적이다.
미국에서는 1997년 대법원이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헌법적 권리는 없다고 판결했지만, 각 주에서 관련 법률을 제정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94년 오리건주를 시작으로 여러 주에서 의사 조력 자살을 허용하는 법률이 통과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18년부터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되어 회생 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연명의료 중단이 허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안락사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관련 사건에서 유죄 판결이 내려진 바 있다.[74]
이탈리아에서는 자살방조가 범죄이지만, 2019년 헌법재판소는 특정 조건 하에서 자살방조가 범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74]
5. 1. 적극적 안락사 및 의사 조력 자살 합법 국가
2023년 1월 31일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네덜란드, 캐나다, 콜롬비아, 스페인, 뉴질랜드, 벨기에, 룩셈부르크에서 적극적 안락사가 합법화되어 있으며, 미국의 일부 지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스위스, 독일에서는 자살방조가 허용되고 있다.[72]국가 | 적극적 안락사 | 의사 조력 자살 | 기타 |
---|---|---|---|
오스트레일리아 | 합법 | 합법 |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노던 준주에서 안락사가 합법이었으나, 연방 정부에 의해 금지되었다. 2017년 빅토리아주를 시작으로 여러 주에서 자발적 조력 사망(Voluntary Assisted Dying)이 합법화되었다. |
네덜란드 | 합법 | 합법 | 2002년 세계 최초로 적극적 안락사와 의사 조력 자살을 합법화했다. 엄격한 요건 하에 허용되며, 정신질환자의 안락사도 일부 인정한다. |
캐나다 | 합법 | 합법 | 2016년 의료 조력 사망(Medical Assistance in Dying, MAID)을 합법화했으며, 점차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
콜롬비아 | 합법 | 합법 | 1997년 안락사를 비범죄화했으며, 2022년에는 의사 조력 자살을 합법화했다. |
스페인 | 합법 | 합법 | 2021년 안락사와 의사 조력 자살을 합법화했다. |
뉴질랜드 | 합법 | 합법 | 2020년 국민투표를 통해 안락사를 합법화했다. |
벨기에 | 합법 | 합법 | 2002년 안락사를 합법화했으며, 2014년에는 세계 최초로 미성년자 안락사를 허용했다. |
룩셈부르크 | 합법 | 합법 | 2009년 안락사와 의사 조력 자살을 합법화했다. |
스위스 | 불법 | 합법 | 자살 방조를 허용하며, 외국인에게도 개방하고 있다. |
독일 | 불법 | 합법 | 2020년 연방헌법재판소 판결에 따라 자살 조력 행위가 허용되었다. |
오스트리아 | 불법 | 합법 | 2022년부터 자살 조력을 허용한다. |
5. 2. 의사 조력 자살 합법 국가 (일부 주/지역)
“죽을 권리”라는 용어는 자살, 수동적 안락사, 능동적 안락사, 조력 자살, 의사 조력 자살 등 여러 가지로 해석되어 왔다.[41]
미국에서 의사 조력 자살에 대한 대중의 지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했다. 2005년 퓨리서치센터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0%가 환자가 죽도록 허용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고 답했지만, 의사가 환자의 생을 마감하도록 돕는 것을 허용하는 법에 대해서는 46%만 찬성했다.[42] 2018년 5월 갤럽 여론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72%가 의사가 말기 환자의 죽음을 돕는 것을 법적으로 허용해야 한다고 답했다.[43] 그러나 "생을 마감하는 것"이 아닌 "자살"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프레이밍 효과는 찬성률을 10~15% 낮출 수 있다.[44]
2014년 의사 대상 설문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의사 조력 자살을 허용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44] 1996년 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엄격한 설문 조사에서는 20% 미만의 의사가 안락사 요청을 받았다고 보고했고, 5% 미만이 이를 따랐다.[45] 2020년 오리건주의 '존엄사법'(Oregon Death with Dignity Act) 자료 요약에 따르면 치사량의 약물 처방 건수는 2019년 이후 25% 증가했으며 1998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왔다.[46] 이러한 처방을 받은 환자 중 66%는 결국 약물 복용으로 사망했다.[46]
5. 3. 소극적 안락사 (연명의료 중단) 허용 국가
- 대한민국: 2018년 연명의료결정법 시행으로, 회생 가능성이 없는 환자의 연명의료 중단이 허용되었다.
- 이탈리아: 2017년 존엄사를 인정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 프랑스: 2005년 레오네티 법은 소극적 안락사(치료 중단) 및 간접적 안락사(고통 경감을 위한 과도한 진정제 투여)를 인정한다.[87] 2016년 크레스-레오네티 법은 4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완화적 진정(소극적 안락사)을 합법화했다.[87]
5. 4. 안락사 및 의사 조력 자살 불법 국가
- 일본: 1962년 산내 사건(山内事件), 1991년 도카이대학 안락사 사건(東海大学安楽死事件), 1998년 가와사키 협동병원 사건(川崎協同病院事件) 등에서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판단이 내려졌으나, 모두 유죄 판결이 내려져 안락사 인정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74]
- 페루: 안락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40] 2020년, 아나 에스트라다(Ana Estrada)가 안락사를 비범죄화하기 위한 법적 도전을 시작했다.[40]
- 이탈리아: 자살방조는 범죄로 규정되어 있지만, 헌법재판소는 2019년 자신의 의사에 기반한 판단 능력을 가지고 견딜 수 없는 고통을 안고 있는 사람에 대한 자살방조가 반드시 범죄가 아니라고 판단했다.[74]
6. 한국 사회의 과제
한국 사회는 죽을 권리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활성화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합의점을 도출해야 한다. 죽을 권리 오남용 및 생명 경시 풍조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시스템을 확충하여, 말기 환자들이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웰다잉(Well-dying) 문화 확산을 통해, 삶의 마지막을 의미 있게 준비하고 맞이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 자기결정권과 존엄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죽을 권리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갈 것이다.
참조
[1]
논문
The Right to Die in Chronic Disorders of Consciousness: Can We Avoid the Slippery Slope Argument?
2016-12-00
[2]
논문
The right to die in the minimally conscious state
2011-03-00
[3]
논문
Voluntary Euthanasia and the Inalienable Right to Life
https://tannerlectur[...]
The University of Michigan
2018-06-20
[4]
웹사이트
Humanistisch Verbond: 'Recht op leven, plicht tot leven' (translated: Dutch Humanist Association: 'Right to live, obligation to live')
https://www.humanist[...]
2018-06-20
[5]
논문
Self-determination, the right to die, and culture: a literature review
2011-04-00
[6]
뉴스
Next: Assisted Suicide for Healthy People
http://www.huffingto[...]
2014-12-14
[7]
논문
Suicidism: A new theoretical framework to conceptualize suicide from an anti-oppressive perspective
https://dsq-sds.org/[...]
2020-00-00
[8]
논문
Complicating Theory through Practice: Affirming the Right to Die for Suicidal People
2020-00-00
[9]
논문
The Somatechnologies of Canada's Medical Assistance in Dying Law: LGBTQ Discourses on Suicide and the Injunction to Live
2017-00-00
[10]
논문
Les personnes suicidaires peuvent-elles parler? Théoriser l'oppression suicidiste à partir d'un modèle socio-subjectif du handicap
https://www.academia[...]
2018-00-00
[11]
논문
The Patient Self-Determination Act. A matter of life and death
1995-03-00
[12]
서적
The Human Predicament: A Candid Guide to Life's Biggest Ques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0-00
[13]
웹사이트
What is Wrong with Rational Suicide
http://www.avitalpil[...]
2010-06-11
[14]
뉴스
Euthanasia and the law
http://news.bbc.co.u[...]
BBC News
2002-12-23
[15]
웹사이트
Euthanasia & Physician-Assisted Suicide (PAS) around the World
http://euthanasia.pr[...]
2017-04-19
[16]
웹사이트
As Victoria brings in euthanasia, NT is still banned from talking about it
https://www.abc.net.[...]
2019-06-25
[17]
웹사이트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Federal, State and Local Governments
https://www.parliame[...]
2019-06-25
[18]
웹사이트
'We're on the right side of history': Victoria's assisted dying laws come into effect for terminally ill
https://www.theage.c[...]
2019-06-26
[19]
웹사이트
Voluntary Assisted Dying
https://ww2.health.w[...]
[20]
뉴스
Tasmania's voluntary assisted dying laws come into effect today. Here's how they will work
https://www.abc.net.[...]
2022-10-23
[21]
뉴스
Voluntary assisted dying is now legal in Queensland. Here's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sbs.com.[...]
2023-01-01
[22]
뉴스
Voluntary assisted dying scheme becomes available to eligible patients in South Australia
https://amp.abc.net.[...]
2023-01-31
[23]
웹사이트
Voluntary assisted dying
https://www.health.n[...]
[24]
논문
The euthanasia law in Belgium and the Netherlands
https://www.thelance[...]
2003-10-11
[25]
뉴스
B.C. court asked to fast-track right-to-die lawsuit
https://www.cbc.ca/n[...]
CBC News
2014-12-14
[26]
뉴스
Assisted-suicide crusader Gloria Taylor dies in B.C.
https://www.cbc.ca/n[...]
2023-06-16
[27]
뉴스
Supreme Court rules Canadians have right to doctor-assisted suicide
https://www.theglobe[...]
Globe and Mail
2015-02-06
[28]
뉴스
Assisted dying: Four problems, one simple solution
https://www.theglobe[...]
2016-01-02
[29]
논문
Top court hears right-to-die appeal
2014-11-00
[30]
뉴스
Canadian doctors express mixed opinions on assisted dying
http://www.ctvnews.c[...]
Bell Media
2016-01-02
[31]
웹사이트
Canada legalises euthanasia for the terminally ill
http://www.her.ie/ne[...]
Maximum Media; Dublin, Ireland
2016-06-22
[32]
웹사이트
Assisted dying to become law after Senate backs Liberals' bill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16-07-16
[33]
웹사이트
REPÚBLICA DE COLOMBIA Corte Constitucional Sentencia No. C-239/97
http://www.dmd.org.c[...]
2016-11-24
[34]
뉴스
Los principios para regular la eutanasia
http://www.elespecta[...]
ElEspectador.com
2015-02-19
[35]
웹사이트
Bundesverfassungsgericht - Press - Criminalisation of assisted suicide services unconstitutional
https://www.bundesve[...]
2021-01-30
[36]
뉴스
Nach Sterbehilfe-Urteil: Ein Dammbruch droht
https://www.faz.net/[...]
2021-01-30
[37]
논문
Reporting of euthanasia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in the Netherlands: descriptive study
2009-10-00
[38]
뉴스
Lecretia Seales: Lawyer with cancer embarks on challenge to New Zealand's euthanasia laws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5-06-05
[39]
뉴스
Judge thanks woman for right-to-die case
http://www.radionz.c[...]
Radio New Zealand
2015-06-05
[40]
뉴스
Terminally ill Peru woman demands right to euthanasia
https://apnews.com/7[...]
The Associated Press
2020-02-07
[41]
웹사이트
Due Process of Law
https://law.justia.c[...]
2019-02-17
[42]
웹사이트
Strong Public Support for Right to Die
https://www.pewresea[...]
2006-01-05
[43]
웹사이트
Americans' Strong Support for Euthanasia Persists
https://news.gallup.[...]
2018-05-31
[44]
논문
Attitudes and Practices of Euthanasia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in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Europe
https://doi.org/10.1[...]
2016-07-05
[45]
논문
A national survey of physician-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in the United States
1998-04-23
[46]
웹사이트
Oregon Health Authority : Death with Dignity Act Annual Reports : Death with Dignity Act : State of Oregon
https://www.oregon.g[...]
2021-09-13
[47]
뉴스
Karen Ann Quinlan, 31, Dies; Focus of '76 Right to Die Case
https://www.nytimes.[...]
1985-06-12
[48]
논문
The Right to Die in New York – the Controversy Lives.
1989-12-00
[49]
논문
Quinlan case set pace for bioethics debate
1985-08-00
[50]
논문
Wolters Kluwer Health
[51]
논문
Bioethical issues concerning death: death, dying, and end-of-life rights
2005-00-00
[52]
논문
Right-to-Die Case Gets First Hearing in Supreme Court
https://www.nytimes.[...]
1989-12-07
[53]
논문
From Quinlan to Cruzan to Schiavo: What have we learned?
2005-00-00
[54]
논문
The challenge of Terri Schiavo: lessons for bioethics
2005-07-00
[55]
논문
A death in the family: reflections on the Terri Schiavo case
2005-04-00
[56]
웹사이트
Vaco v. Quill
https://www.oyez.org[...]
[57]
웹사이트
Washington v. Glucksberg
https://www.oyez.org[...]
[58]
웹사이트
Vacco, Attorney General of New York, et al. v. Quill et al.
https://scholar.goog[...]
United States Supreme Court
[59]
잡지
See Which States Allow Assisted Suicide
https://time.com/355[...]
2014-11-03
[60]
웹사이트
Death with Dignity Acts
https://deathwithdig[...]
[61]
웹사이트
A Proclamation by the Governor of California: Convene Extraordinary Session of the Legislature of the State of California
https://www.gov.ca.g[...]
2015-06-16
[62]
뉴스
Assisted-death bill passes first Assembly committee
https://www.sacbee.c[...]
2019-02-17
[63]
뉴스
New Mexico judge affirms right to 'aid in dying'
https://www.latimes.[...]
2014-01-19
[64]
논문
Death with dignity: young patient with brain tumor puts a face on the right-to-die movement
2015-03-00
[65]
웹사이트
Code of Medical Ethics: Caring for patients at the end of life
https://www.ama-assn[...]
2021-09-20
[66]
웹사이트
Physician-Assisted Suicide
https://www.ama-assn[...]
2021-09-20
[67]
웹사이트
Hinduism – Euthanasia and Suicide
http://www.bbc.co.uk[...]
BBC
2009-08-25
[68]
잡지
Do people who commit suicide go to hell?
http://www.catholicd[...]
2014-12-14
[69]
웹사이트
死ぬ権利
https://kotobank.jp/[...]
2023-03-27
[70]
웹사이트
まえがきとして 〜 世界の安楽死議論の現状
https://www.let.kuma[...]
2023-03-28
[71]
웹사이트
Suicide: A Constitutional Right?
https://dsc.duq.edu/[...]
[72]
웹사이트
安楽死が認められている国はどこ?
https://www.swissinf[...]
2023-03-28
[73]
논문
【イタリア】尊厳死法の成立
国立国会図書館
[74]
뉴스
イタリアで初の「安楽死」四肢まひの男性
https://www.afpbb.co[...]
AFP通信
2023-03-29
[75]
웹사이트
Voluntary assisted dying in NSW
https://www.health.n[...]
2023-03-28
[76]
뉴스
Tasmania's voluntary assisted dying laws have come into effect. Here's how they will work
https://www.abc.net.[...]
ABC News
2023-03-29
[77]
웹사이트
Voluntary Assisted Dying in South Australia
https://www.sahealth[...]
2023-03-29
[78]
뉴스
Queensland parliament votes to legalise voluntary assisted dying
https://7news.com.au[...]
7news
2023-03-29
[79]
뉴스
安楽死合法もいまだに議論が続くコロンビア
https://www.newsweek[...]
World Voice Powered by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23-03-29
[80]
뉴스
末期でない患者が安楽死、動画公開 コロンビア
https://www.afpbb.co[...]
AFP通信
2023-03-29
[81]
뉴스
《コロンビア》南米初、自死介助を合法化=本人による致死薬服用を認可=支援する医師の責任を免除
https://www.brasilni[...]
ブラジル日報
2023-03-29
[82]
뉴스
宮下洋一 犯罪加害者の「死ぬ権利」は認められるのかーールポ・スペイン銃撃犯安楽死事件
https://chuokoron.jp[...]
中央公論.jp
2023-03-29
[83]
뉴스
スペイン、安楽死・自殺ほう助を合法化
https://www.afpbb.co[...]
AFP通信
2023-03-29
[84]
뉴스
スペイン、安楽死を合法化 EUで4カ国目
https://www.cnn.co.j[...]
CNN
2023-03-29
[85]
논문
生命及び自律性に関する憲法上の権利一ドイツ連邦憲法裁判所2020年2月26日判決を契機に一
https://www.jstage.j[...]
東洋大学現代社会総合研究所
[86]
뉴스
NZで「安楽死法」21年11月施行、国民投票の結果確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03-29
[87]
뉴스
仏クレス・レオネッティ法にみる終末期医療の動向(山崎摩耶)
https://www.igaku-sh[...]
医学界新聞
2023-03-29
[88]
뉴스
仏で安楽死容認に危機感 医師ら「使命ではない」と反対一多数派世論は合法化支持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23-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