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줄리언 슈윙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리언 슈윙거는 1918년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이시도어 아이작 라비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방사선 연구소에서 레이더 개발에 참여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람 시프트의 설명에 재규격화 이론을 적용하는 데 성공했으며, 1972년부터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에서 교수로 연구를 이어갔다. 양자 전기역학(QED) 연구를 통해 1965년 리처드 파인만, 도모나가 신이치로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슈윙거는 강한 전장 내에서 진공으로부터 입자-반입자 쌍생성을 최초로 예측했으며, 4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1994년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듀 대학교 - 인디애나 대학교-퍼듀 대학교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 대학교-퍼듀 대학교 인디애나폴리스(IUPUI)는 1969년 두 대학교의 분교 통합으로 설립되어 550개 이상의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2024년 가을 학기부터 두 개의 독립된 대학으로 분리될 예정이다.
  • 퍼듀 대학교 교수 - 알프레드 킨제이
    알프레드 킨제이는 미국의 생물학자이자 성 연구가로, 킨제이 보고서로 알려진 『인간 남성의 성 행동』과 『인간 여성의 성 행동』을 통해 다양한 성적 행동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제시하고 성적 지향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며 성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나, 연구 방법론과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
  • 퍼듀 대학교 교수 - 버넌 스미스
    버넌 스미스는 실험 경제학 방법론을 확립한 공로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랜디 셰크먼
    랜디 셰크먼은 세포 내 소포 수송 기전 연구로 201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효모 유전학을 이용해 단백질 분비 과정을 연구하고 학술지 출판 개혁을 주장하며 파킨슨병 연구에도 참여한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빅토리아 프롬킨
    빅토리아 프롬킨은 UCLA 언어학과 교수이자 캘리포니아 대학교 시스템 최초의 여성 대학원 프로그램 부총장으로, 언어 오류 연구, 야생아 지니 연구 참여, 인공어 제작 등 다양한 업적을 남기고 미국 언어학회 회장과 실어증 학회 이사회 의장을 역임한 미국의 언어학자이다.
줄리언 슈윙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5년의 슈윙거
출생 이름줄리언 시모어 슈윙거
출생일1918년 2월 12일
출생지뉴욕 시, 미국
사망일1994년 7월 16일
사망지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미국
배우자클라리스 캐럴 (결혼 1947년) (1917-2011)
분야양자장론
근무 기관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퍼듀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시카고 대학교
모교뉴욕 시립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학사, 박사)
박사 지도 교수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박사 학위 논문 제목중성자의 자기 산란에 관하여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박사 학위 년도1939년
주요 업적양자 전기역학
전자기 약력
공동 섭동 이론
다이온
스핀-통계 정리
매크먼 마스터 정리
근원장 이론
상호 편향 기저
켈디시 형식주의
줄리언 슈윙거의 이름을 딴 것들의 목록
수상앨버트 아인슈타인 상 (1951년)
국가 과학 훈장 (1964년)
노벨 물리학상 (1965년)
학문적 계보
박사 제자리처드 아노위트
로이 글라우버
벤 로이 모텔손
유진 메르츠바허
셸던 글래쇼
월터 콘
브라이스 드윗
대니얼 클라이트먼
샘 에드워즈
고든 베임
로웰 S. 브라운
스탠리 데서
로렌스 폴 호로위츠
마거릿 G. 키벨슨
퉁모우 얀
찰스 M. 서머필드
케네스 앨런 존슨

2. 생애

슈윙거는 1939년 이시도어 아이작 라비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2년간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조수로 일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매사추세츠 공대(MIT) 방사선연구소에서 레이다 개발에 이론적인 도움을 주었으며, 전쟁 이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1945년부터 1974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1966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의 유진 히긴스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레이다 연구를 통해 그린 함수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이를 바탕으로 양자장 이론을 상대론적으로 불변하게 만들었다. 전자자기 모멘트를 계산할 때 상대론적 대칭성을 이용하여 발산을 피하고 유한한 값을 얻었으며, 재규격화 이론을 개발하여 양자 전기역학을 1차 근사에서 완전하게 만들었다.

또한, 양자장론에서 전자-양전자 쌍이 전기장에서 양자 터널링을 통해 생성될 확률을 계산하는 비섭동적 방식을 도입했다. 이 현상은 '슈윙거 효과'(Schwinger effect영어)로 불린다.

양자장 이론에 대한 슈윙거의 기초적인 연구는 장 상관 함수와 운동 방정식의 현대적인 틀을 구축했다. 양자 작용에서 시작된 그의 접근 방식은 스핀-통계 정리CPT 정리에 대한 증명을 제시했고, 장 대수의 이상한 슈윙거 항이 이상 이해에 필수적임을 보였다.

라리타-슈윙거 방정식을 통해 스핀-3/2 장의 이론을 구체화했으며, 초대칭성의 필요성을 인지했지만, 이를 발견하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중성미자전자뮤온을 위한 두 종류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오늘날에는 세 개의 가벼운 중성미자가 알려져 있다.

1960년대에 슈윙거 모델로 알려진, 한 공간 및 한 시간 차원의 양자 전기역학, 즉 가둠 이론의 첫 번째 예를 공식화하고 분석했다. 또한, 약한 상호작용 게이지 이론을 제안했으며, 이는 셸던 글래쇼에 의해 확장되었다. 자기 단극자를 이용한 양자 전기역학 이론을 공식화하려 했으나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1965년 리처드 파인만, 도모나가 신이치로와 함께 양자 전기역학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앨버트 아인슈타인 상 (1951년), 미국 국가 과학 메달 (1964년) 등 다양한 상을 받았다. 1987년 미국 성취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7]

강한 전장 내에서 진공으로부터 입자-반입자의 쌍생성이 일어나는 것을 처음으로 보였고, "슈윙거 극한"이라고 불리는 전장 강도를 제시했다. 또한, 장론 계산에 사용되는 슈윙거-다이슨 방정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1972년 UCLA로 옮겨 소스 이론과 그 응용 분야를 발전시켰다. 1989년 이후 저온 핵융합 연구에 관심을 가졌으나, 논문 출판 거부로 미국 물리학회를 탈퇴했다.[5]

마지막 출판물에서 음향 발광에 대한 이론을 제안했다.[6]

쥴리안 슈윙거는 1965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8-1939)

줄리언 슈윙거는 1918년 2월 12일 뉴욕에서 아슈케나지 유대인 부모인 벨(née 로젠펠드)과 의류 제조업자였던 벤자민 슈윙거 사이에서 태어났다.[1] 그의 부모는 폴란드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왔다. 그의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모두 부유한 의류 제조업자였지만, 가족 사업은 1929년 월가 대폭락 이후 쇠퇴했다. 그의 가족은 정통 유대교 전통을 따랐다.[1]

슈윙거는 조숙한 학생이었다. 그는 1932년부터 1934년까지 당시 영재들을 위한 명문 고등학교였던 타운센드 해리스 고등학교에 다녔다. 고등학교 시절에 줄리언은 이미 뉴욕 시립 대학교 도서관에서 폴 디랙과 같은 작가들의 ''피지컬 리뷰'' 논문을 읽기 시작했는데, 타운센드 해리스 고등학교는 당시 뉴욕 시립 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해 있었다.

1934년 가을, 슈윙거는 학부생으로 뉴욕 시립 대학교에 입학했다. CCNY는 당시 타운센드 해리스 졸업생을 자동으로 모두 받아들였고, 두 기관 모두 등록금을 면제했다. 물리학과 수학에 대한 그의 강한 관심으로 인해 줄리언은 수업을 자주 빠지고 책에서 직접 배우면서도 해당 과목에서 매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반면에 영어와 같은 다른 과목에 대한 그의 무관심은 해당 과목 교사들과의 학문적 갈등으로 이어졌다.

줄리언이 CCNY에 입학한 후, CCNY를 졸업한 그의 형 해럴드는 그의 전 동급생인 로이드 모츠에게 "줄리언을 알게 해달라"고 부탁했다. 로이드는 CCNY 물리학 강사이자 당시 컬럼비아 대학교 박사 과정 후보였다. 로이드는 그와 알게 되었고, 곧 줄리언의 재능을 알아차렸다. 슈윙거의 학업 문제를 알아챈 로이드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그를 알고 있던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라비 또한 첫 만남에서 슈윙거의 능력을 즉시 알아차렸고, 그 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장학금을 수여하기로 했다. 처음에는 CCNY에서 줄리언의 일부 과목의 낮은 성적이 장학금 수여를 막았다. 그러나 라비는 끈기 있게 슈윙거가 쓴 양자 전기역학에 대한 미발표 논문을 당시 뉴욕을 방문 중이던 한스 베테에게 보여주었다. 베테는 그 논문을 승인했고, 이 분야에서의 그의 명성은 줄리언에게 장학금을 확보하기에 충분했고,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로 편입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의 그의 학업 상황은 CCNY보다 훨씬 나았다. 그는 파이 베타 카파 학회에 입회했으며 1936년에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슈윙거가 대학원 과정을 밟는 동안 라비는 줄리언이 전국 각지의 다른 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고, 줄리언은 1937/38년에 그레고리 브라이트와 유진 위그너와 함께 일하는 여행 연구원으로 선정되었다. 이 기간 동안 슈윙거는 이전에 이미 밤늦게까지 일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지만, 더 나아가 낮과 밤을 완전히 바꿨고, 밤에 일하고 낮에 자는 습관을 들였는데, 이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지속될 습관이었다. 슈윙거는 나중에 이러한 변화가 부분적으로는 더 큰 지적 독립성을 유지하고 브라이트와 위그너와 접촉 시간을 줄여 그들에게 "지배"당하는 것을 피하는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슈윙거는 1939년 21세의 나이에 라비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연구 경력 (1939-1994)

슈윙거는 1939년 이시도어 아이작 라비 밑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2년간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조수로 일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매사추세츠 공대(MIT) 방사선연구소에서 레이다 개발에 이론적인 도움을 주었으며, 전쟁 이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1945년부터 1974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14] 1966년에는 하버드 대학교의 유진 히긴스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

레이다 연구를 통해 그린 함수에 대한 이해를 높였고, 이를 바탕으로 양자장 이론을 상대론적으로 불변하게 만들었다. 전자자기 모멘트를 계산할 때 상대론적 대칭성을 이용하여 발산을 피하고 유한한 값을 얻었으며, 재규격화 이론을 개발하여 양자 전기역학을 1차 근사에서 완전하게 만들었다.

또한, 양자장론에서 전자-양전자 쌍이 전기장에서 양자 터널링을 통해 생성될 확률을 계산하는 비섭동적 방식을 도입했다. 이 현상은 '슈윙거 효과'(Schwinger effect영어)로 불린다.

양자장 이론에 대한 슈윙거의 기초적인 연구는 장 상관 함수와 운동 방정식의 현대적인 틀을 구축했다. 양자 작용에서 시작된 그의 접근 방식은 스핀-통계 정리CPT 정리에 대한 증명을 제시했고, 장 대수의 이상한 슈윙거 항이 이상 이해에 필수적임을 보였다.

라리타-슈윙거 방정식을 통해 스핀-3/2 장의 이론을 구체화했으며, 초대칭성의 필요성을 인지했지만, 이를 발견하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중성미자전자뮤온을 위한 두 종류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오늘날에는 세 개의 가벼운 중성미자가 알려져 있다.

1960년대에 슈윙거 모델로 알려진, 한 공간 및 한 시간 차원의 양자 전기역학, 즉 가둠 이론의 첫 번째 예를 공식화하고 분석했다. 또한, 약한 상호작용 게이지 이론을 제안했으며, 이는 셸던 글래쇼에 의해 확장되었다. 자기 단극자를 이용한 양자 전기역학 이론을 공식화하려 했으나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73개의 박사 학위 논문을 지도했으며,[2] 그의 제자 중 로이 글라우버, 벤자민 로이 모텔슨, 셸던 글래쇼, 발터 콘 (화학) 4명이 노벨상을 수상했다.

1972년 UCLA로 옮겨 소스 이론과 그 응용 분야를 발전시켰다. 1989년 이후 저온 핵융합 연구에 관심을 가졌으나, 논문 출판 거부로 미국 물리학회를 탈퇴했다.[5]

마지막 출판물에서 음향 발광에 대한 이론을 제안했다.[6]

1965년 리처드 파인만, 도모나가 신이치로와 함께 양자 전기역학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앨버트 아인슈타인 상 (1951년), 미국 국가 과학 메달 (1964년) 등 다양한 상을 받았다. 1987년 미국 성취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7]

강한 전장 내에서 진공으로부터 입자-반입자의 쌍생성이 일어나는 것을 처음으로 보였고, "슈윙거 극한"이라고 불리는 전장 강도를 제시했다. 또한, 장론 계산에 사용되는 슈윙거-다이슨 방정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2. 3. 슈윙거와 파인만

유명한 물리학자로서 슈윙거는 동시대의 전설적인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과 종종 비교된다. 슈윙거는 양자장론에 방정식과 기호를 이용한 접근을 선호했다. 그는 국소 장 연산자와 그 사이의 관계식을 발견했으며, 물리학자들이 이 연산자의 대수를 이해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파인먼은 직관적인 방법을 선호했으며, 양자장론의 물리가 파인먼 도형을 통해서 전부 유도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는 양자장을 입자로 보는 해석을 준다. 슈윙거는 파인먼 도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평했다.

슈윙거는 파인먼 도형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파인먼 도형을 통해서 학생들이 양자장을 입자로 해석하여 양자"장"의 해석을 잊어버리게 할 수 있게 때문이었으며, 슈윙거의 관점에서 이는 양자장에 대한 이해를 방해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슈윙거는 자신이 파인먼 도형을 완전히 이해하고, 때때로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업에서 파인먼 도형을 가르치지 않았다.

노벨상을 같이 수상했지만, 슈윙거는 파인먼과 양자전기역학과 양자장론에 다른 접근을 시도했다. 파인먼은 조절을 이용했으나, 슈윙거는 재규격화를 이용해 조절을 이용하는 방법을 피했다. 파인먼은 입자의 경로적분을 통한 접근이 옳은 접근이라고 믿었으나, 슈윙거는 국소장으로 양자장론을 기술하는 것이 옳은 접근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그들은 서로 상대방의 결과를 면밀히 검토했으며, 서로를 존중하며 일했다. 파인먼의 장례식 때 슈윙거는 파인먼을 다음과 같이 평했다.

2. 4. 말년 및 죽음

슈윙거는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마운트 오번 묘지에 묻혔으며, 그의 묘비에는 이름 위에 \frac{\alpha}{2\pi}가 새겨져 있는데, 여기서 \alpha미세 구조 상수이다. 이 기호는 그의 이상 자기 쌍극자 모멘트에 대한 계산, 즉 전자의 자기 모멘트에 대한 보정("이상")을 나타낸다.[12]

슈윙거의 묘비. 전자 비정상 자기 모멘트 \alpha/2\pi가 적혀 있다.

3. 주요 업적

슈윙거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레이다 개발에 기여했으며, 이 경험은 훗날 그의 양자전기역학(QED)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레이다 연구에서 사용하던 그린 함수를 양자장론에 적용하여 상대론적으로 불변하는 이론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전자의 자기 모멘트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재규격화 이론을 개발하여 QED를 1차 근사에서 완전하게 만들었다.[2]

또한, 전기장 내에서 전자-양전자 쌍이 생성되는 슈윙거 효과를 예측하여 비섭동적 양자장 이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스핀-통계 정리, CPT 정리 등 양자장론의 기초를 다지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슈윙거 모델을 통해 갇힘 현상을 설명하고, 약한 상호작용의 게이지 이론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그의 제자 중 4명(로이 글라우버, 벤자민 로이 모텔슨, 셸던 글래쇼, 발터 콘)이 노벨상을 수상하여, 물리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말년에는 저온 핵융합과 음향 발광 연구에 몰두하며, 주류 학계와는 다른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5][6]

3. 1. 양자전기역학 (QED) 연구

오펜하이머와 함께 일한 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슈윙거는 로스앨러모스 연구소 대신 매사추세츠 공대 방사선연구소(Radiation Laboratory영어)에서 레이다 개발에 이론적인 도움을 주었다. 전쟁 이후 하버드 대학교로 옮겨 1945년부터 1974년까지 재직했다.[2]

슈윙거는 레이다 연구를 통해 그린 함수에 익숙해졌고, 이를 활용하여 상대론적으로 불변하는 방식으로 국소 그린 함수를 사용해 양자장 이론을 공식화했다. 이를 통해 양자전기역학에서 전자자기 모멘트에 대한 첫 번째 보정을 명확하게 계산할 수 있었다. 이전의 비공변적인 연구에서는 무한대의 해답에 도달했지만, 상대론적 대칭성을 이용한 그의 방법론을 통해 유한한 보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2]

이후 슈윙거는 재규격화 이론을 개발하여 양자전기역학을 1차 근사에서 완전하도록 만들었다.[2]

같은 시기에 그는 전기장 내에서 전자-양전자 쌍이 양자 터널링을 통해 생성되는 속도를 계산하여 양자장 이론에 비섭동적 방법을 도입했다. 이 과정은 현재 '''슈윙거 효과'''(Schwinger effect영어)로 알려져 있으며, 섭동 이론의 유한 차수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현상이다.[2]

양자장 이론에 대한 슈윙거의 기초적인 연구는 장 상관 함수와 그들의 운동 방정식의 현대적인 틀을 구축했다. 그의 접근 방식은 양자 작용에서 시작되었고, 보존과 페르미온을 처음으로 동등하게 다룰 수 있도록 했으며, 그라스만 적분의 미분 형태를 사용했다. 그는 스핀-통계 정리CPT 정리에 대한 증명을 제시했고, 장 대수가 단거리 특이성 때문에 다양한 고전적 항등식에서 이상한 슈윙거 항을 초래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것들은 이상의 적절한 이해에 필수적인, 장 이론의 기초적인 결과였다.[2]

1960년대에 슈윙거는 현재 슈윙거 모델로 알려진, 한 공간 및 한 시간 차원의 양자 전기역학, 즉 가둠 이론의 첫 번째 예를 공식화하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장거리에서 전자기학 U(1)로 자발적으로 깨지는 SU(2) 게이지 군인 약한 상호작용 게이지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이것은 그의 제자인 셸던 글래쇼에 의해 약한 상호작용 통일의 인정된 패턴으로 확장되었다. 그는 점 자기 홀극을 이용한 양자 전기역학 이론을 공식화하려고 시도했지만, 전하의 양자가 작을 때 홀극이 강력하게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2]

1965년 슈윙거는 리처드 파인만, 도모나가 신이치로와 함께 양자전기역학(QED)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2]

3. 2. 슈윙거 효과

같은 시기에 슈윙거는 양자장론에서 전자-양전자 쌍이 전기장에서 양자 터널링을 통해 생성될 확률을 근사이론을 쓰지 않고 계산하여, 양자장론에 섭동이론을 쓰지 않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 효과는 '''슈윙거 효과'''(Schwinger effect영어)로 불리며, 양자장론에서 섭동 이론으로는 알 수 없는 현상이다.[2]

3. 3. 기타 업적

2차 세계대전 중 슈윙거는 매사추세츠 공대 방사선연구소(Radiation Laboratory영어)에서 레이다 개발에 이론적인 도움을 주었다. 이 과정에서 그린 함수 사용에 익숙해졌고, 이를 양자장론에 적용하여 상대론적 불변량이 되도록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양자전기역학에서 전자자기 모멘트 계산에 1차 수정을 가하여 유한한 계산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전의 계산 방식에서는 전자의 자기 모멘트가 발산했으나, 슈윙거는 상대론적 대칭성을 이용하여 발산을 피했다. 이후 슈윙거는 재규격화이론을 개발하여 양자전기역학을 1차 근사에서 완전하게 만들었다.[2]

같은 시기에 슈윙거는 양자장론에서 전자-양전자쌍이 전기장에서 양자 터널링을 통해 생성될 확률을 근사이론을 쓰지 않고 계산하여, 섭동이론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 현상은 '''슈윙거 효과'''(Schwinger effect영어)로 불리며, 양자장론에서 섭동 이론으로는 알 수 없는 현상이다.[2]

슈윙거는 장 상관 함수와 그들의 운동 방정식의 현대적인 틀을 구축했다. 그의 접근 방식은 양자 작용에서 시작되었고, 보존과 페르미온을 처음으로 동등하게 다루었으며, 그라스만 적분의 미분 형태를 사용했다. 그는 스핀-통계 정리CPT 정리에 대한 증명을 제시했고, 장 대수가 단거리 특이성 때문에 다양한 고전적 항등식에서 이상한 슈윙거 항을 초래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것들은 이상의 적절한 이해에 필수적인 장 이론의 기초적인 결과였다.[2]

그 외에도 슈윙거는 라리타-슈윙거 방정식과 같이 디랙 스피너의 벡터 형태로 스핀-3/2 장의 추상적인 이론을 구체화했다. 스핀-3/2 장이 일관성 있게 상호 작용하기 위해서는 초대칭성이 필요하며, 슈윙거는 나중에 이 연구를 충분히 따라가지 않아 초대칭성을 발견하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2]

슈윙거는 중성미자전자뮤온 각각에 해당하는 여러 종류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오늘날에는 세 개의 가벼운 중성미자가 알려져 있으며, 세 번째는 타우 렙톤의 파트너이다.[2]

1960년대에 슈윙거는 슈윙거 모델로 알려진, 한 공간 및 한 시간 차원의 양자 전기역학, 즉 가둠 이론의 첫 번째 예를 공식화하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장거리에서 전자기학 U(1)로 자발적으로 깨지는 SU(2) 게이지 군인 약한 상호작용 게이지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이것은 그의 제자인 셸던 글래쇼에 의해 약한 상호작용 통일의 인정된 패턴으로 확장되었다. 그는 점 자기 홀극을 이용한 양자 전기역학 이론을 공식화하려고 시도했지만, 전하의 양자가 작을 때 홀극이 강력하게 상호 작용하기 때문에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2]

슈윙거는 소스 이론[3]을 개발했는데, 이는 현대적인 유효장 이론의 전신인 기본 입자 물리학에 대한 현상론적 이론이다. 이는 양자장을 장거리 현상으로 취급하며, 고전장 이론에서 전류와 유사한 보조 '소스'를 사용한다. 소스 이론은 수학적으로 일관된 장 이론으로, 명확하게 도출된 현상론적 결과를 가지고 있다.[2]

1989년 이후 슈윙거는 저온 핵융합에 대한 비주류 연구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이에 대한 8편의 이론 논문을 썼으나, 논문 출판을 거부당한 후 미국 물리학회를 탈퇴했다.[5] 그는 저온 핵융합 연구가 억압되고 학문의 자유가 침해당하고 있다고 느꼈다. 그는 "동조에 대한 압박은 엄청나다. 나는 익명의 심사위원의 독설적인 비판에 근거한 편집자의 투고 논문 거부에서 이를 경험했다. 공정한 검토를 검열로 대체하는 것은 과학의 죽음이 될 것이다."라고 썼다.[2]

그의 마지막 출판물에서 슈윙거는 음향 발광에 대한 이론을 제안했는데, 이는 원자가 아니라 붕괴하는 거품의 유전율에 불연속성이 있는 빠르게 움직이는 표면과 관련된 장거리 양자 복사 현상으로 여겨졌다. 현재 실험에서 지지하는 음향 발광의 메커니즘은 빛의 근원으로 거품 내부의 과열된 가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6]

4. 저술

제목저자출판사출판일비고
[http://www.osti.gov/cgi-bin/rd_accomplishments/display_biblio.cgi?id=ACC0109&numPages=57&fp=N "Effect of Tensor Range in Nuclear Two-Body Problems"] (핵 2체 문제에서 텐서 범위의 효과)Feshbach, H., Schwinger, J. & J. A. Harr.하버드 대학교 계산 연구소,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미국 원자력 위원회)1949년 11월[1]
[http://www.osti.gov/cgi-bin/rd_accomplishments/display_biblio.cgi?id=ACC0111&numPages=92&fp=N "On Angular Momentum"] (각운동량에 관하여)Schwinger, J.하버드 대학교, Nuclear Development Associates, Inc.,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미국 원자력 위원회)1952년 1월 26일[6]
[http://www.osti.gov/cgi-bin/rd_accomplishments/display_biblio.cgi?id=ACC0110&numPages=51&fp=N "The Theory of Quantized Fields. II"] (양자화된 장의 이론. II)Schwinger, J.하버드 대학교,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미국 원자력 위원회)1951[7]
[http://www.osti.gov/cgi-bin/rd_accomplishments/display_biblio.cgi?id=ACC0112&numPages=35&fp=N "The Theory of Quantizied Fields. III"] (양자화된 장의 이론. III)Schwinger, J.하버드 대학교, 미국 에너지부 (전신 기관인 미국 원자력 위원회)1953년 5월[8]
'Einsteins Legacy'' (아인슈타인의 유산)Schwinger, J.사이언티픽 아메리칸 Library1986[9], 토다 모리카즈・요네야마 토오루 역, 닛케이 사이언스사, 1991년 9월. ISBN 4-532-52005-3.
양자 유산: 줄리언 슈윙거의 주요 논문밀턴 KA월드 사이언티픽2000[10]
고전 전자기학밀턴 KA, 슈윙거 J테일러 & 프란시스2024 (2판)[11]
전자기 방사: 변분법, 도파관 및 가속기밀턴 KA, 슈윙거 J스프링거2006[12]
아인슈타인의 유산: 시공간의 통일슈윙거 J도버2002[13]
입자, 근원 및 장슈윙거 JCRC2018 (3권)[14]
양자 운동학 및 역학슈윙거 J웨스트뷰2000[15]
양자 역학: 원자 측정의 상징슈윙거 J스프링거2001[16], B.G. 엥글라트 편, 시미즈 키요타카・히나타 히로유키 역, 슈프링거・페어라크 도쿄, 2003년 6월. ISBN 4-431-71015-9.
도파관의 불연속성슈윙거 J, 색슨 DS고든 앤드 브리치1968


참조

[1] 서적 Climbing the mountain: the scientific biography of Julian Schwinge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Julian Schwinger Foundation http://www.physics.n[...] 2018-05-01
[3] 서적 Particles, Sources, and Fields Addison-Wesley
[4] 논문 Phenomenological Lagrangians https://dx.doi.org/1[...] 1979-04-01
[5] 서적 Climbing the Mountain: The Scientific Biography of Julian Schwing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논문 Single-bubble sonoluminescence
[7]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8] 논문 Quantum Electrodynamics-An Individual View https://hal.archives[...]
[9] 서적 Renormalization Theory of Quantum Electrodynamics: An Individual Vie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report on quantum electrodynamics Reidel
[11] 웹사이트 Dr. Richard P. Feynman (1918–1988) http://amasci.com/fe[...] amasci.com 2007-05-21
[12] 서적 "Climbing the Mountain: The Scientific Biography of Julian Schwinger" Oxford Univ Pr
[13]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65 http://nobelprize.or[...] 2009-10-15
[14] 웹인용 Julian Schwinger, Biography http://nobelprize.or[...] 2009-10-15
[15] 논문 Quantum Electrodynamics-An Individual Vie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A Path to Quantum Electrodynamics http://amasci.com/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